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삼단논법은 숙고인가?

        박정은(Park, Jeong-Eun) 한국서양고전학회 2017 西洋古典學硏究 Vol.56 No.2

        자발적 행위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삼단논법은 오늘날 윤리학은 물론 행위철학에도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그러한 영감들 중 하나로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를 형식화하려는 전통 속에, 실천적 삼단논법을 숙고로 보려는 관점이 있다. 이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몇 가지 언급들에 기반을 두어 실천적 삼단논법을 숙고와 동일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본 논문은 그들이 내세우는 주요 문헌적 근거들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그것들이 그들의 주장만큼 충분한 근거가 되지 못한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먼저 숙고와 비교대상이 되는 실천적 삼단논법이 어떤 것을 가리키는지에 대해 분명히 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3장에서 실천적 삼단논법을 숙고로 보는 연구자들이 제시하는 문헌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자세하게 논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숙고는 실천적 삼단논법의 소전제인 개별적 전제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그렇기 때문에 실천적 삼단논법 자체를 숙고와 동일시 할 수는 없고 오직 부분으로만 숙고가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이 드러날 것이다. 4장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 실천적 삼단논법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보다 분명히 하고자 한다. 실천적 삼단논법은 동물과 인간을 아우르는 자발적 행위를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자발적 행위는 욕망능력과 인지능력이 함께 적절히 발휘되어야만 발생하는 것이다. 반면에 실천적 삼단논법을 숙고로 보려는 관점은 자발적 행위가 갖는 의미를 충분히 드러내지 못한다. 그렇지만 본 논문을 통해 주장하고 싶은 바는 최소한의 것으로서, 실천적인 것들에 대한 삼단논법적 이해나 실천적 삼단논법을 숙고에 활용하려는 가능성을 완전히 부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만 아리스토텔레스가 실천적 삼단논법을 통해 보여주는 자발적 행위와 그 원리들을 조금이나마 분명히 함으로써 그러한 가능성들에 대한 밑바탕을 제공하고 싶은 바이다. Aristotle presents the ‘practical syllogism’ in order to explain voluntary actions, and it has inspired various issues in ethics and theory of action. One of these inspirations is the view that the practical syllogism is the deliberation, which is advocated by those who want to formalize Aristotle’s phronēsis and deliberation. They base their claim largely on two references, and I will examine them closely and show that these are not sufficient for their claim. For this purpose, in chapter 2, I’ll clarify what we refer to as the practical syllogism. In chapter 3, I will examine two texts about practical syllogism, which seem to describe deliberations. Through this examination, it will be revealed that deliberation does not apply to the particular premise of practical syllogism. Thus, we should not identify the practical syllogism with the deliberation. For the next chapter, I will give a clear view about the practical syllogism; It explains voluntary actions through two premises, which represent respectively the desiderative faculty and the cognitive faculty. The view that the practical syllogism is the deliberation cannot capture the whole implication of voluntary action. Nevertheless, I don’t utterly deny the possibilities of understanding practical matters syllogistically or applying the syllogism to the deliberation. I only want to give a ground for these possibilities by clarifying the practical syllogism’s role and meaning.

      • 칼빈의 선택에 대한 교회론적 이해와 실천적 삼단논법

        김지훈(Si Hun Kim)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2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3

        칼빈과 칼빈주의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문제는 아직 논쟁 중인 주제이다. 17세기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실천적 삼단논법(Syllogismus practicus)' 역시 이 주제와 관련되어 있다. 즉 초기 개혁자들, 특별히 칼빈에게 실천적 삼단논법에 대한 이해가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 논쟁은 찬반으로 갈려서 아직 진행 중이다. 여기서 칼빈에게 실천적 삼단논법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찾는 것과 함께 그의 선택론이 가지는 방향성을 고려할 때, 칼빈의 실천적 삼단논법의 여부와 의미가 분명해진다. 칼빈은 기독교 강요 초판에서부터 꾸준하게 선택에 대한 교회론적인 이해를 놓지 않는다. 이 선택에 대한 교회론적인 이해는 기독교 강요 최종판에까지 변하지 않는다. 칼빈이 선택의 확증으로서 그리스도를 강조하는 것은 이러한 교회론적이고, 실천적인 의미가 있다. 이 교회론적인 이해 위에서 칼빈에게서 실천적 삼단논법으로 이해되는 표현의 의미를 더 정확히 알 수 있다. 칼빈이 전개한 하나님의 선택의 교회론적인 이해는 지금의 한국 교회에게도 성도가 함께 누려야 할 참된 위로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Calvinism are still the issue under debate. This Topic is closely related to the 'practical syllogism' brought by refomed Orthodox in 17th century. The Question ist, whether early reformers, especially Calvin, had a true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syllogism. When we consider the direct references from Calvin and his opinion the doctrine of election, we can clarify the meaning of the assurance of election. From the first edition of Institutio, Calvin is keeping the eccles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election, which does not change until the final edition of Institutio. By Calvin's explaination of the assurance of election, his emphasis on Christ as speculum electionis must be understood in both ecclesiological und practical background. From this explanation, churches in Korea can clearly understand Calvin's ecclesiological assurance of 'election in Christ' and truly comfort each other within this understanding.

      • KCI등재

        츠빙글리와 칼빈의 실천적 삼단논법 연구 -칼빈의 실천적 삼단논법에 대한 영향사적 고찰

        조용석 한국교회사학회 2011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0 No.-

        Der Syllogismus practicus, der die oft für charakteristisch für den Calvinismus gehalten wird, die Ansicht, dass die Erwählung an Wohlergehen und Wohlstand des Mensch abgelesen werden könne, bildete sich im 17. Jahrhundert heraus. Der Syllogismus practicus kommt nun ins Spiel, die Lehre nämlich, dass man aus den guten Werken, die man vollbringt, auf den eigenen Gnadenstand zurückschliessen kann. Denn diese Lehre stellt, so Weber, das entscheidende Bindeglied zwischen dem calvinistischen Berufsverständnis und der innerweltlichen Askese auf der einen und dem Kapitalismus dar. Aber diese Studie will aufzeigen, dass Calvin nirgendwo behauptet hat, dass er wirtschaftlichen Erfolg als Maßtab dafür angesehen häte, ob ein Mensch von Gott erwät ist. Die sich anschließenden Überlegungen sollen dann detailliert die eigentliche Form von Syllogismus practicus Calvins erbringen, dass Glaube und gute Werke Zeichen der Berufung Gottes sind, die Zeichen der Erwählung Gottes ist. Calvin nun hat sich streng an die Texte Luthers und Zwinglis angeschlossen, sowohl in der Terminologie als auch in den inhaltlichen Zusammenhängen. 1) Nach Luther sind die guten Werke Zeichen sind für den eigenen Glauben an Christus. Sie machen dem Gläubigen seine Erwählung gewiss. 2) Nach Zwingli führt Gottes Vorsehung zur Erwählung, die Erwählung zum Glauben und der Glaube zu guten Werken. Oder in umgekehrter Reihenfolge: Die guten Werke sind das Zeichen des Glaubens, der Glaube ist das Zeichen der Erwählung und die Erwählung Zeichen der Vorsehung. Von hier aus lässt sich begründen, dass Zwinglis Syllogismus practicus auf der Ebene der Vorsehung die Praxis des Gesetzes in gesellschaftlicher Dimension begründet.

      • KCI등재

        프란시스 튜레틴의 예정론 연구

        이은선 ( Eun Seon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5 한국개혁신학 Vol.46 No.-

        튜레틴은 제네바 아카데미의 교수로 가르치면서 저술한 『논박신학 강요』에서 예정론을 다루면서 도르트 종교회의 이후 17세기의 시대적인 상황을 반영하여 타락후 선택설을 주장하였다. 그는 예정론을 변증할 때 가장 중요한 논쟁의 대상은 소시니안주의자들과 알미니안주의자들이었다. 이들과 논쟁하면서 그는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신학방법론을 사용했지만 그가 확립 하려고 노력했던 신학 내용은 종교개혁의 이신칭의와 ``오직 은혜``, ``오직 성경``과 구원의 확신 교리였다. 소시니안주의자들과 알미니안주의자들은 작정에 대하여 우연성, 잠정성, 조건성 등의 여러 가지 반론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반론에 대하여 튜레틴은 하나님의 속성에 근거하여 작정의 하나님의 내재적인 행위, 영원성, 무조건성, 필연성 등을 주장하였다. 그는 이러한 논증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성경에 토대를 두면서 그러한 주장들의 논리적인 불합리성을 지적하였고, 필요한 경우에 아퀴나스를 비롯한 중세 신학자들의 논리도 이용하였다. 그는 예정론의 원인과 대상과 관련하여 예정이 하나님의 기쁘신 뜻에 근거를 두고 그리스도 안에서 택자들을 선택한다고 주장한다. ``그리스도 안에서의 선택``에서 튜레틴은 그리스도가 예정의 수단이자 구원의 근거와 토대로 선택된 것이라고 해석한다. 따라서 그리스도와 그의 공적 그리고 예지된 믿음이 선택의 근거라는 알미니안주의자들의 견해를 비 성경적이라고 비판한다. 그리스도는 로고스로서는 우리의 선택의 주체이지만 중보자로서는 우리의 선택의 원인이 아니라 우리의 구원의 원인이자 근거이다. 그리고 믿음은 선택의 선물이자 열매이므로 구원의 수단이고 선택의 근거가 될 수 없다. 이러한 튜레틴의 주장은 예정이 하나님의 기쁘신 뜻에 근거한 하나님의 은혜임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우리의 구원도 하나님의 선물인 믿음을 수단으로 이루어진다는 오직 은혜의 교리를 확립하려는 것이다. 그와 함께 예정의 시행인 언약의 교리에서 그는 하나님과 그의 백성 사이의 언약 뿐만 아니라 하나님과 아들 사이의 구속언약에 대한 논의까지 전개하여 우리의 구속의 확실성을 담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튜레틴은 우리가 구원의 확신을 가지는 것이 실천적 삼단논법에 근거한 것이라는 것을 밝힌다. 그리스도의 영원한 예정의 약속에 근거하고, 우리가 믿고 회개하여 거룩한 생활을 추구해가면, 우리는 양심에 근거하여 후험적으로 구원의 확신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이 우리의 부르심과 택하심을 굳게 하라는 말씀의 의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원의 확신은 예정에 토대를 둔 오직 은혜의 교리의 실천적인 결과이다. 따라서 그는 예정론의 교육과 설교를 강조하였는데, 그 근거는 예정론이 성경에 명백하게 계시 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경이 계시한 범위 내에서 올바르고 신중하게 교육될 때 예정론은 구원의 확신과 성화의 열매를 거두게 된다. 예정론의 교육과 설교는 ``오직 성경``의 원리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튜레틴의 예정론은 다양한 사람들과의 논쟁 과정 속에서 대단히 분석적이고 논리적으로 전개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목적은 종교개혁의 이신칭의와 ``오직 성경``과 ``오직 은혜``의 원리를 확립하려는 것이었다. Francis Turretin covered predestination in the article 4 of Institutio Theologiae Elencticae . He argued postlapsarianism in the period after Synod of Dort in the 17th century for predestination. His argument was mainly against of Socinianists and Arminians. They set forth various counterarguments with contingency, temporality, conditions, etc. against Decree. Turretin asserted God``s immanent actions, eternity, unconditionality, necessity, etc. based on God``s Attributes. He demonstrated their illogicality of arguments based on the Bible, and sometimes used reasonings of Mid-age theologists like Thomas Aquinas. He argues that predestination means chosen people are selected in Christ based on the eudokia of God. Turretin interprets “selection in Christ” as that Christ is a means to predestination and foundation of the selection. Hence, he criticizes Arminians who opines that the selection is caused by Christ, his works, and foreseen faith. Christ as Logos is the author of our choice, but as an intercessor, He is not the cause of our choice but the cause and basis of our salvation. And faith is a gift and a fruit from choice, and hence, cannot become a cause of salvation or reason for choice. Turretin``s assertion not only reveals that predestination is the fruit of God``s grace based on His eudokia but also establishes doctrine of sola gratia which means our salvation can be only given through the faith which is God``s gift. Furthermore, regarding the enforcement of predestination, Turretin tried to guarantee the certainty of our redemption by developing the discussion regarding the covenant of grace between God and His people with the covenant of redemption between God and His son. And he determines that our conviction on salvation is based on “syllogismus practicus.” If we believe, repent, and pursue holy lives based on the Christ``s promise of eternal predestination, we can be assured of salvation based on our conscience in a posteriori approach. That is the meaning of the words which is to secures our thought of being called and chosen. Hence, such assurance of salvation is a practical result of the doctrine of grace based on predestination. Although Turretin``s predestination has been developed through harsh and severe disputes and arguments, the purpose of his argument was to firmly establish the justification by faith in Protestant reformation and the biblical principle of sola gratia and sola scriptura . Therefore he emphasized education and sermon of predestination based on the argument that predestination is clearly revealed in the Bible. Predestination can reap fruits of conviction of salvation and sanctification if it is educated within the scope of the Bible in correct and prudent ways. Accordingly, education and sermon of predestination only follows a principle of sola Scriptura.

      • KCI등재

        프란시스 튜레틴(Francis Turretin)의 예정론 연구

        이은선 한국개혁신학회 2015 한국개혁신학 Vol.46 No.-

        튜레틴은 제네바 아카데미의 교수로 가르치면서 저술한 변증신학강요에서 예정론을 다루면서 도르트 종교회의 이후 17세기의 시대적인 상황을 반영하여 타락후 선택설을 주장하였다. 그는 예정론을 변증할 때 가장 중요한 논쟁의 대상은 소시니안주의자들과 알미니안주의자들이었다. 이들과 논쟁하면서 그는 논쟁적이고 사변적인 신학방법론을 사용했지만 그가 확립하려고 노력했던 신학 내용을 종교개혁의 이신칭의와 오직 은혜, 오직 성경과 구원의 확신 교리였다. 소시니안주의자들과 알미니안주의자들은 작정에 대하여 우연성, 잠정성, 조건성 등의 여러 가지 반론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반론에 대하여 튜레틴은 하나님의 속성에 근거하여 작정의 하나님의 내재적인 행위, 영원성, 무조건성, 필연성 등을 주장하였다. 그는 이러한 논증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성경에 토대를 두면서 그러한 주장들의 논리적인 불합리성을 지적하였고, 필요한 경우에 아퀴나스를 비롯한 중세 신학자들의 논리도 이용하였다. 그는 예정론의 교육과 설교를 강조하였는데, 그 근거는 예정론에 성경에 명백하게 계시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경이 계시한 범위 내에서 올바르게 신중하게 교육될 때 예정론은 구원의 확신과 성화의 열매를 거두게 된다. 그러므로 예정론의 교육과 설교는 오직 성경의 원리에 따른 것이다. 그는 예정론의 원인과 대상과 관련하여 예정이 하나님의 기쁘신 뜻에 근거를 두고 그리스도 안에서 택자들을 선택한다고 주장한다. 그리스도 안에서의 선택에서 튜레틴은 그리스도가 예정의 수단이자 구원의 근거와 토대로 선택된 것이라고 해석한다. 따라서 그리스도와 그의 공적 그리고 예지된 믿음이 선택의 근거라는 알미니안주의자들의 견해를 비성경적이라고 비판한다. 그리스도는 로고스로서는 우리의 선택의 주체이지만 중보자로서는 우리의 선택의 원인이 아니라 우리의 구원의 원인이자 근거이다. 그리고 믿음은 선택의 선물이자 열매이므로 구원의 수단이고 선택의 근거가 될 수 없다. 이러한 튜레틴의 주장은 예정이 하나님의 기쁘신 뜻에 근거한 하나님의 은혜의 산물이라는 것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우리의 구원도 하나님의 선물인 믿음을 수단으로 이루어진다는 오직 은혜의 교리를 확립하려는 것이다. 그와 함께 예정의 시행인 언약의 교리에서 그는 하나님과 그의 백성 사이의 언약뿐만 아니라 하나님과 아들 사이의 구속언약에 대한 논의까지 전개하여 우리의 구속의 확실성을 담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는 우리가 구원의 확신을 가지는 것이 실천적 삼단논법에 근거한 것이라는 것을 밝힌다. 그리스도의 영원한 예정의 약속에 근거하고, 우리가 믿고 회개하여 거룩한 생활을 추구해가면, 우리는 양심에 근거하여 후험적으로 구원의 확신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이 우리의 부르심과 택하심을 굳게 하려는 말씀의 의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원의 확신은 예정에 토대를 둔 오직 은혜의 교리의 실천적인 결과이다. 따라서 튜레틴의 예정론은 다양한 사람들과의 논쟁 과정 속에서 대단히 논쟁적이고 논리적으로 전개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목적은 종교개혁의 오직 성경과 이신칭의와 오직 은혜의 원리를 확립하려는 것이었다. Francis Turretin covered predestination in the article 4 of Institutio Theologiae Elencticae. He argued postlapsarianism in the period after Synod of Dort in the 17th century for predestination. His argument was mainly against of Socinianists and Arminians. They set forth various counterarguments with contingency, temporality, conditions, etc. against Decree. Turretin asserted God's immanent actions, eternity, unconditionality, necessity, etc. based on God's Attributes. He demonstrated their illogicality of arguments based on the Bible, and sometimes used reasonings of Mid-age theologists like Thomas Aquinas. He emphasized education and sermon of predestination based on the argument that predestination is clearly revealed in the Bible. Predestination can reap fruits of conviction of salvation and sanctification if it is educated within the scope of the Bible in correct and prudent ways. Accordingly, education and sermon of predestination only follows a principle of sola Scriptura. He argues that predestination means chosen people are selected in Christ based on the eudokia of God. Turretin interprets "selection in Christ" as that Christ is a means to predestination and foundation of the selection. Hence, he criticizes Arminians who opines that the selection is caused by Christ, his works, and foreseen faith. Christ as Logos is the author of our choice, but as an intercessor, He is not the cause of our choice but the cause and basis of our salvation. And faith is a gift and a fruit from choice, and hence, cannot become a cause of salvation or reason for choice. Turretin's assertion not only reveals that predestination is the fruit of God's grace based on His eudokia but also establishes doctrine of sola gratia which means our salvation can be only given through the faith which is God's gift. Furthermore, regarding the enforcement of predestination, Turretin tried to guarantee the certainty of our redemption by developing the discussion regarding the covenant of grace between God and His people with the covenant of redemption between God and His son. And he determines that our conviction on salvation is based on "syllogismus practicus." If we believe, repent, and pursue holy lives based on the Christ's promise of eternal predestination, we can be assured of salvation based on our conscience in a posteriori approach. That is the meaning of the words which is to secures our thought of being called and chosen. Hence, such assurance of salvation is a practical result of the doctrine of grace based on predestination. Although Turretin's predestination has been developed through harsh and severe disputes and arguments, the purpose of his argument was to firmly establish the justification by faith in Protestant reformation and the biblical principle of sola gratia and sola scriptura.

      • KCI등재

        자연법과 생명윤리: 토마스주의 자연법윤리의 체계와 원리를 중심으로

        이진남 범한철학회 2010 汎韓哲學 Vol.57 No.2

        In this essay, I show that catholic has a long life-respecting tradition and I argue that Thomistic natural law ethics should be based on Thomistic philosophy instead of other sources such as Kantian ethics. I criticize Kang’s principles of natural law bioethics and the principles of Grisez-Finnis’ new natural law ethics and of reductionist natural law ethics. The basic elements in Thomistic natural law ethics are primary precept and secondary precepts of natural law which are derived from Thomas's metaphysical and theological scheme. I hold that the foundation of Thomistic natural law be the concept of Creation and teleological concept of nature. Nature, reason and will correspond to the three steps of practical syllogism in Thomas's natural law ethics. God, Creation, justice and life are basic elements of natural law ethics, and they are intertwined with one another. 토마스주의 자연법이론은 아퀴나스의 철학의 기본 정신 위에 있어야 하고 따라서 신의 창조와 목적론적 본성 개념에 근거해야 한다. 그런데 신자연법주의와 환원주의 자연법주의와 같이 최근 주목받고 있는 토마스주의 자연법윤리는 각각 본성과 신을 부인하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토마스주의 자연법이라고 불릴 수 없다. 자연(본성), 이성, 의지라는 아퀴나스 자연법이론의 3대축은 각각 도덕적 추론을 하는 실천적 삼단논법의 대전제, 소전제, 결론과 대응된다. 또한 선은 추구해야 하고 악은 피해야 한다는 자연법의 제 1계명과 생명보존, 생식과 양육, 신에 대한 지식과 사회적 삶이라는 제 2계명도 아퀴나스 자연법이론의 근간이 된다. 이러한 토마스주의 자연법이론의 틀과 원리는 신, 창조, 정의, 생명이라는 개념들이 그 안에서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이렇게 생명은 토마스 윤리에 있어 중심적인 개념 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자연법이론을 현대의 응용윤리 중의 하나인 생명윤리의 분야에 적용시키는 과정에서 자칫 토마스주의 윤리의 근본정신을 망각하게 하는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게 된다. 토마스 철학에 있어서 자연법과 생명은 각각 이론과 적용분야의 관계가 아니라 원리와 원리의 관계라고 보아야 한다. 이점에서 현대 생명윤리 분야에서 자연법이론가들이 제시하고 있는 “자연법이론의 원리들”은 근본적으로 토마스주의적이라고 보기 힘들 것이다. 이 글에서 논자는 그리스도교가 어떻게 생명존중의 전통을 가지고 있는지 보이고 그 자연법 생명윤리의 원리가 잘못 주어진 예를 보이며 토마스주의 자연법이론은 진정한 토마스 철학의 기반 위에 서야 함을 보인다.

      • KCI등재

        The Ecclesial Comfort of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김지훈 ( Si Hu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4 한국개혁신학 Vol.44 No.-

        개신교 500년의 역사에서 예정론은 크게 두 가지 방향성으로 나타난다. 하나는 대표적으로 Theodore Beza에게서 강조된 것으로서, 예정론을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구원의 경험적-주관적인 확신 위에서 전개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훨씬 후대의 스위스 신학자 Karl Barth에게서 나타나는 것으로 기독론적-보편 구원론의 이해이다. 한국 개신 교회는 이 두 가지 방향성 중에서 베자의 개인주의적 이해에 입각한 예정론적인 이해를 따르고 있다. 이러한 입장은 충분히 성경적이며 개혁주의적임에도 불구하고 예정론의 실천적인 면에서 아쉬움이 따른다. 종교 개혁 당시에 누구보다도 예정론을 잘 설명한 칼빈은 개인주의적인 예정론 뿐만 아니라, 교회론적인 선택론을 가르쳤다. 칼빈은 기독교 강요 초판에서 예정론을 교회론 안에서 다루었다. 그에게 있어 그리스도적 선택론은 그리스도 안에서의 교회의 연합이라는 결과를 가지고 온다. 이 교회와의 연합은 성도가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되었다는 증명이다. 이런 면에서 성도에게 선택의 확신은 내적인 Syllogismus practicus 뿐만 아니라, 외적인 성도와의 교제로서도 확인된다. 이러한 공동체적인 예정론의 이해는 기독교 강요 최종판에서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칼빈은 electio in Christo를 통하여 성도가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의 확신을 얻게 한다. 이러한 electio in Christo는 강요 초판과 동일하게 교회의 연합과 연결된다. 성도가 얻는 선택의 확신은 가시적 교회와의 연합으로 얻는다. 이러한 예정론의 교회론적인 위로는 그가 작성한 제네바 신조(1545)와 그의 성경 주석에서도 나타난다. 성도의 선택의 확신은 주관적인 면에 머무르지 않는다. 하나님께서 성도를 선택하시기 위해서 작정하신 그리스도와 이 땅에서 이루어지는 교회와의 연합이 성도에게 확신을 주는 또 하나의 성경적인 증거이다.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has had two main understandings in the Protestant history of five hundred years. First understanding was emphasized by Theodore Beza. He developed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on the understanding of God``s absolute sovereignty and Personal soteriology. The other one appeared in Karl Barth. His understanding was the Christological and the universalistic.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ve followed Beza``s understanding which based on personal soteriology. It is fully Biblical and Reformed theological but many Christians feel the lack of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s practical part. At the time of the Reformation, John Calvin, who explained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better than anyone else, taught both of the personal predestination and the Ecclesiological predestination. Calvin took on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in the Ecclesiology in his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1536)``. His predestination``s understanding of the centered Christ brings a result of Churches`` unity in Christ. The unity of churches is a proof of that God elected the children of Him in Christ. In this aspect, Christian``s certainty of election is verified not only internal Syllogismus practicus but also extrinsic relationship with congregation. The ecclesiological predestination``s understanding doesn``t much contradict Calvin``s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1559)``. Calvin said that ``Christian gets the certainty of election in Christ through electio in Christo.`` The electio in Christo connects to the unity of Church in the same with Inst(1536). The Christian gets the certainty of election through unifying with the visible church. This doctrine of predestination``s the ecclesiological comfort appeared in his ``The Catechism of Geneva(1545)`` and his commentary. The Christian``s certainty of election is not stay on the subjective aspect. Christ as God``s decree for choosing His people and Church``s unity on the earth give the certainty of election to Christians. It is another Biblical proof.

      • KCI등재

        조나단 에드워즈의 구원 확신론: 칼빈의 신학으로부터 멀어졌는가?

        전희준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2 ACTS 신학저널 Vol.54 No.-

        Compared to the study of Jonathan Edwards’ theology on Justification, the study of the assurance of salvation is not enough. This paper studies Edwards’ theology of assurance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Calvin and Edwards, examining Dan Saunders’ criticism of Edwards’ doctrine on assurance.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role of practice in the theology of assurance. Saunders argues that if a practice is accepted as evidence of assurance, like Edwards, it will break away from the principle of the Reformation, which is salvation only by faith, and embrace synergistic justification. Saunders argues that Edwards’ theology of assurance, unlike the Reformers, is not centered on Trinity or Christ. However, this study proves that Edwards’ theology of assurance also affirms Trinity and Christ. It also reveals that Calvin also recognizes practice as meaningful evidence for assurance. Both Calvin and Edwards agree that practice serves as evidence as a fruit, not a basis for assurance, and that fruit plays a role in strengthening and encouraging faith. Next, this paper examines Saunders’ argument that using practice as evidence of assurance in Edwards’ theology promotes uncertainty. However, Calvin and Edwards both admit that it is impossible to have unwavering convictions of salvation. Nevertheless, both argue that assurance of salvation is possible even in doubt. In addition, when people question their assurance of salvation, both theologians commonly advise them to focus on God and not on themselves. !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Edwards and Calvin’s theology of assurance is not inherently different. 조나단 에드워즈의 칭의 교리에 대한 연구에 비해 구원의 확신 교리에대한 연구는 빈약하다. 본 논문은 에드워즈의 확신 교리를 비판한 댄 손더스(Dan Saunders)의 주장을 점검하면서 칼빈과 에드워즈의 비교를 통해에드워즈의 확신 교리를 연구한다. 본 논문은 먼저 구원의 확신 교리에 있어 실천의 역할을 점검한다. 손더스는 에드워즈처럼 실천을 구원 확신의 증거로 채택할 경우, 오직 믿음에 의한 구원이라는 종교개혁의 원리에서 벗어나 신인협력을 인정하게된다고 주장한다. 손더스는 에드워즈의 확신 교리는 개혁자들과 달리 삼위일체나 그리스도 중심적이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본 논문은 에드워즈의확신 교리도 삼위일체와 그리스도를 중요하게 여긴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또한 칼빈도 실천을 구원의 확신을 위한 유의미한 증표로 인정한다는사실을 밝힌다. 칼빈과 에드워즈 모두 행위가 확신의 기초가 아니라 열매로서 증거 역할을 하며, 열매가 믿음을 강건케 하고 격려해 주는 역할을한다는 사실에 동의한다. 다음으로 본 논문은 실천을 구원 확신의 증거로 삼으면 불확실성을 조장하게 된다는 손더스의 주장을 점검한다. 칼빈은 확신을 강조했지만, 그것이 의심과 불안이 전혀 없는 상태는 아니었다. 실천을 확신의 근거로강조하든지, 믿음 자체를 확신의 근거로 강조하든지, 흔들림없는 구원의확신이라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빈과 에드워즈는 모두 의심과 흔들림 속에서도 구원의 확신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구원의 확신이 의심될 때 두 신학자 모두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지 말고 하나님께 집중하라고 공통적으로 조언한다. 이러한 견해들을 검토해 볼 때에드워즈의 확신 교리는 칼빈의 교리와 강조점의 차이는 있지만 본질적으로 다른 것은 아니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KCI등재

        중등학교 인성교육 지도방안

        최문기(Choi Moon Ki),정철영(Jeong Chul Young),김강후(Kim Kang Hoo)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5 교육발전 Vol.35 No.1

        인성교육의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영역의 특성을 살펴보고, 각 영역별 지도방안을 탐색하였다. 인지적 영역의 이론적 배경은 ‘공리주의’, ‘칸트주의’, ‘정의론’, ‘덕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인성교육 지도방안으로는 ‘도덕적 사유 및 추론’의 형식과 절차의 명료화와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정의적 영역에서는 나딩스(N. Noddings)의 배려적 관점에서 ‘관계’와 ‘상황’ 개념을 중심으로, ‘배려발달의 3수준 2과도기 모형’을 통해 배려능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행동적 영역은 로젠버그(Marshall B. Rosenburg)의 ‘비폭력 대화 형식’ 즉, 관심-느낌-욕구-부탁의 이론을 중심으로 비폭력대화 의사소통능력을 습관화하여, 언어구사 능력을 기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Guidance of Character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The elements of character are consist of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 The theoretical bases of cognitive aspect are utilitarianism, Kantianism, justice theory, and virtue theory. We emphasize the clarification and activation of moral thinking and moral reasoning as the guidance of cognitive realm in character education. In affective area, we present the strengthening of caring upon Nodding s ‘3 levels and 2 transitional period model’. And we show non-violence communication skills based on Rosenburg s theory (attention-feeling- desire-solicitation) in connected with behavioral area.

      • KCI등재

        생명윤리에서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판단력

        최경석 한국법철학회 2008 법철학연구 Vol.11 No.1

        Wide reflective equilibrium (WRE) was first presented by John Rawls and developed by Norman Daniels. It was thought of primarily as a method for evaluating theories of justice (Rawls) or ethical theories (Daniels). Tom L. Beauchamp and James F. Childress then considered WRE as an explicit methodology for biomedical ethics, that is, moral reasoning for the justification of moral judgments. Thus, I characterize the method of WRE as practical moral reasoning. The process of reaching a conclusion using the methods of WRE is characterized as a back-and-forth process of revision aimed at coherent comprehensive personal or group belief systems without incorrect beliefs. The question arises, however, as to whether the methods of WRE can give us determinate answers about what to do. But there must be different ways of revising beliefs depending on the exercise of judgment as a faculty of thinking. There is no algorithmic decision procedure. Some may expect a mechanical decision procedure by which to reach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but this is misconceived. Our decision in unprecedented or unpredictable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cannot help calling for judgment. Judgment is not unique to the methods of WRE. Other methods, such as principlism and casuistry, also rely on judgment. When principlists attempt to apply moral principles to a particular case, they must decide which of their moral principles covers the case, just as a judge would have to decide which law or regulation is relevant to a given case. Because principles are abstract and general, they must be interpreted in the light of the details of the particular case. Thus, we arrive at conclusion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universal knowledge(major premise) and particular knowledge(minor premise) in a practical syllogism. Casuists also call for the use of judgment. They usually suggest the use of analogical thinking employing paradigm cases. Similarities must be sought between a given case and paradigm cases. However, the recognition of similarity is not a mechanical procedure it requires judgment to determine which features of two cases being compared are relevant. The need for judgment implies that there are no determinate answers for resolving a conflict between two arguers following same method of reasoning. But the exercise of judgment is not a matter of mere taste or arbitrary preference. It requires its justification. There may be some principles and values to guide and regulate the exercise of judgment required in the methods of WRE. First, coherence, comprehensiveness, and the number of incorrect beliefs are not only criteria for comparing competing belief systems, but will also be values for a revision process. Second, we will pursue the maximization of coherence and comprehensiveness while minimizing revision, by revising peripheral beliefs rather than core beliefs in our belief system. Third, the efficiency of a revision process may be one of the important considerations tied to the choice of provisionally fixed beliefs. Wide reflective equilibrium (WRE) was first presented by John Rawls and developed by Norman Daniels. It was thought of primarily as a method for evaluating theories of justice (Rawls) or ethical theories (Daniels). Tom L. Beauchamp and James F. Childress then considered WRE as an explicit methodology for biomedical ethics, that is, moral reasoning for the justification of moral judgments. Thus, I characterize the method of WRE as practical moral reasoning. The process of reaching a conclusion using the methods of WRE is characterized as a back-and-forth process of revision aimed at coherent comprehensive personal or group belief systems without incorrect beliefs. The question arises, however, as to whether the methods of WRE can give us determinate answers about what to do. But there must be different ways of revising beliefs depending on the exercise of judgment as a faculty of thinking. There is no algorithmic decision procedure. Some may expect a mechanical decision procedure by which to reach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but this is misconceived. Our decision in unprecedented or unpredictable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cannot help calling for judgment. Judgment is not unique to the methods of WRE. Other methods, such as principlism and casuistry, also rely on judgment. When principlists attempt to apply moral principles to a particular case, they must decide which of their moral principles covers the case, just as a judge would have to decide which law or regulation is relevant to a given case. Because principles are abstract and general, they must be interpreted in the light of the details of the particular case. Thus, we arrive at conclusion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universal knowledge(major premise) and particular knowledge(minor premise) in a practical syllogism. Casuists also call for the use of judgment. They usually suggest the use of analogical thinking employing paradigm cases. Similarities must be sought between a given case and paradigm cases. However, the recognition of similarity is not a mechanical procedure it requires judgment to determine which features of two cases being compared are relevant. The need for judgment implies that there are no determinate answers for resolving a conflict between two arguers following same method of reasoning. But the exercise of judgment is not a matter of mere taste or arbitrary preference. It requires its justification. There may be some principles and values to guide and regulate the exercise of judgment required in the methods of WRE. First, coherence, comprehensiveness, and the number of incorrect beliefs are not only criteria for comparing competing belief systems, but will also be values for a revision process. Second, we will pursue the maximization of coherence and comprehensiveness while minimizing revision, by revising peripheral beliefs rather than core beliefs in our belief system. Third, the efficiency of a revision process may be one of the important considerations tied to the choice of provisionally fixed belie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