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기치료 기법을 활용한 표현적 쓰기교육 활동

        이수진(Lee, Soo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표현적 쓰기교육에서 목표 위계를 설정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활동 중 하나로 쓰기치료 기법을 활용하려는 것이다. 표현적 쓰기의 개념과 특성, 중요성, 2009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표현적 쓰기 관련 내용을 고려하여 표현적 쓰기교육의 목표 위계를 감정 표현, 자아 정체성의 탐구, 타인과의 소통으로 설정할 수 있다. 목표에 맞는 표현적 쓰기를 강화하기 위한 대안적 활동으로 심리치료의 일종인 쓰기치료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표현적 쓰기교육 관점에서 보았을 때 쓰기치료는 건전한 감정 표출을 통해 인성교육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 자아의 성을 목표로하는 표현적 쓰기 장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 표현적 쓰기의 특성에 맞게 쓰 기 교수·학습 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쓰기치료의 기법 중 표현적 쓰기교육의 목표 위계에 적합한 활동들을 기존의 표현적 쓰기 장르와 접목하여 제안하였다. ‘보내지 않는 편지쓰기’는 감정의 정화를 돕고 편지라는 장르의 가치를 확장시킨다. ‘저널쓰기’는 자아 정체성의 탐구를 돕고 자아를 성찰하는 새로운 일기쓰기가 될 수 있다. ‘자전적 이야기쓰기’는 자신의 이야기를 재저작하여 타인과의 소통을 돕고, 경험을 서사화하는 문학적 글쓰기와 연계된다. This study’s purposes are setting of learning goal’s grades and suggesting of using writing therapy in expressive writing’s education. I discussed about its importances and 2009 curriculum’s achievement standards. As a result, I set the learning goal’s grades like emotional expression, self-identity’s inquiry, communication with others. Writing therapy can be alternative method in this expressive writing’s education. Its values are three: it can enhance character education through healthy emotional expression, it can focus on genres for identity’s growth, it can vary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expressive writing. I suggest three writing therapy techniques connected with general espressive writing genres. ‘Unsent letter writing’ gives a catharsis and enlarge the letter’s value. ‘Journal writing’ helps the inquiry and reflection of self-identity. ‘Autobiographical story writing’ helps the communication with others through reauthor.

      • KCI등재후보

        청소년기 자아의 치료와 정체성을 찾는 저널 쓰기 연구 ― 저널 도구 ‘대화’ 쓰기의 사례를 중심으로 ―

        박태진 ( Park Tae-jin ) 한국작문학회 2010 작문연구 Vol.0 No.11

        본고는 저널 쓰기 도구의 하나인 ‘대화’ 쓰기를 중점으로 청소년기 자아를 치료하고 자아 정체성을 찾는 저널 쓰기를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대부분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은 일상의 고통에서 자유롭지 못 하다. 청소년들은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때부터 매일 일기쓰기를 배웠지만 그들의 깊은 고통과 상처를 자유롭게 쓰지 않는다. 학교에는 선생님과 집에서는 부모로부터 일기를 검사받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청소년기를 보내는 대부분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은 일기 쓰기의 가치를 인식하지 못 했고, 이후 글쓰기를 생활화하지 않았다. 페니베이커 박사는 글쓰기가 정신적 혼란함을 치유하고 상처를 치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또한 미국의 아담 스미스(Adam Smith)와 우리나라의 이봉희 교수는 저널 쓰기는 치료적 가치에 주목하여 ‘보내지 않는 편지 쓰기’ 등 ‘새로운 일기 쓰기의 일종인 저널 쓰기’에 나날의 고통을 치유하고 자아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다는 가치를 증명해 온 바 있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고는 정신적 고통과 상처에 직면한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저널의 여러 도구 중 하나인 ‘대화’ 쓰기의 치료 및 자아의 정체성을 찾는 사례 연구에 임했다. 이에 성남에 위치한 인문계 성일고등학생이 ‘대화’ 쓰기 치료 활동지를 마련하여 연구한 결과, 학생들은 학업 성적, 선생님들과의 고통, 학생들간 고통을 겪고 있었으며, 저널 도구 ‘대화’ 쓰기에 적극 참여한 학생들은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고 자아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평소 글쓰기를 싫어하는 학생들에게는 저널 ‘대화’ 쓰기의 가치는 간과되고 이 결과 저널 쓰기의 생활화는 기대할 수 없다. 이에 저널 쓰기의 가치 및 효능에 대한 교육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이와 동시에 학생들 저마다 자가 치료 차원의 저널 쓰기를 생활화하는데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시급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teenagers about journal writing relating to self-therapy and finding their own identity. Most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have learned to write a diary daily from kindergarten or elementary school. But when kindergarten or elementary students write a diary, they do not write their deep pain and trauma freely because of teachers and parents' inspection. Therefore, most of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do not keep a diary, and they are not reluctant to write about other topics either. That is why writing education is not easy in middle or high school. However, Dr. James W, Pennebaker, reported that writing plays an important role to heal mental disorder and remedy trauma. Also, Adam Smith in the USA insisted that journal writing, like writing a diary is a very easy and pragmatic writing method that self-therapy accompanies. Bong Hee, Lee, who was directed by Adam Smith in the USA, introduced the therapeutic value of writing journals and many kinds of tools that are not gained by writing letters, 'dialogue' writing, and so on. Recently she has reported that writing a journal is very important to heal teenagers and adults in Korea too. Therefore, this study assures that when teenagers in middle or high school confront deep mental discord and trauma, these adolescents can establish their self-identity through 'dialogue' writing, one of journalistic therapy's tools. This study focuses on 'dialogue' writing, a journalistic therapy's tools, and examines Sung-il high school students in Sung-nam City(Sung-nam city is located 25km south of seoul, South Korea) writing a 'dialogue' paper. As a result of this execution study, many cases of Sung-il high school students attested that 'dialogue' writing, one of journalistic tools, was very useful to obtain self-therapy and establish their self-identity. But there are many unsettled questions of the therapeutic aspects of 'dialogue' writing, a diverse journalistic therapy tool. It seems that the therapeutic effect of 'dialogue' writing is of no use to some students that do not like writ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educational program of journal writing more profoundly with diverse methods.

      • KCI등재

        문학치료적 관점에서의 시 쓰기 교육 연구 - 이미지를 중심으로

        김남희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문학치료연구 Vol.46 No.-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therapeutic power of literature, and literary therapy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However, what is more active than the research is the actual use of literary treatment which has proceeded from the clinical level. In this study, we focus on image therapy used in the clinical psychology field and search for new directions for poetry-writing education. Image is a basic element of poetry-writing, and there are many studies on image in poetry-writing education. The primary function of image in poetry is to elicit strong psychological stimulation in the imagination process. If poetry-writing education is designed to focus on the function of the image that is valued on counseling therapy, especially counseling therapy using image, it will be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can contribute to students’ overcoming psychological problems. 최근 문학계에는 문학의 치료적 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문학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연구 차원의 관심보다 더 활발한 것은 임상 차원에서 진행되는 실제적 문학치료 현상이다. 이 연구에서는 임상 심리 분야에서 활용하는 심상 치료에 주목하여, 시 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심상, 즉 이미지는 시 쓰기의 기본적 요소로, 이미 시 쓰기 교육에서 이미지에 관한 연구가 적지 않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이미지 형상화 방법을 중심으로 시 쓰기 교육의 내용을 모색하는 경우가 많았다. 시에서 이미지가 갖는 중요한 기능은 이미지 상상의 과정에서 창작 주체의 내면에 강한 심리적 자극이 가해질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이미지의 생성을 통해 새로운 존재를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심리 치료, 특히 심상을 활용한 심리 치료에서 주목하는 이미지의 기능을 중심으로 시 쓰기 교육의 목표 및 절차를 제언함으로써 학생들의 심리적 문제 극복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쓰기 치료의 관점에서 본 심노숭 도망문(悼亡文)의 글쓰기 방법 연구

        이영호 ( Lee Young-ho ),이경근 ( Lee Kyung-k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4 문학치료연구 Vol.71 No.-

        쓰기 치료는 글쓰기를 통해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로 내적 고민에 대한 직접적 표현을 기반으로 성립된다. 조선후기 문장가인 심노숭은 아내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해 심리적 문제를 겪게 되었는데, 이를 도망문 쓰기를 통해 극복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를 고려하면 심노숭의 도망문은 쓰기 치료의 모범적 사례로서 의의를 지닐 수 있다. 심노숭은 아내의 죽음을 계기로 23편의 산문을 서술하였는데, 이를 대상으로 글쓰기 방법을 분석해 보면 3가지 특성이 나타난다. 첫째, 심노숭은 도망문 쓰기에서 아내의 사후 느꼈던 내면 심리를 직접적으로 토로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둘째, 심노숭은 도망문 쓰기를 망자를 향한 대화 행위로 인식하였다. 이를 통해 그는 죽은 아내에게 못다 한 이야기를 글로 풀어냄으로써 심리적 고통을 완화시킬 수 있었다. 셋째, 심노숭은 아내의 죽음과 관련한 철학적 의문을 제기하고 사색과 성찰을 통해 그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그는 부정적 감정에 매몰되지 않고 의미를 발견함으로써 상처를 극복해 나갈 수 있었다. 쓰기 치료에서는 심리적 문제를 겪는 사람들의 표현 행위를 촉진하기 위한 기법 제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쓰기 치료가 심리적 문제의 해결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폭 넓은 시각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심노숭의 도망문 쓰기는 비록 시대적 상황과 문화가 다르기는 하지만 오늘날 쓰기 치료의 방법적 모색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Writing therapy aims to address psychological issues through writing, facilitating the direct expression of internal concerns. Shim No-sung, a late Joseon Dynasty writer, suffered from psychological problems due to the sudden death of his wife and showed himself how to overcome them by writing sorrowful literature for his deceased wife. Thus, Shim No-sung’s escape story is a significant example of writing therapy. Shim No-sung wrote 23 prose pieces in response to his wife’s passing, employing a distinct writing method characterized by three key elements. First, he directly expressed his inner psychology in sorrowful literature dedicated to his wife. Second, he recognized the act of writing of sorrowful literature as a means of conversing with the deceased. Third, he raised philosophical questions about his wife’s death, seeking to derive meaning through contemplation and reflection. In writing therapy,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suggest techniques for promoting expressive behaviors in people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problems. However, for writing therapy to achieve its original purpose of solving psychological problems, an approach from a broader perspective is necessary. Although Shim No-sung’s sorrowful literature for his deceased wife is situated in a different historical situation and culture, it has great significance in today’s search for writing therapy methods.

      • KCI등재

        슬픔 얼리기와 문학 창작 교육

        김효주 ( Kim Hyo-joo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6 No.-

        이 글은 슬픔 얼리기 프로그램을 통해 문학 창작과 문학치료를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슬픔 얼리기란 슬픔에 대한 거리두기를 뜻한다. 슬픔 얼리기는 자신이 겪은 슬픔에 대해 좋다 나쁘다 등과 같은 분별을 하거나 성급한 판단을 하지 않는 것이다. 또, 자신의 슬픔을 암시하는 것이지 풀어서 드러내지 않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진정한 마음의 치료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시 읽기라는 간접 경험이 아니라 자신의 경험이 투영된 시를 자신이 직접 창작해야 한다는 점을 중시한다. 그리고 시 쓰기가 치료의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자기 슬픔에 대해 고민한 흔적을 시 속에 담을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방적으로 시 쓰기를 권할 것이 아니라 이에 대한 점진적 쓰기 단계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줄글쓰기와 시 쓰기를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슬픔에 대해 점진적으로 다가갈 수 있게 하였다. 줄글 쓰기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슬픔을 일정부분 드러내게 하는 전략이다. 학습자들은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이 겪은 슬픔의 경험을 추체험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슬픔 얼리기 방식으로는 시 쓰기 활동을 제시하였다. 이렇듯 이 글에서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완급강약을 조절하면서 자기 슬픔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서 슬픔이라는 것을 온전히 드러내는 것도, 그렇다고 온전히 숨기는 것도 옳지 않다. 드러내기와 숨기기 사이를 조절할 줄 아는 능력, 그것이 슬픔을 대할 때 가장 필요한 태도이다. 그런 점에서 시를 읽고 쓰는 교육이 소중하다. 시는 적절히 보여주고 적절히 숨겨주는 비법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 시대 슬픔의 치료는 문학에서 시작하여 일정기간 치료 과정을 거쳐 다시 문학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이 과정은 반복되어야 한다. This paper tried to seek for a plan to closely connect creative writing to literary therapy through Freezing Sorrow Program. Freezing sorrow refers to distancing from sorrow. Freezing sorrow is neither differentiating nor hastily judging sorrow one has felt : i.e. it is good or bad. Also, it is implying his or her sorrow not revealing that. This paper attaches importance to the point that one has to create poems to which his or her experiences are reflected by him or herself rather than indirect experiences of reading poems so that a true healing of the mind can be made. In addition, for writing poems to function as healing, one should be able to include the traces of concerns with his or her own sorrow in the poem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gradual writing step to it rather than to force to write poems. This paper allowed learners to gradually approach their own sorrow through `prose writing` and `poetry writing`. Prose writing is a strategy that allows learners to reveal their own sorrow to some extent. The learners can re-experience their experiences of sorrow through this process. Next, poetry writ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as the method of freezing sorrow. Like this, this paper tried to seek for a plan to allow the learners themselves to control speed and dynamics by presenting a concrete program to overcome their sorrow. In the world we are living in, neither is right to fully reveal sorrow nor to completely hide it. An ability to control between revealing and hiding is an attitude that is most necessary when one faces sorrow. In that sense, it is precious to teach reading and writing poetry. This is because poetry possesses a secret to properly show and hide. After all, healing sorrow of this epoch of ours should begin from literature, go through a process of heal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proceed back to literature. And this process should be repeated.

      • KCI등재

        이야기치료와의 연계를 통한 문학치료의 발전 방향

        박진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문학치료연구 Vol.46 No.-

        The special research significance of literary therapy is the anthropological possibility of narrative theory in literary therapeutics. First, this essay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narrative theory in literary therapeutics centered on the complexity of "narrative"(story-in-depth) and the "subject of narrative." On the other hand, its limits mainly appeared in clinical therapeutic studies caused by medical discourse, pathological viewpoint, expert power and so on. The connection with narrative therapy can compensate for these limits in literary therapy.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narrative therapy, participants are the subjects of the narrating act who create their own life stories from innumerable detailed experiences. Narrative therapists are "assistants" in these interactive "re-authoring conversations." Their intention is not to co-construct stories that describe experiences, but to co-construct stories through which people can live in preferred ways. Accepting this viewpoint, literary therapists can help participants more efficiently change their "story-in-depth of selves"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life stories and real lives. Through this transformation, people's own identities and values can be reflected in their story-in-depth. This connection with narrative therapy can extend the meaning of literary therapy as an ethical and social praxis. 문학치료의 연구 성과는 특히 서사의 다층성에 기반을 둔 서사이론의 인간학적 가능성에 있다. 이 글에서는 우선 ‘서사’ 개념과 ‘서사의 주체’ 논의를 중심으로 문학치료학 서사이론의 의의와 잠재력을 검토하였다. 이어서 주로 임상연구에 나타난 문학치료학의 한계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상담치료의 한 경향인 이야기치료의 관점과 실행 양상을 통해 보완의 방향을 찾아보고자 했다. 문학치료의 참여자는 자기서사와 실제 삶의 경험들, 그리고 생애 이야기가 긴밀하게 교섭하는 장이자 그 관계망 속에서 이야기를 만들고 이야기를 살아가는 ‘서사의 주체’이다. 삶의 경험들과 생애 이야기의 관계에 집중하는 이야기치료의 관점을 발전적으로 수용한다면, 문학치료는 참여자의 자기서사가 생애 이야기로 구현되고 그럼으로써 실제 삶을 변화시키는 과정에 더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을 것이다. 문학치료학은 또한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의 관계뿐 아니라 치료자와 참여자 사이의 상호작용 관계에도 좀 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가 권력, 정신의학의 담화, 병리학적 관점 등으로부터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참여자의 이야기를 잘 듣고 공감적인 지지자로서 함께 참여하는 협력적 대화의 과정이 동반돼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할 때 문학치료자는 참여자의 자기서사가 변화하고 성장해가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 과정에 특히 참여자 자신의 정체성과 가치관이 적극적으로 반영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하여 참여자가 자신이 원하는 삶의 방향을 발견하고 그런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격려한다면, 문학치료는 윤리적이고 사회적인 실천으로서의 의의를 더욱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시나리오쓰기의 치료적 효과에 관한 연구

        박수진,천성문 한국교육치료학회 2018 교육치료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therapeutic effect of scenario writing. To this end, we conducted an interview with 10 scenario writers who were writing scenarios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bout scenario writing experience. We recorded the interviews and categorized the common statemen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cenario writing was found to be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human and life as it narrates stories of human fighting against the environment(problem). Scenarios also have effects such as emotional cleansing and re-experiencing because they "project" themselves to the characters and "spit out" the words and actions they wanted. Also, the method of writing is convenient because it is written in a real dialogue voice language with a concrete im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iscussions were made on to use scenario writing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 up stud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시나리오쓰기의 심리치료 효과를 알아보고 치료에 적용할 활용 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시나리오를 쓰고 있는 10명의 시나리오 작가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면담을 진행하였다. 시나리오쓰기 경험에 관한 내용의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가지고 면담하였으며 녹취하여 작가들이 공통적으로 진술한 것을 찾아내어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시나리오쓰기는 인간이 환경(문제)에 맞서 싸우고 성숙해지는 이야기를 쓰기 때문에 인간 행위와 삶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게 한다. 시나리오는 인물에 ‘자신을 투영‘하여 하고 싶었던 말과 행동을 쓰고‘, ’뱉어내기‘ 때문에 감정정화와 재경험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쓰기의 방법이 구체적인 이미지로 장면화하고 실제 대화체 음성언어로 쓰기 때문에 편리하며, 그 대본을 가지고 역할극을 하는 특징이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나리오쓰기를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시 쓰기의 치료적 효과: 쉬페르비엘의 예

        김시원 ( Kim Si-w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4 No.-

        대부분의 경우 문학치료는 작품 속의 서사를 치료적 매개체로 삼아 내담자에게 제시하고 반응을 연구하는 과정으로 독자의 입장에서의 치료에 비중이 주어져 있다. 본 논문은 20세기 프랑스 시인 쥘 쉬페르비엘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작가 입장에서의 치료` 즉 창작의 치유적 기능을 연구하고자 한다. 쉬페르비엘의 시는 대다수가 내면에 억압된 심리적 문제들을 밖으로 끌어내어 언어로 구현한 경험적 산물이며 고백적 언술이다. 시 쓰기의 치료효과라는 관점에서 쉬페르비엘의 시를 연구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먼저 그의 인생을 이해하는 것이며, 그의 내면을 사로잡고 있는 부정적인 정서를 파악하고 정신·심리적 건강성을 회복하는 과정에 주목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일찍 여읜 부모에 대한 그리움과 재회의 환상`을 표현하고 있는 이 시인의 시들을 분석하고 그의 내면에 은밀히 감추어져 그의 작품을 구조화시키는 `고아 서사`를 파악해 내었다. 쉬페르비엘의 부모는 비록 시인의 현실적 삶 속에서는 부재했지만 그의 정신·심리적 삶을 오랫동안 지배했다. 실제의 삶 속에서 자신을 낳아준 `진짜` 부모와 `진정한` 가정을 가질 수 없었던 쉬페르비엘은 끊임없이 부모의 부재로 인한 고독과 불안을 경험하며 현실 속에서 가지지 못했던 가정을 이승과 저승의 경계선을 넘어 재건하고자 한다. 죽은 부모에게 지나치게 집착하는데서 비롯된 `고아 서사`가 쉬페르비엘의 내면을 지배하면서 그는 현실 세계에서 건전한 삶을 살지 못한다. 그러나 1920년대와 1930년대를 경계로 하여 그의 시는 `나`와 `가족`에 대한 사고, `세계`에 대한 상상력에 있어서 뚜렷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특히 1920년대에서 30년대에 이르기까지 긴 시간에 걸쳐 생성되어온 시집 『중력들』에서 시적 주체는 `외로운 고아`로부터 `소통적 자아`로 변모해 간다. 본 논문은 그동안 그의 내면을 지배했던 `비통한 고아 소년` 혹은 `바다위의 고독한 아이`를 분리해내기 시작한 시인의 변화된 서사를 부각시키고자 한다. 특히 1934년 시집 『미지의 친구들』의 출판을 전후하여 쉬페르비엘의 작품에 나타나는 서사의 변화는 주목할 만하다. 시인은 부모와의 관계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혈연적 배타성을 극복하고 혈연이 아닌 심지어 인간이 아닌 가장 낯선 존재들도 가족으로 받아들이는 시적 상상력을 보여주고 있다. 전 우주의 모든 존재들의 친밀함에 대한 믿음에 의해 쉬페르비엘의 시적 사고는 전기적인 차원을 넘어 `우주의 확대된 가족`에 대한 상상력으로 이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광대한 세상 속에서 `홀로`임을 느껴왔던 고아 소년과 그를 둘러싼 세계 사이의 화해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처럼 전 우주의 모든 존재들과의 소통과 화해를 지향하는 시 쓰기를 통해 쉬페르비엘은 그의 태생의 고독을 치유하기에 이른 것이다. This study analyses the therapeutic effects of poetic writing in the poetry of Jules Supervielle. This is a novel study because the writer, and not the reader, is targeted as the object of literary therapeutics. The poetry of Supervielle is a product of his own experience, which contains his various psychic struggles. This study uses literary therapeutics to analyze the negative affects repressed within this poet, and finally examines the process of recovery of his psychic health. This study first analyses the “orphan narration”, a latent archetype that influenced both the life and writing of Supervielle, who was orphaned at a young age: He often presented a lonely child in his poems. Furthermore, without having a true family in real life, he wanted to resurrect his family who is lost in the distant space between life and death, and reality and imagination. With the obsession with his dead parents and his fixation of the “orphan narration,” Supervielle could not live a healthy life in the real world. Literary therapeutics aim to induce a positive change of the psychic. Supervielle knew about this change during his poetic writing. With regard to his “orphan narration,” he knew about the great change from the 1930s, notably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Les amis inconnus. However, one might say that the poem, Montevideo, in the final version of the collection Gravitations published in 1932 presents his personal myth of birth, which no longer refers to the “orphan narration”, but conveys the fraternity of the Universe. The poetry of Supervielle, thus, passed from the “orphan narration” which governed half his life, to the “narration of the expanded family” by which he found his family in all beings in the Universe. He managed to become detached from his inner side a “lonely child” who regrets the death of his parents and finally began to heal his unhealthy psyche, which was a dominant influence for a long time in not only his life but also his poetry.

      • KCI등재후보

        삶을 주제로 한 자기 표현적 쓰기 경험이 이주 여성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국어 쓰기 교육 사례 연구

        원진숙 ( Won Jin-sook ) 한국작문학회 2010 작문연구 Vol.0 No.11

        이제까지 우리 작문 교육은 필자 자신의 긍정적 정서를 강화해 주고 바람직한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 자기 표현적 쓰기의 치료 분야에 대해서는 충분히 연구해 오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어 장벽과 문화적 차이로 인한 스트레스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13개국 출신의 결혼 이주 여성들 70명을 대상으로 10주동안 자신의 삶을 주제로 한 한국어 쓰기 워크숍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를 실제 교수 학습 현장에 적용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은 “삶을 주제로 한 자기 표현적 글쓰기 경험이 이주 여성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인가?”였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안된 한국어 쓰기 워크숍 프로그램은 '도입(warm-up)→이야기하기(small-talk)→미니레슨(mini-lesson)→초고쓰기(drafting)→공유하기(sharing)→마무리(follow-up)'의 절차를 통해 학습자들이 자신의 삶을 주제로 한 자기 표현적 쓰기 경험을 바탕으로 쓰기 기능을 신장시키고 건강한 자아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최우선적인 가치를 두는 것이었다. 본 프로그램을 투입한 결과, 이주 여성들의 한국어 쓰기 능력의 신장은 물론이고 자신의 삶의 이야기 나눔을 통한 소통과 치유, 더 나아가 서로 다른 문화적 차이로 인한 혼란을 극복하고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자기 표현적 글쓰기 경험이 매우 의미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o far, Korea's writing education field has not been fully made research in self- expressive writing therapy for establishing writer's positive emotion and identity. So, this study tried to design the Korean Self-expressive writing workshop Program for the 70 foreign migrant women- suffering from language problem and cultural gap- and verified the educational effect. Research hypothesi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Korean self-expressive writing workshop program will build up foreign migrant women's Korean writing competence. (2) The Korean self-expressive writing workshop program will establish foreign migrant women's positive identity. The Korean self-expressive writing workshop program to verify these hypothesis is composed of procedures such as warm-up, small talk, mini-lesson, drafting, sharing, and follow-up. This program aims at boosting writing competence and establishing foreign migrant women's positive identity. Results from the study showed a positive trend in boosting Korean writing competence and establishing identity of migrant women through communication and healing. These results might be attributed to the writing therapeutic effect of self-expressive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