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젝의 판타지 이론과 윤리적 행위

        김용규 대동철학회 2003 大同哲學 Vol.23 No.-

        슬라보예 지젝은 오늘날 가장 왕성한 이론 활동을 하고 있는 현존 이론가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유럽의 주변부 슬로베니아 출신답게 철학, 정신분석학, 사회사상, 대중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서구의 사상과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지젝이 '현실'(reality)과 실재(the Real)에 대한 라깡의 구별을 이용하여 '현실이 곧 환상'이라는 자신의 논리를 전개해 가는 과정을 살펴본다. 흔히 '실재계'의 이론가라고 불리는 지젝에게 현실은 그 자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실재를 금지하고 억압함으로써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지젝에게 중요한 것은 '현실'보다는 현실을 지탱하게 하는 실재(계)이다. 이는 지젝의 이론이 상상계(the Imaginary)와 상징계(the Symbolic)를 강조하고 개인이 사회적 주체로 구성되는 과정을 다룬 초기의 라깡보다는, 개인과 사회를 지탱하는 상징적 판타지와 그 판타지를 구성하고 동시에 해체하는 조건으로서의 실재계에 초점을 둔 후기 라깡의 이론에 근거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젝은 실재계를 자신의 이론적 중심에 둠으로써 구유고 연방이 붕괴하고 난 뒤 등장하고 있는 우파민족주의를 비판하고자 한다. 그는 개인보다 민족을 앞세워 개인을 민족이라는 이름으로 희생시키는, 즉 개인을 민족의 유기적 공동체 속에서 규정하는 우파 민족주의에 맞서 민족이 사회적 적대(실재계의 다른 이름)를 억압하고 민중 자신의 향락을 전이하고 금지한 판타지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그런 점에서 지젝의 이론은 동구권의 특이한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지젝이 상징계보다 실재계를 강조하는 것은, 모든 사회와 그 이데올로기가 본질적 기원을 갖는 것이 아니라 실재계의 우연성과 잔여에 의존하면서도 그것을 억압하는 집단적 판타지의 시스템을 갖고 있다는 것을 비판하기 위해서이다. 지젝의 윤리적 행위 개념은 바로 이런 비판에서 나온 것이다. 그의 윤리적 행위는 실재계의 복귀를 막고 민중의 판타지를 조장하는 새로운 상징적 질서를 세우는 작업에서 탈피하기 위한 것이다. 오히려 윤리는 상징적 질서의 판타지가 근거하는 실재계와 정직하게 대면하려는 행위이다. 지젝은 모든 정치적 대안이라는 것이 자신의 실재계의 중핵과 대면하기보다 그것을 다른 것으로 전치함으로써 외면하려는 또 다른 판타지로 전락하기 쉽다는 것을 경계한다. Slavoj Žižek is one of the most productive theorists working in such various fields of theory as philosophy, psychoanalysis, sociologic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The aim of this article lies in examining how Lacan's distinction between the conception of reality and that of the real is appropriated by Žižek. Žižek suggests that reality is a kind of fantasy which is based upon the symbolic order as Lacan says. Therefore what is to important to Žižek, called the theorist of the real, is not reality but the real making reality possible and unstable. It shows that Žižek depends upon the late Lacan who puts emphasis on the real as the condition of constructing and deconstructing the symbolic fantasy of individuals and nations. Behind Žižek's suggestion lies his intention to criticize the rising right-wing nationalism after the disintegration of the old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The nationalism forces people to sacrifice themselves for nations and define individuals in terms of the organic community of nations. Against it, Žižek intends to show nations as a fantasy that represses social antagonisms and inhibits people's enjoyment. In that way, Žižek's theory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reality of the Eastern Europe. According to Žižek, every society has the system of fantasy which is grounded on but represses the contingency and remainder of the real. From it comes Žižek's conception of an ethical act. His ethical act is to get out of the restriction of the symbolic order that prohibits the return of the real and promotes people's fantasy. It is an honest act to encounter the real. Žižek warns to us that every political alternative has the tendency to degrade into another fantasy by transfering the core of the real into other fantastic system of society, rather than facing its core directly.

      • KCI등재

        호법의 의타기성에 대한 관점에서 본 라캉의 실재계

        안환기(Ahn, Hwan-Ki)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1 No.-

        본 논문은 유식학의 삼성론 가운데 하나인 의타기성을 ‘가(假)’와 ‘실(實)’의 측면에서 분석한 호법(護法, Dharmapāla 530-561)과 실재계가 상징계에 ‘재현(representation)’되는지의 여부를 분석한 자크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의 사상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인간의 심리구조와 그 작용기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두 이론에 모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에 대해 비교 연구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라캉의 상징계에서 실재계를 경험하는 기제와 그 특징을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 첫째, 호법의 관점에서 볼 때, 라캉의 ‘실재계’와 유식학의 해탈의 경지는 모두 언어를 초월한 상태라는 점에서 공통의 접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라캉에게서 ‘실재계’는 ‘상징계’속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곳이지만 결코 도달할 수 없는 곳이다. 이로 인해 라캉에게서 ‘실재계’에 도달하고자 하는 욕망은 본질적으로 결핍된 욕망으로 간주된다. 반면 호법의 유식학에서 수행자가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하는 곳은 해탈의 경지이다. 이곳에 도달하고자 하는 욕망이 일어나고 이어서 실제로 그곳에 이르고자하는 마음[발심(發心)]을 일으켜 수행을 열심히 하게 되면 결국 수행자는 해탈의 경지[實]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게 유식학의 관점이다. 둘째, 수행을 통해 자신의 마음에 존재하는 번뇌를 소멸하여 도달하는 곳이 해탈의 경지인 것과 달리 라캉의 실재에 이르는 방법은 환상 속에서 대상들의 위치를 ‘물’까지 고양시키는 ‘승화’이다. 이것은 상징계 속에서 언어를 통해 실재를 표현할 수 없다는 한계로 인해 스스로 감성적인 측면을 고양시켜 경험하고자 하는 라캉 특유의 방법이다. This article aims to research the theory of Dharmapāla (530-561) by analyzing the ‘Interdependent Nature of Things(Paratantra-svabhāva)’ considering falseness or truth and that of Jacques Lacan (1901-1981) by examining how ‘the Real’ represents itself in ‘the Symbolic.’ I especially attempt to interpret the thought of J. Lacan from Dharmapāla’s perspective. Thus far there has been no comparative study in this area despite the fact that they explain concretely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human and mental processes. Consequently, I analyzed ‘sublimation’, the process by which ‘the Real’ is represented in ‘the Symbolic’, as follows. First, there is a common area between the theory of J. Lacan and that of Yogācāra in that all of the ultimate states are those transcending the limits of language when we see them from Dharmapāla’s standpoint. In contrast, there is also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that ‘the Real’ is the ultimate state which ‘the subject of language’ cannot reach. Thus, the desire to reach ‘the Real’ is regarded as a deficiency in the theory of J. Lacan. Meanwhile, Nirvana is the ultimate state in Yogācāra. When people desire to reach this state and practice diligently by themselves, it is possible for them to experience Nirvana. Second, people can reach the ultimate state by practice in Yogācāra, but there is a different way to reach the state of ‘the Real’ according to Lacan. The subject is able to reach this state by ‘sublimation’, elevating the object to the state of ‘Ding’ in a fantasy. It is a very unique way in that the subject experiences the state by elevating their emotion due to limits which prevent the expression of ‘the Real’ by language in ‘the Symbolic.’

      • KCI등재

        순수욕망을 향한 여정, 영화 <후쿠오카>

        한귀은(Han, Gwi-Eun)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6 No.-

        장률의 영화 <경주>,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후쿠오카>는 결핍의 주체 멜랑콜리커가 주인공이다. 이들이 욕망하거나 상실한 대상은 불분명하다. 그러나 그들은 그 대상을 찾는 과정에서 우정과 연대를 경험한다. 특히 <후쿠오카>에서 상실한 대상인 ‘순이’는 욕망의 대상이라기 보다는 욕망의 원인인 ‘대상a’이다. 순이는 그 기의 때문이 아니라 텅 빈 기표 그 자체로 제문과 해효에게 대상a가 된다. 그들은 대상a로 인해 상실과 고통을 향유하는 주이상스를 겪게 되지만 또 그 때문에 소담과 우정의 관계를 맺게 된다. 제문과 해효, 소담은 대상a의 환유적 장소에 머무는 디아스포라이다. 그들이 실재계적인 순간에 마주치게 되는 것도 상실한 대상에 대한 끊임없는 결핍감 때문이다. 실재계는 재현될 수 없고, 언어로도 포착되지 않으며, 환상으로 접근할 수 있을 뿐이다. <후쿠오카>는 핸드헬딩의 비인칭 시점의 카메라와 미장아빔 구조를 통해 실재계의 징후를 암시한다. 비인칭 시점의 카메라는 익명적 쇼트를 구성하면서, 마치 상징계의 틈으로 드러난 실재계를 보여주는 듯한 장면을 연출해낸다. <후쿠오카>의 주요인물들과 사물은 틈이나 구멍을 통해 보여질 때가 많다. 누구의 시점인지 확인하기 어려운 비인칭의 응시는 유령이 출몰하는 듯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현실과 꿈과 실재가 뒤섞이는데, 그 경계를 구분하기 어렵다. 미장아빔 구조는 그 구별 자체가 무화되는 지점에서 의미를 띠며 다수의 장면들이 서로 반향된다. 이런 경계의 해체는 외화면과 내화면의 절합 몽타주를 통해 더 강화된다. 제문, 해효, 소담은 상징계의 질서 속에 적당히 편입되지 못한 주체이다. 이들은 결핍감 속에서 실재계의 징후를 감지하며 살아간다. 이것은 라캉이 말한 윤리와 접목된다. 윤리적 욕망은 현실과 상징계에 근거한, 쾌락과 연동되는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 혹은 상징계에서 벗어나 존재의 결여를 긍정하는 순수욕망이다. 실재계로 향하는 여정에 순수욕망이 발생하고, 이런 순수욕망을 지향하는 태도가 존재 회복에 이르게 하는 윤리인 것이다. <후쿠오카>는 이러한 순수욕망의 윤리를 비인칭 시점의 카메라와 미장아빔 구조를 통해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관객의 봉합작용을 차단하면서 이 시대의 욕망과 상실, 향유에 관해 사유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후쿠오카>의 동시대성을 논할 수 있다. The main characters are melancholikers, the subject of lack in Zhang Lu s films <Gyeongju>, <Ode to the Goose>, and <Fukuoka>. What they desire or lose is unclear. However, they experience friendship and solidarity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object. In particular, ‘Sooni(순이)’, ‘the object lost’ in the film <Fukuoka>, is not the object of desire, but rather ‘objet a(objet petit a)’, which is the cause of desire. Sooni becomes ‘objet a’ to Jemoon(제문) and Haehyo(해효), not because of that signifier, but by the empty signifier itself. They suffer from loss and pain due to ‘objct a’, but also form a friendship with Sodam(소담). Jemun, Haehyo, and Sodam are diaspora that stay in the metonymic place of ‘objet a’. What they encounter in the Real moments is due to their constant lack of lost object. ‘The Real’ cannot be represented, it is not captured in language, it is only accessible as an illusion. <Fukuoka> implies signs of the Real through a handhelding camera of a non-personal perspective and a mise en abyme structure. The camera of a non-person perspective creates an anonymous shot, creating a scene as if showing the Real revealed through a gap in ‘the Symbolic’. The main characters and objects in <Fukuoka> are often seen through gaps or holes. The non-personal gaze, wher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ose point of view, creates an atmosphere of haunting ghosts. In this atmosphere, reality, dream, and the Real are mixed, an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boundaries. A mise en abyme structure takes on meaning at the point where the distinction itself becomes atomized, and a number of scenes echo each other. The deconstruction of these boundaries is further strengthened through the articulation montage of off-screen and on-screen. Jemun, Haehyo, and Sodam are subjects that have not been properly incorporated into the system of the Symbolic. They live by sensing the signs of the Real in a sense of lack. This is combined with the ethics that Lacan said. Ethical desire is not a desire of others, based on reality and the Symbolic linked to pleasure, but a pure desire that affirms the lack of existence out of reality or the Symbolic. Pure desire arises on the journey to the Real, and this attitude toward pure desire is an ethic that leads to the restoration of existence. <Fukuoka> talks about the ethics of pure desire through a camera of a non-personal perspective and a mise en abym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iscuss the contemporaneity of <Fukuoka> in that it blocks the audience s suturing and makes them think about the desire, loss and enjoyment of this era.

      • KCI등재후보

        <다크 나이트>에 나타난 ‘실재계’ 연구

        서수정 영상예술학회 2012 영상예술연구 Vol.0 No.20

        ‘명품 블록버스터’란 칭호를 얻은 화제작 <다크 나이트>는 놀란에 의해 새롭게 써진 배트맨 이야기이다. 그래서 이 영화는 헐리웃 블록버스터의 외피를 입고 ‘만화 같은 영웅서사’의 관습적인 통로를 성실히 우회한다. 하지만 이 영화가 결국 회귀하는 지점은 ‘우리 시대의 현실에 대한 성찰’이라는 철학적 지점이다. 즉 <다크 나이트>에서 배트맨은 상업적 오락물의 아이콘에서 후기자본주의 시대를 드러내는 사회적 아이콘으로 진화한 것이다. 본 논문은 <다크 나이트>가 재현하는 현실 풍경 가운데 특히 상징계의 틈새를 통해 현실로 합류한 뒤 우리 삶을 재구성하고 있는 실체들에 주목한다. 이들은 대부분 상상계적 질서와 가치에 포섭되지 않는 영역들 즉 실재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를 라캉과 지젝의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실재계로 설명되는 우리 삶의 풍경들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다크 나이트>를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우선 이 영화의 현실배경으로는 첫째, 유리(거울) 이미지로 매개되는 도심 공간, 둘째 범죄자로 대변되는 어두운 분신들이 한 축을 형성하고 있는 사회공간 셋째, 해체된 공식적 삶의 방식들과 그 사이를 침투한 비공식적 삶의 방식들의 혼재한 ‘카니발’을 들 수 있다. 인물들을 분석한 두 번째 측면에서는 조커를 제외한 그들 모두가 분열된 주체라는 점 그리고 그들의 생존방식이 판타지라는 점을 밝혔다. 세 번째 측면에서는 배트맨과 조커의 관계를 통해 상징계와 실재계의 관계와 그 특징에 대해서 다뤘다. 선와 악의 숙명적인 대결인 배트맨과 조커의 싸움은 결국 우리 시대 선의 실체를 드러내는 것으로 귀결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금 우리 현실에서 선을 수호하기 위해서는, 우리 내면의 또 다른 얼굴 즉 선의 이면인 악이 현실로 분출되는 것을 막아주거나 그 악을 흡수하는 일종의 장치인 마스크가 필요하다. 그리고 상징계적 질서에 저항하고 전복을 꾀하는 불경스런 존재인 조커를 통해 선의 존재자체가 부정되고 있다. 또한 선과 악이 뫼비우스의 띠처럼 연결되어 있음이 폭로된 <다크 나이트>에서 배트맨과 조커는 적대자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이면이자 쌍둥이 또는 도플갱어이다. 배트맨과 조커는 각각 상징계와 실재계를 대변하며 이 두 세계가 혼재하는 현실 풍경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배트맨이 악의 이면으로서의 선을 들추어내려는 조커를 막아내며 이 대결에서 승리했지만 이 대결의 주인공은 조커다. 조커가 상징계를 지켜내야 하는 배트맨의 임무가 더 이상 진실을 통해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폭로했기 때문이다. 그로인해 배트맨은 고담시의 유일한 희망인 하비의 죄를 은폐하기 위해 영웅 대신 어둠의 기사가 된다. 앞으로 <다크 나이트>의 고담시에서 벌어질 선악 대결은 더 이상 선이 악을 이기기 위한 싸움만은 아니다. 이 대결은 악의 이면으로서의 선을 평화롭게 받아들이기 위한 더 복잡하고 더 힘든 싸움을 내포하고 있다.

      • KCI등재

        영화 <헤어질 결심>에 나타난 시각적 표상 연구 - 라캉의 정신분석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

        이미옥,안상혁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1 No.-

        박찬욱 감독의 2022년 발표작 <헤어질 결심>은 두 남녀 주인공 해준과 서래의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를 넘나들며 인물들의심리 및 관계의 변화를 디테일하게 묘사해 낸 작품이다. 영화 <헤어질 결심>은 인간의 욕망과 인간의 존재적 결핍이 해소되고, 그 주체성이 정립되어 가는 과정을 정반합적인 구조로 영상화하였다. 본 논문은 영화 <헤어질 결심>에 나타난 본질적인 문제인 인간 존재의 소외와 결핍에 착안하여 라캉이 정립한 정신분석학적 이론에 따른 실재계, 상상계, 상징계의 모습들을 다양한 시각적 표상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에 대해 사례분석 부분에서 자세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영화에서 나타난 다양한 시각적 표상을 통해 이러한 인간의 욕망, 인간의 존재 결핍의 문제가 이 영화에서 어떻게 구체화되었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화 <헤어질 결심>에서는 이상적 삶 속에 인지하지 못하는 혼돈이 혼재하는 ‘실재계’, 살인 증거 발견으로 인해 형사 해준이의 완전히 붕괴되는 즉, ‘실이상(失理想)’에서 ‘자아’에 대해 좌절하는 ‘상상계’, 그리고 ‘복이상(復理想)’에서의 ‘주체’의 탄생을 의미하는 ‘상징계’, 즉 서래의 죽음은 실재계 속 보다 근본적 쾌감인 주이상스(Jouissance)를 죽음의 형태로 표출하며, 실재계가 낯선 현실이자 성취 불가능한 이상향임을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헤어질결심’은 영화 엔딩 부분에서 서래가 해준에게는 일종의 모순인 스스로를 파괴하는 과정으로 이어지고, 이를 통해 서래가본인이 사랑하고, 또한 본인을 사랑하는 해준의 실재계의 질서가 와해되는 것을 스스로의 소멸을 통해 막으려 했다는 점을알 수 있다. 영화 속에 나타난 여러가지 표상들을 단일 이론을 통해 온전하게 해석해내는 것은 어떤 면에서는 저자의 지나친 욕심일지도 모른다. 저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 연구를 통해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영상 및 시각 예술 작품에 라캉의정신분석이론을 적용하여 해석하고자 노력을 기울였으며, 이러한 노력이 후속 연구들에 미약하게나마 자양분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상상계 · 상징계 · 실재계를 넘나드는 욕망의 양상

        김소영(Kim, Soyoung)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1

        인간은 끊임없이 욕망한다. 그러나 욕망의 원인을 인식하지 못한 채, 우리는 죽음의 순간까지 그것을 지속하는지도 모른다.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 라캉(J. Lacan)은 프로이트(S. Freud)의 이론을 계승하여 욕망의 문제를 재해석하고, 인간이 살아가는 현실세계를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로 분류하였다. 먼저 상상계는 자아와 이미지로 대표되는 동일시와 오인의 범주이며, 상징계는 언어와 규범의 세계로 인간이 살아가는 현실세계와 가장 맞닿아 있는 범주이다. 끝으로 두 범주가 내포하지 못하는 그 너머의 세계인 실재계는 도달하지 못하는 욕망의 대상인 ‘대상 a’가 포함된 범주이다. 라캉은 세 범주를 중심으로 불안이 생기는 원인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욕망에 관한 독창적인 이론을 전개하였다. 본 연구는 상술한 라캉의 범주와 욕망 이론을 활용하여, 삶과 죽음이라는 주제로 인간의 내면세계를 재현한 이냐리투 감독의 영화 〈비우티풀〉과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세 범주와 연결된 ‘불안 변증법’ 및 ‘행동화’와 ‘행위에의 이행’의 개념을 활용하였다. 먼저 〈비우티풀〉에서는 거친 상징계를 살아가는 욱스발과 여전히 상상계적 환상에 머물러 있는 그의 아내 마람브라를 통해 욕망의 원인과 재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라캉의 불안변증법 도식을 통해 두 인물의 불안과 욕망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이후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에 등장하는 선과 악을 대표하는 인물인 글래스와 제럴드의 욕망을 다루기 위하여, 상징계의 행동화와 실재계의 행위에의 이행에 관한 이론을 대입하였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인간 욕망을 재현해낸 이냐리투 감독의 두 영화를 라캉의 이론으로 분석한 것이다. 덧붙여 욕망에의 객관적 접근을 위해 들뢰즈의 이론과 간략히 비교하여, 타자 및 세계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인간의 불안과 욕망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Human beings desire continuously. However we keep doing it without any recognition of the reason and the purpose of desire until the moment we die. Jacques Lacan, french psychoanalyst, reinterpreted the issue of desire in succession to Sigmund Freud’s theory. Lacan has divided the world into three registers: l’imaginaire, le symbolique, and le réel. Firstly, l’imaginaire is the disarray of incomplete body images in the mirror theory that can be linked to the self disunion and narcissism. Secondly, le symbolique is linked with oppression from language and social rules. Lastly, le réel. is a realm of the residual and the essential that cannot exist nor be incorporated into l’imaginaire nor le symbolique, Within these three registers, he certified what makes the anxiety which derives desire. To discuss about the aspect of human desire, this study analysed two films 《Biutiful》 and 《The Revenant》, directed by Iñárritu, dealing with human’s inner aspect with Lacan’s theory. Specifically, it is focused on various representations of desire that 4 characters show through two films. For this analysis, la dialectique de l’angoisse is used for an analytic tool of 《Biutiful》, and action out and passage à l’acte relating with three registers is utilized for an analysis of 《The Revenant》. This study may help us to understand anxiety and desire of human beings and go in the right direction during the life as well.

      • KCI등재

        유식불교로 읽는 말라르메 : 라깡의 "상징계"에 대한 번역가능성과 탈경계의 생태성

        장정아 ( Jung-a J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6

        말라르메와 불교, 라깡의 세계 인식은 모두 빈 언어, 즉 대상과의 관계에서 탈동기화된 언어에 기초해있다. 말라르메에게는 언어가 실체로서의 지시대 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자각의 경험이 있고, 그러한 빈 언어는 곧 시인의 시적 궁극이 된다. 그리고 유식불교의 변계소집이 빈 언어임을 모르고 그 대상을 실체화하여 생겨나는 것이고, 그 비실체적인 의타기를 여실히 보면 그것 그대로가 무아와 공으로 표현되는 원성실성이므로, 말라르메와 불 교는 비교가능한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말라르메와 불 교의 언어관은 라깡의 상징계로 연결되어, 말라르메와 불교의 궁극이 라깡의 상징계에 대한 번역가능성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라깡의 상징계에서 주체 는 존재로서가 아니라 의미로서만 탄생하는데, 그 이유가 바로 빈 언어에 있어, 언어에는 어떠한 존재도 담겨질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언어에 담겨지지 않는 존재가 바로 실재계의 것으로서, 결국 실재계는 언어로서 표현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징계에서 주체는 자기 존재로부터 ‘소외’되어 있어, 실재계를 향한 무의식적인 욕망의 주체로 탄생하고, 그것은 언어의 재현이 실체로 서의 긍정적 대상과 무관한 것에서 기인하는데, 라깡의 주체 구성에 있어 탈 소외화 과정인 ‘분리’를 말라르메와 유식에 기초하여 재조명함으로써 상징계 와 실재계의 상호긍정의 ‘원융’을 드러내는 것, 이것이 본 논문의 방향이 되는 것이다. 이때, 언어의 한계, 언어에 의한 분별의 경계, 즉 나와 너의 경계를 넘어서는 탈경계의 생태 하나도 본 논문을 통해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sciousness of the world in Mallarme, Buddhism, Lacan is based on the empty word, the immotivated word, i. e, the word of the arbitrary relation with the referent. The Neant of Mallarme, the parikalpita-svabhava of the Vijnaptimatra, the Symbolic of Lacan are the expressions of the immotivated word concluding the consciousness the limit or the world of the languages. This world of the word is the obstacle of the reach to the real, for example, the alienation of Lacan is the result of this characters of these words. And the alienation is inevitable. But the aims of Mallarme and the Buddhism in the poetic and religious horizon can show the possibility of the emancipation of the alienation. The seperation in the world of Lacan is called the attempt for seeking the freedom from the alienation. This article will be therefore the one of the reading of the seperation of Lacan as a sort of the epistemological transition for receiving the Symbolic as it is with the Rien of Mallarme and the Buddhism, especially the tri-svabhava(parikalpita-svabhava, paratantra-svabhava, parinispanna-svabhava) and the transition of the Vijnaptimatra. As a result of this reading, We can accept the Symbolic as a perfect world of the words and the Real as a perfect world of the beings in the universe of Lacan.

      • KCI등재

        라깡의 시지각 예술이론에 의한 영화의 롱 테이크 기법과 건축공간의 연속성 비교

        최효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6 No.6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a basic theory for the combination of architecture and movies by comparing the long-take technique of movies and the continuity of space, one of space composition principles, which is important in digital architecture based on Jacques Lacan’s visual-art theory and finding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of them.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conclusions. First, analyzing the long-take technique on the basis of Lacan’s visual-art theory found that the subject of representation is scenes of movies and that staring shows features of narrative. Second, the long-take technique can be thought as a cinematic technique which tries to realize the real order beyond the symbolic order in real life through the process of continuous replication of replication of replication of a scene in one shot. Third,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which is compared to the long-take technique in the past, the inclined space of opened gaze is similar to the method which tries to realize architectural space of the reality which belongs to the symbolic order close to the real order which belong to significant in human unconsciousness. Fourth, the freeform continuous space of closed gaze, which can be compared to contemporary long take combined with computer graphic technology, has more difficulty in realizing the real order than the long-take technique in the past and inclined, continuous space as the feature which belongs to signifié in human consciousness has been strengthened through the circulation which repeats and expands along an observer’s movement. Fifth, when the contemporary long-take technique and freeform continuous space expand gaze which open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t is considered that the space which is closer to the real order than the classic long-take technique and inclined continuous space can be created. 본 연구에서는 영화의 롱 테이크 기법과 디지털 건축에서 중요한 공간구성원리 중에 하나인 공간의 연속성을 자끄 라깡의 시지각예술이론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이 둘 사이의 공통점과 함께 차이점을 도출하여 건축과 영화 두 분야의 융합 기초이론을 구축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라깡의 시지각 예술이론으로 롱 테이크 기법을 분석해 보았을 때, 재현의 주체는 영화의 씬이고 응시는 내러티브의 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롱 테이크는 하나의 쇼트 안에서 계속적으로 씬의 ‘사본의 사본의 사본의…’의 과정을 통해서, 상징계를 넘어 실재계를 현실에 구현하려는 영화적 기법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과거 롱 테이크 기법에 비견되는 현대건축에서 열린 시선의 경사 공간은 봉합된 관찰자의 응시가 반복 확대되는 과정을 통해, 상징계에 속하는 현실의 건축공간을 인간 무의식속 기표에 속하는 실재계에 가깝게 현실화하려는 방법과 유사하다. 넷째, 컴퓨터 그래픽 기술과 결합된 현대의 롱 테이크와 비교될 수 있는 닫힌 시선의 비정형 연속공간은 관찰자의 이동에 따라 반복 확대되는 동선을 통해, 인간 의식 속하는 기의에 해당하는 성격이 강화됨으로써, 과거 롱 테이크 기법과 경사 연속공간보다는 실재계를 구현하는 데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다섯째, 현대 롱 테이크 기법과 비정형의 연속공간이 내부에서 외부로 열리는 시선을 확대할 경우, 고전적인 롱 테이크 기법과 경사 연속공간보다 더 실재계에 가까운 공간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원귀 서사에 나타나는 해원과 애도의 구조, 그 의미와 한계

        서유석(Seo, You-Seok)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5

        옛이야기에 나타나는 대부분의 원귀는 자신의 원한이 해결된 이후 현실에서 사라진다. 하지만 <신거무 전설>과 <의적 강목발>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다. 두 존재는 자신의 원한을 직접 해결한 뒤에도 다시 현실 세계에 나타나 그 원한에 대한 복수를 지속하기 때문이다. 두 이야기는 배경이 되는 시대와 지역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원한으로 죽임을 당한 자의 아버지가 아들의 시신을 꺼내 매질한다는 공통의 화소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신거무 전설>이 이유 없이 지속되는 끝없는 복수를 보여주는데 비해, <의적 강목발>은 복수가 지속되지 않고 해원이 어느 시점에서 이루어진다는 차이점을 찾아볼 수 있다. 이렇게 공통점과 차이점이 분명한 두 원귀 서사의 해원과 애도의 구조와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적 연구방법론, 그 중에서도 라캉의 이론에 기대고 있다. 실재계와 충동(Drive, 욕동)이라는 개념을 중시하는 후기 라캉의 이론은 상징계와 실재계를 넘나드는 원귀의 해원 구조를 좀 더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거무의 원귀는 원한을 가질 수 없는 존재이기에 신거무의 원귀를 사실 원귀라고 부르기도 쉽지 않다. 이유 없이 원귀가 된 신거무의 원귀는 그 원한의 이유를 알 수 없기에 해원이 불가능하고, 애도 작업도 불가능하다. 원한을 풀어낼 수 없기에 <신거무 전설>의 결말은 이유 없이 이어지는 끝없는 죽음만 남아 있을 뿐이다. 즉 신거무의 원귀는 충동 주체이며 실재계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의적 강목발>의 해원구조는 <신거무 전설>과 달리 상징계적 질서에 놓여 있다. ‘아버지의 이름’으로 상징되는 지방 수령을 직접 해원의 방식으로 복수함으로써 당대 사회가 가지고 있는 모순을 공박하지만, 그 남근의 거세로 인해 오이디푸스 컴플렉스가 소멸되어 이야기의 향유 주체는 오히려 소외된다. 즉 강목발 이야기의 직접 해원 구조는 다시 ‘아버지의 이름’과 당대 사회의 문화적 질서를 재구축하는 것이다. 두 이야기가 보여주는 이러한 차이점은 현실의 모순을 드러내어 공박하는 원귀 서사가 지금까지 끊임없이 반복되는 이유이다. 원귀 서사는 현실 세계 전복 가능성의 안팎을 끊임없이 넘나들고 있을 뿐이다. In old stories, most vengeful ghosts resolve their grudge and then disappear from the real world. However, such tendency is not observed in the stories of Legend of Singeomu and Righteous Outlaw Gang Mok-bal. The two beings directly resolve their grudge yet remain in the real world to continue exacting their vengeance based on their grudge. Despite their different backgrounds, including times and regions, the two stories have a common plot in that the father of the person who was killed by the grudge pulls out his son’s body from the coffin and whips them. Yet, while Legend of Singeomu shows continuing vengeance for nothing, Righteous Outlaw Gang Mok-bal does not continue with the act of vengeance but rather releases the grudge at a certain point, thus making the two storie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grudge-releasing and mourning of the two vengeful-ghost narratives with distinctiv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To confirm this structure, this study applied the theory of Lacan, one of psychoanalytic research methodologies, that emphasizes the concept of real world and drive, which has the potential to explain more clearly the grudge-releasing structure of the vengeful ghost that crosses the symbolic world into the real world. Because Singeomu’s vengeful ghost is a being that cannot bear a grudge, it cannot be essentially called a vengeful ghost. Singeomu’s vengeful ghost, which has become a vengeful ghost without a reason, can neither release an unjustified grudge nor perform an act of mourning. Since the grudge cannot be released, the ending of Legend of Singeomu is only an endless death that continues without reason. In other words, the vengeful ghost of Singeomu is a driven subject and is seen existing in the real world. The grudge-releasing structure of Righteous Outlaw Gang Mok-bal is in line with the symbolic world order, unlike that of Legend of Singeomu. The vengeful ghost refutes the contradiction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by avenging the local governor, symbolized by his father’s name, in a grudge-releasing fashion. However, the Oedipus complex is destroyed by the castration of the penis, and the entity of the story is alienated. In other words, the direct grudge-releasing structure of the Gang Mok-bal story is to reconstruct the “father’s name” and the cultural order of the then society. Such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ories is that the vengeful-ghost narrative, which reveals and contradicts the reality’s contradictions, is constantly repeating so far. The vengeful-ghost narrative only constantly crosses into and out of the possibility of the real-world overthrow.

      • KCI등재

        영화 <파이트 클럽> 주인공의 정신질환과 극복과정

        전범수(Bum Sue Chun)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3 지식과 교양 Vol.- No.11

        정신분석학자 라캉은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의 정립을 통해 우리가 살면서 갖는 욕망의 생성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상계는 어린시절 어머니에 대한 애착으로 인해 어머니의 욕망이 곧 본인의 욕망이 되는 단계이고, 상징계는 아버지에 의해 어머니와의 애착관계가 분리되어 사회의 규범를 익히며 새로운 쾌락과 욕구를 배워가는 단계이다. 그리고 실재계는 사회의 규범과 억압을 극복하고 “죽음충동”을 통해 끊임없이 자신만의 참된 욕망을 탐구해가는 과정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여정에서 상상계로부터의 분리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이중잣대의 특징을 보이는 도착증이 발생하기도 하며, 분리가 아예 일어나지 않게 되면 환각증세를 보이는 정신병이 생기기도 한다. 영화 <파이트 클럽> 초반의 주인공 잭 (에드워드 노튼 역)은 시한부환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상상계의 충동적인 쾌락을 추구하지만 거짓된 신분을 통해 진정한 인간관계를 피하려는 이중적인 도착증 환자의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그의 거짓정체가 탄로 날 위기에 처하자 잭은 타일러더든(브래드 피트 역)이라는 가상 인물을 설정하는 환각증세를 보이며 정신병자의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영화 후반에서는 잭이 본인의 자유를 속박하는 타일러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액션영화의 영웅과 같은 모습으로 정신병을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결국, 영화는 주인공 잭이 상상계와 상징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재계로 진입하는 과정을 허구적 흥미요소를 더하면서 극적으로 그려냄으로써 어려울수 있는 주제를 대중에게 쉽게 풀어서 보여준다. Jack, the protagonist of <Fight Club>, suffers from insomnia, and is tired of his daily routine in a capitalist society. After encountering his own alter ego, Tyler Durden, he founds the Fight Club in order to start a violent revolution in attempt to mock and resist the materialistic world. Jacques Lacan establishes three stages in human psyche: the Imaginary, Symbolic and the Real. Each stage explains the mechanics of human desires. Most of us experience the Imaginary, then transition to the Symbolic stage. However, incomplete separation of oneself from the Imaginary in transition to the Symbolic causes paraphilia, and absence of any separation from the Imaginary inflicts one with psychosis. <Fight Club> shows Jack’s psychological journey that travels from paraphilia, psychosis and all the way to entering the Real. Particularly, by portraying Tyler Durden and Marla Singer as two opposite forces around Jack, the film alludes to the stark contrast between the traits of psychosis and the Real. Furthermore, as a commercial movie from Hollywood, the film successfully packages its plot and characters into the three act structure and heroism, prevalent in Hollywood action movies, making its psychological theme more accessible to general aud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