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관상동맥질환에서 안정시 심박변동 및 최대운동 후 심박수 회복에 대한 베타차단제의 영향

        김철 ( Chul Kim ),방인걸 ( In Keol Bang ),김영주 ( Young Joo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6 체육과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안정시 심박변동 및 최대운동 후 심박수 회복을 통해 베타 차단제가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정상군 16명, 관상동맥질환 환자 중 베타차단제 비투여군 13명, 관상동맥질환 환자 중 베타차단제 투여군 9명의 세군으로 구분하여 안정시 심박변동 및 최대강도의 트레드밀 운동 후 5분간의 심박수 회복을 평가하였다. 심박변동은 시간영역 분석방법을 통한 RR간격의 표준편차(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NN interval; SDNN), RMSSD(the root mean square successive differences)와 주파수영역 분석방법을 통한 저주파영역 전력(low frequency power; LF), 고주파영역 전력(high frequency power; HF), 저주파영역/고주파영역 비(LF/HF ratio)를 구하여 평가하였다. 심박수 회복은 최대심박수와 회복기 심박수의 차이로 최대운동 후 5분 동안 1분 간격으로 심박수를 측정하여 구하였다. 심박수 회복의 평가에서 개개인의 최대심박수 차이에 따른 영향을 극복하기위해 여유심박수 백분율[(회복기 심박수-안정시 심박수)/(측정된 최대심박수-안정시 심박수)×100]을 구하여 이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SDNN과 저주파영역 전력은 관상동맥질환 환자군에서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나 베타 차단제 투여군과 비투여군 사이에는 심박변동의 모든 지표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최대강도운동 후 회복기에 매분마다의 심박수는 베타차단제 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고, 심박수 회복은 정상군이 베타차단제 비투여군과 투여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회복기 여유심박수 백분율은 베타차단제 비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해 최대운동 후 회복기 1분, 2분, 3분대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정상군과 베타차단제 투여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관상동맥질환 환자는 정상인에 비하여 교감신경 활동도는 증가되어 있고, 부교감신경 활동도는 감소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베타 차단제는 자율신경계를 정상화시켜 관상동맥질환 환자의 심박수 회복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beta blocker on autonomic nervous activity with using heart rate recovery(HRR) after maximum exercise and heart rate variability(HRV) at rest for coronary artery disease(CAD) patients. The 38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6 normal subjects. The non beta blocker group consisted of 13 CAD patients who didn`t take beta blocker. The beta blocker group consisted of 9 CAD patients who took beta blocker. Time domain and frequency domain of HRV were measured in three groups at rest. The time domain consisted of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NN interval(SDNN) and the root mean square successive differences(RMSSD). The frequency domain consisted of low frequency power(LF), high frequency power(HF), and LF/HF ratio. Heart rate, HRR(maximum heart rate-heart rate at recovery stage), the percent of heart rate reserve{(heart rate at recovery stage-resting heart rate)/(measured maximum heart rate-resting heart rate)×100} were evaluated during five minutes after maximum exercise. The criteria for maximum exercise were a respiratory exchange ratio of 1.1 or 90% of the age determined maximum heart rate. The SDNN and LF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oth beta and non beta blocker groups than in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ta blocker group and non beta blocker group. Heart rate during five minutes after maximum exercise was significantly lower in beta blocker group than in control. HRR from the maximal heart rate during five minutes after exerci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ntrol group than in beta blocker and non beta blocker groups. The percent of heart rate reserve in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on beta blocker group at 1, 2 and 3 minutes after exerci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ta blocker group and control group for the percent of heart rate reserve. This study demonstrated reduced control of the autonomic nervous activity and delayed heart rate recovery in CAD patients. HRR in CAD patients was normalized by beta blocker. Beta blocker improve balance of autonomic nervous activity in CAD patients.

      • KCI등재

        자세변화와 운동형태에 따른 심박수 변이도와 혈압 비교

        신윤아 ( Y. A. Shin ),김민정 ( M. J. Kim ),안재흥 ( J. H. Ahn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3

        신윤아, 김민정, 안재흥. 자세변화와 운동형태에 따른 심박수 변이도와 혈압 비교. 운동과학, 제20권 제3호. 249-260, 2011.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안정 시 자세변화와 운동 시 운동형태에 따른 심박수 변이도와 혈압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8명의 건강한 남자 대학생들(20.25±0.43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안정 시 누운자세, 앉은 자세, 선 자세에서 심박수 변이도를 10분씩 측정하고 유산소와 저항운동 30분 동안 심박수 변이도를 측정하였다. 안정 시 심박수 변이도는 자세변화에 따라 심박수(p<.001), 이완기혈압(p<.05), mean R-R(p<.01) 및 LF/HF(p<.01)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누운자세에 비하여 앉은 자세와 선 자세에서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p<.01). 유산소운동 시 심박수 변이도는 심박수(p<.001), total power(p<.05), VLFP(p<.01), LFP(p<.05), LF/HF(p<.01)에서 운동시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저항운동 시 심박수 변이도는 심박수(p<.001), total power(p<.01), VLFP(p<.01), HFP(p<.05)에서 운동시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운동형태에 따른 심박수 변이도는 심박수(p<.01), VLFP(p<.05), HFP(p<.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혈압은 수축기 혈압만이 유산소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심박수 변이도는 자세변화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저항운동은 미주신경과 말초교감신경의 활성을 증가시켜 심혈관계 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blood pressure (BP) according to the posture and exercise type. Eight male university students (20.25±0.43 y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HRV was assessed for 10 minutes at rest and 30 minutes during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separatedly. It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rt rate (p<.001), DBP (p<.05), mean R-R (p<.01), and LF/HF (p<.01) according to the difference posture. Heart rate, DBP, mean R-R, and LF/HF were shown higher in sitting and standing posture than supine posture (p<.01). It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rt rate (p<.001), total power (p<.05), VLFP (p<.01), LFP (p<.05), and LF/HF (p<.01) during aerobic exercise and heart rate (p<.001), total power (p<.01), VLFP (p<.01), and HFP (p<.05) during resistance exercise. According to the exercise type, it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rt rate (p<.01), VLFP (p<.05), and HFP (p<.01). SBP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erobic exercise. Therefore, HRV was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posture and exercise type. The cardiovascular response to exercise was controlled through cardiac parasympathetic activity and peripheral sympathetic nerve activity by resistance exercise.

      • KCI등재

        무산소역치 측정을 위한 심박수의 활용에 관한 연구

        김성옥(Seong Ok Kim) 한국무용과학회 2006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무산소역치를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심박수를 이용한 무산소역치 측정 방법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검증을 바탕으로 무용수의 심박수를 이용한 무산소역치를 측정함으로써 무용수의 운동능력을 평가하고 무용 연습 기준의 설정 등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무용교육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피험자는 무용전공 여대생 8명이며, 트레드밀을 이용한 다단계 운동부하 검사 시 심박수, 산소 섭취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환기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심박수 및 환기변인을 통하여 심박수역치와 환기역치를 결정한 후, 두 역치 간에 4가지 측정 변인들이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환기역치 및 심박수역치에서의 심박수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의수준 α=0.05)둘째, 환기역치 및 심박수역치에서의 산소섭취량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의수준 α=0. 05)셋째, 환기역치 및 심박수역치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의수준 α=0.05)넷째, 환기역치 및 심박수역치에서의 환기량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의수준 α=0. 05)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점증적 다단계 운동부하방법을 통하여 결정된 심박수역치는 무산소역치를 추정하는 적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goodness-of-fit of AT measurement with heart rate as a plan to measure AT easily, which has already been used variously, in technical and economical aspects. By measuring anaerobic threshold using dancer's heart rate with these verification, it may supply foundation of more scientific and reasonable dancing education such as estimation dancer's exercise ability and establishment of dancing practice standard. 8 Female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dance were involved in the subject of this study and heart rate, oxygen consumption, carbon dioxide production and ventilation were measured in graded exercise stress test with a treadmill. After determining heart rate threshold and ventilatory threshold on the basis of the measured heart rate and respiratory gas, whether the two thresholds have differences in their four measured factors was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heart rate at the ventilatory threshold and the heart rate at the heart rate threshold. (Significance Level α=0. 05)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oxygen consumption at the ventilatory threshold and the oxygen consumption at the heart rate threshold. (Significance Level α=0. 05)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arbon dioxide production at the ventilatory threshold and the carbon dioxide production at the heart rate threshold. (Significance Level α=0. 05)Final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at the ventilatory threshold and the ventilation at the heart rate threshold. (Significance Level α=0. 05)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to use heart rate threshold determined by graded exercise test is regarded as a proper method to measure the anaerobic threshold.

      • KCI등재

        휠체어 트레드밀 운동 시 심박수를 이용한 에너지 소비량 추정

        소위영 ( Wi Young So ),최승권 ( Seoung Gweon Choi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휠체어 트레드밀 점증부하 운동 시의 심박수를 이용하여 에너지소비량 회귀모형을 도출하여, 휠체어 운동을 실시할 때의 에너지소비량 추정식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휠체어 주행 연습을 주 3회. 회당 30분씩, 4주간 실시한 대학생 남성 36명, 여성 2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휠체어 운동부하검사(평균 12분 51.93초) 동안 컴퓨터를 통하여 매 2∼3초마다 1회의 측정 요소를 기록하여, 각 피험자마다 최소 300회 이상의 심박수와 에너지소비량이 측정되었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총 사례수는 남성 14,641회, 여성 7,985회이었다. 연구결과, 심박수와 에너지소비량과의 상관계수는 남성 r=0.898, 여성 r=0.775로 나타났으며, 연령, 신장, 체중, 심박수를 이용한 회귀식은 남성 에너지소비량(kcal/min)=0.045×연령(years)+0.043×신장(cm)+0.048×체중(kg)+0.111×심박수(beats/min)-18.290(R2=82.7%); 여성 에너지소비량(kcal/min)=-0.209×연령(years)+0.081×신장(cm)+0.050×체중(kg)+0.057×심박수(beats/min)-14.603(R2=70.3%)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박수만을 이용한 회귀식은 남성 에너지소비량(kcal/min)=0.111×심박수(beats/min)-6.565(R2=80.7%); 여성 에너지소비량(kcal/min)=0.057×심박수(beats/min)-2.958(R2=60.1%)로 나타났다. 결과에서 제시한 회귀식들은 결정계수(R2)가 모두 60%이상으로 나타나, 심박수를 이용한 에너지소비량 추정 공식으로서 모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남성의 경우 심박수 한 변인만을 사용하여 에너지소비량을 추정하여도 무방하나, 여성의 경우 보다 정확한 에너지소비량 추정을 위하여 연령, 신장, 체중, 심박수의 모든 변인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energy expenditure based on heart rate during wheelchair treadmill exercise and to provide predictive formula to be used in field, not laboratory. Participants were 36 men and 23 women in college. The heart rate was measured at every 2-3 seconds using computer during wheelchair graded exercise test(average 12min 51.93sec); so, each participant`s heart rate and energy expenditure were measured at least 300times. Total cases used in this study was 14,641 times of male and 7,985 times of female. As a result of this stud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of heart rate and energy expenditure was r=0.898 in male and r=0.775 in female; also, prediction equation using age, height, weight, and heart rate was as following: male energy expenditure(kcal/min)=0.045×age(years)+0.043×height(cm)+0.048×weight(kg)+0.111×heart rate(beats/min)-18.290(R2=82.7%); emale energy expenditure(kcal/min)=-0.209×age(years)+0.081×height(cm)+0.050×weight(kg)+0.057×heart rate(beats/min)-14.603(R2=70.3%). The prediction equation using only heart rate was as following: male energy expenditure(kcal/min)=0.111×heart rate(beats/min)-6.565(R2=80.7%); female energy expenditure(kcal/min)=0.057×heart rate(beats/min)-2.958(R2=60.1%) All R2 of prediction equations suggested in result were over 60% which is thought to be proper to predict energy expenditure using heart rate. It is fine to predict energy expenditure using heart rate only in man, but it is recommended to use all variables(age, height, weight, heart rate) in using for woman.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트레이닝 강도조절 요인으로서 심박수 역치의 타당성과 재현성

        고성식 ( Sung Sik Ko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2 체육과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트레이닝 강도조절 요인으로서 심박수 역치의 타당성과 재현성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Conconi의 수정된 자전거 에르고미터 프로토콜에서 사전검사를 수행하였고, 심박수의 변곡을 보인 남녀 대학생 각각 8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은 본 실험에 참여하여 서로 다른 프로토콜에서 최대점증부하 운동을 실시하였고, 그에 따라 심박수 변곡은 어느 정도 재현되는지, 또 각각의 프로토콜 내에서 산출된 세 역치 시점에서의 변인들은 어느 정도 관련이 있고, 그 수준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박수의 변곡은 성별과 프로토콜에 관계없이 피험자 모두에게서 나타났다. 둘째, 각각의 프로토콜 내에서 산출된 변인들의 수준과 최대치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은 세 역치수준 간에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셋째, 각각의 프로토콜 내에서 산출된 세 역치수준에서의 변인들은 통계적으로 높은 상관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측정조건과 독립적으로 피험자 모두에게 심박수 역치가 재현되었고, 그 수준은 젖산, 환기역치 시점과 높은 관련을 보여 선행연구에서 주장한 심박수 역치의 재현성과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프로토콜에서 반복 측정된 심박수 역치 시점에서의 심박수는 최대심박수의 약 90%로 일관성 있게 나타나 본 연구의 범위 내에서 측정된 심박수 역치는 트레이닝의 강도조절 요인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ied the validity and the reproducibility of the heart rate threshold (HRT) as the factor of the exercise training intensity. Subjects were consisted of the college-aged male(N=8) and female(N=8) sports students. Subjects were performed an incremental exercise test on a bicycle ergometer starting with an initial power output of 40W with intensity increments of 10W/min or 20W/min until the subjects were exhausted, showing a heart rate deflection point. Subjects then in random order performed two cycle ergometer tests(modified Conconi test), respectively. The HRT and LT determination was done by computer aided deflection point regression analysis from dependence of functional measures on power output. The same computer algorithm was used for VT determinatio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ventilation and oxygen uptake.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 First, all subjects demonstrated an heart rate threshold on the test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side test protocols of the HR and VO2 at the HRT. Third,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all measurements made at threshold level in all the thresholds investigated. Fourth, heart rate at HRT was almost constantly in a narrow range around 90% of HRmax. These results suggest that HRT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of determining anaerobic threshold in sports students. Thus, This HRT method may be attractive for the application in training intensity.

      • KCI등재

        골프라운딩의 환경적 요소가 심박수와 에너지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박익열,문병일 한국골프학회 2014 골프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골프라운딩 시 환경적 요인이 심박수와 에너지소비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40대 아마추어 골프 동호인 8명, 핸디캡 10~15, 구력 5~8년으로 각 2회씩, 총 16회의 골프라운딩을 실시하였다. 먼저 골프라운딩 시 외부 환경인 온도, 습도, 총시간, 이동거리 그리고 표고차에 대한 신체적 변인을 규명하기 위해 평균치를 기준으로 저집단과 고집단으로 분류한 후 SPSS Ver. 15.0의 기술 분석과 독립표본 t-검증을 이용한 통계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외부 환경인 온도와 습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고집단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총시간과 이동거리에 있어서는 평균심박수와 최대심박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고집단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에너지소비량은 고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표고차에 따라서는 고집단에서 평균심박수, 최대심박수 및 에너지소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운동으로서의 골프가 건강한 생활을 위한 운동처방의 지침에 근접하는 신체활동량을 보여주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during the round of golf on average heart rate, maximum heart rate and energy expendi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mateur 8 golfers in their forties who have 10 to 15 handicaps, 5 to 8 years of careers and played rounds of golf a total of 16 times. During the tests, temperature, humidity, total time, distance and altitude difference, average heart rate, maximum heart rate and energy expenditur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SPSS Ver 15.0, descriptive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 analysis. A significant level were p<.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ound of golf in th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temperature, humidity) had no effect on average heart rate, maximum heart rate and energy expenditure significantly, but slightly high in high level group. Total time and distance had no effect on average heart rate and maximum heart rate statistically, but slightly high in high level group. They had effect on energy expenditure in the high level groups. Finally, depending on the altitude difference effect on average heart rate, maximum heart rate and energy consumption tha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high level groups. Also the round of golf showed the physical activity amount come close to the guideline of the exercise prescription for the healthy life and the round of golf proved this value.

      • KCI등재

        한국 성인들의 안정 시 심박수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의 관계

        이초애,이정아,전용관 대한비만학회 201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2 No.4

        연구배경: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들을 대상으로 안정 시 심박수와 대사 증후군 위험인자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경기도 소재 M병원 종합 건강진단 센터의 건강검진 대상자 중 18세 이상에서 65세 이하의 성인 남, 녀 856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안정 시 심박수와 신체구성[신장, (body mass index, BMI), 혈압], 대사증후군 위험요인(허리둘레, 혈압,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공복 혈당), HbA1c,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자들의 안정 시 심박수를 삼분위수 기준으로 나누어 대사증후군의 위험 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자는 안정 시 심박수가 제일 낮은 그룹이 그 보다 높은 두 그룹에 비하여 이완기 혈압, 중성지방, 공복 혈당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여자는 안정 시 심박수가 제일 낮은 그룹이 높은 두 그룹에 비하여 이완기 혈압과 공복 혈당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중성지방은 안정 시 심박수가 제일 높은 그룹이 그보다 낮은 두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안정 시 심박수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BMI 23 kg/m2 미만인 그룹에서 안정 시 심박수가 76 beats/min 이상인 사람이 76 beats/min 미만인 사람보다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7.08배 (95% CI 1.60~31.36)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안정 시 심박수가 대사증후군 발병률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높은 안정 시 심박수는 대사증후군의 발병 위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