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미술교육에서 동양신화의 교육적 의미와 가능성에 관한 고찰

        김귀옥(Kim, Kwi-O)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3

        요즘 학생들에게 신화적.주술적 이야기의 소재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원인을 커뮤니케이션의 주요한 수단이 문자매체에서 영상매체 즉, 문자의 사유에서 이미지의 사유로 넘어가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는 견해들이 있다. 또한 우리 앞에 펼쳐질 21세기는 ‘문화적 상상력’이 큰 힘이 될 것이라 보고 있으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접근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신화의 가치에 주목하고 이를 통한 다양한 문화적․교육적 접근들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미술 안에서 동양신화를 통한 교육적 접근은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미술교육에서 동양신화의 교육적 의미를 짚어보고, 동양신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지도를 통해 그 교육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미술교육에서 동양신화는 전통미술, 시각문화, 다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문화적 상상력을 통한 창의성 신장이라는 교육적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초등교과서에서 동양신화가 다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동양신화보다 서양신화에 더 높은 이해와 흥미를 가지고 있음을 설문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에 동양신화가 좀 더 적극적으로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져야 하며, 서양 중심의 가치관에 물든 학생들에게 현재 삶에 기초가 되는 문화적․전통적 토대로서의 동양신화의 가치를 교육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students like many stories based on the myths and occults from many different cultures. Some people say this is because the main means for communication are changed to image-based media from text-based media, or, to image-based thinking from text-based thinking. And in the 21st century, cultural imaginative power will be much more accounted. So many people are trying to find the ways to improve students' cultural imaginative powers. In same reason, some people notice the value of myths, and are trying to use them for educational and cultural purpose. But, the educational attempts through the oriental myths are passed over in art education. Accordingly, in this research, I will deal with the educational meanings of oriental myths in elementary art education, and consider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through surveys for students' knowledge level of oriental myths. In art education, oriental myths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art, visual art, multi cultural education. They also can grow students' creative talent through improving their cultural imaginative powers. As a result of surveys, oriental myths are in the current curriculum, but many students prefer the western myths than the oriental myths. This means the contents for oriental myths have to be taught more easily and interestingly, and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value of the oriental myths as our students' cultural, traditional basis.

      • KCI등재후보

        신화,서사시 연구의 반성과 전망

        崔元午 한국구비문학회 2002 口碑文學硏究 Vol.15 No.-

        이 논문은 ‘현 단계 구비문학 연구의 좌표’라는 기획주제 중 하나로, 이제까지의 신화와 서사시 연구의 성과를 반성하고 전망한 것이다. 필자는 이것을 ‘연구자’의 문제에서 검토하였다. 환경이 바뀌었다고 해서 연구대상만 넓히면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신화의 경우 문헌신화를 중심으로 한 민족적 연구, 구전신화에 대한 인류학적,민속학적,문학적 연구, 비교신화의 연구 등으로 연구자의 관심이 바뀌어 왔다. 서사시의 경우 국내의 것에 집중하던 연구에서 최근에는 주변 민족의 것과 비교 연구하려는 경향이 증대하고 있다. 신화나 서사시 모두 비교연구가 급속하게 진전되고 있음을 본다. 그러나 21세기의 환경에서 신화, 서사시 연구자는 연구자세를 바꿔야할 필요성이 있다. 즉 신화의 경우 비교연구의 지속성과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한 신화론의 창출, 인접학문과의 연관성 속에서 신화 연구하기, 신화 풀어쓰기 및 다양한 활용의 모색, 현대 신화의 범주 설정과 탐구 및 대중문화의 신화적 분석 등에, 서사시의 경우 기존 연구의 심화를 통한 이론 정립 및 동영상 작업의 강구, 비교연구의 진행, 판소리 창작의 필요성 및 창작 이론의 제시 등에 전향적 자세를 보여야 한다. 이런 것들을 충분히 소화하자면 이제 신화, 서사시 연구자는 문학연구자로서 뿐만 아니라 문화연구자를 겸하는 자리에 서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신화내부 시간범주에 따른 알타이신화 모티프 분류

        양민종(Yang Min-jong) 고조선단군학회 2010 고조선단군학 Vol.22 No.-

        Altaic myth-tales have been regarded by us as a collection of whole bunch of similar fantastic stories which contains Altaic mythological themes and characters. So it is quite natural for us to think that altaic myth-tales does not have a logically successive time structure within myth-talesstory-texts. However the author points out that there are certain possible common structures in the various Altaic myth-tales with which we can understand the Altaic myth-tales as a whole Mythology System, like a Chinese Mythology, an Indian Mythology, a Greek Mythology and so on. So the author tries to pin point 3 categories which may restructure the various myth-tales as a successive logical structure, like a Chinese mythology or a Greek mythology. The author suggests the 3 steps of Altaic Myth-tales with a view point of myth-time-logic. The first step is 〈altaic mythology before the creation of human beings〉. The second phase is 〈altaic mythology after the creation of human beings〉. The final stage is 〈an open myth-tales toward the epos-tales〉. Within above 3 categories, the author gives us various altaic myth-tale motifs which justify the author’s theory. If we can admit the authors suggestion as one of perspective ways of studies, it might be very helpful to understand the intrinsic structure of altaic myth-t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uthor hopes, can contribute to other myth-tales researchers to think over the possibilities and values of a certain Altaic myth-tales system.

      • KCI등재

        주몽신화에서의 홍수모티프 연구

        박계옥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4 인문학연구 Vol.32 No.-

        한국의 건국신화 가운데서 고구려 개국과 관련된 주몽신화는 대표적인 영웅신화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구려 건국과 관련하여 많은 사서류 문헌자료들이 있으나 그중 신화적 색채가 짙은 『동국이상국집』의 〈동명왕편〉계열의 문헌자료를 위주로 다른 자료에는 없는 주몽과 송양왕의 대결에서 나타나는 홍수모티프에 주목하여 심층적인 신화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지하다시피 홍수신화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제2의 인류창조신화이고 파괴와 재생으로 이어지는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다. 주몽신화에서의 홍수모티프도 비류국에 대한 홍수의 파괴와 구원으로 서사가 이루어지므로 기본적으로 같은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다. 진일보로 홍수모티프의 화소들을 분석해보면 세계적인 홍수신화의 모티프에 대응하는 신의 분노(사슴으로 저주)-징벌(장마비를 7일간 내리게 함)-구원(갈대 밧줄, 채찍)-재생, 창조(비류국의 왕과 백성을 고구려로 귀속시킴)의 구조와 신화적 화소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미르치아 일리아데의 홍수상징의 신화적 원리에 의해 첫째로 천지창조의 태초회귀원리와 둘째로 침례에 의한 새로운 질서에로 편입하는 신화적 원리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논의로부터 주몽신화의 세계적인 신화모티프로서의 한 단면을 살펴 볼 수 있고 더 나아가 인간의 삶에서 영웅 및 건국과 관련된 홍수의 가치에 대해 새로운 이해의 지평을 열 수 있게 된다.

      • KCI등재후보

        동서양의 문화영웅 비교 -우신화와 프로메테우스신화를 대상으로

        나경수 ( Kyung Soo Na ) 남도민속학회 2009 남도민속연구 Vol.18 No.-

        신화는 문화권을 반영한다. 거대문화권인 동양과 서양은 일종의 신화권이라고도 볼 수 있다. 신화 중에서도 문화권에 민감한 신화는 문화기원신화라 하겠다. 동양의 대표적인 문화기원신화는 우신화요, 서양의 대표적인 신화는 프로메테우스신화를 꼽는다. 지금까지 이러한 대표성에도 불구하고 두 신화의 비교연구가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양과 서양을 대표하는 두 문화기원신화를 비교하여 그것들이 전승되어 왔던 문화권의 특징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중국의 우신화는 치수와 관련된 신화이다. 큰 홍수가 났을 때 곤이 하늘을 막고 땅의 물을 묻으려 했지만 실패한 대신에 우는 물이 흘러갈 수 있도록 물길을 내줌으로써 치수에 성공한다. 곧 자연에 거역하면 실패하고, 자연에 순응하면 성공하는 줄거리다. 반면에 그리스의 프로메테우스신화에서는 제우스의 엄명을 어기고 불을 훔쳐다 사람에게 가져다준다. 비록 자연의 다른 이름인 제우스를 거역하기는 했지만, 결국 인간이 불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자연에 대한 거역의 줄거리를 가졌다. 이러한 줄거리는 논리적 구조로 변환할 수 있는데, 우신화는 궁·변·통(窮變通), 프로메테우스신화는 정·반·합(正反合)이라는 동양과 서양의 각기 다른 변증법적 체계로 드러난다. 또한 문화화의 징표로서 동양은 물이 대표적인데 반해서 서양은 불이 대표적인 것으로 선택되고 있다. 자연과 인간 또는 신과 인간 사이의 갈등 구조에 있어서 동양은 순응의 원리를 보이는 반면 서양은 거역의 원리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A myth reflects a cultural area. The East and the West, which are the huge cultural area, can be seen to be a kind of mythological circle. A myth, which is sensitive to a cultural area even among myths, can be said to be culture origin myth. The typically culture origin myth in the East is a myth of U(禹). The typical myth in the West is selected Prometheus. In the face of this representation so far, a comparative research on two myths have never been performe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seek for characteristics in the cultural area that those had been transmitted, by comparing two of culture origin myths, which stand for the East and the West. The myth of U(禹) in China is the one related to flood control(治水). When big flood happened, Gon(鯤) tried to prevent the sky and to bury water, but failed. Instead, U(禹) succeeds in flood control by allowing a waterway so that water can flow. In other words, it is a plot that fails given disobeys nature and that succeeds given accepting nature. On the other hand, in the myth of Prometheus in Greece, it violates Zeus``s strict order, and steals fire and brings it to a person. In a sense that a human being resulted in being able to use fire even if Zeus, which is another name of nature, was disobeyed, it had a plot of opposition against nature. As this plot can be changed into a logical structure, it is revealed with mutually different dialectical system in the East and the West called Gung·Byeon·Tong(窮變通) in the myth of U(禹), and Jeong·Ban·Hap(正反合) in Prometheus. Also, as a sign of enculturation, the East is represented by water. On the other hand, the West is being selected fire as typical. In a sense of being shown a principle of conformity in the East and a principle of disobedience in the West regarding the structure of conflict between nature and a human being or between God and a human being, the difference is indicated.

      • KCI등재

        애니메이션 <천년여우>와 <파프리카>에 나타난 신화 이미지

        홍은아(Eun-A Hong),김정호(Jung-Ho Kim)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2 애니메이션연구 Vol.8 No.2

        신화가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신화는 예술작품과 똑같이 정신의 자율적 창조행위이며, 모든 창조의 본성을 계시한다고 한 엘리아데의 말을 고려해서 생각해 보면 극장에서 상연되는 연극, 영화, 공연예술 그리고 애니메이션 등이 과거 신화가 했던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신화는 현재에도 여러 부분에서 삶에 의미를 부여해주고 문화적인 가치를 계속 창조해내고 있다. 따라서 이글에서는 실제로 남아있는 신화 이미지들이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부분이 창작된 이미지들-계획된 이미지들-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다른 장르들과는 구별되는 애니메이션을 분석대상으로 택하여 논지를 전개하였다. 더 나아가 애니메이션 작품들 중에서도 전승되고 있는 신화 내용 자체를 소재로 만들어진 작품들이 아닌 즉, 신화나 전설에서 이야기를 직접 차용하지 않은 작품에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들어가 있는 신화의 상징 이미지를 찾아보게 되었다. 분석대상으로 곤 사토시 감독의 두 작품 <천년여우>와 <파프리카>를 택하여 신화, 상징, 이미지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한 후, 곤사토시 감독의 작품세계와 실제 그의 작품에 드러난 신화 이미지들에 대한 분석의 순서로 논지를 전개하였다. 결과적으로 두 작품에 감독의 의도아래 이루어진 작업인지 아니면 무의식의 원형이든지 신화의 상징 이미지가 이야기의 흐름에 맞춰 애니메이션 안에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천년여우>의 연꽃, 성소(聖所), 달, 학 그리고 성스러운 의식의 반복과 <파프리카>의 나무, 나비 등의 이미지들은 신화의 원형적 의미에서 벗어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났고, 거기에 <파프리카>의 경우에는 스핑크스와 오이디푸스의 이미지라든가, 변신 모티프 등의 그리스 신화를 직접적으로 차용한 이미지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신화는 오랜 시간 계속해서 살아남아왔듯이 앞으로도 계속 살아남을 것이고, 단지 그것을 전달하는 방식이 변할 뿐이다. 현재 그러한 방식 중의 하나가 애니메이션인 것이며, 애니메이션은 그 신화를 이야기로 만들어 전달할 수도 있고, 신화의 상징이미지의 원형적 의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어떤 방법이 되었든 신화를 애니메이션 작품에 활용하는 일은 충분히 매력적이다. It is obvious that the myth includes a story. Considering what Eliade said, I think that the today"s plays, movies and animations are the genres replaced the ancient myths. At present, myth gives a meaning to the life in various fields and continuously creates cultural values, too. In this article, to find out the current state of mythic images, the animation is selected. Because it is consist of created images, the animation is different from the other genres. That is why the animation is selected. Furthermore, for setting this article apart from the other articles, this analyzes the animations not based on the mythological stories. For this reason, two works of Satoshi Kon-<Millennium Actress>and <Paprika>-are selected to the targets of analysis. Aft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yth, symbol and images is summarized, the works of Satoshi Kon are observed. And mythic images of the <Millennium Actress>and <Paprika> are analyzed. In conclusion, the symbolic images of myth are suitable images for the stories of two works. Images-the lotus, holy place, moon, crane, and repetition of sacred ritual of <Millennium Actress> and the tree and psyche of <Paprika> -have followed the archetypal meaning of myth. In addition, images of Greek mythology such as metamorphosis, Oedipus and the Sphinx are directly used in <Paprika>. Myth will be continued as it has survived for a long time. How to convey the myth is only changed. One of the means of communication is now the animation, and the animation can convey the mythological stories or symbolic images of myth. In any case, it must be attractive that the myth is applied in the animation.

      • KCI등재

        Valeur du mythe comme instrument comparatif

        Simon Kim 프랑스학회 2010 프랑스학연구 Vol.52 No.-

        인류학을 비롯하여 (비교)문학에서 사회학까지 신화라는 개념이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넓게 쓰이면 쓰일수록 그 의미가 흐릿해지는 것 같다. 본 논문은 신화의 정의를 살펴보면서 신화의 본뜻을 되찾아 비교문학 분야에서 신화를 어떤 개념으로 사용할 수 있을 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신화는 먼저 이야기이며, 신[神] 혹은 영웅들의 일화들을 다루는 이야기이다. 레비스트라우쓰Claude Lévi-Strauss같은 인류학자들이나 엘리아드Mircea Eliade 같은 신화론자들은 신화가 또한 기원의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이야기들이라고 하기도 한다. 그리하여 신화의 구성특징을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 째, 신화는 구두로 전해지는 이야기이고, 둘째, 신화 그 자체로 성[聖]스러운 면이 깃들어 있으므로 정해진 인간 저자가 없는 이야기라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단군의 이야기는 한반도의 기원을 이야기해주며 그 이야기의 원 저자가 없다는 것만으로도 그 이야기를 충분히 신화로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미리 언급된 신화의 두 구성특징 외에도, 신화라는 것을 구성하는 또 다른 요소가 있다. 그 요소는 신화[mythe]의 어원에서 찾을 수 있다. 신화[mythe]는 희랍어 뮈토스[μύθος]에서 나오는 말인데, 희랍어에서의 μύθος라는 그 말은, 꼭 오늘날에 널리 알려진 mythe[신화]라는 뜻보다도, 말을 정의하는데 쓰이는 여러 방법 중 하나와 더 가깝게 정의된다고 볼 수 있다. 플라톤부터 고전 철학에서 μύθος는 말의 일 면으로 정이되고 있으며, 이와 상반된 말의 다른 면은 바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로고스[λόγος]이다. 따라서 μύθος는 이야기보다 말의 형태며, 합리적인 언어능력을 가리키는 λόγος의 반대로 합리적으로 설명이 안 될 때 사용되는 언어의 기능이다. 철학에 속하는 개념이니만큼 철학적인 내용, 즉 진리의 말로 이해된 μύθος가 우리가 말하는 신화에 철학적인 면을 다루게 한다. 비합리적으로 말한 진리를 알려면, 해석이 필요할 것이고, 신화는 역시 해석을 부르는 말/이야기이다. 신화는 또한 이야기의 내용과, 그 이야기의 구성을 같이 가지기 때문에, 놀스롭 프라이Northrop Frye가 말하는 ‘서술 구조’(narrative structure)로 되어있다. 이에 따라, 서술 구조로 본 신화는 해석할 이야기이면서도 해석을 위한 구성의 도구이다. 마지막으로, 신화라는 개념이 해석을 위한 도구라고 하면, 무엇을 해석해주는 도구냐는 문제가 남는다. 이렇게 푼 신화의 뜻이 워낙에 희랍의 고대문화와 깊숙한 관계가 있다 보니, 우리가 종종 보편적으로 적용해 쓰는 신화이기보다는(우리가 종종 신화를 보편적으로 방대히 적용하여 끼어 맞추는 일을 하며 여러 가지 정확한 디테일을 놓치는 실수를 사전에 예방하려면), 좀 더 세심한 비교를 위해 쓰이는 것이 훨씬 적합한 도구로의 활용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歸墟神話 硏究 : 그 기원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宣釘奎 중국어문연구회 2001 中國語文論叢 Vol.20 No.-

        樂園神話是表達古代人類企求長壽永生與安樂度世的願望與理想. 中國古代的樂園神話, 可以歸納爲兩個系統., 一個是西方的崑崙, 령一個是東方的歸墟. 崑崙位於世界中心, 是連接天地之間的聖山, 經此崑崙天柱可上達天上, 是不死之仙鄕. 歸墟在渤海之東不知幾億萬里的茫茫大海中, 天下和所有地上的河水無不往此匯注, 是一個水量沒有增減的無底之谷. 這歸墟里面就有長生不死的神仙居住的三神山. 由此可見, 歸墟和不死的樂園意境有不可分的關係. 但除了《列子ㆍ湯問》以外, 我們在先秦和漢代的古籍上出現的有關樂園仙鄕的記載里, 조不出歸墟此一字彙. 而且根據《列子ㆍ湯問》所言,所謂三神山就是從五神山沿變出來的, 可是《史記ㆍ封禪書》沒有記錄這些沿變過程以及關於歸墟和神山的關係, 只提出蓬萊方丈瀛州此三神山而已. 所以學界對於三神山的由來的看法有西岐異, 或謂歸墟五神山神話是本着三神話而來, 或謂三神山神話是從五神山演變出來的. 這種看法不同的起因是因爲由於不少人疑心《列子》是晉代的僞書, 所以以爲歸墟五神山神話亦在後代發展出來的. 本稿討論的結果, 獲得如下的結論. 1)《列子ㆍ湯問》所說的歸墟五神山比《史記ㆍ奉禪書》所說的海外三神山是更古老的神話, 因爲《楚辭》和《莊子》等戰國時期文獻裏已有與《裂子ㆍ湯問》所說的歸墟和五神山神話相同或類似的神話出現, 比如《楚辭ㆍ天問》的關於東流不溢和巨鼈負山的發問, 《莊子ㆍ秋水》的尾閭,《莊子ㆍ外物》的任公子조大魚的敍事等. 2)無底之國歸墟不是獨立發生的神話, 而是中國創世神話的一部分, 由於西高東低的中國地勢, 百川都流入東海而海水병不漲溢, 古代人就創造了歸墟來解釋這些自然地理現象, 병不只是爲了說明黃河流入渤海而創造出來的神話. 3)《列子ㆍ湯問》所說的關於歸墟和神山的神話병不是從最初開始的時後合在一起的. 有關無底之國歸墟和巨鼈負山以及龍伯國巨人等的個別神話, 在各各獨立生成而流傳下來以後, 到春秋末戰國初, 基於神仙不死思想的興盛而這些個別神話合而爲一的. 4)歸墟五神山神話是在崑崙神話東來之過程當中, 以崑崙仙鄕作爲基型, 新創造出來的. 因此歸墟五神山的形象就有與崑崙相對稱的因素, 比如神與仙, 海與山的竝存. 而且中國神話的可變性這一個特質也是讓崑崙和歸墟融合起來的重要原因之一. 5)《史記ㆍ封禪書》所說的三神山傳說, 是春秋戰國時代的方士們爲了透過神仙之說以獲得政治上有利的地位, 故意把歸墟和三神山就被分開來, 以後只有逢萊三神山的傳說流傳下來, 成爲代表性的東方仙鄕. 因此就産生了有漢人的 "觀覽縣圃, 浮遊蓬萊"的觀念

      • 한만창세신화비교

        조은상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10 人文論叢 Vol.27 No.-

        한민족과 만주족의 창세신화는 고대 원시사회의 상상력과 창의력에서 생산된 산물이며, 양 민족의 세계관을 잘 반영하는 역사적 증거이다. 하지만, 각기 다른 역사적 경험을 거치면서 서로 다른 사상과 문화를 만들었다. 만주족 신화의 줄거리와 인물, 소재 등은 인근 민족과 유사점을 나타내고 있지만 그러면서도 독특한 상상력을 통해 많은 신화를 탄생시켰다. 그 중에서 가장 독특한 것은 샤머니즘의 영향을 받아 탄생된 여신의 출현이다. 이 여신은 훗날 만주족에 의해 선녀로 둔감하기도 하는데, 이 선녀가 바로 한민족의 창세신화에 자주 등장하는 선녀의 이미지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 한민족의 창세신화인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웅녀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하지만, 시조신화와 홍수신화 등 신화의 다양성 면에서는 한민족의 신화가 만주족의 신화보다 풍부하고 다채로움을 알 수 있다. 이를 종합하여 보건데, 두 민족 간의 창세신화는 어느 한쪽의 수직하방의 영향관계라기 보다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는 양방향(interactive) 관계이다.

      • KCI등재후보

        신화의 의미작용과 제의화의 원리

        오세정(Oh Se-Jeong) 실천민속학회 2007 실천민속학연구 Vol.10 No.-

        신화는 다른 문학 텍스트와 달리 비교적 단일한 의미로 해석되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신화가 일반 문학 텍스트의 해석과는 달리 특정한 의미작용의 규칙에 지배받는다는 점을 나타낸다. 신화 텍스트는 현실의 세계를 기준으로 볼 때 가장 비합리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재현된 세계의 규칙도 비논리적인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화는 오랜 기간 동안 특정한 의미체계를 형성하고 정전적인 내용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 원인은 신화가 제의라는 의사소통의 틀 속에서 메시지로 존재하며, 제의화의 원리 속에서 의미작용하기 때문이다. 의사소통, 의미작용을 강제하는 인식틀로서 제의를 바라보는 시각은 제의와 신화를 언어와 행위라는 단순화의 논리를 넘어서게 하고, 세계를 창조하고 의미를 생성하는 틀로서 제의를 새롭게 자리매김 한다. 일상적 언어 규칙과 달리 제의 속에서는 표현된 것과 지시하는 것 사이에 강력한 관계를 형성시키는 의미작용이 일어난다. 일반적 언어기호가 자의성에 따른 선택의 사회적 약속이라면, 제의화에 따른 의미작용은 전형화된 제시와 반응 패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공동체 내부의 정서적 결속과 인식의 합의가 도출될 수 있다. 인간의 다양한 의사소통의 양식 중에서 제의는 인간의 존재론적 한계와 그에 따른 욕망이 만들어낸 소통 양식이다. 여기서 소통되는 메시지는 인간의 근원적 몸부림과 사고방식이 녹아 있다. 제의화의 의미작용은 상징과 유사하게 언어 외적 세계와 밀착된 관련을 맺는다. 상징과 마찬가지로, 비록 언어화된 신화라도 외부 세계, 즉 초월적 존재와의 소통, 근원적 세계의 힘과 결합됨으로써 신화를 수용하는 인간들의 삶 속에서 재생된다. 요컨대, 제의는 사람들이 자신의 세계를 창조하고 수용하며, 소통하게끔 강제하는 틀이다. 이 제의 연행 속의 의미작용, 즉 제의화는 힘과 형식의 결합에 관한 전형화된 유형을 제공하며 인간의 일상적 기호작용이 포섭하지 못하는 무언가 근원적 영역을 감당하는 것이다. 상징적 영역으로 명명할 수 있는 이 영역에 대한 언어적 구성물이 바로 신화이다. 제의와 신화의 관계를 이 같이 설정함에 따라, 기호화되어 생성되는 신화 메시지의 해석방식을 도출하기가 용이하며, 의사소통 체계 속에서의 효과, 나아가 신화 전승집단의 사유방식의 내적 원리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s a research into the signification of the myth in relation to the ritual and ritual communication. Compared with other narrative genres, the myth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s contents are the stories about the marvelous achievements of a divine existence and that it is accepted as a true and real story through the process of its transmissio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myth can be understood in the relation with the ritual which is frame of formation and communication of a myth. The ritual, one of the communicative actions to bring forth and communicate the meaning, has the strong formal rules. The ritual not only does form a specific message, but also forces the its participants into the specific communication. In the ritual, a myth becomes the message of this ritual communication field, a myth is communicated and transmitted as a divine story or a true story. The signification of myth, that is to say ritualization combines referents which are beyond human's ordinary limitation and experience with the sign. The effect of ritualization is very much alike symbolism. Symbol is combination of power and form to represent something transcendental and natural, and that feature of symbol have application to myth. The ritual as a communication type is result of human being's overcoming own ontological limitation. Men always have desire to communicate the supernatural and combine himself with power of the original world. And then men make desire an actuality through the myth. Through the researching the signification of myth, we can extend our knowledge and deepen understanding of myth, ritual and fundamental way of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