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유환경요소 분석을 통한 심리적 환경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임종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1

        (연구배경 및 목적) 급속한 경제성장을 통해 도시화,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도시환경에서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의식 수준은 높아지고 있지만, 사회의 급격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사회적 문제와 함께 정신적 스트레스를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해결 방법으로 물질적인 충족감보다는 심리적인 만족감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는 치유환경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존 치유환경 유형에 대한 재분류를 통해 치유환경에서 사용자 중심의 심리적 환경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을 인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치유환경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된 2010년 전후의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으며, 선행연구들의 치유환경 유형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기존의 유형과 요소를 재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심리적 환경에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였다. (결과)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심리적 환경의 요소로 공유 및 적용 가능한 요소를 도출한 결과, 물리적 환경의 구체적인 요소에서는 자연요소, 접근성, 개방감, 조망, 안전성, 소음조절, 색채/재료/질감, 공간감, 길찾기 등이 도출되었다. 이 요소들은 물리적인 환경의 구체적인 요소로 구분되지만, 사용자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며, 치유적인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공간을 인식하고 느낄 수 있는 1차적 요소로서 인지적 측면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심리적인 요소로도 활용 가능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분류할 수 있다. 심리적 환경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요소는 프라이버시이며, 다음으로 쾌적성, 가정적인 환경, 안정감, 친근감, 영역성을 들 수 있다. 이는 공간에서 치유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심리적 환경에서 사용자 중심의 환경조성이 매우 중요함을 의미한다. 사회적 환경의 구체적인 요소에서는 사회교류, 커뮤니케이션, 휴게공간, 활동 및 취미공간, 사회적 접촉을 들 수 있으며, 행태적 환경에서는 사회적 촉진작용, 능동적 활동지원, 상호촉진작용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행동에 있어서 심리적인 측면이 작용함을 의미하며, 사회적 교류 및 구체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고 설명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치유환경 유형과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심리적 환경과 공유 및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은 기존 심리적 환경의 요소들과 함께 사용자들에게 공간을 인지하고, 사회적 관계성을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치유환경에서 심리적 환경이 가지는 중요성을 인식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정서노동유형에 미치는 영향

        신동주,엄소명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types of emotional labor and underst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allow child care teachers to function in the institutions positively. To address the goal,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92 teachers working in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To investigate how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fluence the types of emotional labor,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showed that all sub-factors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were higher than normal. Except autonomy of psychological well-being, all other sub-factors were higher than normal. Also, according to the types of emotional labor, child care teachers conducted more natural acting and deep acting, and less surface acting.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general tendencies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ypes of emotional labor, all the sub-factors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are found to be above the medium level, Regarding psychological well-being, sub-factors excluding autonomy are found to be above the medium level. Also, regarding the types of emotional labor, child care teachers are often involved in natural acting and deep acting, and their surface acting is found to be less than those.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re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ird,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ree types of emotional labor were examined, revealing that, as predictors, social relations, humanity, performance of teacher’s duties, sub-variables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self-acceptance and positive relation, sub-variab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ffect the natural acting. Creative personality and social relations as predictor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urface acting but personal growth and positive relations as predictors had negative impact on surface acting. Also, social relations, creative personality and purpose in life and self-acceptance were found as the predictive variables for affecting deep acting. Autonomy had negative impact on deep act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teacher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hild care teachers’ performance of emotional labor.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정서노동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가 기관에서 긍정적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개인특성들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국․공립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정서노동유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보육교사의 인성,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노동유형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 본 결과 보육교사 인성의 모든 하위요인은 보통 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안녕감은 자율성을 제외한 나머지하위요인 모두 보통 수준 이상이었다. 또한 보육교사는 정서노동유형 중 자연행동과 내면행동을 자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표면행동은 그보다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대부분의 하위요인은 정서노동 유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보육교사의 인성 중사회관계, 인간애, 직무수행태도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중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가 정서노동 유형 중 자연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창의․인성, 사회관계는 정서노동 유형 중 표면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 안녕감 중 개인적 성장과 긍정적 대인관계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인성 중 사회관계, 창의․인성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중 삶의 목적, 긍정적 자아개념은 내면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 안녕감 중 자율성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 수행에 있어서 교사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중요성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 원장과 팀티칭을 경험한 보육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원장의 의사소통 유형이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지혜(Ji-Hye Jung)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4 사회심리발달연구 Vol.5 No.1

        목적 본 연구는 원장과 팀티칭을 경험한 보육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원장의 의사소통 유형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소재하는 원장과 팀티칭을 경험한 보육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스트레스, 원장의 의사소통 유형 그리고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장의 의사소통 유형 중 독단형과 무지형이 보육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심리적 소진과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반면 원장의 의사소통 유형 중 과묵형과 개방형은 심리적 소진과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팀티칭을 경험한 보육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원장의 의사소통 유형이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요인 중에서 동료와의 관계와 학부모와의 관계 관련 스트레스 요인이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원장의 의사소통 유형 중에서는 독단형이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보육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원장이 의사소통 유형이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원장과 팀티칭을 하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의 경감을 위해 어린이집 내의 민주적인 분위기 형성과 개방형 의사소통 유형이 필요하며, 어린이집 내의 민주적 분위기 형성과 개방적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제도와 정책을 마련하여 시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stress and communication styles of directors and team-teaching experienced childcare teachers on teachers' psychological exhaus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49 directors and team-teaching experienced childcare teacher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measuring interpersonal stress, communication styles of director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rectors' authoritative and ignorant communication styles significantly influenced interpersonal stres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Conversely, the reticent and open communication styles negatively influenced psychological exhaustion. Additionally, interpersonal stress from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parent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psychological exhaustion, with the authoritative communication style being a major contributor.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s that interpersonal stress and communication styles are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psychological exhaustion.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democratic environments and open communication styles in childcare centers to reduce psychological exhaustion.

      •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조절효과

        송새인 서울평생교육연합 2021 한국미래교육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performanc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boss's communication type in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performance? <Research Question 2> Does the boss's communication type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To this end, this study composed a questionnaire by selecting and modifying a measurement tool suitable for this study after analyzing and researching it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sychological capital, job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types of superio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self-filling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office workers at large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300 or more full-time worker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 total of 305 valid samples were obtained and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ur sub-factors of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hope, resilience, and optimism, were all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performance.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boss's communication ty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was confirmed in some sub-elements. When the level of hope, which is a sub-element of psychological capital, is high, job performance increases, and when the level of controlled communication is high, their positive (+) relationship is strong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job performance, cooperative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levels showed a moder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optimism on job performance could be less strong in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optimism on job performance was stronger when the level of professional communication was hig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statistical significance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boss's communication ty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and practically analyzing that some sub-elements had a moderating effect. It will be possible to le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lated research. 본 연구는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심리적 자본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심리적 자본, 직무성과,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 및 조사 후, 본 연구에 적합한 측정도구를 선정 및 수정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의 대기업 및 중견기업에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305부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심리적 자본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자본의 네 가지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 희망, 회복력, 낙관주의 모두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자본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조절효과를 확인해본 결과 일부 하위요인들에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으며, 일부의 심리적 자본 하위요인들은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조절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 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에 따른 상사의 적절한 리더십 발휘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동아리 참여 유형에 따른 여가정체성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김미혜,김지혜,원형중 여가문화학회 2014 여가학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동아리 참여 유형에 따른 여가정체성과 심리적 웰빙의 차이를 파악하고, 각기 다른 수준의 여가정체성이 심리적 웰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서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남녀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부적합한 데이터를 제외한 최종 444부(남 214, 여 230)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동아리 참여 유형에 따른 여가정체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건강스포츠와 종교 동아리 참여자들이 학술교육 동아리 참여자들에 비해 여가정체성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아리 참여 유형에 따른 심리적 웰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건강스포츠, 종교 및 봉사 동아리 참여자들이 학술교육 및 문화예술 동아리 참여자들에 비해 심리적 웰빙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정체성은 심리적 웰빙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여가정체성이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동아리 참여 유형에 따라 여가정체성은 차이가 있으며, 동아리 참여 유형에 따른 여가정체성의 차이에 대한 순위는 심리적 웰빙의 순위와 거의 일치하고 있어 여가정체성이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동아리 활동 참여를 통해 형성된 여가정체성이 대학생들의 심리적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ype of the leisure club involvement on the perceiving leisure identity and different leisure identit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s perceived by collegiat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0 male and female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four-year-course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total 444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actual analyses. A SPSS WIN 17.0 program was utilized to look for any possible intergroup gap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each type's influence on leisure identity, the members of health/sport clubs and religious clubs had the best leisure identity, followed by service clubs and academic/education clubs. And the intergroup ga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with regard to psychological wellbeing,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as well. The members of health/sport, religious and service clubs appeared to have higher criteria than those of academic/education and cultural/art club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intergroup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leisure ident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leisure identity variable made an 8.5% prediction (R2=.085)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above-mentioned findings made it clear that leisure identity affected by the type of the club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and that there was progress in psychological wellbeing when leisure identity improved by engaging in club activities.

      • KCI등재

        스토킹 범죄자의 왜곡된 인식에 따른 심리적 유형분류 및 성격특성의 이해: 성차별의식과 MMPI-2를 중심으로

        이혜지(Hye Ji Lee),이수정(Soo Jung Lee)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23 형사정책연구 Vol.134 No.-

        본 연구는 다양한 행동양상으로 나타나는 스토킹 범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스토킹 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심리학적 이론과 왜곡된 인식을 바탕으로 스토킹 행위에 대한 가해자의 심리상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외에서 연구된 스토킹 범죄자의 유형분류를 확인하고 심리적 특성에 따라 국내 스토킹 범죄자의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심리적 유형에 따른 성격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MMPI-2 검사결과를 분석하였다. 국내 스토킹 범죄자 79명을 대상으로 군집분석과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차별(통념), 반사회성(충동성), 조종(경계성)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심리적 유형에 따른 MMPI-2 결과를 분석하여 성차별(통념) 유형에서는 여성에 대한 편향된 시각이 관찰되었으며, 반사회성(충동성) 유형에서는 행동통제력이 낮고 반사회적 행동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종(경계성) 유형에서는 낮은 자존감과 집착적 사고, 그리고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토킹의 다양한 범죄양상이 어떠한 심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는지 이해하고, 각 유형에 따라 재범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confirm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alking offenders in more detail to understand stalking crimes that appear in various behavior patterns. First, based on psychological theory and distorted perception, we tried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perpetrator. Next, the types of stalking offenders studied in Korea and abroad were identified, and the types of stalking offenders in Korea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MMPI-2 were analyzed to confirm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ype.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and discrimination analysis on 79 domestic stalking offenders, they were divided into types of gender discrimination(misconception), antisocial(impulsivity), and manipulation(borderline). A biased view of women was observed in the type of gender discrimination (misconception), and antisocial(impulsivity) type was found to have antisocial behavior and lacked behavioral control. The manipulation(borderline) type was found to have low self-esteem and high anxiety. Based on these results, we tried to propose ways to reduce the risk of recidivism according to each type.

      • KCI등재

        상담자의 성인애착유형과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박현주,김봉환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dult attachment styles and self-resilience on burnout of counselors. For the study, 101 counselor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were recruited and answered scales including ECR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CPI (California Personality Inventory) and MBI (Maslach Burnout Inventory). SPSS 12.0 was used for implementing 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ttachment anxiety dimension of the adult attachment styles was negatively related with self-resilience.; Second, the attachment anxiety dimension of the adult attachment styl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unselor's burnout.; Thir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resilient and burnout was found.; Fourth, the attachment anxiety dimens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self-resilience and burnout.; Fifth, the self-resilienc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burnout. I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상담자의 성인애착유형과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소진의 관계를 통해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들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서 주 8시간 이상 근무하고 있는 상담자 101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검사, 자아탄력성 검사, 심리적 소진 검사를 실시하고, SPSS 12.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유형을 편상관 분석한 결과 상담자의 성인애착유형과 자아탄력성과의 상관관계는 애착불안차원만 자아탄력성과 유의미한 부적상관(p<.001)을 나타내었다. 둘째, 상담자의 성인애착유형과 심리적 소진과의 상관관계는 성인애착유형을 편상관 분석한 결과 애착불안차원(p<.001)만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상담자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소진과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부적상관(P<.001)을 나타내었다. 넷째, 상담자의 성인애착유형 중 애착불안차원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상담자의 자아탄력성은 심리적 소진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들의 함의와 연구의 한계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안 등에 대해 논의 하였다.

      • KCI등재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 사례분석 연구

        서혜린,윤천성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 Case Study on the Psychological Types of Korean AyurvedaHeylyn Seo & Chunsung Youn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key characteristics of each psychological type as classified in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ical Type (KAPTI) by using a case study. The case study was undertaken for a sample of 12 participants living in Seoul, Korea. KAPTI test was conducted over the period from January to March 2022 for the participants which consist of 4 Bata, 4 Pita, and 4 Kappa type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ata type participants had a common preference for working freely. Second, Pita type participants showed a commonality of expressing dynamic energy. Third, Kappa type participants were relaxed, and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situation. Finally, all participants were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ir type and characteristics following the psychological type tes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ase study conducted could be useful in supporting that understanding one's own psychological type and characteristics could help recognize oneself under stress. Key Words: Korean-style Ayurveda Psychological Type (KAPTI), Psychological Type, Case Analysi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tress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 사례분석 연구서 혜 린*ㆍ윤 천 성** 연구 목적: 이 연구는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검사(KAPTI) 사례분석을 통해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서울 거주 12명을 대상으로 사례분석 하였다. 2022년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간 유형별로 바타형 4명, 피타형 4명, 카파형 4명, 총 12명에게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검사 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타형 4명의 분석 결과, 자신이 자유롭게 일하기를 선호하는 공통점이 있었다. 둘째, 피타형 4명의 분석 결과, 역동적 에너지를 표출하는 공통점이 있었다. 셋째, 카파형 4명의 분석 결과, 느긋하고 여유가 있으며 대체로 자신들의 현 상황에 만족하는 공통점이 있었다. 12명의 연구대상자는 심리유형검사를 통해 자신의 유형과 특성을 이해하게 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및 제언: 이와 같은 결론의 도출로 유형별 자신의 심리적 특성, 본성을 이해함으로써 외부에서 받는 스트레스로부터 자신을 자각하고 인식하는 사례분석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핵심어: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검사(KAPTI), 심리유형, 사례분석, 심리적특성, 스트레스 □ 접수일: 2022년 7월 5일, 수정일: 2022년 7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주저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Seoul Venture Univ., Email: tomboy7272@naver.com)** 교신저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eoul Venture Univ., Email: staryoun@hanmail.net)

      • KCI등재

        중국과 한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관계 비교 연구

        강만철,장연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5 복지상담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재한 중국유학생 및 재중 한국유학생들을 위한 정신건강 서비스의 효과적인 제공하기 위해 양국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재한 중 국유학생 365명, 재중 한국유학생 3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 화적응 유형 및 심리적 안녕감에 중국유학생과 한국유학생 집단이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문 화적응 유형 하위요인 중 동화에서 중국유학생이 한국유학생보다 낮고, 분리, 주변화 유형에서 중국 유학생이 한국유학생보다 높았다.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 적에서 중국유학생이 한국유학생보다 낮게 나타났다. 중국유학생과 한국유학생 집단이 문화적응 유 형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는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다. 중국유학생 및 한국유학생 집단이 모두 동화와 분리의 문화적응 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 거의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주 변화 문화적응 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상당한 수준의 역상관이 나타났는데 한국유학생이 중국 유학생보다 높은 역상관을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ty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explore whether differences exist in acculturation ty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Korean students studying in China,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 total of 688 samples from 365 Chinese students and 323 Korean students were collected. The difference in acculturation ty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Chinese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is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level of assimilation for Chinese students is lower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and the level of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for Chinese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There are similarities in the correlation between acculturation ty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Chinese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However,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assimilation, separ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Chinese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group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rginaliz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s significant and this negative correlation is slightly higher for Korean students.

      • KCI등재

        기혼남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심리적 독립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경주(Jung Kyung ju),정미경(Jung Mi kyung) 한국노년교육학회 2016 노년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결혼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모와의 심리적 독립과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결혼만족도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94명의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부모와의 심리적 독립, 성역할 정체감, 결혼만족도를 측정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에 따른 심리적 독립수준, 성역할 정체감유형, 결혼만족도는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심리적 독립 중 정서적 독립과 태도적 독립이 남성에 비해 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성역할 정체감 유형은 남녀 모두 양성성 유형이, 결혼만족도에서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독립, 성역할 정체감 유형, 결혼만족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심리적 독립 및 성역할 정체감 유형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혼남녀의 결혼만족에는 부모와의 심리적 독립과 성역할 정체감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인임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장년기 부부교육과 부모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identity of gender roles. The subjects were 194 married men and women. The subjects completed socio-demographic factors questionnaire,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identity of gender roles scale. Data analysis results in three major findings. First, according to gender,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identity of gender roles was different. Second, marit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identity of gender roles are correlated to each other. Third,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psychological gender role identity types was found to affect the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