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집논문 : 대장경과 교판

        지창규 ( Chang Gyu Ji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08 전자불전 Vol.10 No.-

        본 논문을 통해 대장경과 교 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향후 한글대장경 구성 방향은 고려대장경의 구성과 체재를 전반적으로 따르면 대체로 무난할 것이다. 대장경과 교판 의 교 판이 원래는 불타의 경 설을 나름대로 밝히려는 불교방법론이라는 측면에서는 교판 에 대한 종래의 인식도 바꿀 필요는 있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오 시설에 대한 현실적인 벽이 높다면 차선책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도 강구될 수 있다. 첫째, 한국 대장경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서는 원효대사의 교판 설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저술이 온전하게 남겨져 있지 않고 또 단지 몇 개의 저술을 가지고 그의 교판 설을 재단하기가 쉽지 않으며 또 가장 큰 문제는 일관적인 교판 설이 없다는 것이다. 둘째, 고려 제관법사의 오시팔교설을 이용하는 것이 대장경을 체계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천태종의 교판 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기가 힘들 것 같다. 셋째, 의천대각국사의 목록을 활용하는 방식이 있다. 고려대장경에 의천 목록이 활용되지 않았지만 오히려 한글대장경이 고려대장경을 모본으로 삼았다고 한다면 의천목록과 같은 경록을 중심으로 章疏를 구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신편제종교장총록 (이하 의천 목록)은 아무래도 諸宗의 敎藏을 모은 것이기에 삼장의 구성에는 기본적으로 문제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한글대장경 구성에 원효대사나 제관법사의 교판 설 그리고 의천대각국사의 의천 목록 등을 바로 적용하기에는 적지 않은 문제점을 보이지만, 다소 무리가 따르더라도 우리 스님들의 교판 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는 것도, 한글대장경이 지는 뜻을 더욱 배가시키고 민족적 자부심을 한껏 고취시키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한다.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 between the Tripitaka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 Laws, and Treatises) and the Classific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ill be no problem if they follow the organization and system of the Goryeo Tripitaka in deciding the directions for Hangul Tripitaka. Given that the original purport of the Tripitaka and Classification was to understand the words of Buddha as part of Buddhist methodology, it`s required to change the existing perception of the Classification. If the realistic wall for the Oshiseol is still high, however, those following alternatives can be pursued: First, it`s a good idea to adopt the doctrine of Classification by Great Buddhist Priest Wonhyo in order to have all the aspects as a Korean Tripitaka. But there are a couple of issues to be taken care of first; his writings are not whole today; it`s not easy to decide his doctrine of Classification based on a few of his writings; and most of all, there is no consistent doctrine of Classification. Secondly, you can organize Tripitaka in a systematic way by using the Oshipalgyoseol by Buddhist Priest Jegwan in Goryeo. However, it will be extremely difficul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deriving from the Classification of Tien-tai Buddhism. And finally, there is the final option of using the list by the Most Revered Priest Uicheon. Even though the list was not used in the Goryeo Tripitaka, it can be a good approach to organize Jangso around Gyeongrok like the list based on the asstumption that the Hangul Tripitaka is an imitation of the Goryeo Tripitaka. But the Sinpyin chejong kyojang chongnok (or the Uicheon List) is problematic with the Samjang organization as it`s a collection of the Gyojang of Jejong. In short, there are several problems to deal with when applying the doctrine of Classification by Wonhyo or Jegwan and the list by Uicheon right to the organization of the Hangul Tripitaka. However, the active utilization of the doctrine of Classification by our priests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can multiply the significance of the Hangul Tripitaka and enhance the pride of the Korean people.

      • KCI등재

        한역 대장경의 음역어로 파생된 문제 사례

        정승석(Jung, Seung Suk) 보조사상연구원 2011 보조사상 Vol.36 No.-

        본론은 한역(漢譯) 대장경에서 음역어로 파생된 문제들 중 일부를 대표적 사례로 추출하여 검토한다. 여기서는 음역이 유발할 수 있는 착오의 양상을 사례별로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에 따라 판독의 오류를 유발하기 쉬운 사례, 파격적인 음역으로 원어를 파악하기 어렵거나 혼동하기 쉬운 사례, 대정신수대장경 또는 이의 번역본에 제시된 원어가 부정확한 사례를 예시하여 검토했다. 그러나 여기서 검토한 사례들은 그야말로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그런 만큼 음역어는 한역 불전을 판독하거나 그 내용을 이해하는 데 복병과 같은 장애가 된다. 더욱이 이런 장애는 한역 불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중국의 학승들은 한역 불전에 의거하여 많은 저서를 남겼다. 이런 저서에는 당연히 기존의 음역어들이 구사되지만, 음역어들의 의미를 잘못 이해하거나 해석한 사례를 흔하게 발견할 수 있다. 이때문에 중국인의 저서에서 설명하는 음역어 대해서는 일단 오해의 가능성을 검토해 보아야 한다. 음역어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들은 애초 번역시에 사용했던 원전을 확보한다면 간단히 해결된다. 그러나 그러한 원전이 없는 현실에서는 관련 자료를 다각적으로 비교하고 분석하는 것만이 최선의 해결책이다. 근래에는 과거에 수집된 단편적인 사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사본들은 비록 극히 일부의 원전에 지나지 않지만, 모호한 음역어들의 정체를 밝히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음역어의 문제는 개인적 노력으로는 결코 해결될 수 없다. 이 문제는 불전의 원전들을 소장한 단체, 그리고 원전을 연구하는 학자들과 연대하여 공동으로 연구해야 할 국제적 과제에 속한다. In this paper I examined representative examples in Chinese Tripitakas containing problems abstracted from transliterated words. I focused on illustrating the patterns of mistakes. In other words, I review possible examples: cases that easily lead to deciphering errors, cases of aberrant transliterations which make it virtually impossible to identify the original words, and cases of unclear or ambiguous original languages which are suggested in T or the translation of T. However, the examples examined in here are merely the tip of the iceberg. Transliterated words are significant hurdle waiting to ambush any attempt to understand or read the Chinese Tripitaka. Moreover, this difficulty is not limited into the matter of translated Chinese Tripitaka. Student monks in China wrote many books based on translated Chinese Tripitaka. Of course, those kinds of books relied upon existing transliterated words but the meanings were frequently misunderstood or misinterpreted. Because of this reason, transliterated words within Chinese works must to be carefully reviewed for the possibility of a misunderstanding. The matters derived from transliterations would be easily resolved if the original manuscripts still existed. However, there are no such manuscripts in reality and thus the best solution is to engage in comparative analysis of related materials from multi-perspectives, what textual critical scholars in the west refer to as textual eclecticism. Recently, the research on fragmentary manuscripts collected in the past has prospered. Even though these fragmentary manuscripts are only a small part of the larger corpus they can provide important clues in the search to reveal the identity of ambiguous transliterations. The issues of transliteration problems presented in this paper cannot be resolved by personal endeavors; they are problems that are international in scope and their solution requires mutual assistance between scholars who are working on manuscripts and Buddhists institutions which possess manuscripts.

      • KCI등재

        투고논문 : 범(梵),장(藏),돈황본 『금강경』 대조 연구

        최종남 ( Jong Nam Choi ) 인도철학회 2009 印度哲學 Vol.0 No.27

        실크로드 역사에서 중심역할을 한 돈황은 세계적인 造型遺産과 文獻遺産을 남겼다. 이 중에서 문헌유산은 2만 여점의 필사본들이다. 이들은 莫高窟제 17호굴에 밀봉된 채 보존되어 있다가 도사 王圓?과 그의 조수 楊씨에 의해 光緖226(1900)년에 발견되었다. 발견된 필사본 2만 여점은 대부분 佛典들로서 한문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돈황사본 중에서 完本, 혹은 完本에 가까운 20점의 대승불전 『금강경』을 산스크리트어 원전, 티베트어 번역본, 고려대장경과 대조하고, 그리고 이와 함께 중국과 일본의 大藏經類인 房山石經, ?砂大藏經, 永樂北藏, 乾隆大藏經, 大正新修大藏經을 각각 대조·연구하였다. 이들의 언어별, 大藏經類別대조에 의하면 돈황사본에 상당수의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단어, 혹은 문장 생략, ②단어 첨삭, ③비슷한 한자로 誤記, ④단어倒置, ⑤단어를 바꾸어 필사, ⑥단어, 혹은 문장을 중복 필사, ⑦문장을 다르게 구성하여 필사, ⑧필사시 빠뜨린 단어, 혹은 문장을 오른쪽 옆빈 行에 기록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은 예들로 보아 돈황사본은 신앙과 기원을 위하여 필사하였고, 그리고 돈황사본의 필사 시기는 대부분 北宋蜀版大藏經의 開版이전인 971년 전에 필사되었으리라고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敦煌寶藏』에 수록되어 있는 卷5까지 중에서 스타인 본 『금강경』(구마라집 번역) 20점만을 중심으로 대조·연구하였다. 아직도 수천 점의 『금강경』이역본별, 언어본별 필사본들이 현존하고 있다. 많은 관련학자들이 동참하여 이와 같은 필사본들을 경전의 原意에 가깝게 교감·연구하였으면 한다. Dunghuang who took an important role in history of the Silk Road left legacies of international formative arts and literatures. Among these, The legacies of literatures consist of 20 thousand manuscripts. They were in good preservation with sealing up in the 17th cave of Mogao Cave, and found by an enlightened buddhist Wang Yuanlu and his assistance Mr. Yang in Guangxu 226(A.D. 1900). Most of the found manuscripts are Buddhist scriptures in Chinese. The rest are manuscripts in Sanskrit, Tibetan, Mongolian and languages of Central Asia. These manuscripts that were collected by expedition parties of England, France, Japan, Russia, America, etc. are displayed in libraries, museums, etc. of each countries. This treatise compares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 20 Mahayana scriptures that are complete works or close to them in Dunghuang`s manuscripts with original works in Sanskrit, translated ones in Tibetan and Tripitaka Koreana. In Addition, this paper studies Tripitakas of China and Japan such as Fang Shan Shi Jing, Tripitaka of Jisha, Tripitaka of Northern Yongle Edition, Tripitaka of Qianlong and Taisho Shinshu Daizokyo im comparison. I have found a lot of faults in Dunghwang`s manuscripts by comparison in languages and with other Tripitakas. The faults are followings. ①omission of words or sentences, ②correction of words ③miswriting with similar Chinese character, ④inversion of words, ⑤use of new words ⑥duplication of words or sentences, ⑦change in construction of sentences, ⑧writing omitted words or sentences at copying in the blank line at left, etc. I presume with above mistakes that Dunghwang`s manuscripts were copied for faith and prayer before A.D. 971 when Tripitaka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Shu edition had been revised. This paper compares and studies only 20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s(translation by Kumarajiva) of Stein among 5 books contained in Dun Huang Bao Zang. Thousands of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s still exists in other languages and translation versions. I hope that a lot of scholars take part in studying the above manuscripts in comparison with original works.

      • KCI등재

        梵・藏・돈황본 『금강경』 대조 연구

        최종남 인도철학회 2009 印度哲學 Vol.0 No.27

        Dunghuang who took an important role in history of the Silk Road left legacies of international formative arts and literatures. Among these, The legacies of literatures consist of 20 thousand manuscripts. They were in good preservation with sealing up in the 17th cave of Mogao Cave, and found by an enlightened buddhist Wang Yuanlu and his assistance Mr. Yang in Guangxu 226(A.D. 1900). Most of the found manuscripts are Buddhist scriptures in Chinese. The rest are manuscripts in Sanskrit, Tibetan, Mongolian and languages of Central Asia. These manuscripts that were collected by expedition parties of England, France, Japan, Russia, America, etc. are displayed in libraries, museums, etc. of each countries. This treatise compares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Sūtra 20 Mahayana scriptures that are complete works or close to them in Dunghuang's manuscripts with original works in Sanskrit, translated ones in Tibetan and Tripitaka Koreana. In Addition, this paper studies Tripitakas of China and Japan such as Fang Shan Shi Jing, Tripitaka of Jisha, Tripitaka of Northern Yongle Edition, Tripitaka of Qianlong and Taisho Shinshu Daizokyo im comparison. I have found a lot of faults in Dunghwang's manuscripts by comparison in languages and with other Tripitakas. The faults are followings. ①omission of words or sentences, ②correction of words ③miswriting with similar Chinese character, ④inversion of words, ⑤use of new words ⑥duplication of words or sentences, ⑦change in construction of sentences, ⑧writing omitted words or sentences at copying in the blank line at left, etc. I presume with above mistakes that Dunghwang's manuscripts were copied for faith and prayer before A.D. 971 when Tripitaka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Shu edition had been revised. This paper compares and studies only 20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Sūtras(translation by Kumārajīva) of Stein among 5 books contained in Dun Huang Bao Zang. Thousands of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Sūtras still exists in other languages and translation versions. I hope that a lot of scholars take part in studying the above manuscripts in comparison with original works. 실크로드 역사에서 중심역할을 한 돈황은 세계적인 造型遺産과 文獻遺産을 남겼다. 이 중에서 문헌유산은 2만 여점의 필사본들이다. 이들은 莫高窟 제 17호굴에 밀봉된 채 보존되어 있다가 도사 王圓籙과 그의 조수 楊씨에 의해 光緖 226(1900)년에 발견되었다. 발견된 필사본 2만 여점은 대부분 佛典들로서 한문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돈황사본 중에서 完本, 혹은 完本에 가까운 20점의 대승불전 『금강경』을 산스크리트어 원전, 티베트어 번역본, 고려대장경과 대조하고, 그리고 이와 함께 중국과 일본의 大藏經類인 房山石經, 磧砂大藏經, 永樂北藏, 乾隆大藏經, 大正新修大藏經을 각각 대조・연구하였다. 이들의 언어별, 大藏經類別 대조에 의하면 돈황사본에 상당수의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단어, 혹은 문장 생략, ②단어 첨삭, ③비슷한 한자로 誤記, ④단어 倒置, ⑤단어를 바꾸어 필사, ⑥단어, 혹은 문장을 중복 필사, ⑦문장을 다르게 구성하여 필사, ⑧필사시 빠뜨린 단어, 혹은 문장을 오른쪽 옆 빈 行에 기록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은 예들로 보아 돈황사본은 신앙과 기원을 위하여 필사하였고, 그리고 돈황사본의 필사 시기는 대부분 北宋蜀版大藏經의 開版 이전인 971년 전에 필사되었으리라고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敦煌寶藏에 수록되어 있는 卷5까지 중에서 스타인본 금강경(구마라집 번역) 20점만을 중심으로 대조・연구하였다. 아직도 수천 점의 금강경 이역본별, 언어본별 필사본들이 현존하고 있다. 많은 관련학자들이 동참하여 이와 같은 필사본들을 경전의 原意에 가깝게 교감・연구하였으면 한다.

      • 돈황문헌에서 「金光明經」과 「合部金光明經」 一部 사본 조사-사본의 특이사항을 중심으로-

        원혜영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3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uscripts associated with the Sūtra of Golden Light(金光明經) from the Dunhuang Manuscripts. The manuscripts were completed from approximately the 4th to the 5th century when royal authority was strengthened in India. Also,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the contents of the scriptures were accepted by the Chinese, and different version so fit seemed to appear. As both the Sūtra of Golden Light (金光明經) and the Overall Compilation of the Sūtra of Golden Light (合部金光明經) focused on patriotism, their translation was planned studiously and revised, complemented, and added to in China for a long time. In parts of the Sūtra of Golden Light (金光明經),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parts equivalent to, deleted from, and repetitive to the Korean Canon and the Dunhuang Manuscripts. Moreover, the intentions of the maunuscriptor also can be inferred from comparison to the latter two texts. There are 64 manuscripts of Beijing version, 12 of Russian version, 44 of Stein version, and 11 of Pelliot versions of the Sūtra of Golden Light (K.1465, T.0663); thus, 49% are from Beijing, 9% are from Russia, and Stein and Pelliot make up 34% and 8% respectively. In parts of the Overall Compilation of the Sūtra of Golden Light (合部金光明經), there are 13 manuscripts of Beijing version, 26 of Russian version, 33 of Stein version, and 1 of Pelliot versions of the Sūtra of Golden Light (K.0128, T.0664); thus, 17% are from Beijing, 33% are from Russia, and Stein and Pelliot make up 49% and 1% respectively. The manuscripts of Dunhuang show that widespread distribution related with different versions of Dunhuang developed. In addition, a comparison with the Korean Canon(高麗大藏經) and Taishō Canon(新脩大藏經) provides evidence of how diverse the names of titles were and what kinds of scriptures were transcribed in those days. 돈황 문헌(Dunhuang Manuscripts)에서 金光明經(Sūtra of Golden light)류 관련된 사본들의 특징을 조사한다. 경전의 완성 시기는 인도에서 왕권강화가 일어나는 4-5세기 전후로 보며, 중국인들이 경전의 내용을 수용한 이후로 異譯본들이 출현한 것으로 보인다. 호국적인 성향이 강한 「金光明經」과 「合部金光明經」은 중국에서부터 번역에 고심하여 수정하고 보완하여 증장되어 온 역사를 소유하고 있다. 「金光明經」 일부에서는 고려대장경과 돈황문헌에서 일치하는 부분, 삭제된 부분, 중복된 부분 등을 구별해 낼 수도 있다. 고려대장경과 돈황 문헌의 비교에 따라 필사한 사람의 의도를 추정할 수도 있다. 돈황 사본에서 「金光明經」은 북경본이 64개, 러시아(俄藏)본 12개, 스타인(Stein)본 44개, 펠리오(Pelliot)본 11개가 있다. 북경본이 49%, 俄藏9%, 스타인34%, 펠리오 8%가 있다. 돈황사본에서 「合部金光明經」 북경본이 13개, 러시아본 33개, 스타인본 26개, 펠리오본 2개가 있다. 북경본이 17%, 俄藏 33%, 스타인49%, 펠리오 1%가 있다. 돈황사본에서는 이역본들에 관련된 광범위한 유통이 진행된 것으로 보이며, 경전들이 품명의 다양성, 그리고 어떠한 경전들이 당시에 필사되었는가를 고려대장경 및 신수대장경과 대조비교를 통해 알 수 있다.

      • KCI등재

        돈황문헌에서 「김광명경(金光明經)」과 「합부김광명경(合部金光明經)」 일부(一部) 사본 조사 조사 -사본의 특이사항을 중심으로 중심으로-

        원혜영 ( Hae Young Won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3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9 No.2

        돈황 문헌(Dunhuang Manuscripts)에서 金光明經(Sutra of Golden light)류 관련된 사본들의 특징을 조사한다. 경전의 완성 시기는 인도에서 왕권강화가 일어나는 4-5세기 전후로 보며, 중국인들이 경전의 내용을 수용한 이후로 異譯본들이 출현한 것으로 보인다. 호국적인 성향이 강한 「金光明經」과 「合部金光明經」은 중국에서부터 번역에 고심하여 수정하고 보완하여 증장되어 온 역사를 소유하고 있다. 「金光明經」 일부에서는 고려대장경과 돈황문헌에서 일치하는 부분, 삭제된 부분, 중복된 부분 등을 구별해 낼 수도 있다. 고려대장경과 돈황 문헌의 비교에 따라 필사한 사람의 의도를 추정할 수도 있다. 돈황 사본에서 「金光明經」은 북경본이 64개, 러시아(俄藏)본 12개, 스타인(Stein)본 44개, 펠리오(Pelliot)본 11개가 있다. 북경본이 49%, 俄藏9%, 스타인34%, 펠리오 8%가 있다. 돈황사본에서 「合部金光明經」 북경본이 13개, 러시아본 33개, 스타인본 26개, 펠리오본 2개가 있다. 북경본이 17%, 俄藏 33%, 스타인49%, 펠리오 1%가 있다. 돈황사본에서는 이역본들에 관련된 광범위한 유통이 진행된 것으로 보이며, 경전들이 품명의 다양성, 그리고 어떠한 경전들이 당시에 필사되었는가를 고려대장경 및 신수대장경과 대조비교를 통해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uscripts associated with the Sutra of Golden Light(金光明經) from the Dunhuang Manuscripts. The manuscripts were completed from approximately the 4th to the 5th century when royal authority was strengthened in India. Also,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the contents of the scriptures were accepted by the Chinese, and different version so fit seemed to appear. As both the Sutra of Golden Light (金光明經) and the Overall Compilation of the Sutra of Golden Light (合部金光明經) focused on patriotism, their translation was planned studiously and revised, complemented, and added to in China for a long time. In parts of the Sutra of Golden Light (金光明經),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parts equivalent to, deleted from, and repetitive to the Korean Canon and the Dunhuang Manuscripts. Moreover, the intentions of the maunuscriptor also can be inferred from comparison to the latter two texts. There are 64 manuscripts of Beijing version, 12 of Russian version, 44 of Stein version, and 11 of Pelliot versions of the Sutra of Golden Light (K.1465, T.0663); thus, 49% are from Beijing, 9% are from Russia, and Stein and Pelliot make up 34% and 8% respectively. In parts of the Overall Compilation of the Sutra of Golden Light (合部金光明經), there are 13 manuscripts of Beijing version, 26 of Russian version, 33 of Stein version, and 1 of Pelliot versions of the Sutra of Golden Light (K.0128, T.0664); thus, 17% are from Beijing, 33% are from Russia, and Stein and Pelliot make up 49% and 1% respectively. The manuscripts of Dunhuang show that widespread distribution related with different versions of Dunhuang developed. In addition, a comparison with the Korean Canon(高麗大藏經) and Taisho Canon(新脩大藏經) provides evidence of how diverse the names of titles were and what kinds of scriptures were transcribed in those days.

      • KCI등재

        돈황사본 『金光明最勝王經』에 관한 서지적 고찰 -현대출판물에서 오류와 재편을 중심으로-

        원혜영 ( Hae Young W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60 No.-

        이 논문은 돈황 문헌(Dunhuang Manuscripts)에서 『金光明最勝王經』에 관련된 사 본들의 특징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金光明最勝王經』은 호국적인 성향이 강한 『金光明經』류 중의 하나이며 義淨에 의해서 번역된 것이다. 『金光明最勝王經』일부 에서는 임금이 친히 만든 서문이 포함된 필사본도 존재한다. 고려대장경과 돈황 문헌에서 일치하는 부분, 삭제된 부분, 중복된 부분 등을 구별해 낼 수도 있다. 고려대장경과 돈황 문헌의 비교에 따라 필사한 사람의 의도를 추정할 수도 있다. 돈황 사본에서 『金光明最勝王經』은 북경본이 585개, 러시아(俄藏)본 173개, 스타인 (Stein)본 300개, 펠리오(Pelliot)본 34개가 있다. 북경본이 53%, 俄藏16%, 스타인 27%, 펠리오 3%가 있다. 돈황 문헌에서 발견된 古本은 지금 활발하게 연구 진행 중에 있다. 내용과 서지학적인 측면에서 비교연구는 고려대장경의 풍부하고 완벽한 底本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현대출판물은 돈황의 방대한 문헌의 정리 작업을 거의 일차적으로 완료한 상 태이며, 각각의 사본들에 대한 밀접한 연구가 현재 진행 중이다. 초반의 현대출판 물들의 업적은 돈황문헌에 기여한 바가 크다. 하지만 진본인 필사본만큼이나 현 대출판물들의 유통은 널리 펴졌으며, 그 출판물들에 의존하여 돈황사본들을 조사 하고 연구하는 실정이다. 여기서는 그 전부를 거론할 수는 없겠지만, 『金光明最勝王經』에 관련하여 현대출판물들에서 기입되어 있는 몇 가지 중요한 오류들과 현 대출판물이 진짜 필사본보다 조사 연구에서 뛰어난 업적을 소유했다고 보아진 러시아 소장 관련 출판물을 소개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py of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utra in the Dunhuang Manuscripts.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utra is a part of "Sutra of Golden Light" that has a very strong patriotic characteristic. The translation was by Eui Jung. In parts of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utra, there exists a manuscript that the King himself wrote.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parts equivalent to, deleted from, and repetitive to the Tripitaka Koreanan period and the Dunhuang Manuscripts. Moreover, the intentions of the maunuscriptor also can be inferred from comparison to the latter two texts. There are 585 manuscripts of Beijing version, 173 of Russian version, 300 of Stein version, and 34 of Pelliot versions of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utra (K.0127, T.0655); thus, 53% are from Beijing, 16% are from Russia, and Stein and Pelliot make up 27% and 3% respectively. The research conducted on the original version found in the Dunhuang Manuscripts are currently active. The reason is because of its diverse quantity. In the perspective of content and bibliography, the comparative studies highly depend on diversity and completeness of the foundation texts of the Tripitaka Koreanan. The publication of the private copy of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utra is special in that it allows partial and brief understanding of the text. Parts are reviewe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it with Taisho Tripitak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