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제품 및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한준(Han Joon Lee),박종철(Jong Chul Park) 한국마케팅학회 2009 마케팅연구 Vol.24 No.1

        많은 기업들에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필수항목이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는 Carroll(1979)의 정의를 바탕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제품 및 기업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심리적 메커니즘을 찾고자하였다. 이러한 심리적 기제와 관련해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해당 기업에 대한 신뢰를 유발시키기 때문에 제품 및 기업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제안하고자한다. 그리고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가 신뢰의 차원을 `전문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로 구분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차원이 각각 두 신뢰에 어떠한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기업의 경제적 책임활동 노력은 전문성에 기초한 신뢰와 호의성에 기초한 신뢰를 매개로 제품 및 기업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기업의 경제적 책임활동 노력이 높으면 소비자들은 해당 기업에 대하여 전문성에 기초한 신뢰와 호의성에 기초한 신뢰를 형성하여 해당 기업 및 그 기업의 제품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업의 법률적 책임활동과 윤리적 책임활동, 그리고 자선적 책임활동 노력은 모두 호의성에 기초한 신뢰형성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법률적 책임활동과 윤리적 책임활동, 그리고 자선적 책임활동이 해당 기업에 대한 전문성 신뢰가 아닌 호의성 신뢰를 매개로 해당 기업 및 제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제시해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기업들에게 우리 사회가 인지하는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에 대한 각 부분을 이해시킴으로서 자신들의 수익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거나, 또한 기업의 신뢰형성에 결정적이고, 실무적인 도움을 제공해줄 것이다. According to the great economist Milton Friedman, corporate has only one responsibility that is economic responsibility making a profit while observing the law. Market economy would result in improved efficiency and increased economic results. However, corporate efficiency-oriented activities may exert detrimental impact on well-beings of society through environmental pollution,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exploitation of labor in under developed countries. Business entities exist within a market society. Their activities influence the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are influenced by the society. Corporate is not separated from society. Since the globalization process starting 1990s, society witnessed the movement of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Consumers and investors have been asking corporate to conduct socially responsible actions such as producing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s, embodying product with socially responsible attributes, fair labor condi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etc. Business integrates social demands into its management. It is not new that today`s business organizations are expected to exhibit ethical and moral management and to carry out social responsibility as a good corporate citizen. Since South Korea emerged as a newly industrialized country during the 1980s, Korean corporations have become active in carrying out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s a good corporate citizen to society. In spite of the short histor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Korean companies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corporate philanthropy. Corporations` significant donations to various social causes, no-lay-off policies, corporate volunteerism and green marketing are evidences of their commitment to corporate citizenship.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now an essential management practice whereby corporation can strengthen its sustainable value creation processes by enhancing the trust assets underl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usiness and the stakeholders. A critical but elusive issue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search has been the impacts of a company`s social initiatives on the consumers` evaluation of product and corporation. Researchers in the area of management hav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s. These researchers explored a direct relationship either between CSR and its financial successes. However,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inconclusive and inconsistent. In the area of Marketing,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CSR on consumers` product evaluation and corporat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not conclusive either. Different from the past studies, in this study we postulates that the consumers` trust play an essen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dimensions (economic,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Carroll,1979) and the product/corporate evaluation. Trust is conceptualized into two different forms: expertise-based trust and benevolence-based trust. A model integrating four dimensions of CSR, two forms of trust, and the product/corporate evaluation is tested using data of 384 young consumer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 that the corporate economic responsibility positively influences on the expert-based trust and benevolence-based trust. However, the corporate legal, the corporate ethical, and the corporate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not on the expert-based trust but only on the benevolence-based trust. Final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expert-based trust and the benevolence-based trust both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duct evaluation and on the corporate evaluation. Thu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rust indeed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CSR and the product/corporat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corporations to understand the rela

      • KCI등재

        계약교섭의 부당한 중도파기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의 구성요건 : 독일 민법 제311조 제2항 제1호를 중심으로

        성대규(Sung, Daegyu) 한국비교사법학회 2020 比較私法 Vol.27 No.3

        계약자유의 원칙에 따라서 계약을 체결하려는 당사자들은 계약의 체결 여부를 스스로 결정하게 되며, 같은 의미에서 계약교섭의 당사자들은 원칙적으로 계약이 체결되기 전까지 언제라도 당해 교섭을 중도에 파기할 자유를 가진다. 그러나 계약자유의 원칙이 무한정 인정되는 것은 아니며, 우리 판례도 ‘계약교섭의 부당한 중도파기’ 사례에서 일정한 시점 이후 당사자 일방이 부당하게 계약교섭을 중도에 파기하거나 또는 계약체결 단계에 이르러 이를 거절한 경우에 ‘불법행위책임’을 인정하고 있다. 판례가 제시하는 계약교섭의 부당한 중도파기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의 구성요건은, 우선 계약자유의 원칙을 전제로 (i) 어느 일방이 교섭단계에서 계약이 확실하게 체결되리라는 정당한 기대 내지 신뢰를 부여하고, 상대방이 그 신뢰에 따라 행동했을 것, (ii) 그 신뢰를 부여한 자가 상당한 이유 없이 계약의 체결을 거부함으로써 신뢰에 따라 행동했던 그 상대방에게 손해를 야기할 것 등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다만 이 두 책임구성요건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언급은 여전히 부재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런데 계약교섭의 부당한 중도파기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은 독일에서도 인정되고 있다. 독일민법 제241조 제2항은 보호의무에 대하여 규정하고, 동 법 제311조 제2항 제1호는 당사자들이 계약교섭을 개시하는 경우에도 그러한 보호의무가 발생함을 명문화하고 있다. 독일 민법 제311조 제2항 제1호는 예링이 1861년 주창한 ‘계약체결상 과실책임(culpa in contrahendo)’에 그 이론적 토대를 두고 있다. 독일 판례는 계약교섭의 부당한 중도파기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의 구성요건으로서 (i) 계약교섭 과정에서 일방 당사자가 그 상대방에 대하여 계약이 확실하게 체결되리라는 신뢰를 ‘책임을 귀속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야기했을 것, (ii) 그와 같은 신뢰를 야기한 일방 당사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계약교섭을 중단하거나 계약체결을 거절할 것 등 두 가지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두 요건의 구체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문제된다. 요컨대 계약교섭의 부당한 중도파기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이 인정되기 위해서는, 계약교섭 중인 일방 당사자가 상대방에 대하여 교섭 중인 계약이 확실히 체결될 것이라는 신뢰를 실제로 야기해야 하고(주관적 신뢰의 야기), 이때 그러한 신뢰의 야기는 책임귀속 가능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에서 책임귀속 가능한 방식이란 상대방에게 신뢰를 야기하는 일방 당사자가 자신의 행위에 기초하여 상대방이 계약체결에 대한 신뢰를 형성한다는 점을 알거나 알았어야 함을 의미한다(책임귀속의 근거). 계약체결에 대한 신뢰 형성 이후에, 일방 당사자가 더 이상 계약교섭을 진행할 수 없는 정당한 이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를 지체 없이 상대방에게 설명해야 한다(정당한 이유에 대한 지체 없는 설명). 그 이유가 정당하지 않거나 지체되어 설명되는 경우에 일방 당사자는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게 된다; 이때 정당한 이유는 사후적으로 고려되는, 계약교섭의 중단을 정당화하는 이유를 의미한다. 손해배상책임의 구성요건으로서 과책(고의・과실)은 신뢰침해의 개별 유형에 따라서 각각 파악될 수 있다. In der Arbeit geht es um die tatbeständlichen Voraussetzungen der Schadensersatzhaftung aus dem Abbruch von Vertragsverhandlungen. Nach dem Grundsatz der Vertragsfreiheit entscheiden die potenziellen Vertragsparteien selbstständig darüber, ob es zu einem Vertragsabschluss kommt oder nicht, das heißt, die Parteien von Vertragsverhandlungen grundsätzlich vor dem Zustandekommen eines Vertrags jederzeit die Verhandlungen abbrechen und auf jede eigene Gefahr für den Schaden aus Vertragsverhandlungen aufkommen. Dennoch kann die Schadensersatzhaftung aus dem Abbruch von Vertragsverhandlungen ausnahmsweise in Betracht kommen. Wenn ① eine Partei bei den Vertragsverhandlungen aufseiten der anderen Partei das glaubwürdige Vertrauen darauf erweckt, dass es wirksam zu dem Abschluss eines Vertrags kommen wird, und ② dieselbe Partei gleichwohl ohne triftigen Grund die Vertragsverhandlungen abbricht, so haftet sie nach koreanischer Rechtsprechung ‘unter solchen tatbestandlichen Voraussetzungen’ für den Schaden, den die andere Partei im Vertrauen auf den Abschluss des Vertrags erlitten hat; hierbei ist die Schadensersatzhaftung konsistent in Deliktshaftung einzuordnen. Die koreanische Rechtsprechung spricht aber noch nicht von der konkreten Bedeutung jeder tatbestandlichen Voraussetzung. In Deutschland kann auch gemäß § 311 Abs. 2 Nr. 1 BGB die Schadenersatzhaftung aus dem Abbruch von Vertragsverhandlungen anerkannt werden. Hierbei sind ebenso wie in Korea die gleichen tatbestandlichen Voraussetzungen erforderlich. Anders als in Korea geht jedoch die Schadensersatzhaftung aus dem Abbruch von Vertragsverhandlungen in Deutschland von der Lehre der ‘culpa in contrahendo’ Jherings aus. Als das BGB 1896 zum ersten Mal bekannt gemacht wurde, wurden unter der Lehre Jherings nur die Vorschriften von §§ 122, 179 BGB und §§ 307, 309 BGB a.F. im BGB verankert; sie gingen vor allem nicht vom ‘einheitlichen Konzept’ der culpa in contrahendo aus, sondern vom einzelnen Sachverhalt. § 311 Abs. 2 Nr. 1 BGB zum vorliegenden Fall ist eine Folge, die durch deutschen Theorien und Rechtsprechungen 100 Jahre lang entwickelt wurde; somit ist die kontrete Bedeutung jeder tatbestandlichen Voraussetzung der Schadensersatzhaftung aus dem Abbruch von Vertragsverhandlungen klar und ausführlich in der deutschen Rechtsprechung darzulegen. Um die Vertragsverhandlungen im Sinne des § 311 Abs. 2 Nr. 1 BGB anzuerkennen, muss in der Verhandlungsführung das Vertrauen auf das Zustandekommen eines angestrebten Vertrags der einen Partei in zurechenbarer Weise von der anderen Partei tatsächlich zu erwecken sein. Der Vertrauenswerber bricht gleichwohl später ohne triftigen Grund die Vertragsverhandlungen ab; der Begriff des triftigen Grund wird dabei als ‘der nachträglich in Betracht kommende, die Entlastung des Abbrechenden legitimierende Grund’ definiert. Die Aufklärung zum triftigen Grund muss vor allem rechtzeitig erteilt werden. Das Verschulden als tatbestandliche Voraussetzung der Haftung richtet sich nach einzelnen Erscheinungsformen des Vertrauensstoßens.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소비자 신뢰형성에 미치는 영향

        박종철(Park, Jong Chul),방광수(Bang, Kwang-Su) 한국소비문화학회 2012 소비문화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에 대한 평가와 제품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살펴 보고 있으며, 나아가 이들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과를 고찰하고 있다. 기존 연구와 다르게 본 연구는 신뢰의 차원을 세 차원으로 구분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네 차원이 각각의 신뢰차원에 미치는 차별적인 효과를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신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의 인식차이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분석결과, 한국 소비자의 경우 기업의 경제적 책임활동은 정직성 신뢰, 전문성, 신뢰, 호의성 신뢰에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경제적 책임활동이 전문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정직성 신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법률적 책임활동이 신뢰형성에 미치는 경로에서는 한국 소비자든 중국 소비자든 기업의 법률적 책임활동은 정직성 신뢰와 전문성 신뢰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 소비자들과 다르게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 법률적 책임활동이 호의성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윤리적 책임활동이 신뢰형성에 미치는 경로에서는 한국 소비자들의 경우, 기업의 윤리적 책임활동이 정직성 신뢰, 전문성 신뢰, 호의성 신뢰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기업의 윤리적 책임활동이 전문성 신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끝으로 기업의 자선적 책임활동이 소비자 신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모두 기업의 자선활동 노력이 소비자들로 하여금 정직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 모두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 소비자 모두에게서 기업의 자선적 책임활동 노력이 전문성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postulated that the trust plays an essen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corporate evaluation and product evaluation. In addition, we examined the perception difference to the Korean-Chinese consumers in these relations. A model integrating four types of CSR activities(economic,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three dimensions of trust(integrity trust, expertise trust, social benevolence trust), and the corporate evaluation, product evaluation was tested using data of 400 consumer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economic responsibility and ethical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grity trust, expertise trust and benevolence trust in the case of the Korean consumers. But, in the Chinese consumers, the economic responsibility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expertise trust and benevolence trust. The legal 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grity trust and benevolence trust in the case of both Korean consumers and Chinese consumers. Also, ethical responsibility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integrity trust and benevolence trust in the case of Chinese consumers. Finally,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had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xpertise trust in case of both Korean consumers and Chinese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corporations to understand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e four responsibilities and to make decisions in allocating their resources.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와 불신, 명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제적, 법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의 역할과 신뢰와 불신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유선욱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3

        This study examined how four domai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ffect the trust and distrust of corporations and contribute to their reput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role of trust and distrust between CSR domains and reput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ethical responsibility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had influence on trust. Legal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istrust. Companies that did not fulfill legal responsibilities were more likely to be distrusted. The influence of trust on corporate reputation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rust was a mediator between ethical responsibility,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and reputation. Economic responsibility had a direct influence on reputa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trategic approach in each CSR domain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이 공중의 신뢰와 불신, 기업의 명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신뢰외 불신을 매개적 역할을 탐구하였다. 국내 대기업에 대해 445명에게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 모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이 윤리적 책임과 박애주의적 책임을 다할수록 기업에 대한 신뢰가 강해지는 것으로, 법적 책임을 다하지 않을수록 불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와 불신 중 신뢰만이 명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하여, 기업을 신뢰할수록 기업 명성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책임과 신뢰와 불신, 명성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기업이 이행하는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은 신뢰를 매개로 명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경제적 책임은 직접적으로 명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의 각 차원과 신뢰와 불신, 명성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기업이 윤리적, 자선적 책임을 잘 수행할수록 기업에 대한 신뢰가 구축되고, 이를 통해 명성이 높아짐을 입증하고, 기업의 당연한 책임으로서 기업활동에서 윤리성이 수호되고, 사회공헌활동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주류도매업체의 CSR활동과 경영성과 관계에 대한 연구

        정헌배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CSR activities, relationship qua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n exclusive Liquor licensed Wholesalers in Korea. In this research, CSR activities consists of four factors including characterizes(consumer, economy, philanthropy, and environment).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SR activities affected both Honesty Trust and Reciprocity Trust, second analyzed how both Honesty Trust and Reciprocity Trust influenc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data were obtained from a questionnaire handed out to a random sample of 95 individuals that exclusive license operators. With the information obtained, and after the scales validation process, PLS(Partial Least Square) has been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CSR activities, relationship qua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n exclusive license operat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both economy and environment affect both Honesty Trust and Reciprocity Trust. second Honesty Trust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Finally, based i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oretical contribution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종합주류도매업체의 사회적 책임이 관계품질과 조직성과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첫째, 사회적 책임(소비자 책임, 경제적 책임, 자선적 책임, 환경적 책임)이 정직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둘째, 정직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종합주류도매업체의 사업자 대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 및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사회적 책임이 정직성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경제적 책임과 환경적 책임이 정직성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책임이 호의성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경제적 책임과 환경적 책임이 호의성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직정 신뢰와 호의성 신뢰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정직성 신뢰가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과 관계 품질간의 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정직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가 조직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사회적 책임 활동이 신뢰와 지속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채영(Chae-Young Jung) 글로벌융합연구학회 2023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 Vol.2 No.1

        사회적 책임은 기업의 경제적 역할에만 국한되지 않아야 지속할 수 있다. 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고민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을 통해 기업은 자신이 속한 사회에 공헌할 수 있고, 이러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이해관계자들의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고 있다. 기업들은 사회문제의 본질에 대한 대안을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서 찾는다. 이러한 사회적 역할을 생각하고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그들은 자신의 기업이 사회에 기여하고 이해당사자의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사회적 공정성, 환경, 인권 등 기본적 가치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장사회의 흐름을 지켜보고 사업을 확산시키는 것이 CSR의 본질이다. 기업의 관점에서 사회적 책임 활동이 신뢰와 지속적 행동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적 책임 활동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3.0과 Smart PLS 4.0을 가설검정을 위해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사회적 책임의 요소가 신뢰에 영향을 주었다. 첫째, 경제적 책임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마쳤다. 둘째, 법적 책임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윤리적 책임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선적 책임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환경적 책임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신뢰는 지속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업이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 시장의 경쟁우위 확보하고, 체계적인 관리계획을 세우는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Social responsibility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conomic role of a company. By considering and addressing their social role, companies can contribute to the society they belong to, and this social responsibility of companies is becoming essential rather than being a choice of stakeholders. Companies seek alternatives to the root of social problems through their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efforts to think about and solve these social roles, they are becoming essential for their companies to contribute to society and not just an optional choice for stakeholders. The essence of CSR is to observe the flow of new market society based on basic values such as social justice, environment, and human rights and expand businesses.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companies and their impact on trust and sustained behavioral chang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nsumers interested in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SPSS 23.0 and Smart PLS 4.0 were used for hypothesis testing.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all elements of social responsibility had an impact on trust. Firstly, economic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rust. Secondly, legal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Just. Thirdly, ethical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rust. Fourthly, charitable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rust. Fifthly,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rust. Lastly, trus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ustained behavioral changes. Through this study, companies should establish a systematic management plan and strategic planning to secure market competitiveness through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 KCI등재

        기업의 환경적 책임활동 노력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신뢰 유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해언(Qiang, Haiyan),박종철(Park, Jong Chul) 한국상품학회 2022 商品學硏究 Vol.40 No.1

        기업의 환경적 책임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기존 연구들은 주로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활동(경제적 책임, 사회적 책임, 환경적 책임)이라는 큰 틀에서 환경적 책임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기후변화로 인해 기업환경이 달라지면서,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해 환경적 책임에 대한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기업의 ESG 경영이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으로 등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기업의 환경적 책임활동의 차원을 전략적 관점에서 ‘환경경영 전략,’ ‘기후변화 대응,’ ‘환경위험 관리’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이들 세 가지 전략 활동이 전문적 신뢰와 호의적 신뢰를 매개로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환경적 책임활동이 소비자들의 호의적 신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환경위험 관리에 대한 기업의 노력은 소비자들에게 전문적 신뢰와 호의적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적 신뢰와 호의적 신뢰는 기업태도와 기업평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분석 결과, ‘환경경영 전략 ⟶ 호의적 신뢰 ⟶ 기업태도/기업평판’ 간의 경로관계에서 호의적 신뢰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끝으로 ‘환경위험 관리 ⟶ 전문적 신뢰/호의적 신뢰 ⟶ 기업태도/기업평판’ 간의 관계에서 전문적 신뢰와 호의적 신뢰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Regarding the effect of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corporate performance, existing studies have mainly suggested the effect of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corporate performance in a large framework of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economic responsibility, social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However, as the corporate environment has changed recently due to climate change, the role of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for realizing social values has been emphasized. In the midst of this, ESG management of companies has emerged as a new management paradigm. Therefore, these researchers divided the dimensions of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to three dimensions: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y, climate change response, and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se three strategic activities on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expertise-based trust and benevolence-based tru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enevolence-based trus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rporate efforts in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expertise-based and benevolence-based trust. Also, expertise-based trust and benevolence-based trus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corporate attitude and corporate reputation.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benevolence-based trust was found in the path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y ⟶ benevolence-based trust ⟶ corporate attitude/corporate reputation .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tise-based trust and benevolence-based trus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 expertise-based trust/benevolence-based trust ⟶ corporate attitude/corporate reputation .

      • KCI등재

        독일 민법에서의 제3자에 대한 정보책임의 발전

        이동수(Lee, Dong-Su)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東亞法學 Vol.- No.60

        거래에 참여하는 자는 다른 제3자가 창안한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그러한 정보가 신뢰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그런데 제3자가 제공한 정보가 올바르지 않거나 불충분하다면 이를 신뢰하고 의사결정을 한 자는 예기치 못한 손해를 입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제3자의 책임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에 대하여 우리 민법의 해석론에 따르면 제3자는 불법행위책임을 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독일의 경우에는 불법행위책임이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으므로, 이 사안에서 그에 기초한 책임은 인정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점에서 독일의 판례와 학설은 새로운 이론상의 모색을 하고 있는데, 제3자보호효력을 가지는 계약의 법리라든지 제3자의 신뢰책임 등이 바로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자를 위한 보호의무라든지, 제3자의 장차 계약당사자가 될 자를 위한 보호의무가 문제된다는 면에서 계약관계없는 사람들 사이의 보호의무가 문제가 된다. 이 점에서 2002년의 독일 채권법 개혁에서 핵심적 부분으로 평가되는 것중의 하나는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과 이를 근거지우는 계약 및 불법행위책임 영역 외에서 인정되는 보호의무를 규정한 데에 있다(독일 민법 제241조 제2항 및 제311조 제3항 참조). 채권법의 개정 전에도 판례는 이미 오래전부터 제3자가 일정한 경우에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의 법리에 기초하여 손해배상책임을 질 수 있는 사례군을 형성했었다. 대리인 또는 협상보조자, 중고자동차판매업자, 유한회사의 사원 또는 이사 등과 같은 제3자의 경우가 그 예이다. 이 경우 계약의 체결에 대하여 제3자가 중대한 경제적 자기이익을 가진때 또는 제3자가 장차 계약을 체결할 타인에 대하여 특별한 신뢰를 제공하거나 또는 특정한 전문가적 지위로부터 신뢰가 정당화되는 경우 등과 같은 특별한 사정에 기초하여 제3자의 책임이 인정되었다. 이러한 판례의 법리는 채권법개정을 통해서 새롭게 독일민법에 규정되기에 이르렀다. 독일 민법 제311조 제3항 제1문은 계약당사자가 아닌 자라도 새롭게 규정된 제241조 제2항의 보호의무를 부담할 수 있으며, 제2문은 그의 대표적 예로서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의 법리에 기초한 제3자의 법정 신뢰책임을 규정하고 있다. 한편 제311조 제3항 제1문이 정하는 제241조 제2항의 보호의무와 관련해서 제3자의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 외에도 제3자보호효력을 가지는 계약의 법리에 따른 책임까지도 포함하는지에 대하여 학설대립이 있다. 특히 후자의 책임은 전문가의 잘못된 정보제공의 경우에 인정되는 것으로서 아직 판례는 제3자보호효력을 가지는 계약의 법리에 따른 손해배상책임만을 검토하고 있다. 이 점에서 이 법리 대신에 제311조 제3항 및 제241조 제2항과 제280조에 기초한 법정신뢰책임은 일정한 경우에 한정되어 적용될 수 있다고 보인다. 이점에서 일반적 신뢰책임이 독일민법의 기본적 책임구조의 한축으로 정립되었다고는 아직 말하기 어려울 것이다.

      • KCI등재

        노동관행과 신뢰책임에 관한 고찰

        정명현(Jung, Myung-Hyun) 한국법학원 2013 저스티스 Vol.- No.139

        단체협약, 취업규칙, 근로계약 등에 명시적인 규정이 없어 근로계약의 내용을 명확히 확정 지울 수 없는 경우에 노동관행은 실제 당해 부분사회의 규범이 되어 근로조건을 규율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노동관행은 근로자 집단에 관계되는 것일 수도 있고 개별 근로자에 관계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그 법적 성질이 다를 수 있다고 본다. 근로자 집단에 관계되는 노동관행은 기업의 질서와 관계된 규범으로서 취업규칙과 유사한 성격을 가진다고 하겠으며 개별 근로자에 관계되는 노동관행은 근로계약과 유사한 성격을 가진다고 본다. 노동관행의 성립요건으로서 계속성ㆍ반복성은 모든 법률행위에 있어서 획일적으로 정해질 수는 없다고 본다. 노동관행은 관습법적 지위에 있을 수도 있고 규범적 지위, 계약적 지위, 사실인 관습적 지위, 사실인 관습에 이르지 못한 지위에 있을 수 있다. 우리나라 대법원은 규범과 동등한 정도이거나 사실인 관습과 묵시적 합의를 갖춘 노동관행에 대하여 법적 구속력을 인정하고 있다고 하겠다. 노동관행이 인정되면 전부를 얻고 그렇지 못하면 전부를 잃는 등 노동관행의 인정과 관련하여 존재하는 불합리한 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신뢰책임을 원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관행이 성립하지 않아도 신뢰책임은 성립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신뢰책임이 성립하면 신뢰의 크기에 비례한 이행책임 또는 손해배상책임을 물을 수 있어, 전부를 잃거나 아니면 전부를 얻는 식이 아닌, 절충적인 원만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신뢰책임은 노동관행의 성립과 병존할 수 있으나 노동관행이 성립하면 신뢰책임을 원용할 실익이 없어진다. 따라서 노동관행이 규범이나 계약으로서의 법적 지위를 인정받지 못할 때 신뢰책임을 원용할 수 있다고 본다. 신뢰의 크기에 비례한 책임부담의 원칙을 적용한다면 당사자들이 느끼는 권리 대비 책임의 크기 간의 괴리를 줄이고 쌍방의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Labor practices become an actual rule in the partial society and play important roles in regulating employment conditions when details of a labor contract cannot be defined due to the lack of relevant provisons in a collective agreement, rule of employment and a labor contract, etc. Labor practices are concerned with either a group of employees or an individual employee. While those related with a group of employees are similar to rules of employment, those related with an individual employee are similar to a labor contract. The criteria for establishment of labor practices such as continuity, repeatability cannot be defined uniformly. They are varied according to a specific situation. The Supreme Court of Korea acknowledges that a labor practice which is equal to a norm or de facto custom with an implicit consent carries legal binding force. Though a certain action is not recognized as a labor practice which carries legal binding force, it can still be a basis for liability for the breach of confidence, which also carries legal binding force. Acknowledging liability for the breach of confidence will contribute to an amicable settlement by taking the proportional responsibility.

      • KCI등재

        스포츠센터 사회적 책임활동(CSR)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의 조절효과

        오정수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스포츠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판단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215명의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제 사용된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 석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센터 사회적 책임활동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사회적 책임활동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책임, 법률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등 모든 변인에서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사회적 책임활동이 종사자의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변수로 판단된다. 둘째, 스포츠센터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사회적 책임활동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책임, 법률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등 모든 변인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조직신뢰는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 로 확인하였는데, 조직신뢰는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시민행동 사이를 조절하는 매우 중요한 조절변수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sports center work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Data from 215 people were used for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SPSS 21.0 program was use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and the moderating effects. And based on which,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irst,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ports center workers showed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ll variables such as economic responsibility, legal responsibility, ethical responsibility, and charitable responsibility. Second, looking at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ports center workers, organizational trust has a moderating effect on all variable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uch as economic responsibility, legal responsibility, ethical responsibility, and charitable respon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