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생활체육참여 노인의 심리적자본이 생활만족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미경(RyuMi-kyung),이기표(LeeKi-pyo)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참여 노인의 심리적자본이 생활만족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현재 생활체육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을 사용하였고 총 287부의 설문지가 본 연구에 실질적으로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이후 최종적으로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과 bootstrapping 방법을 활용하여 수립된 가설의 채택과 기각 여부를 판단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절차를 거쳐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희망, 탄력성이 생활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희망과 탄력성이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만족이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만족은 심리적자본과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들의 심리적자본이 건강하게 생활체육을 즐길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하며, 심리적자본이 강한 노인일수록 적극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함으로써 생활만족이 높아지게 되고 이는 궁극적으로 심리적 행복감도 향상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sychological capital,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the elderly. This paper chose the elderly as population of this study who take part in sport for all using convenience sampling. 287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inal valid sample and then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nfidence, hope and resilience in psychological capital variabl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Second, hope and resilience in psychological capital variabl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happiness. Third, lif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Forth, life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ical happi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psychological capital of the elderly could act as a driving force for enjoying sports,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older people with strong psychological capital could be improved by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ely.

      • KCI등재

        호텔 종사원의 심리적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하용규(Yong-Kyu Ha),강상묵(Sang-Muk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특등급 호텔기업 종사원의 심리적자본이 심리적주인의식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심리적주인의식이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심리적자본이 심리적주인의식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주인의식이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열한 경쟁환경 하에 경쟁우위를 위해서 호텔산업의 조직관리 측면에 심리적자본의 중요성, 심리적주인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관리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acts of psychological capitals on the psychological ownership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s by employees in deluxe hotel located in Seoul. And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ownerships by employe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s in hotel fi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sychological capitals direct impacts on psychological ownership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s. And psychological ownerships influence mediating effect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s.<b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o build organizational behaviors management systems on emphasizing of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capitals and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ownerships by employees on intense competing environments in hotel industry for competitive advantages.

      • KCI등재

        개업공인중개사의 심리적 자본, 심리적 안녕감,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적관계에 관한 연구

        인성호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9

        본 연구는 개업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심리적자본의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설명하였고, 심리적자본과 심리적안녕감 및 조직시민행동의 변수에 대한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검증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로 부산, 울산, 경남지역에서 부동산중개사무소를 개업활동 중인 개업공인중개사 202명으로부터 응답받은 설문지로 개업공인중개사의 심리적 자본과 심리적안녕감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개업공인중개사의 심리적자본, 심리적안녕감, 조직시민행동 등이 공인중개사의 유효성과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변수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되었다. 또한 본 연구결과로 심리적자본과 심리적 안녕감이 강한 개업공인중개사는 자신을 자주 탐색하며, 타인과 의미 있는 대인관계를 유지하고, 자신행동을 독립적으로 통제할 수 할 수 있고, 문제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능동적으로 이를 해결하여, 갈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조직시민행동의 증가로 이어져, 심리적자본과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의 변수는 개업공인중개사의 인적자원관리 방안으로 활용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는 중요 변수임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d explain the components of psychological capital for licensed real estate agents, and to verify a hypothetical model that explain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of psychological capit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202 licensed real estate brokers who were active in opening real estate brokerage offices in the Busan, Ulsan, and Gyeongnam region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recognized that the psychological capit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licensed real estate agents are important variables in predicting the effectiveness of licensed real estate age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licensed real estate agents with strong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requently explore themselves, maintain meaningfu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others, can independently control their own behavior, and even when problems arise, Actively solving this problem leads to an increase i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at can minimize conflicts. This proves that the variables of psychological capit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can contribute to using them as major human resource management measures for licensed real estate agents.

      • KCI등재

        해양경찰공무원의 심리적 자본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재두 한국공안행정학회 2021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0 No.4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emphasized as the most important management in organizations, and various changes in society require new human resource management. Members' passion and cooperation in their work can have very positive results not only for individual members but also for the organization. Therefore, finding potential elements of members is a very important factor. Recently,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ve been suggested as key words emphasized by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sychological capital refers to the confidence of job performance as a positive psychological state of members of an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s an individual's behavior unrelated to compensation, but eventually a variable that affects the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maritime police officials for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the maritime police organization. To proceed with the study, 165 maritime police officials were survey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on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it consisted of self-efficacy, optimism, and resilience among the sub-variables of psychological capital. Th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sisted of polite behavior, civic consciousness, and conscientious behavior and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a sub-variable of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olite behavior and civic consciousness. In addition, optimism, a sub-variable of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lite behavior, civic consciousness, and conscientious behavior, which ar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Resilience, a sub-variable of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lite behavior and civic awareness, which ar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uch as self-efficacy variabl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capital of maritime police officials for the development of maritime police organizations. 조직에서 인적자원관리가 가장 중요한 관리로 강조되면서 새로운 인적자원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구성원의 업무에 대한 열정과 협력은 구성원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에도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있기에 구성원의 잠재적인 요소를 찾는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런 관점에서 최근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으로 강조되는 핵심어로 심리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이 제시되고 있다. 심리적 자본은 조직구성원의 긍정적인 심리 상태로서 직무수행의 자신감 등을 의미하며, 조직시민행동은 보상과는 무관한 개인의 행동이지만 결국 조직에 유효성을 미치는 변수를 의미한다. 이 연구는 해양경찰조직의 유효한 성과를 위해 해양경찰공무원의 심리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을 위해 해양경찰공무원 165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심리적 자본의 하위변인 중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회복탄력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직시민행동의 하위변인은 예의 바른 행동, 시민의식, 양심적 행동으로 구성되어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심리적 자본의 하위변인인 자기효능감은 예의바른 행동과 시민의식에는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자본의 하위변인인 낙관주의는 조직시민행동의 하위변인인 예의 바른 행동, 시민의식, 양심적 행동에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자본의 하위변인인 회복탄력성은 자기효능감 변인과 같이 조직시민행동의 하위변인인 예의 바른 행동, 시민의식에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조직에서 인적자원관리가 가장 중요한 관리로 강조되면서 새로운 인적자원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구성원의 업무에 대한 열정과 협력은 구성원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에도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있기에 구성원의 잠재적인 요소를 찾는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런 관점에서 최근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으로 강조되는 핵심어로 심리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이 제시되고 있다. 심리적 자본은 조직구성원의 긍정적인 심리 상태로서 직무수행의 자신감 등을 의미하며, 조직시민행동은 보상과는 무관한 개인의 행동이지만 결국 조직에 유효성을 미치는 변수를 의미한다. 이 연구는 해양경찰조직의 유효한 성과를 위해 해양경찰공무원의 심리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을 위해 해양경찰공무원 165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심리적 자본의 하위변인 중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회복탄력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직시민행동의 하위변인은 예의 바른 행동, 시민의식, 양심적 행동으로 구성되어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심리적 자본의 하위변인인 자기효능감은 예의바른 행동과 시민의식에는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자본의 하위변인인 낙관주의는 조직시민행동의 하위변인인 예의 바른 행동, 시민의식, 양심적 행동에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자본의 하위변인인 회복탄력성은 자기효능감 변인과 같이 조직시민행동의 하위변인인 예의 바른 행동, 시민의식에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

      • KCI등재

        심리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건설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이수진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건설업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 그리고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며 이직의도를 낮추거나 완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어진 환경에서 조직 구성원들의태도나 행동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심리적 자본을 희망, 복원력(탄력성), 자기효능감, 낙관성의 4개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건설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31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심리적자본이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조직몰입이 심리적자본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심리적자본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희망과자기효능감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복원력과 낙관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희망, 복원력, 낙관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심리적 자본의 하위요인 중 희망과의 관계에서 이직의도에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선행연구들은 건설업 종사자들의 이직의도에 대한 외부적인 측면을 주로 고려하였다면, 연구를 통해 심리적인 측면에 접근하여 조직몰입을 더 높이고, 이직의도를 완화시키고자 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건설업 종사자들의 심리적 요인중 자기효능감과 조직에서의 직무에 대한 희망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정 속에서 직무를 이행하기 때문에 이직의도가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자기효능감과 희망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직무 자율성 부여, 유연한 근무 등과같은 다양한 제도 정비가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global economic growth rate has been slowed due to changes in the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 related to the recent trends in the construction market and construction industry, prolonged inflation, intense tensions among countries, and increased interest rates. Since the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due to the nature of the industry, move to another site after the completion of an awarded project rather than staying for a long time while performing work at one workplace, various issues are brought out such as poor working environment resulting from unfairness in construction contracts, aging of workers, their anxiety, and job instability. The previous studie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mainly dealt with external aspects such as leadership, job embeddednes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ile the psychological impact was overlook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asure to reduce or alleviate turnover inten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by verifying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them. For the purpose, whether psychological capital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and whet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310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ope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hile resilience and optimism from psychological capita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Second, hope, resilience, and optimism from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self-efficacy from psychological capital had no significant effect. Thir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from psychological capital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psychological capital affects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previous studies mainly considered external influence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this study has academic implications in that it sought to strength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lleviate turnover intention by approaching psychological aspects. As a practical implication, it was found that higher self-efficacy and hope for work in the organization, from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were found to lower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performance in a psychologically stable state. It is considered, therefore, that various systems, including job autonomy and flexible work,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self-efficacy and hope.

      • KCI등재후보

        심리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건설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이수진 ( Lee Su-jin )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건설업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 그리고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며 이직의도를 낮추거나 완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어진 환경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태도나 행동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심리적 자본을 희망, 복원력(탄력성), 자기효능감, 낙관성의 4개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건설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31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심리적자본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조직몰입이 심리적자본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심리적자본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희망과 자기효능감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복원력과 낙관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희망, 복원력, 낙관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심리적 자본의 하위요인 중 희망과의 관계에서 이직의도에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선행연구들은 건설업 종사자들의 이직의도에 대한 외부적인 측면을 주로 고려하였다면, 연구를 통해 심리적인 측면에 접근하여 조직몰입을 더 높이고, 이직의도를 완화시키고자 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건설업 종사자들의 심리적 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조직에서의 직무에 대한 희망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정 속에서 직무를 이행하기 때문에 이직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자기효능감과 희망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직무 자율성 부여, 유연한 근무 등과 같은 다양한 제도 정비가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global economic growth rate has been slowed due to changes in the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 related to the recent trends in the construction market and construction industry, prolonged inflation, intense tensions among countries, and increased interest rates. Since the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due to the nature of the industry, move to another site after the completion of an awarded project rather than staying for a long time while performing work at one workplace, various issues are brought out such as poor working environment resulting from unfairness in construction contracts, aging of workers, their anxiety, and job instability. The previous studie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mainly dealt with external aspects such as leadership, job embeddednes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ile the psychological impact was overlook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asure to reduce or alleviate turnover inten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by verifying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them. For the purpose, whether psychological capital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and whet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310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ope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hile resilience and optimism from psychological capita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Second, hope, resilience, and optimism from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self-efficacy from psychological capital had no significant effect. Thir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from psychological capital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psychological capital affects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previous studies mainly considered external influence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this study has academic implications in that it sought to strength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lleviate turnover intention by approaching psychological aspects. As a practical implication, it was found that higher self-efficacy and hope for work in the organization, from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were found to lower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performance in a psychologically stable state. It is considered, therefore, that various systems, including job autonomy and flexible work,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self-efficacy and hope.

      • KCI등재후보

        심리적 자본의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

        권용만,오윤진 한국코칭학회 2017 코칭연구 Vol.10 No.4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수행과 관련한 심리적 자본은 직무상황과 관련한 인지와 개인적 특성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심리적 자본은 직무불안과 관련한 평가는 매우 주관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는 인지적 평가이론에 기초한다.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각하는 심리적 자본에 대한 중요성과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심리적 자본의 조직성과, 즉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심리적 자본과 이들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조직구성원의 개인특성 요인으로서 심리적 주인의식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본 연구의 표본이 되는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기업체의 근로자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을 구성하고 있는 자아존중감과 낙천성이 조직성과로서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의 구성요인으로서 자아존중감, 낙천성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의 현실적 상황에 기초하여 심리적 자본의 조직구성원들의 직무태도, 조직행동 및 직무역할 이외의 자발적 행동에 대한 영향력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들 영향력을 개인특성에 따라 구체화함으로서 조직구성원들의 심리적 자본과 관련된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유용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sychological capital associated with the task performance varies depending on the cognitiv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task situation. Thus, psychological capital is based on cognitive evaluation theories that evaluations of occupational instability represent very subjective features.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influencing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ir duties, and to analyse the impact of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sational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members, and to analyse the impa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the survey, and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egarded as employees of businesses that are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and decisiveness of the organization's members constituted a high degree of responsibility fo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it was identifie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ownership in relation to self esteem, decisivenes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a compon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 psychological capital.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a suggestion to the functional attitude of the organisational members of psychological capital, organisational behaviour and functional behavior, based on the latest realistic circumstances. It is also expected to be used as a useful basis for establishing and operating policies and strategies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the organization by formulating these forces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한식조리사의 심리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정상열,김옥선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한식조리사의 심리적 자본이 심리적 주인의식과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심리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파악하여 한식당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적자본(자신감, 희망, 낙관주의, 복원력)은 심리적 주인의식과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자본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변수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심리적 자본에 대한 이론을 보완하고 확장하였으며, 동시에 조직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무적으로, 기업은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을 제고하기 위해 개인의 심리적 자본을 개발하고 관리하며 심리적 주인의식을 증가시켜야 함을 시사하였다. 특히, 한식당의 운영자는 한식조리사의 심리적자본을 높이기 위해서 의사결정시 구성원의 의견을 청취하여 신뢰감을 심어주어야 하며, 모범적 행동을 해야 함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psychological own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e results showed that psychological capital has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Respectively. This study complements and extends the theory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at the same time, presents a new model for enhanc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Also, in practice, it suggests that corporations should develop and manage psychological capital of individuals to increas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crease psychological ownership. Especi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Korean cooks, it is necessary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the members during decision making to instill confidence, and the Korean chef should take good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진성리더십이 공기업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윤희(Jin, YunHe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진성리더십이 심리적자본을 매개로 하여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 간의 복잡한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도구로는 AMOS 21.0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진성리더십이 심리적자본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며, 심리적자본에서 혁신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 또한 유의함을 보였으나 진성리더십에서 혁신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진성리더십에서 심리적자본을 거쳐 혁신행동으로 가는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심리적 자본은 진성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사이에서 완전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자본에서 혁신행동으로 가는 총효과(직접효과+간접효과)는 유의함을 보였다. 이는 심리적자본이 혁신행동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실증적 연구임을 정책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In this study, the authentic leadership is used as medium of psychological capital to examine the impact on innovation behavior.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with the tool AMOS 21.0 to analyze the complex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t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and parameters. With this analysis, authentic leadership directly effects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ical capital also effects innovation behavior directly but authenic leadership could not be directly heed toward innovative behavior. This result shows that authentic leadership can effect the innovative behavior through psychological capital as a medium parameter and its role lead to total effects including direct and indirect. This policy has been suggested through the empirical research and determined that psychological capital is a primary factor of causing the innovative behavior.

      •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조절효과

        송새인 서울평생교육연합 2021 한국미래교육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performanc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boss's communication type in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performance? <Research Question 2> Does the boss's communication type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To this end, this study composed a questionnaire by selecting and modifying a measurement tool suitable for this study after analyzing and researching it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sychological capital, job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types of superio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self-filling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office workers at large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300 or more full-time worker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 total of 305 valid samples were obtained and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ur sub-factors of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hope, resilience, and optimism, were all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performance.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boss's communication ty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was confirmed in some sub-elements. When the level of hope, which is a sub-element of psychological capital, is high, job performance increases, and when the level of controlled communication is high, their positive (+) relationship is strong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job performance, cooperative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levels showed a moder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optimism on job performance could be less strong in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optimism on job performance was stronger when the level of professional communication was hig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statistical significance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boss's communication ty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and practically analyzing that some sub-elements had a moderating effect. It will be possible to le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lated research. 본 연구는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심리적 자본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심리적 자본, 직무성과,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 및 조사 후, 본 연구에 적합한 측정도구를 선정 및 수정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의 대기업 및 중견기업에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305부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심리적 자본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자본의 네 가지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 희망, 회복력, 낙관주의 모두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자본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조절효과를 확인해본 결과 일부 하위요인들에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으며, 일부의 심리적 자본 하위요인들은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조절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 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에 따른 상사의 적절한 리더십 발휘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