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리적 내재론과 미적 지각

        신현주(Shin, Hyun Joo)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2 No.-

        내재론자들은 종종 심리적 내재론을 옹호하기 위해 그것의 직관적 자연스러움을 언급한다. 특히 내재론적 지각 이론은 가장 선철학적이라고 평가받는 ‘지각 관련 직관’에 바탕을 둔 것으로 간주되곤 하는데, 이를 들어서 내재론자들은 심적 상태의 유형 중 일부는 외재론에 부합할 수 있을지 모르나, 지각과 관련해서는 내재론이 직관에 의해 지지된다고 주장하는 노선을 펼치기도 한다. 그러나 버지는 내재론적 지각 이론이 전제하고 있는 직관은 외재론적 지각 이론과도 얼마든지 양립가능함을 지적하면서, 문제의 직관 그 자체가 내재론을 지지하는 힘이 있는 것이 아님을 보인다. 그렇다면 버지의 주장대로 내재론적 지각 이론이 자랑하던 직관적 호소력이 근거 없는 것이라면, 이제 우리는 지각을 더 잘 설명하는 이론이 외재론이라고 결론 내려야 하는가? 필자는 이 문제에 답하기 위해 지금까지 내재론 대 외재론 논쟁에서 간과되어온 ‘미적 지각’이라는 유형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첫째, 미적 지각이라는 유형은 지금까지 외재론 대 내재론 논쟁에서 배제되어 왔는데, 우리가 일상적으로 빈번히 미적 지각을 가진다는 사실을 생각한다면 이 유형에 대한 논의는 지각에 대한 논쟁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미적 지각은 지각에 대한 외 재론 대 내재론 논쟁을 보다 복합적으로 만드는 중요한 유형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외재론의 주장을 받아들여, 지각 관련 직관은 ‘지각 일반’의 문제에 있어서 외재론과도 양립가능하다는 점을 인정하여도, ‘미적 지각’의 문제에 있어 그 직관은 오직 내재론에 호의적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미적 지각은 내재론이 자랑하던 직관적 호소력은 근거가 없다는 버지의 논증을 약화시키는 중요한 반례가 될 수 있다. Individualists often point to the ‘intuitive power’ of psychological individualism. Particularly, the individualistic theory of perception is seen as based on the most pre-philosophical intuition, and this leads some individualists to argue that it is the individualistic picture of perception that provides the best account of perception, while admitting that the externalist picture may explain the other types of mental states. However, Burge points out that the intuition in question is also compatible with the externalist theory, and that the seeming intuitive power of the individualistic theory has no ground. Given this, should we conclude that individualism is inadequate in explaining perception?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so-called ‘aesthetic perception’, which has been neglected in the debate between externalists and individualists concerning percep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irst of all, given that we experience aesthetic perception quite ordinarily and frequently, continuing the debate without discussing it does not make sense. Secondly, our examination on the nature of aesthetic perception can be crucial to the fate of the debate. It seems that our intuition about the nature of perception is compatible with externalism when it comes to the matter of ‘perception in general’. However, concerning the matteof ‘aesthetic perception’, the intuition gives its support only to individualism. In other words, aesthetic perception can be a crucial counter-example to Burge’s claim that the seeming intuitive power of individualism has no ground.

      • KCI등재

        미적 형식주의와 심리적 내재론

        신현주 ( Hyun Joo Shin ) 한국미학회 2013 美學 Vol.75 No.-

        심리철학에서 섬리적 내재론은 한 심적 상태의 내용이 전직으로 그 심적 상태의 소유자가 지닌 본래적 속성이나 그의 내부에서 발생한 사건 및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심리적 내재론의 등장과 함께 그것이 데카르트 이후의 지식, 언어, 심성에 관한 주요 이론들을 어떻게 지지해 왔으며 또 심리적 내재론에 바탕을 둔 이론들이 어떤 특징 및 장단점을 지니는가를 고찰하는 비판적 재구성 작업이 전개되었는데, 필자는 그러한 작업이 미학 분야에서도 의미 있는 결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필자는 미학 이론들 중 미적 형식주의에 초점을 맞추어, 미적 형식주의는 ‘이차적 미적 지각(판단)’과 ‘일차적 미적 지각’이라는 두 종류의 심적 상태들 사이의 의존 관계에 대해 심리적 내재론의 전제를 가정하고 있음을 보이고, 더 나아가 형식주의의 규범적 주장은 문제 의 심리적 내재론걱 전제에 의해 잘 설명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형식주의가 미적 지각(판단)에 대한 내재론적 견해라면 그에 대비되는 외재론적 견해가 있을 것이다. 이에 필자는 그 견해의 모습을 간략히 설명한 후 미적 지각(판단)을 더 잘 설명하는 이론이 내재론인가 외재론인가에 대한 연구는 심리철학에서 활발히 진행 중인 심리적 외재론의 적용 범위에 대한 논쟁에 중용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one of the assumptions crucially operative ill aesthetic formalism is psychologically internalistic in character. Psychological internalism views that the content of an individual``s mental state is determined entirely by the intrinsic or internal properties of the individual. The debate between psychological internalism and externalism since the 1970s helps many philosophers realize that psychological intemalism is the basis of major theories of knowledge, language, and mind etc., and also that it shapes their characrensrics, merits and demerits. 1 believe that this project of ``critical reconsrtuction`` of past theories can be productively pursued in aesthetics as well, and rhus focus on aesthetic formalism with the intention of showing rhar it is based on psychological inrernalisrn. Aesthetic formalism argue.<; that what are aesthetically relevant in judging a work of an aesthetically are formal qualities of the work, and the assumption 1 find in the rheory holds that an individual``s ``aesthetic judgmem`` is the kind of judgement which is entirely dependent upon the phenomenal properties of the individual``s perceptual experience of formal qualities. 1 argue that this is an assump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sorts of mental states, and since it claims that the content of an aesthetic judgment is entirely determined by the inrrinsic property of rhe individual. to be precise, the so-called qualia of the individual`s perceptual experience of formal qualities, it is committed to psychological internalism.

      • KCI등재

        미적 속성 실재론 대 반실재론 논쟁과 심리적 내재론

        신현주 ( Hyun Joo Shin ) 한국미학회 2016 美學 Vol.82 No.1

        영미 분석미학에서 20세기를 거쳐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논쟁 중 하나는 미적 속성 실재론 대 반실재론의 논쟁이다. 실재론은 대상의 미적 속성에 대한 지각들 중 진실한 지각과 환영적인 지각이 구분될 수 있고, 전자 내에서 지각된 미적 속성은 대상의 실제 속성이라고 본다. 반면 반실재론은 대상의 미적 속성에 대한 지각들 중 진실한 것과 환영적인 것은 구분될 수 없으며, 그러므로 우리는 대상이 어떠한 미적속성을 실제로 가진다는 이야기를 할 수 없다고 본다. 이 두 진영에 대해 본고는 첫째, 그 둘을 지각적 민감성에 관한 대립적인 입장으로 재구성한 후, 둘째, 이들이 대립적임에도 불구하고 모두 심리적 내재론에 기반하고 있음을 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이들이 모두 내재론에 기반을 둔다는 사실, 즉 외재론을 배제한다는 사실의 철학적 의의에 대해 논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미적 속성의 지각에 관한 우리의 직관적 견해가 외재론과 상당한 충돌을 일으키며, 더 나아가 그러한 충돌을 상쇄할만한 이론적 장점이 아직 외재론에서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미적 속성 실재론과 반실재론이 모두 외재론을 배제해왔음을 주장할 것이다. One of the heated debates in analytic aesthetics since the 20th century occurs between realism and anti-realism concerning aesthetic properties. Regarding the case in which agreement in aesthetic judgment is achieved, the aesthetic property realist says that the agreement is due to our success in perceiving one of the real aesthetic properties of the object. On the other hand, the anti-realist says that agreement in aesthetic judgmen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perceivers have been under similar aesthetic conditioning and thus respond to the object in similar ways. In this paper I will firstly reformulate the debate in question as centered on the issue of qualia sensitivity. After this, I will show that both realists and anti-realists are committed to the individualistic picture of mental states, namely, psychological individualism, and thus in conflict with psychological externalism. Finally, I will discuss philosophical significances of the fact that both realists and anti-realists are committed to psychological individu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