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석문과 목간으로 본 6세기 신라의 촌락 구조

        李京燮(Lee, Kyoung Sup)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2

        이 글은 6세기의 금석문과 목간 자료를 활용하여 신라 촌락의 내부구조와 그 실상을 해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먼저『포항중성리신라비』의 시기인 麻立干시대의 촌락사회는 在地首長의 인격적인 지배가 유지되고 있었으나, 외부적으로는 신라 6部에게 정치적 · 경제적으로 의존하면서 貢納과 奉仕의 책임을 다하는 복속 형태를 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재지사회의 정황은 6세기 들어 더욱 활발해진 계층 분화에 따른 촌락 내부의 갈등이 심화되고, 6부 체제를 극복하면서 등장하는 신라의 새로운 권력구조에 직면하게 되면서 변화를 강요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촌락의 공동체적 질서 속에 존재하던 사람들을 신라국가의 公民으로 개인화하는 작업에 다름 아니었다. 성산산성 목간의 本波 · 阿那 · 末那 · 前那등의 용례는 村 내부적인 地域(區域) 방향과 범위를 나타내는 용어였으며, 이것은 곧 촌락의 분화양상과 구조를 분명하게 나타내기 위한 표기였다. 당시 신라의 촌락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그 자체 불균형적인 성장과 소멸의 과정을 경과하고 있었으며, 국가는 이같은 변화를 예의주시하면서 촌락사회의 안정적인 지배를 꾀하고 있었던 것이다. 수취의 과정에서 제작된 성산산성 목간에 이와 같은 촌락 내부의 현상이 기재되었다는 것은 국가권력이 지배의 시선에서 촌락공동체 내부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노력의 산물이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촌락과 촌락민의 경제력등의 처지에 따른 세액의 차등 부과와 민과 노인의 공동 납부 등의 양상은 당시 신라 국가가 村落의 현황과 내부 民의 정치경제적 사정까지도 파악하고서 수취를 진행하였음을 지적하였다. 『포항중성리신라비』의 분쟁 사실은 여전히 공동체적인 운영원리가 촌락민을 강하게 규정하는 가운데 국가가 財의 분쟁 등에 개입하면서 재지수장층을 정점으로 공동체적 성격이 내부화된 촌락사회를 분해해가는 과도기적인 시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단양적성신라비』의 赤城烟이나 성산산성목간을 통해 볼 때 6세기 중엽의 신라에서는 촌락민들에 대한 기본적인 戶口조사가 이루어져 개별적 인신지배가 상당히 진전되었음을 밝혔다. 6세기 신라의 촌락 구조는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존재하였으며, 여러가지 사정으로 촌락 자체는 분화하고 있었다. 촌락사회의 이러한 변동은 고대국가의 중앙집권화 과정에 연동하여 그 내부적 변화를 경과하였다고 이해할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 촌락사회 내부의 자체적인 변화도 간과할 수 없다. 6세기 촌락은 首長과 民의 관계를 중심으로 내적인 변화와 발전의 과정을 경과하면서 신라 국가라는 外力과 끊임없이 拮抗하였고, 그 결과 중층적이고 복합적인 공동체로서 존재하였다고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nal structures and facts of villages in Silla based on the epigraphs and wooden tablets from the sixth century. For this purpose,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village society during the Maripgan period depicted in the “Silla Tombstone in Jungseong-ri, Pohang” and found that the local heads maintained their character-based rule in the villages but were dependent on the six Bus of Silla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in their subjugation to Silla via tributes and service. In the “Wooden Tablets of Seongsan Mountain Fortress,” the examples of Bonpa, Ana, Malna, and Jeonna were terms to refer to the internal directions and scopes of areas(zones) in the villages and marks to show the division patterns of villages clearly. They were used for the state to understand changes to the village communities and govern them. Different amounts of taxes were imposed on villages and village people according to their economic status, and common people were allowed to pay joint taxes with the elder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illa understood the current states of villages and their politic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to collect taxes. The disputes depicted in “Silla Tombstone in Naengsu-ri, Pohang” show that Silla was in a transitional period as the state intervened in people’s disputes over wealth and caused the community nature under the leadership of local heads to break down the internalized village society while the community-based management principles still had a strong grip over the village people. The Jeokseongyeon in “Silla Tombstone in Jeokseong, Danyang” and the wooden tablets of Seongsan Mountain Fortress indicate that the government carried out basic census on village people and applied much advanced governance to individual residents in Silla in the middle sixth century.

      • KCI등재

        신라(新羅) 마립간기(麻立干期)와 중고기(中古期)의 서상(瑞祥)과 정치(政治)

        신정훈 ( Jung Hoon Shin ) 택민국학연구원 2015 국학연구론총 Vol.0 No.15

        신라는 마립간기와 중고기에 강화되어가는 王權을 배경으로 고대국가로 등장하였다. 마립간기에, 麻立干(王)은 葛文王. 6部의 대표자와 구별하기 위한 정치적 장치가 필요하였다. 이 때 瑞祥현상이 주목된다. 서상은 儒學(儒敎)에서 나온 개념이다. 이것은 왕이 德治를 행하면, 하늘이 보내주는 상서로운 현상이다. 따라서 서상 현상은 왕권이 하늘과 연결된다는 것을 상징한다. 서상의 존재는 마립간(왕)을 갈문왕이나 6부의 대표자와 구별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서상개념을 나오게 한 유학은 신라에서 언제 수용되었던 것일까? 신라는 奈勿王代에 고구려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 점은 신라의 왕릉인 瑞鳳塚에서 출토된 銀盒에서 알 수 있다. 이 은합은 고구려 故國壤王 8年에 만들어져 신라에 전해졌다. 다시 말해, 고구려 왕실이 은합을 신라 왕실에 선사했던 것이다. 이 때 고구려는 國社(社稷)을 세우고 宗廟를 수리했다. 국사와 종묘는 儒敎文化의 핵심이다. 유교문화를 수용하던 고구려를 접하며, 신라는 내물왕 대에 국가적으로 儒學을 수용하였다고 보인다. 이 점은 내물왕 대에, 신라 사신인 衛頭가 북중국에 있던 前秦의 부堅과 나누었던 대화에서 보인다. 위두는 신라에서 變革이 일어나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이 변혁은 신라가 내물왕 대에 고대국가로 성립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대국가라는 새로운 정치단계에 있어, 유학은 사회 안정과 왕권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내물왕대에 紫雲(慶雲)과 神雀 등 유학의 영향을 받은 서상이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마립간기에 나타난 11회의 서상 중, 4회의 서상이 내물왕대의 것이다. 이점은 내물왕대가 서상현상으로 보아, 신라의 역사에 중요한 전기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집중적인 서상 현상은 내물왕 대에 신라가 국가적으로 유학을 수용하였음을 말한다. 신라는 奈勿王 代부터 智證王 代까지의 마립간 기에, 왕실이 철제 생산도구와 수리시설의 축조 과정에서 가장 큰 수혜를 입으며, 그 힘을 축적해 갔다. 드디어 中古期인 法興王에 이르러, 이러한 경제적인 힘을 바탕으로 왕권강화에 성공하였다. 法興王은 6部의 대표자를 초월하는 위치에 서게 되었던 것이다. 왕이 특정한 부에 속하지 않은 채, 聖法興大王이라는 칭호를 사용한 점은 이를 분명히 말해준다. 이제 왕과 6부의 대표자를 구별하기 위한 서상현상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그 대신 佛敎를 통한 왕실의 신성화가 법흥왕과 그 뒤를 이은 중고기의 왕 들에게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결국 경제적인 힘을 바탕으로 한 왕실의 세력 강화는 불교를 통한 왕실의 신성화로 나타났다. 이 점이, 중고기에 서상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었던 주요한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Silla became antient nation in the Ma-rip-gan and Medieval period. King needed a political system to distinguish Galmunwang and representatives of six bu from himself in ma-rip-gan period of Silla. Auspicious things came from Confucianism. It was appeared through virtuous politics by king. This Auspicious things was connected with heaven. Therefore it became indication of connection between royal authority and heaven. Silla accepted Confucianism as governing ideology In King Naemul``s period. Silla was dependent on Goguryo in these times. Goguryo built Sajik(an altar to the state deities) and she repaired Jomgnyo(Royal ancestral shrine) in King Gogukyang. Sajik and Jomgnyo was the core of the confucian culture. Silla was affected by the confucian culture of Goguryo at that time. Auspicious things were appeared eleven times in Ma-rip-gan period of Silla. Among them, four times belonged in King Naemul. These Auspicious things were to show the acceptance of Confucianism in King Naemul``s era. Royal family earned the most benefits from iron agriculture tools and irrigation facilities in Ma-rip-gan period of Silla. As a result like this, King Beopheung accomplished the strengthening of royal power. King Beopheung dominated above the representatives of six bu. King was not necessary to distinguish representatives of six bu from himself anymore. The apotheosis of a royal family was accomplished through Buddhism in Medieval period of Silla. In conclusion, the strengthening of royal power was sustained by the economic background. Royal power used Buddhism for the purpose of the apotheosis of a royal family. That is the very reason, royal authority no longer used the Auspicious things in Medieval period of Silla.

      • 특집 : 고대 한민족의 민족이산과 그 역사가 남긴 흔적들 ; 일본 속의 신라신과 신라신사에 대하여

        하정용 ( Jeong Yong Ha ) 한국민족학회 2009 민족학연구 Vol.7 No.-

        신라신사는 신라에서 직접 집단적으로 건너온 신라인들이 그들이 정착한 거주지에 세운 신사이다. 신사란 고대 신앙의 변천이 그러했듯이 원시적인 자연숭배의 면도 간직하고 있지만, 역사시대 이후에는 그들의 시조를 비롯한 선조들을 모신 사상의 성격이 점점 강해진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신라인들이 그들의 조상을 모신 사당이 바로 신라신사인 것이다. 그렇다면 신라신사를 찾으면 신라인들의 거주지가 밝혀 질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신라의 왜로의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찾는 단초가 될 것이다. 현존하는 신라신사는 “白城”, “白木”, “白鬼”, “信露貴”, “志木”, “白井”, “白石”, “白髮”, “白子”, “白濱”, “白磯” 등의 이름으로 불리우고 있으며, 모셔진 제신들은 신라계와 비신라계로 신라신사에 모셔진 제신들을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신라계는 신라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나 그들의 선조를 비롯하여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의 ‘신라’와 직접 관련된 신을 말한다. 일본 園城寺에 소재한 新羅善神堂의 제신은 新羅明神으로 出雲神社의 素盞嗚命(스사나오노미코토)라고도 하지만, 더러는 素盞嗚命의 아들인 五十猛神(이소타게루노미꼬토)이라고도 한다. 한편 延曆寺에 모셔진 적산신은 泰山府君으로 도교에 있어서 冥府의 神으로 중국의 五岳神의 하나인 東岳大帝또는 太一神(北極星)과도 동일시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는 천태종내의 권력투쟁과 후대의 관념적 변형일 뿐으로, 적산신은 역시 적산신라원의 불법을 수호하는 적산신으로 봐야 할 것이다. 이 적산신 역시 신라명신으로 혼동되고 있으며 이 두 신격의 배후에는 적산법화원과 장보고라는 존재가 있으므로 어쩌면 같은 신이 후대에 다른 신격이나 관념이 부여된 것이 아닌가 싶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다방면에서의 다각적인 접근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외에도 신라에서는 연오랑세오녀, 김제상 또는 박제상 등이 왜로 건너갔다. 동해문화권을 설정해 볼 때, 천일창과 박제상을 비롯한 신라와 왜의 교류의 면면들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당시의 관계 때문인지 박제상을 섬기는 신사는 일본에서는 현존하지 않으며 역사상 기록도 잘 찾을 수 없다. 그러나 천일창의 경우는 수많은 신사에서 제신으로 받들고 있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일본 내에 현존하는 신라계 신사들과 거기에 모셔진 신라계제신들의 존재는 고대 신라인들의 일본으로의 디아스포라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시 해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신라신사가 있다고 해서 모두 신라인 거주지로 보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이미 지배층으로 성장한 신라인들이 모신 신들을 왜인들이 신앙으로서 수용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Directly to the Shrine, as a group came from Shilla, they settled on the settlement is built shrine. Shrine as like the history of the ancient faith is primitive nature worship, it was the remnants of the shave, but since the era of the history of their progenitors, including the nature of the ancestral shrine and say this is getting stronger. After all their ancestors shrine Shilla new sign that will be a shrine. Then you find Shilla shrine to the settlement will be revealed. That is the historical keyword of diahseupora from Shilla to Japan will be looking for. Existing Silla shrine is called by name like a Shirogi or Shiragi and so on, and We can divide the every gods of that shrine into Shilla and non-Shilla. The Shilla is immigrant from the Silla people and unification of their ancestors, includ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Silla, Silla, is directly related to the Shilla God. The god of the shrine of Shila good god at Enjouji in Japan is Susananonomikoto of izumo shrine, also known as Isotagerunomikoto is the son of Susananonomikoto. Meanwhile, Chishan God of Enryakuzi is the Taoist god of the hell or the polar star. However, this is only the result of the power struggle in Tendaishyu, really Chinshan god is just the tutelary god of buddhism. Chinshan god is also confused by the Silla myoujin divinity. Behind the two gods, Chinshan and Changbogo exists, so maybe to future generations the same God or other divinity notion seems to have been granted. However, a lot of the multipronged approach will be required. In addition to the Shilla, Yeonohran & seohnyeo, Parkjesang went Japan. Because of the relationship at the time of serving, the shrine for Parkjesan stuffed award in the history of Japan is not in the existing record can not be found as well. However, there is a many shrine for Chenilchang in japan is in contrast to the Parkjesang. Likewise, in Japan there is a many existing the Shilla Shrine, the exist of ancient Shilla gods can give important information of a study in Japan diahseupora. But if there is a many Shilla shrine, that is not mean the settlement of Shilla people. Japan people not Shilla people can believe the gods of Shilla is the gods of Shilla people already grown to the high level.

      • KCI등재

        9세기 일본 서부 연안에 나타난 신라인들

        김창겸(金昌謙) 신라사학회 2012 新羅史學報 Vol.0 No.26

        이 글은 9세기 日本 서부 연안에 출현한 신라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당시 일본 서부 연안에는 많은 신라인들이 자주 출현하였다. 이들 신라인은 단순한 표류민으로 난민인 경우도 있었으나, 상인·범죄자·도적(해적)·승려·관리 등 그 성분이 다양하였다. 일본측 사료에는 신라인이 출현하는 현상에 대하여 일본의 풍속과 교화를 흠모하여 자발적으로 귀화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이 일본에 진출한 직접적 이유와 배경은 일본측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신라측에 보다 있었다. 이 무렵 신라 내부의 사회변동은 많은 유이민을 낳았고, 이들 일부가 해외로 진출한 것이다. 일본에 신라인들이 출현한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단순한 표류는 사고와 자연재해가 그 원인이다. 그러나 상인은 부의 획들을 목적으로 일본을 대상지로 선택한 것이고, 난을 피하거나 범죄인으로 몰려 살길을 찾아 나선 유이민들은 생존을 위해 새로운 정착지를 찾아 일본에 진출한 것이다. 일본 서부 해안에 도착한 신라인들은 일본 관민으로부터 공격을 받아 다치거나 죽은 자도 더러 있었으며, 일본에 상륙할 때의 모습은 오랜 항해와 굶주림에 지쳐 매우 처참한 모습이었다. 때로는 자신들의 생계와 보호를 위해 무장을 하고 많은 수가 무리를 지어서 일본 연안 지역에 불법 상륙하여 노략질하거나 심지어는 공물을 약탈하는 불법 도적집단의 모습이었다. 이 경우에는 해적단으로서 막강한 군사조직과 같았다. 그러므로 9세기에 신라인들이 일본지역으로 진출한 것은 생활의 어려움과 고통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의 세계를 찾아 나선 생존전쟁이었다. 신라인의 일본 진출은, 일반적인 인구이동이 그러하듯이, 그 파급효과로 인하여 정치·사회·경제는 물론 문화 전반에 걸쳐 변화를 낳았다. 결국 신라에서 발생한 유이민은 9세기 동아시아에 큰 파장이 되어 한반도의 신라는 물론 중국 唐과 일본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었으며, 이것은 당시 인적 물적 교류로서 상호 작용하여 영향을 미쳤다.

      • KCI우수등재

        「청주운천동신라사적비」의 제작 연대 검토- 서체와 주변 환경을 중심으로 -

        전진국 한국사연구회 2019 한국사연구 Vol.- No.184

        Based on the stele record, the Cheong-ju Uncheon-dong Silla Stele[or the Cheong-ju Stale] has been considered as being erected in A.D.686. However, a different interpretation was suggested recently that this stale was made in the early Goryeo. Furthermore, a series of studies denying Silla’s consciousness of the three Han's unification in the 7th century have been published based on this interpretation. Therefore, this article reviewed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Cheong-ju Stale by analysing the age of the calligraphy on the stale and the surroundings of the place where the stele was found. The stone monuments of Silla are found from that of the 6th century, and the calligraphy at this time is called ‘old Silla style'. In the late 7th century, calligraphy in stale began to use the kai shu(楷書) style,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Tang(唐) dynasty. Thus, from the 7th to the 9th century, old Silla style, the northern Wei(北魏) style, and kai shu style of Tang dynasty were mixed. However, kai shu of Tang dynasty gradually became a mainstream, and after the 10th century, stale with kai shu was written only in the form of kai shu of Tang dynasty. In the Cheong-ju Stale, old Silla style and the northern Wei style which had been used before kai shu of Tang dynasty can be identified. Also, calligraphy and terminology in this stale is most similar to that of the Sijanggun's Monument(柴將軍碑, 661) and the Hwang-Bok Temple sarira stupa tablet(皇福寺三層石塔舍利函記, 706). Moreover, Large-scale temple remains were examined in the vicinity where the Cheong-ju Stale was found. Upon investigation, Silla-style Pottery and bronze bell were discovered, allowing to assume that the temple was firstly built in the middle of Silla. Since Silla temple was discovered nearby,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is stale as a memorial monument related to the temple. As a result, the Cheong-ju Stale was a memorial monument for the temple in Uncheon-dong, Cheongju and estimated that it was made in the late 7th and early 8th centuries. 「청주운천동신라사적비」의 제작연대는 비문에 나타나는 기록에 의거하여 686년으로 여겨 왔다. 그러나 최근 비문의 내용 파악과 역사적 해석을 다르게 하여 고려 초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나아가 그것에 바탕하여 신라 중대의 일통삼한 의식까지 부정하는 연속된 연구가 제출되어 더욱 논란이 되고 있다. 그에 따라 이 글에서는 글씨의 시대성과 빗돌이 발견된 곳의 주변 환경을 살펴 비가 세워진 연대를 다시 검토해 보았다. 신라에서 석비는 6세기부터 확인되는데, 이때의 서체는 ‘고신라풍’이라 일컬어진다. 그 뒤 7세기 후반부터 당 문화의 영향을 받아 당의 해서가 쓰이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7세기부터 9세기까지는 고신라풍의 글씨와 북위의 서체, 그리고 당의 해서가 혼재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당의 해서가 점차 주류로 자리 잡는 양상으로 전개되어, 결국 나말여초 이후 해서로 쓰인 금석문은 오로지 당의 해서가 발전된 형태의 글씨만이 쓰인다. 「청주비」에는 당 해서 이전 고신라풍의 글씨와 북위의 서체도 확인된다. 직접적으로 「시장군비」(661)와 「황복사금동사리함기」(706)에 쓰인 서체 및 용어와 유사함이 가장 많다. 「청주비」가 발견된 인근에서는 대규모의 절터 유적이 조사되었다. 조사 결과 신라식 토기와 동종이 발견되어, 절이 처음 세워진 시기는 신라 중대까지 내려다 볼 수 있게 되었다. 인근에서 신라시대의 절이 확인되므로, 「청주비」는 그 절과 관련된 사적비로 봄이 타당하다. 따라서 「청주비」는 청주 운천동 일대 지어진 사찰의 사적비로, 7세기 말에서 8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신라의 한자 전래・수용과정과 표기 양상

        김희만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2 한국고대사탐구 Vol.40 No.-

        In this article, I tried to trace back how Silla society changed and developed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s. First, we examined how Chinese characters were transmitted to Silla society and how they were received by Silla, and then examined the aspects of how Chinese characters were written in Silla society. As a result, Chinese characters were transmitted and accepted mainly through external communication in Silla. Looking at the process, first, the situation of immigrants from China in the early period of Silla, second, the transmission process through diplomacy with Goguryeo centered on communication with Goguryeo. Third, it could be divided into the situation of diplomacy with China through Baekje and China's communication with Nan Pei ch'ao shih tai(南北朝時代). Next, we looked at how Chinese characters that were introduced to Silla were actually used in Silla society. First, the designation of a part of the Silla territory called 'Old territory of Goguryeo(高句麗故地)' in Jiriji(地理志) in Samguksagi(三國史記), secondly, 'Naming the capital(定京都坊里名)' in the Sillabongi(新羅本紀) of Samguksagi(三國史記), and '35 Luxuryhouse(金入宅)' in the Gii(紀異篇) of Samgukyusa(三國遺事), Third,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reality of the letter '喙' and the letter '啄' in the librarians, as seen in the inscription carved in stone written by the Silla Dynasty around the 6th century. Through this, Silla was able to transmit Chinese characters through external communica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through the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s,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into a society where systematic records and efficient management were possible. Since then, it has been possible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Silla society gradually creating its own Chinese character culture. 이 글에서는 신라의 한자 전래와 수용과정을 통하여 신라 사회가 어떻게 변화・발전하였는지를 역추적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한자가 신라 사회에 어떠한 경로로 전래하였는지, 또 전래한 한자가 신라인에게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검토하고, 이어서 신라 사회에서 한자가 어떤 형태로 표기되었는지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신라는 대외 통교를 중심으로 한자가 전래・수용되었는데, 그 과정을살펴보면 첫째 신라 초기에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이주민의 상황, 둘째 고구려와의통교를 중심으로 대고구려 외교를 통한 전래과정, 셋째 백제를 통한 대중국 외교의정황과 중국의 남북조 국가와의 통교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신라로 전래한 한자가 신라 사회에서 실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살펴보았다. 첫째 삼국사기 지리지의 ‘高句麗故地’라는 신라 영토의 일부 지명, 둘째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定京都坊里名’과 삼국유사 紀異의 ‘35金入宅’의명칭, 셋째 6세기 전후 신라인들이 작성한 금석문에 보이는 ‘喙’ 자와 사서의 ‘啄’ 자 등을 통해서 한자 사용의 실례를 확인하였다. 이로써, 신라는 주변국과의 대외 통교를 통하여 한자가 전래할 수 있었으며, 한자의 수용을 통하여 체계적인 기록과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사회로 발전할 수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후 신라 사회는 점차 독자적인 신라인의 한자 문화를창출해가는 모습의 일면을 규명해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신라의 오묘 제일과 농경 제일의 의미

        채미하 동양고전학회 2015 東洋古典硏究 Vol.0 No.61

        본 논문은 신라의 오묘제사 제일과 농경제사 제일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본 것이다. 제사지 신라조에 따르면 신라의 국가제사 중 정기적인 제일을 알 수 있는 것은 오묘제사와 농경제사이다. 우선 신라의 오묘제사는 중국제사제도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 제일은 중국과는 다른 신라의 시간관념이 반영된 것이었다. 특히 신라의 오묘제일과 관련해서 수로왕묘 제일이 관심을 끄는데, 양자의 공통 제일은 5월 5일과 8월 15일로, 우리나라의 令節인 단오와 추석이었다. 그리고 신라 오묘 제일 중 1월 2일은 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신년의례라고 하였다. 이로 볼 때 신라의 오묘 제일은 영절인 설과 단오 및 추석과 연결지어 이해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오묘 제일은 농경의 순환과도 관련이 있었는데, 祈穀-파종 후의 곡식의 성장-추수기의 좋은 날짜였다고 하였다. 신라의 농경제사 제일과 제사 역시 당의 영향을 받기도 하였지만, 중농과 후농제사는 신라의 독자적인 제사로 신라에서는 농경의 단계에 맞춰 농사를 짓기 전에 선농(풍백), 파종을 하기 전에 중농(우사), 수확을 하기 전에 후농(영성)제사를 지냈다고 하였다. 12월 인일에 신라에서는 팔자제사를 지냈는데, 이것은 농경과 관련된 百神에 대한 감사의례였다. 중국, 고려⋅조선의 경우 종묘에서 臘享하였지만 신라의 팔자제사는 농경제사로 자리잡았고 제사지 신라조에는 다른 농경제사 보다 앞서 기록되어 있다. 이 점에서 신라는 12월부터 농경제사의 시간을 헤아렸다고 보았는데, 이것은 중국의 제도를 받아들였지만 신라의 전통적인 시간관념이 반영된 것이라고 하였다. This study was regading the ritual dates of agriculture rite and of Omyo rite. According to Jesaji Sillajo, only Omyo rite and agriculture rite had their periodical ritual dates found out among national rites. First Omyo rite was influenced from China, but the ritual dates were reflected from traditional time concept of Silla. Especially the ritual dates of Omyo rite and king Sooro tomb rite were the same May 5th and Aug 15th each of which were related to Dano and Chooseok. Also the ritual dates of Jan 2nd had the meaning of New year's ceremony. And ritual dates of Omyo rite in Silla had closely something to do with the circulation of farming. As such the ritual dates of Omyo rite not only had something to do with Yeongjeol such as Seol, Dano, Chooseok but was selected good for Gigok-growth of grains after seeding and harvest time. Though ritual dates of agriculture rite and the rite in Silla were also influenced by Tang, each rite were serviced ahead of farming named Seonnong(Poongbaek), ahead of seeding named Joongnong(Woosa), and ahead of harvest named Hoonong(Yeongseong) according to Silla's traditional farming calendar. And the service for Palja rite on the day of Inil December in Silla showed not only it was the thanksgiving ceremony for one hundred gods but the farming calander began from December. This was found in that Palja rite was recorded ahead of the other agriculture rites at Jesaji Sillajo and the rite of Silla was the agriculture rite which differentiated its status from China, Gorye, and Joseon in which it was Naphyanged at Jongmyo.

      • KCI등재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

        박희택(Park Hee-Tae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2

        이 논문은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를 다룬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신라 중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를 영향사적 맥락에서 먼저 검토하였다. 신라 중대의 전제 왕권을 뒷받침한 정치이데올로기는 화엄사상과 법상종 및 정토사상 등을 들 수 있다. 정토사상 가운데 미륵상생사상과 미타사상은 신라 중대의 귀족과 일반민중의 의지처로 기능하였다.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는 이러한 영향사 아래 전개되었다. 진골귀족의 반대운동으로 전제왕권이 해체되고 귀족연합정치가 전개된 정치변동은, 화엄사상이나 법상종같은 복잡한 교리가 아닌 개인주의적 성격을 지니는 선종과 현세지향적인 미륵하생사상을 선호하게 하였다. 미륵하생사상은 법상종과 연결된 것이므로 법상종 또한 신라 하대의 정치이데올로기로 여전히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에서 반드시 하나 더 주목해야 할 사상은 밀교(비로자나불사상)이라 할 것이다. 통일신라 9세기 이후 신라 전역에 조성된 비로자나 불상이 그 반증이 된다. 이것은, 1) 신라 하대의 무상한 정치현실을 넘어서 영원광명을 지향하는 측면에서 빛의 부처님인 비로자나불을 모셨다는 점, 2) 신라불교사상사의 전개상 신라 하대는 화염불교에서 밀교로 나아가고 있었다는 점, 3) 신라 하대의 사상계가 화염불교보다는 밀교에 친근성을 보였다는 점 등과 결부된다. 신라 하대의 신라인들은 스스로 빛의 부처님이 되어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였다. 분절된 정치를 사상적으로 통합한 변증은 선종이나 미륵하생사상, 법상종이 아닌 밀교의 비로자나불사상에 의해 이루어졌다. This paper treats of the relationship of Buddhism and politics of Silla Hadae(下代). In order to study this subject, I examine in advance that of Buddhism and politics of Silla Jungdae(中代). Political ideology that supporting despotic regime of Silla Jungdae is Hwaeomsasang(華嚴思想) and Beobsangjong(法相宗) and Jeongtosasang(淨土思想) and so on. Political change of Silla Hadae, that is, dissolution of despotic regime and development of aristocracy brought on the preference for Seonjong(禪宗) and Mireukhasaengsasang(彌勒下生思想). For all that, we should take notice of Esoteric Buddhism(Vairocana Buddha thought). Because, Vairocana Buddha of Esoteric Buddhism is Buddha of light who console people exhausted due to politics with rays, Main stream of Silla Hadae is not Hwaeomsasang but Esoteric Buddhism, Seonjong runs through Esoteric Buddhism. People of Silla Haedae had intention to get over the limit through being Buddha of light themselves. The dialectic of segment and integration of Silla Haedae could be realized by Vairocana Buddha thought of Esoteric Buddhism.

      • KCI등재

        [특별논단] 몽촌산성에서 발굴된 백제 유적과 통일신라 유적의 역사적 의의

        이형구(Lee, Hyeong-koo) 신라사학회 2015 新羅史學報 Vol.0 No.34

        2014년 7월 31일 한성백제박물관 백제연구소는 夢村山城의 북문지 내 발굴 현장을 일반인에게 공개하면서 몽촌산성 안에서 “통일신라 문화층 아래에 한성백제시기 문화층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고 하는 충격적인 고고학 성과를 발표하였다. 이는 백제문화층과 통일신라문화층 사이에는 어떤 문화층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몽촌산성은 백제의 왕성인 풍납토성을 보위하는 背後城이다. 고구려의 왕궁인 국내성의 주위에는 丸都山城이 있고, 평양 천도 수도인 안학궁 주위에는 대성산성이 있는 것처럼, 한성백제의 왕성인 풍납토성의 주위에 몽촌산성을 쌓아 왕성이 危難할 때 避難城의 역할을 한다. 1983년부터 1989년까지 7년 동안 몽촌산성에서는 6차에 걸쳐서 상당한 지역을 발굴하였는데, 1기의 지상건물지 외에 온돌건물지 1기, 생활면 유구 1기, 주거지 12기, 판축대지 1개소, 저장공 31기, 방형유구 1기, 적석유구 8기, 연못터 2개소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2014년에 재발굴되면서 어느 정도 몽촌산성의 전모가 드러났다. 몽촌산성에서 출토된 일부 고구려계의 유물은 이곳을 점령한 고구려군의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지만, 몽촌산성에서 확실한 고구려의 유적은 아직까지 발굴되지 않았다. 한성백제시기의 백제유적만이 발굴되었고 백제유적 안에서 고구려계의 유물이 수습되었을 뿐이다. 몽촌산성 동남지구 해발 30m에 있는 방형유구의 퇴적층 사이사이에서 고구려계통의 토기가 출토되었는데, 발굴자들은 이를 고구려가 475년 한강유역을 점령한 후 고구려인이 남긴 ‘고구려토기’라고 간주해 왔다. 그러나 백제유적에서 고구려계의 유물이 함께 출토된다고 하는 사실은 백제인들이 현지에서 고구려계의 문물을 제작했다고 하는 사실을 증명해주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서울 송파구 석촌동에서 백제의 계단식 적석총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계단식 적석총은 중국 집안시에 있는 고구려 고분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피라미드형’ 돌무지무덤이다. 석촌동 적석총은 백제고분으로 고구려의 고분양식을 받아들여 백제인들이 축조했다. 2014년 발굴조사에 의하면, 통일신라 문화층 출토유물은 통일신라시대 전기인 7세기 후반에서 8세기경의 유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백제문화층 위에서 발굴된 통일신라시대 유적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에 한강유역을 장악하고 신라인들이 남긴 유적이라는 사실을 말해 주고 있다. 이번에 발굴된 몽촌산성의 유적분포 상황으로 볼 때, 백제가 475년 공주로 남천한 이후의 몽촌산성은 상당기간 空閒地로 남아 있다가 근 200년 후에 신라인들이 몽촌산성에 들어와서 취락을 형성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몽촌산성이 통일신라시대 전반기에 어떤 목적으로 몽촌산성을 사용한 것인지 앞으로 추구해 보아야할 문제이다. 지금까지 발굴된 취락의 규모와 출토유물의 내용으로 보아 신라가 통일기에 와서 한강유역에 진출하여 주둔 또는 행정지역으로 사용했었던 곳인지 아니면, 한산주의 治所로 볼 수도 있을지 의문이다.

      • KCI등재후보

        新羅 瑞鳳冢의 銀盒 年代와 그 築造時期에 대한 신검토 -역사적 맥락과 관련하여-

        신정훈 택민국학연구원 2014 국학연구론총 Vol.0 No.13

        Main focus of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carved two words, Younsu(延壽) and Sinmyo(辛卯), which could indicate the name of an era and chinese zodiac respectively and the study also focus on possible period of Seobong-chong(瑞鳳冢)'s construction time with the words. Younsu and Sinmyo was carved in the bowl with lid silver(銀盒). Younsu was not used the name of an era of China and Japan. and there are several opinions about Sinmyo. There are three different opinions on Sinmyo. King Namul(奈勿王) 36 years in Silla(新羅) and king Gogukyang(故國壤王) 8 years in Goguryo(高句麗) is a first possible assumption of this time frame and this could be in A. D. 391. King Nulji(訥祗王) 35 years in Silla, and King Jangsu(長壽王) 39 years in Goguryo is second opinion of actual time of Sinmyo. and this could be in A. D. 451. King Jijung(智證王) 12 years in Silla, King Moonja(文咨王) 20 years in Goguryo is the other opinion of Sinmyo. and this could be in A. D. 511. The first assumption, A. D. 391 was the same time of the king Gogukyang 8 years. At that time, Goguryo held the national Buddhist mass, established Guksa(國社) and repaired Jongmyo(宗廟) Through those facts, the bowl with lid silver, which was buried in Seobong-chong, could be used in the Buddhist mass or national sacrifice in this bout of Goguryo.. Therefore, Younsu as the name of an era could be used in King Gogugyang of Goguryo(高句麗). In those time of years, Silla was dependent on Goguryo. The assumption is based on the facts that King Namul of Silla had to send Sllsung(實聖) to Goguryo as a hostage and Goguryo intervened the accession of King silsung. Through the background of the times, Younsu was carved in the bowl with lid silver. which was buried in the period of King Namul or King silsung’s reign. The others two arguments of Sinmyo could belong to the year in A. D.451(King Nulji 35 years in Silla, King Jangsu 39 years in Goguryo) or in A. D. 551(King Jijung 12 years in Silla, King Moonja 20 years in Goguryo) could not be logical choices because of the hostility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Goguryo. It assumes that Silla could not bury the bowl with lid silver of Goguryo as their valuable in their royal ancient tomb. 본 논문은 서봉총의 축조시기와 관련하여, 銀盒에 새겨진 延壽라는 연호와 辛卯라는 年 干支에 주목하고자 한다. 연수라는 연호는 중국, 일본에서 사용된 예가 없다. 신묘년에 관해서는, 1) 391년(新羅 奈勿尼師今 36年, 高句麗 故國壤王 8年). 2) 451년 (新羅 訥祗痲立干 35年, 高句麗 長壽王 39年). 3) 511년(新羅 智證王 12年, 高句麗 文咨王 20年)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그런데 1)의 391년은 고구려 고국양왕 8년이었다. 이 때, 고구려는 국가적인 법회를 열었고, 國社(社稷)를 세우고, 宗廟를 수리했다. 이로 보아, 서봉총에 매납된 은합은 고구려의 법회 또는 제사와 관련된 용도로 쓰였을 것이다. 따라서 연수라는 연호는 신묘라는 간지와 연관해 보면, 고구려 고국양왕의 것으로 생각된다. 이 때 고구려는 신라에 대해, 상위국으로 있었다. 이 점은 내물왕대에 신라가 고구려에게 인질을 보낸 것에서 알 수 있다. 또한 내물왕의 뒤를 이은 실성왕의 즉위에는 고구려세력이 개입되어 있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으로, 신라 내물왕과 실성왕 무렵에 고구려의 연호인 연수가 새겨진 은합이 서봉총에 매납 되었다고 보인다. 그리고 은합에 새겨진 신묘 년이 2) 451년 (신라 눌지마립간 35년, 고구려 장수왕 39년)과 3) 511년(신라 지증왕 12년, 고구려 문자왕 20년)이라는 설은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로 보아 합리적이지 않다. 왜냐하면 이 때, 고구려와 신라는 적대적인 관계로 변화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 신라는 왕릉급 무덤인 서봉총에 고구려의 연호가 새겨진 은합을 귀중한 유물로 여겨 매납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