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몽테뉴의 <식인종에 관하여>와 신세계를 중심으로 본 타자에 대한 성찰

        이선희(Lee, Seonh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8 외국문학연구 Vol.- No.69

        몽테뉴는 당대인들처럼 신세계 발견과 당면한 유럽의 정체성에 대해 숙고한다. 그는「에세」 1권31장 <식인종에 관하여>에서 유럽인들이 제시해온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이미지, 나체로 다니는 잔인한 식인종이라는 고정관념을 비판한다. 우리는 몽테뉴가 신세계라는 타자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보기 위해 두 가지 접근방식을 택한다. 첫째는 몽테뉴가 기타의 타민족 관습을 이야기할 때 그들을 어떤 방식으로 부르는지 보면서 신세계 원주민의 경우와 비교하는 것이다. 우리는 몽테뉴가 아메리카 원주민을 지칭할 때, 타민족의 경우와 다르지 않게 심지어 이들 의 이름이나 지명을 정확히 이야기할 아무런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두 번째 접근 방식은 당대 저자들이 신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을 살피며 몽테뉴의 신세계관을 병행하여 보는 것이다. ‘Cannibale’이란 단어를 처음 사용한 콜럼버스는 자신의 상상계 속에서 타자를 이미지화했으며, 빌가뇽 탐험단의 주임 사제였던 앙드레 테베는 철저하게 문명인, 기독교인의 관점에서 미개하고 반인류적인 타자, 신의 은총을 받지 못한 이교도 타자를, 그리고 신교도 장 드 레 리는 신에게 버림받아 구원을 받을 여지도 없는 타자를 보았다. 몽테뉴는 각 민족이 지닌 관습을 인정하는 상대주의적 시각에 입각해, 자연의 순수함을 간직하고 문명에 의해 변질되지 않은 행복의 상태로 야만성과 원시성의 가치를 재정의 한다. 원주민들의 식인풍속에서 유럽인들이 고귀한 가치로 삼아온 용맹함과 결연한 의지를 발견한다. 잔인성에 관하여 타자의 시점에서 자기 사회의 문제점을 판단하게 함으로써 관점의 교차를 시도한 몽테뉴에게 있어 신세계라는 타자는 그 자체로서 탐구의 대상이자, 자아성찰의 한 방식이다. With the discovery of the New World, Montaigne and his contemporaries questioned their identity as Europeans. To understand Montaigne’s view on this sudden and unexpected alterity, expressed in his famous essay On Cannibals , we took two approaches. Firstly, we scrutinized the words used by the author to qualify foreign peoples, comparing them to the ones used for the Amerindians. Secondly, we examine his thinking on Amerindians compared with that of his contemporaries. Unlike most of his contemporaries, Montaigne showed himself to be a relativist. By comparing the supposed cruelty of their cannibalistic ritual with other kinds of actual cruelties of European societies, Montaigne challenged his contemporary Western readers to think beyond their prejudices on these peoples and to look differently on their own society.

      • KCI등재

        조지 타보리의 『식인종들』에서의 애도와 치유

        김화임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8 독일언어문학 Vol.0 No.80

        시초부터 인간의 죄의식이란 다른 사람들이 죽고, 우리가 살아있는 데 있다고 한 하이데거의 말에 타보리는 전적으로 동감을 표하였다. 자신의 아버지를 비롯하여 20여명에 달한 친척들을 그는 제3제국에서 잃었다. 살아남은 자로서 그는 늘 죄의식에 시달려야 했고, 또한 스스로 그것에 대한 해명을 필요했다. 특히 식인종들은 학살의 희생자가 된 작가 자신의 아버지에 대한 애도로 쓰인 작품이다. 물론 이 작품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아우슈비츠에서 희생된 자들에 대한 후세대들의 애도로 확대되고 있다. 여기에서 무엇이 제대로 된 애도인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프로이트는 애도와 멜랑콜리 에서 주체가 정상적인 애도과정-부인, 나르시스적 퇴행, 상실대상의 대체물 발견-을 거치면서 일상성을 회복해 간다고 보았다. 그런데 이러한과정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멜랑콜리 환자가 된다. 식인종들에 등장하는 아들, 후세대는 겉보기에 멜랑콜리 환자와 유사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이들을 멜랑콜리 환자로보지 않는다. 타보리는 롤랑 바르트가 애도일기에서 취하고 있는 독특한 애도방식을취하고 있는데, 그것은 애도의 종결이 아니라, 애도의 끝없는 지연이다. Martin Heidegger sagt von der Schuld des Menschen von Anfang an, dass sie allein darauf beruht, dass man lebt und andere sterben. In diesem Punkt stimmt George Tabori ihm völlig zu. Seine zahlreiche Familienangehörige wurden in das Konzentrationslager deportiert und dort umgebracht. Persönliche Erfahrungen, vor allem die Deportation und die Ermordung seines Vaters im KZ Auschwitz beeinflußen maßgeblich alle seine Stücke. Besonders das Stück, die Kannibalen, wurde zum Gedenken an Cornelius Tabori, seinem Vater, geschrieben. Diese Arbeit geht davon aus, dass Tabori in seinem Stück die Trauer bewältigen und vom beängstigenden Trauma befreit werden will. Aber seine Trauerarbeit ist eine ganz spezifische, in dem Sinn, dass er mit dem betrauerten Objekt identifiziert. Dennoch unterscheidet er sich vom Melancholiker, dem “eine außerordentliche Herabsetzung seines Ich-Gefühls, eine großartige Ich-Verarmung” widerfährt, wie es Freud schrieb. Vielmehr ist seine Trauerarbeit mit der von Roland Barthe vergleichbar. Für Freud war sie ein Prozess, der abgeschlossen werden kann. Barthes hingegen betrachtet sie als einen unaufhörlichen, kontinuierlichen Prozess, der nie einen Abschluss findet. Taboris Stück lässt sich im Sinne Barthes interpretieren.

      • KCI등재

        쇼아에 대한 기억 - 조지 타보리의 『식인종들』

        김화임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7 獨語敎育 Vol.68 No.68

        George Tabori stellt in seinem Stück, Die Kannibalen, die Versinnlichung und Vergegenwärtigung des Holocaust dar. Die Erinnerung daran steht im Mittelpunkt seines Werkes. Ziel dieser Arbeit ist die Darstellung, wie und in welcher Weise er an das furchtbare Ereignis erinnern möchte. Nach dem Zweiten Weltkrieg wird die fiktionale Bearbeitung der Schrecken des Holocaust zeitweise tabuisiert. Die Debatte um die Nichtdarstellbarkeit der Shoa hat ihren Ausgangspunkt in den Texten Theodor W. Adornos. In der Negativen Dialektik von 1966 korrigiert er jedoch seinen früheren Ansatz und macht deutlich, dass das perennierende Leiden ebenso viel Recht auf Ausdruck wie das Brüllen des Gemarterten habe, weshalb die Annahme, dass sich nach Ausschwitz kein Gedicht mehr schreiben ließe, falsch gewesen sei. Dennoch setzt sich die Auseinandersetzung um die Unzulänglichkeit der Sprache angesichts der Ungeheuerlichkeit des Grauens fort, da die Ansicht verbreitet ist, dass Sprache allein die Schrecken des Holocaust nicht hinreichend vermitteln könne. Mit dem Werk Die Kannibalen wird ein Tabu gebrochen. Die Insassen der Konzentrationslager sind keine homogenen und unschuldigen Figuren, wie die der Dramen von Rolf Hochhuth und Peter Weiss, die ebenfalls den Holocaust thematisieren. Sie denunzieren, stehlen oder fressen sich gegenseitig auf. Vor allem die Art der Darstellung ist eigenartig und sonderbar. Durch das Verwenden grotesker und komischer Elemente im Zusammenhang mit dem Holocaust wird das Publikum verwirrt und schockiert. Und Tabori hat in New York die Technik Lee Strasbergs kennengelernt, bei der es um die Intensivierung einer möglichst authentischen Verkörperung der Rolle geht. Sie dient in seinem Stück einem sinnlichen Erinnern, welches mit Ansätzen von Roland Barthes vergleichbar ist. 1960년대까지만 해도 쇼아에 대한 언급, 더구나 그것에 대한 문학적 시도는 상당히 조심스러웠다. 유럽 유대인에 대한 박해, 수난, 무차별적 살해를 언어적으로나 시각적으로 전달 가능한가에 대한 논의가 분분하였던 것이다. 그 논의의 중심에는 아도르노가 있었다. 1949년에 썼고, 1951년에 출간되었던 『문화비판과 사회』(Kulturkritik und Gesellschaft)에서 “아우슈비츠 이후 시를 쓴다는 것은 야만이다”라는 언급은 우리에게도 잘 알려져 있듯, 당시 독일의 많은 예술가들과 지식인들에게 ‘표현의 금지’로 받아들여졌다. 사실 아도르노의 위의 언급은 문화산업에서 아우슈비츠를 다루는 것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것이었다. 문화산업과 파시즘이 불가분한 관계에 있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언급은 전후 맥락 없이 간략하게 인용되면서 ‘표현의 금지’로 여겨졌다. 1962년에 쓴 「20년대」(Jene zwanziger Jahre)라는 글에서 아도르노는 ‘표현의 금지’가 아니었음을 분명히 하였다. 아우슈비츠를 다룬 첼란(Paul Celan)의 시, 쇤베르크(Arnold Schönberg)의 음악을 높게 평가하는가 하면, 『문화비판과 사회』에서의 언급이 문학과 예술 전체의 존재권리를 부정하였던 것이 아니었음을 강조하였다. 오히려 아우슈비츠 이후 모든 문학은 민족 학살의 근본적인 의미와 그 결과물에 대해 의식해야 한다는 점도 덧붙였다(Vgl. Kiedaisch 1995, 53).1966년 『부정의 변증법』에서는 “고문당한 자가 포효해야하는 것처럼 지속되고 있는 고통은 표현되어야할 권리가 있다. 그러므로 아우슈비츠 이후 더 이상 시를 쓰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틀린 말이다”(Laermann 1993, 15)라고 다시 한 번 분명히 하였다. 아도르노와는 별도로 홀로코스트가 과연 언어로 표현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한 동안 끊이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 다루게 될 『식인종들』(Die Kannibalen)의 독일 초연 당시 작품의 동기에 대해 타보리는 다음과 같이 밝힌 바 있다: "코르넬리우스 타보리는 25년 전 아우슈비츠에서 돌아가셨습니다. 살아남은 자의 증언에 따르면, 불가침의 품위를 잃지 않으셨답니다. 그들이 언젠가 포효하고, 행진하였던 여기 이 도시에서 오늘도 저는 그의 살인자들을 미워할 수가 없군요. 그것을 공공에게 발언하는 일은 버거운 일입니다. 그런데 이 작품을 다 쓸 때까지 그 가련한 영혼은 저를 가만히 두지 않았습니다. 이 작품은 다큐도 아니고, 고발도 아닙니다. 제 자신의 악령에서 벗어나지 못한 블랙 미사이지요. 이 미사를 통해 저뿐만 아니라 이러한 악몽을 꾸고 있는 사람들이 그것으로부터 방면될 수 있길 기원합니다. 우리가 영원히 그것에 질식되지 않으려고 한다면 파괴해야 할 타부가 있는 것이지요."(Tabori 1981, 37) 타보리는 여기에서 쓰지 않을 수 없었다고, ‘기억’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고백하고 있다. 그의 극을 두고 연구자들은 “망각에 대항하는 극” 바이에르되르퍼(Hans-Peter Bayerdörfer)와 쇤에르트(Jörg Schönert)는 타보리 극을 통틀어 “망각에 대항하는 극”(Theater gegen Vergessen)으로 이름 붙인 바 있다. 이라고도, “홀로코스트에 대한 기억을 생생하게 하는 것”(Zeilinger 2015, 4)이라고도 한다. 더 나아가 타보리 이전 그 어떤 극작가도 유럽 유대인의 학살에 대한 ‘기억’을 중심에 두지 않았다는 평가도 한다(Strümpel 2000, 10). 본 연구는 말로는 다할 수 없는 것, 언어로 표현 불가능한 것을 어떻게 형상화하고, 또 ...

      • KCI등재
      • KCI등재

        에밀리 브론테의 성취와 한계

        허정애(Huh, JeongAe) 한국영미어문학회 2010 영미어문학 Vol.- No.97

        Race is the most important framework in which Emily Brontë's Wuthering Heights can be analyzed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was published in 1847 when British imperialism was at its peak. Second, racial discourse can effectively explain both the first and the second parts of the novel as a whole where the racial conflict between non-white Heathcliff and white people such as Hindley, Edgar, Isabella, Linton, the second Catherine, and Hareton is widely developed. This study takes notice of the achievements of Emily Bronte's Wuthering Heights which is significant in the understanding and reconciliation between races. From the racial perspective, three remarkable achievements which are hardly found in the nineteenth-century British novel can be illuminated: the reconciliation between non-white Heathcliff and white Hareton; the spiritual union between non-white Heathcliff and white Catherine; the marriage between non-white Heathcliff and white Isabella. Despite of her valuable achievements in the novel, Brontë reveals her unavoidable limits as a white writer who is not free from the racist ideology of the day. Although Brontë allows the physical miscegenation between white Isabella and non-white Heathcliff, Linton, their offspring, is described as a nagative character who is not only physically weak dying of poor health, but also spiritually weak with sickly peevishness. This shows that Brontë unconsciously agrees to the contemporary racist discourse warning against the danger of miscegenation. Though Brontë cannot offer a comprehensive racial vision for a white dominated society due to this flaw, she can be evaluated as a writer who strongly criticizes the problems of colonialism repressing the racial other. Through portraying Heathcliff's experiences as one colonized and a colonizer at the same time, the author emphasizes inhuman attitides in which the stronger, the colonizer represses and despises the weaker, the colonized. In conclusion, Brontë is not a racist. She is both an anti-racist and humanist whose stance is neither on the white's side, nor on the non-white's side, but on the human's side.

      • KCI등재

        『로빈슨 크루소』와 마귀의 딜레마

        배경진 ( Kyung Jin Bae )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2015 근대 영미소설 Vol.22 No.1

        In Robinson Crusoe, the eponymous hero mentions the devil several times, but the discovery of a footprint on the shore as well as his propagation of the religion to Friday forces him to consider seriously the nature of devil. He does not dare to deny the existence of apparitions, nor does he hold that the evil spirit directly intervenes in the life of human beings. Yet he is less concerned to explore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the evil spirit; instead, his aim is to exploit the notion of the devil. While hi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evil hypothesis in the episode on the foot print helps him manage anxiety and fear, his assumption that the devil corrupted natives in America allows him to confirm the religious authority of the Bible and his religious belief in the divine will. Except for the episode of a grotto in which, Crusoe believes briefly, the devil lives, he does not have any occasion to think over the evil spirit until the end of the novel. More precisely, he does not feel the need to raise the question on the nature of evil spirits because the devil in the novel serves merely to be a psychological and rhetorical device for his survival on the is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