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외상 후 성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은아 ( Park Eun A ),조혜정 ( Cho Hye Chung ),이재경 ( Lee Jae Kye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외상 후 성장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대에서 40대까지 일반 성인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절회귀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은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을 많이 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 후 성장은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후 성장이 낮은 집단에서는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증가 할수록 자살생각의 증가 또한 강하게 나타났으나, 외상 후 성장이 높은 집단에서는 아동청소년기외상경험이 증가해도 자살생각의 증가폭은 완만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 대상자의 개입의 필요성과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실천적 전략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growth between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suicidal ideation. 151 adults in their 20`s to 40`s were utilized by analyzing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suicidal ideation. To be specific, the more childhood-adolescence trauma increased, the more suicidal ideation increased. Second, the results presented that posttraumatic growth moderated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suicidal ideation. The more childhood-adolescence trauma increased, the more suicidal ideation strongly increased in group of lower posttraumatic growth. Whereas, the more childhood-adolescence trauma increased, the more suicidal ideation mildly increased in group of higher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for people who have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practical strategy for posttraumatic growth are needed in social welfare practice.

      • KCI등재

        지각된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대인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침심을 매개변인으로

        박시현 ( Si-hyun Park ),김명식 ( Myung-shig K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4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지각된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해서, 대학생의 대인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전북 J시 소재 5개의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46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의 절차에 따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아동·청소년기의 외상경험, 내면화된 수치심 그리고 대인불안과 우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의 지각된 아동·청소년기의 외상경험이 현재의 대인불안, 우울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지각된 아동·청소년기의 외상경험과 대 학생의 대인불안, 우울과 내면화된 수치심이 동시에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지각된 아동· 청소년기 외상경험의 대인불안과 우울에 대한 영향에 있어, 내면화된 수치심이 매개변인으로 기능 하는지 규명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지각된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내면 화된 수치심을 매개해서 대인불안과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규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기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대인불안과 우울을 상담 및 치료하기 위해서는, 특히 심리 적인 내적인 수치심에 대한 적절한 탐색과 상담적 개입이 매우 필요하다는 치료적 함의를 제시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s of perceived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 on interpersonal anxiety and depression mediated by internalized shame of college students. Subjects included 467 college students from five universities in J city of Jeonbuk Provinc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perceived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anxiety, depression, and internalized shame. The higher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 was, the higher interpersonal anxiety, depression, and internalized shame were. Second, internalized shame worked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anxiety and depres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appropriate exploration into internalized shame and counseling intervention could be crucial in counseling and treatment of interpersonal anxiety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e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소연(So Yeon Kim),최은실(Eun Sil Choi) 한국발달지원학회 2020 발달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행동문제와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이 어떤 관계를 이루는지 파악하고, 대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 사이에서 대처유연성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499명을 대상으로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 대학생 정서행동문제, 대처유연성을 묻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 대학생의 정서행동문제와 대처유연성은 서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은 대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처유연성은 대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은 대처유연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대처유연성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대처유연성을 활용한 정서행동문제의 예방 및 활용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ex trauma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the influence of coping flexibility on the complex trauma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mplex trauma experiences in childhood, coping flexibility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were correlations. Second, Complex trauma experiences in childhood were directly affect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Third, Coping flexibility were directly affect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Fourth, Complex trauma experiences in childhood were directly affect coping flexibility. Fifth, Coping flexi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ex trauma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suggestions and limitation of prevention and practical use of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by using coping flexibility.

      • KCI등재

        아동·청소년기 외상과 복합 PTSD 증상의 관계에서 외상신념과 자기체계 손상의 이중매개 효과

        이정민(Lee, Jung-Min) 한국교육치료학회 2022 교육치료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의 외상 경험이 성인의 복합 PTSD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청소년기 외상 경험과 복합 PTSD의 관계에서 외상신념과 자기체계 손상이 병렬 이중매개 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청소년기 외상, 복합 PTSD, 외상신념, 자기체계 손상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사용하여 성인 37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와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아동·청소년기 외상 경험과 복합 PTSD 증상, 외상신념, 자기체계 손상 사이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복합 PTSD 증상과 외상신념, 자기체계 손상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병렬 이중매개 효과를 확인한 결과 아동·청소년기 외상과 복합 PTSD의 관계에서 외상신념과 자기체계 손상이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외상 후유증에 대한 심리치료의 연구와 임상에 가지는 시사점 및 한계에 대해 논하였으며,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on the symptoms of complex PTSD in adults.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whether trauma and attachment belief and traumatized self-system have a doub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complex PTSD. To this end, we analyzed data from 376 adults using a self-report scale measuring childhood trauma, complex PTSD, trauma and attachment belief and traumatized self-system.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raumatic experience and complex PTSD, and between traumatic experience and trauma and attachment belief/traumatized self-system. Complex PTSD symptoms and trauma and attachment belief/traumatized self-system were also found to correlate positively. Also, it was confirmed that trauma & attachment belief and traumatized self-system had a partially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complex PTS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ounseling and treatment on trauma and clinical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아동 청소년기 외상경험과 경계선 성격 특성의 관계: 대상적 자기 손상의 매개효과

        김은희,이인혜 한국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 among childhood trauma, impaired objective self,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in nonclinical young adul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ompleted mediation model was proposed, in which impaired objective self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A total of 365 undergraduate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Childhood Traumatic Questionnaire(CTQ), Traumatized Self-System Scale(TSSS), and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Borderline Features Scale (PAI-BOR). As a result, SEM analyses confirmed the completed mediation model. These findings indicate as follows. First, childhood trauma is the major developmental antecedents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Second, childhood trauma has an effect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only if childhood abuse and neglect leads to significant impairments of objective self, which is conceptualized as negative self, guilt, and sham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future research.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 청소년기의 외상경험과 대상적 자기 손상, 경계선 성격특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상적 자기 손상이 아동 청소년기 외상경험과 경계선 성격특성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할 것으로 가정하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6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측정 도구로는 아동기 외상 질문지, 외상화된 자기체계 척도, 경계선 성격특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 청소년기 외상경험은 대상적 자기 손상 및 경계선 성격특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동 청소년기 외상경험이 대상적 자기 손상을 거쳐 경계선 성격특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완전매개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아동 청소년기의 학대와 방임은 경계선 성격특성의 발달에 주요한 원인이 된다. 둘째, 아동 청소년기의 학대와 방임은 부정적 자기, 죄책감, 수치심으로 개념화되는 대상적 자기영역에서의 손상을 초래한다. 셋째, 아동 청소년기의 외상경험으로 인해 대상적 자기 손상이 뚜렷한 경우에만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동 청소년기 외상 경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경향, 강박사고 경향 간의 관계 - 초기 부적응 도식을 중심으로

        김혜림,정진복,김제중 한국재활심리학회 2016 재활심리연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기 외상 경험이 성인기의 강박사고 및 외상후 스트레스 경향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초기 부적응 도식의 역할과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응답자 중 아동 청소년기 외상 경험이 있는 457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다변량 분석을 위해 자료를 외상후 스트레스 집단, 강박사고 경향 집단, 두 경향의 공존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부적응 도식 중 ‘단절 및 거절’, ‘손상된 한계’ 하위도식이 외상후 스트레스 경향을, 그리고 ‘타인 중심성’ 도식은 강박사고 경향을 각각 예측하였으며, ‘과잉경계 및 억제’ 도식이 두 경향을 공통적으로 예측하였다. 두 경향 공존집단의 경우 모든 초기부적응 하위도식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 결과들은 특정 병리 증상 또는 증상들의 공존 여부에 따라 부적응적인 인지 도식 작용의 심각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에 따라 외상 경험자의 특징적 증상에 따라 초기 부적응 도식의 특성에 초점을 둔 다양한 치료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자립준비청년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과 초기부적응도식,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박신영,진민진,현명호 한국건강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9 No.2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의 아동·청소년기 외상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초기부적응도식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에서 만 34세 사이의 초기 성인기 자립준비청년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연구 대상에 해당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01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동·청소년기 외상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간접효과가 각각 유의하였다. 둘째, 아동·청소년기 외상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초기부적응도식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립준비청년의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개입을 위해, 아동·청소년기 외상 후 형성된 초기부적응도식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 역할 및 중요성을 고려한 치료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이 호소하는 대인관계문제의 심리적 기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였고, 이들이 경험한 아동·청소년기 외상에 대한 초기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youth in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A survey was conducted with early adults, aged 18 to 34, and data from 201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each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Furthermore,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a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 in this relationship. The findings reflect the need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that consider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hich are developed following childhood-adolescence trauma. This study provid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 interpersonal problems reported by youth in the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and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early interventions for the traumas experienced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 KCI등재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과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 자기개념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박현선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5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과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및 부적응적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초기에 해당하는 전국의 만 18세-29세의 남,녀 대학생과 졸업생 62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 하였으며, SPSS 25.0과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이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자기개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자기개념이대인관계 문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자기개념은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중자기개념의 간접효과가 더 큰 영향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두 변인을 외상연구의 치료적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했으며 후속연구 및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tend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and maladaptive cognitive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tic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this study wasconducted with 621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s from universities in SouthKorea whose ages are from ages 18 to 29. The research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self-concep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 and interpersonalproblems showed mediating effect. Among thes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direct effect ofself-concept had a greater influence. This study sought to utilize the two variables as therapeuticresources in trauma research and discussed follow-up research and suggestions.

      • KCI등재

        아동기 외상 경험이 청소년기 외상 관련 증상에 미치는 영향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

        문소라(Moon So-Ra),최은실(Choi Eun-Sil)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2019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ol.14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stemming from experiences of childhood trauma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such experiences on adolescent development with a special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lexithymia.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on 258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133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childhood trauma were compared with 125 adolescents who had not experienced trauma. Using a total of 258 pieces of data,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nts were identified and hypotheses were tested. The study verified the existence of differences between the childhood trauma experience group and the non-experience group, confirmed correlations among all three variables in the study found evidence that Alexithymia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of childhood trauma experiences and traumatic-related symptoms of the adolesc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discuss the suggestio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raumatic symptoms in adolescents by using Alexithymia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자립준비청년의 아동ㆍ청소년기 외상과 우울의 관계: 가정외보호 유형에 의해 조절된 단절-거절 영역 도식의 매개효과

        박신영(Shin Young Park),현명호(Myoung-Ho Hyun),진민진(Min Jin Jin) 대한스트레스학회 2024 스트레스硏究 Vol.32 No.1

        Background: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and depression among youths in the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impact of childhood trauma on depression, mediated by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was moderated by the type of out-of-home care (residential care center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Methods: A survey questionnaire measuring childhood trauma,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and depression was administered to 201 participants. Results: Mistrust-abuse and defectiveness-shame schema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depression. In all types of out-of-home care, both the mistrust-abuse and defectivenessshame schema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depres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diating effects based on the type of out-of-home care.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treatment of depression during the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in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childhood trau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