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교양 한국어 수업에 대한 유학생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박진철 ( Park¸ Jin-chul ),장지영 ( Jang¸ Ji-yeong ) 반교어문학회 2021 泮橋語文硏究 Vol.- No.57

        본 연구는 대학(원)의 온라인 교양 한국어 수업에 대한 유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학(원)에서 온라인 한국어 수업을 경험한 79명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교양 한국어 수업에서는 실시간 수업 48%, 동영상 수업 40%, 실시간 및 동영상 혼합 방식의 수업 12%의 비율로 온라인 수업을 운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 방식에 따른 유학생들의 만족도는 실시간 및 동영상 혼합 방식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시간 수업 및 동영상 수업의 장단점에 대한 설문 결과 실시간 수업 방식의 경우 참여자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점, 동영상 수업의 경우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반복 재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온라인 교양 한국어 수업의 개선을 위해서는 먼저 온라인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학교 행정 차원의 안정적인 기반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 다음으로는 한국어 수업의 학습 영역에 따라 실시간과 동영상 수업 방식을 적절히 혼합하여 수업을 운영하여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을 이끌어내고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유학생들의 수업내용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위해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체계적인 교육 자료의 마련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in online Korean classes in university through a survey of international students' awarenes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a survey of 79 international students who experienced online Korean language classes at the university, 48% of real-time classes, 40% of video classes, and 12% of real-time and video-mixing classes were run online. However,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studying abroad was the highest in real-time and video mixing methods. According to a survey on the pros and cons of real-time classes and video classes, it was positively evaluated for being able to interact with participants in real-time classes and for video classes, repeatable playback regardless of time. First, efforts should be made to secure a stable foundation at the school's administrative level to facilitate online classes in Korean language. Second, depending on the learning area of Korean language classes, strategies are needed to operate classes by appropriately mixing real-time and video teaching methods to elicit interactions with learners and enhance learning effectiveness. Finally, systematic educational materials suitable for online class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classes of international students.

      • KCI등재

        ‘Animation Mentor’ 시스템을 적용한 실시간 양방향 VFX 온라인 수업 시스템

        황민식,이현석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6

        Since 2007, online education in Korea is expanding its scope with a new educational paradigm. In particular, new methods of learning through online education systems are becoming more active, and lately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to achieve practical and technical up-to-date, digital content-related education. Thus, this paper intends to propose a 'real-time two-way VFX online class system' that sets it apart from existing online education. An efficient online education system that would enable up-to-date technical education through real-time lectures, similar to an offline system and taught by renowned artists of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To this end, this article contains the analyses of the following subjects; first, the history and class characteristics of online education in Korea, and secondly, the mentoring method "Animation Mentor" for animation online education. Thirdly, this paper proposes a "real-time two-way VFX online class system" focusing on three aspects: online video class system, task evaluation, communication and data sharing. In the light of this, the research aims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real-time interactive VFX online class system, and discuss its limitations. 21세기 교육 패러다임에 부합하는 온라인 교육은 갈수록 그 영역을 확대하며 새로운 학습방식이 시도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신 기술 교육이 요구되는 CG VFX 관련 실습교육에도 다양한 온라인 교육 콘텐츠가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OCW나 YouTube를 활용한 VFX 관련 온라인 학습에서는 강의자와 학습자 간 소통이 어렵고, 또한 대학교 수업에서는 매년 발전하는 최신기술을 가르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CG VFX 전공심화단게 온라인 교육을 위한 ‘실시간 양방향 VFX 온라인 수업 시스템’을 제안 하고자한다. 이는, 기존 차별화 되는 양방향 온라인 강의 시스템으로써 미국 할리우드 등 현지의 유명 아티스트의 실시간 강의를 통해 한국에 있는 학생들에게 최신 기술교육을 진행하는 수업시스템이다. 이를 위한 연구의 전개는 첫째, 온라인 교육의 성향 및 VFX 수업의 특성에 대해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둘째, 애니메이션 온라인 교육을 위한 멘토링 방식의 ‘Animation Mentor’에 대해 사례분석 한다. 셋째, ‘Animation mentor’시스템을 참고하여 실시간 온라인 강의, 1대 1 멘토링을 통한 평가, 강의자와 학습자 간 소통을 중심으로 한 ‘교육방식’과 영상 수업 시스템, 과제 평가, 소통 및 자료 공유의 ‘수업 시스템’을 중심으로 구축한 ‘실시간 양방향 VFX 온라인 수업 시스템’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실시간 양방향 VFX 온라인 수업 시스템을 디지털영상트랙 학생들 수업에 적용하고, 수업의 효율성 검증을 논하기 위해 기존 온라인 강좌와의 차이 점, 미국 현지아티스트의 실시간 강의와 평가, 실시간 온라인 강의 시스템의 효율성을 중심으로 학생 대상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실시간 양방향 VFX 온라인 수업 시스템’은 VFX 교육을 위한 새로운 수업시스템으로 향후 온라인 교육을 위한 참고자료가 되리라 사료된다.

      • 예비교사들의 온라인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연구

        이선(Lee, Sun)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0 교육실습연구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2020년 COVID-19로 인하여 실시한 온라인 교육실습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대학교 영어과 심화과정 4학년 학생 40명과 3학년 학생 24명이 작성한 개방형 설문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온라인 교육실습에 대해 대면 교육실습과 마찬가지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는 교육실습의 효과를 언급하였으며 특히, 온라인 수업을 위한 매체들을 익히며 미래 교육에 대비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응답하였다. 이 중 실습경험과 실습 내용에 대한 인식에서는 3학년과 4학년이 다소 차이를 보였다. 수업실습의 경험이 있는 4학년 예비교사들은 온라인 교육실습에 대하여 처음에는 부정적인 생각으로 출발하였으나, 실습과정을 거치면서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화하였다. 3학년 예비교사들은 온라인 교육실습 자체에 대한 걱정보다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첫 번째 교육실습이라는 부담과 걱정으로 시작하여 지도교사의 도움과 몇 차례의 실시간 및 동영상 수업 경험을 통하여 온라인 교육실습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온라인 교육실습내용에 대한 인식에서는 실시간 수업보다는 동영상을 찍어 LMS에 올리는 수업 방법이 주를 이루었던 4학년 예비교사들은 동영상 수업의 촬영과 편집과정에서 자신의 수업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되어 수업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3학년의 경우, 교대에서 배운 이론적인 내용을 실제에 적용해 보며, 자신의 부족함 점과 앞으로 무엇이 필요한 지에 대하여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음을 인식하였다. 이 과정에서 지도교사의 지도가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온라인 교육실습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네트워크 속도, 음향 문제와 같은 기술적인 부분과 비대면 상황에서 초등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이 부족했음을 가장 아쉬워했다. 이와 더불어 예비교사들은 수업을 진행하거나 촬영을 할 강의실 사용의 문제, 네트워크 속도의 문제, 팀즈 사용의 문제 등을 언급하며 교육대학이 이에 대한 보완책을 마련해 줄 것을 원하였다. 또한, 온라인 교육실습 사전교육에서 팀즈 사용 방법 뿐아니라 실시간 수업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 등에 대해 미리 알려주고 이에 대한 해결책에 대한 교육이 좀 더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들의 심화전공인 영어과 수업의 경우,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짝활동, 모둠활동을 대체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하여 알고 싶어 하였으며, 학생 간 수준 차이가 많이 나는 수업 상황과 TEE 수업에서 영어와 한국어의 적정한 사용 비율에 대하여 알고 싶어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실습 및 온라인 교육실습의 개선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bout online teaching practicum.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40 fourth-year pre-service teachers who had teaching practicum in the spring semester of 2020 and 24 third-year pre-service teachers who had teaching practicum in the fall semester of 2020.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hows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online teaching practicum was divided into four major categories and ten small categories. Pre-service teachers mentioned the effect of the on-line teaching practicum, which allowed them to learn as much as face-to-face teaching practicum, and responded that they could prepare for future education, especially by learning the media for online classes. Third and fourth year pre-service teachers showed som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bout online teaching practicum. Fourth-year pre-service teachers initially started with negative thoughts on online teaching practicum, but changed to positive perceptions throughout the practicum. Starting with the burden and concern of the first teaching practicum rather than worrying about the online teaching practice itself, third-year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have positive experiences of online teaching practicum. Through the help of teachers and several real-time and video class experiences, they could learn about their shortcomings in planning and teaching lessons. Almost all of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most disappointed in technical aspects such as network speed, sound problems, and lack of interaction with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also mentioned the need for more practical pre-training, which not only informs how to use the programs such as MS Teams but also informs how to overcome the various problems that arise in real-time classes. In the case of the English class, they wanted more guidance on the class situation where there was less interaction with students, the activities to replace group activities, and the problems of solving the level differences among students.

      • KCI등재후보

        온라인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활용한 과정 중심 평가 방안 -고등학교 한국사 수업을 중심으로-

        최상훈,김영한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0 No.3

        In this study, we prepared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rocess-centered evaluation methods pursu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e national and social crisis situation called Pandemic, and conducted high school Korean history classes in real-time interactive online. The online real-time interactive class of Korean history in high school was applied to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class-evaluation-record' reflecting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and it was conducted as a process of students' presentation, mutual inquiry and answer. Teacher observed and evaluated students in the class process using the pre-prepared process-based evaluation scale, and recorded the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ound in the class participation process and reflected them in the school record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real-time video interactive class was the next best way of face-to-face class, and the student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ere high. In addition,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was realized in the non-face-to-face online class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task performance process and class could be reflected in the school record, so that the linkage of teaching, learning, evaluation and records could be possible. If the problems of the online class environment suggested in this study are improved, the online real-time interactive class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useful teaching methods to be used in futur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이라는 국가적․사회적 위기 상황을 맞이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과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할 수 있는 온라인 실시간 쌍방향 수업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계하여 진행한 온라인 실시간 쌍방향 수업은 과정 중심 평가가 반영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를 적용한 것으로 학생들이 발표하고 상호 질의 및 답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교사는 사전에 마련된 평가 척도를 활용하여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을 관찰․평가하였고, 수업 과정에서 발견한 학생의 특징을 누가 기록하여 학기 말에 학교생활기록부에 반영하였다. 연구의 결과 온라인 실시간 쌍방향 수업은 대면 수업의 차선 방안으로 학생들의 참여도와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비대면 온라인 수업 과정에서도 과정 중심 평가를 실현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수업 참여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학교생활기록부에 반영할 수 있어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가 가능하였다. 온라인 실시간 쌍방향 수업은 미래 교육에 활용될 유용한 수업 방안 중 하나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온라인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학습자 만족도 조사 연구

        강소산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2

        온라인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학습자 만족도 조사 연구 강 소 산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학부생 대상의 온라인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사례를 소개하고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 국내의 B 대학에서 개설된 ‘한국어회화연습’ 수업에서 실시간 화상 수업과 동영상 수업으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실시하고 학습자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온라인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63점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시간 화상 수업과 동영상 수업의 만족도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 실시된 활동 중 학습자간 활동보다 교사와의 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한국어 말하기 수업이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말하기 수업에서 동영상 수업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 학습자간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교육 방법을 면밀히 설계할 필요가 있다. 핵심어: 온라인 수업, 한국어 말하기 수업, 학습자 만족도 조사, 실시간 화상 수업, 동영상 수업 A Study on Investigating Learner Satisfactionin Online Korean Speaking Classes Sosan K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cases of online Korean speaking classes targeting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classes. Real-time video classes and video-based classes were conducted for Korean speaking classes in the “Korean Conversation Practice” course offered at university B in South Korea, and learner satisfaction was survey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learner satisfaction with online Korean speaking classes was observed to be high, scoring 4.63 out of 5 points. Secondly, satisfaction levels between real-time video classes and video-based classes were similar. Thirdly, among the activities conducted in real-time video classes, there was a higher preference for activities involving teachers over activities among learn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monstrating the potential of online Korean speaking classes to meet learners’ needs. Furthermore, it confirms the viability of utilizing video-based instruction in speaking classes. There is a need for meticulous design of teaching methods to facilitate smooth learner interaction in real-time video based Korean speaking classes. Key Words: Online Classes, Korean Speaking Classes, Learner Satisfaction Survey, Real-time Video Classes, Video-based Classes □ 접수일: 2024년 3월 20일, 수정일: 2024년 4월 15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0일* 이 논문은 2024년도 부산외국어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어교육전공 교수(Professor, Busan Univ. of Foreign Studies, Email: sosan@bufs.ac.kr)

      • KCI등재

        온라인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교환 학생 대상 초급 한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

        김현주 중앙어문학회 2023 語文論集 Vol.96 No.-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교환 학생 대상의 초급 한국어 수업에 온라인 플립드 러닝(Online 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교육 사례를 통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플립드 러닝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새로운 교육 환경에 맞는 한국어 교육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20학년도 2학기 16주 동안 교환 학생 대상 초급 한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플립드 러닝(Online Flipp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하는 수업을 실시하였다. 교수자는 직접 제작한 동영상 강의를 수업 전에 학교 온라인 시스템에 탑재하였다. 학습자들은 본 수업 전에 동영상 강의를 수강하 고 본 수업에 필요한 어휘나 문법을 사전학습하였다. 본 수업은 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실시하였다. 수업 후에는 본 수업 내용과 관련된 과제를 수행하면서 수업 내용을 연습하고 심화 학습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수업 후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 학습자들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 방식이나 수업 내용에 대해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앞으로 완벽한 엔데믹 시대가 된다 하더라도 기존의 실험적인 교수 학습 방안이 온라인을 기반으로 수정 보완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더 많아질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교육 환경을 맞이하여 온라인 플립드 러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온라인 수업에 맞는 다양한 한국어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다양한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성공적인 온라인 플립드 러닝을 위해서 교수자는 온라인 학습 공간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온라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을 활용하는 플립드 러닝에서 더 나아가 온라인 기반의 플립드 러닝을 초급 한국어 수업에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이끌어 냈으며, 이를 통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교육 환경에 맞는 새로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communication-oriented class situations through online flipped learning applied to beginner Korean language classes for exchange students and to find implications in the preparations for Korean languageeducation. Thus, online flipped earning was conducted for 16 week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he instructor uploaded a self-produced video lecture to the school’s online system before class. Prior to the class, students watched the video lectures and studied vocabulary or grammar lessons necessary for this class. Zoom was used to facilitate real-time online classes. After class, they had time to practice and learn the contents of the class while performing tasks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is class. In the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after class, learners generally gave positive opinions about the real-time online teaching method or class content. Existing experiment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ill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online in the future, even in the case of a perfect endemic era. To successfully perform online flipped learning in his new educational environment,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First,developingvariousKoreantextbookssuitableforonlineclassesisnecessary. Second, research o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itable for online classes should be conducted. Third, for successful online flipped learning, instructors should actively utilize the online learning spac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esented a new educational plan suitable for the new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post-COVID19 era by applying online-based flipped learning modified and supplemented from the existing flip learning to beginner Korean classes.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 대상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 연구 : 학습자 간 상호작용 양상 및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이연정(Lee, Yeon Jeong),김경연(Kim, Kyung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 유학생들의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그들의 온라인 토론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어 고급 수준인 학부 유학생들의 온라인 토론 내용을 Henri(1992)의 내용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한 만족도 결과는 SPSS-ver 25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결과 조사 결과, 학부 유학생들은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이 오프라인 토론에 비해 인지적, 정서적 그리고 참여적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토론은 시공간적 제약이 없기 때문에 인지적으로 자료를 검색하고 주제에 대해 숙고한 후, 보다 논리적으로 반박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토론에서는 긴장을 하거나 수줍음을 많이 타게 되는 데 비해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은 상대적으로 긴장이 덜 하여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토론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 반면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은 비대면으로 진행되고, 시간이 지연이 되기 때문에 토론이 가지는 본질적 특성인 소통에 있어서 한계가 있고, 비언어적 요소가 단절되거나 즉각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토론 현장의 생생한 분위기를 느낄 수 없다는 점 등이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실제 발화 기회가 없기 때문에 대인관계 형성 및 한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는 효과가 낮은 것을 단점으로 들었다. 토론 운영 기간을 단축함으로써 발화 지연에 대한 피로도를 낮추고, 실시간 온라인 토론과 병행⋅실시함으로써 비대면,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이 갖는 방법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non-real-time online discussions among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to analyze their perceptions of their online discussion learning experiences. Methods To this end, the content analysis model of Henri (1992) was appli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online discussions of 43 undergraduate students with advanced Korean language levels, and the survey conducted on their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xperiences. Result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reign students perceived that non-real-time online discussions had advantages in cognitive, emotional and participatory aspects over offline discussions. Specifically, online discussions have no spatio-temporal constraints, so they cognitively search for data and deliberate on the topic to argue more logically. Moreover the students free and comfortable to participate in the debate because offline discussions easily become nervous or shy, while non-real-time online discussions are less tense and less stressful. On the other hand, it was pointed out that non-real-time online discussions are non-face-to-face and time-delayed, so there are limitations in communication and non-verbal elements, no immediate feedback and no vivid atmosphere at the discussion site. It also mentioned the disadvantage of having little help in form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mproving Korean speaking skills because there is no actual opportunity to speak. Conclusions In order to overcome the methodical limitations of non-real-time online discussions, we first need to reduce the fatigue of speech delays by shortening the duration of discussion.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and non-real-time situations will be overcome by parallel and implemented with time-on-line discussions.

      • KCI등재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정선(Choi, Jungsun),권미경(Kwon, Meekyung),최은경(Choi, Eun-Kyung) 동악어문학회 2020 동악어문학 Vol.81 No.-

        본고의 목적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실시한 기관의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에 대해 가지는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내실화와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교수자 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익숙하지 않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 방식도 사전에 충분한 교육을 받으면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만족스러운 교수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제점으로는 프로그램 오류, 필기와 자료 공유의 불편함, 발표와 토론, 과제 피드백 등이 제기되었고, 교수자들은 학생들의 실력 향상이나 효과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상호작용, 학생의 동기유발, 참여 등의 측면에서도 부정적이었다. 교수자들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비해서 대면수업이 더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향후 유사한 프로그램의 기술이 더욱 고도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실시간 온라인 수업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 연구 결과를 통해 대면수업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객관적 성취도 결과 비교 연구, 학습자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비교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structor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levels about real-time online classes that their institutions have conducted and propose ways of enhancing and activating the class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68 instructor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t D University. Through the survey results, we found that teaching methods that have not been dealt with before can be satisfactory for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if they have sufficient training in advance to master the methods. The instructors raised problems in the online classes such as Webex program errors and the inconvenience of writing on the screen and data sharing,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task feedback. They didn"t respond positively to the improvement or learning effectiveness of most learners and they were also negative about various interactions and learners"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classes. As a result, they were perceiving that face-to-face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than real-time online one, but the online classes will be further expanded as the technology of similar programs is expected to become more advanced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paper suggested a comparative study of objective achievement results in face-to-face classes and real-time online classes, a study on learner"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levels, and a study on comparis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s perception.

      • KCI등재

        실시간 온라인 수업 및 조별 활동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느끼는 사회적 실재감 연구

        이경(Lee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과 수업 중 이루어지는 조별 활동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느끼는 사회적 실재감을 연구하고, 사회적 실재감이 온라인 수업 및 조별 활동에 대한 만족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20년 12월부터 1월까지 중국, 베트남 국적 외국인 유학생 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Jamovi 1.6.1.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재학 기간이 길고, 한국어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실재감을 더 느끼는 경향성을 찾아볼 수 있었으나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컴퓨터 효능감이 높은 집단이 사회적 실재감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사회적 실재감은 온라인 수업 만족도, 온라인 조별 활동 만족도, 오프라인 대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순으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실재감은 온라인 수업 만족도와 오프라인 수업 대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온라인 조별 활동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그 설명력은 각각 39.3%, 21.7%, 37.5%로 나타났다.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변인으로는 개방적 커뮤니케이션이 추출되었으며 온라인 조별 활동 만족도의 경우 정서적인 유대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ocial prese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real-time online classe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presence on the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and group activities during class and others. In this study, from December to January 2020, a survey was conducted on 84 international students of Chinese and Vietnamese nationalit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Jamovi 1.6.1.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as the learner s enrollment period was longer and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was higher, a tendency to feel more social presence was foun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was found between group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high computer efficacy perceived social presence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ocial presence ha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in the order of online class satisfaction, online group activity satisfaction, and online class preference compared to offline.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pres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nline class satisfaction, online class preference compared to offline class, and online group activity satisfaction,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39.3%, 21.7%, and 37.5%, respectively. Open communication was extracted as a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nline class satisfaction, and emotional fellowship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online group activities.

      • KCI등재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의 팀기반 학습(TBL) 적용 사례 연구 - 학부 유학생 대상 한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

        김현주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0 No.-

        Owing to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we had to prepare for a new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the expectation of future changes in the educational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a real-time online Korean language class case applying Team-Based Learning (TBL) was presented to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The first priority was the possible interaction among learners, and that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The learners responded that there were difficulties in conducting non-face-to-face discussions while preparing for group discussions or presentations. Interestingly, while complaining regarding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a group presentation in a non-face-to-face situation, many believed they could learn through group discussions and presentation classes, and that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lass. The results suggest three requirements for successfully leading TBL in real-time online Korean classes: first, it is recommended to actively use the bulletin board during online-based TBL classes; second, instructors should design online classes more thoroughly than face-to-face classes, and explain the contents of classes or guidance on TBL activities in greater detail; and third, the online system for real-time online classes should be stably equipped.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classes in Korea, Vietnam, and China successfully conducted TBL, which was not easy during face-to-face classes. Therefore, the limitations of online classes should be addressed by adopting mor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effective online education in the future. COVID-19가 장기화되면서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예측과 함께 새로운 교육 환경을 대비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부유학생을 대상으로 팀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을 적용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사례를 제시하고 TBL을 적용한 수업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TBL 수업의 장점에 대해서 동료간의 상호작용과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가능했던 점을 가장 우선으로 꼽았다. 반면에 조별 토론이나 발표 준비 시 비대면으로 진행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비대면 상황에서의 조별발표를 준비하는 것에 어려움이 많았다고 토로하면서도 TBL 수업을 통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으며 수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는 의견이 많았다는 점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의 팀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기반 TBL 수업에서는 게시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둘째, 교수자는 면대면 수업보다 더욱더 철저하게 수업 설계를 하고 수업 내용이나 TBL 활동에 대한 안내 등을 더 상세히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 셋째,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위한 온라인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잘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한국과 베트남, 중국에서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팀기반 학습(Team Based Learning)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추후 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면 온라인 수업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앞으로 효과적인 온라인 교육을 설계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