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中期 詩話 批評 硏究

        안득용(An, Doeuk-y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2 동양한문학연구 Vol.35 No.-

        朝鮮中期의 詩話 批評을 중심에 두되, 그 이전의 한국 시화와 중국 시화를 충분히 고려하면서 그 특징과 의의를 밝혀보려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표와 방법으로 조선중기 시화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적 모습과 그 원인을 알게 되었다. 첫째, 이야기 위주의 시화와 비평 위주의 시화가 혼재된 상태에서 점차 분화되어 가는 과정을 거쳐, 비평을 위주로 하는 조선중기의 시화집이 성립되었다. 다만 高麗나 朝鮮前期의 시화집과 비교했을 때, 조선중기 시화집에 수록된 시화 비평 항목의 구성 비율에는 차이가 있으나 그 형식에는 反省的 連續性이 있었다. 둘째, 조선중기에 분석적 비평이 비약적으로 발생한 원인으로 문학적 인식의 제고를 꼽을 수 있다. 또한 비평가들이 이와 같은 변화에 부응하여 문학의 存在論과 創作論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비평한 결과, 다양한 詩論과 분석적 비평이 도출된 것이다. 이때 다양한 중국의 비평이 수용되어 비평적 시각을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셋째, 시를 본격적으로 전공하지 않은 하층민, 여성, 승려 등의 시까지 평가대상에 포함되었다. 이와 같은 평가대상의 확대는 시 창작과 향유가 점차 확산되어가던 당대적 현상을 보여준다. 또한 역사가 기록하지 않을 법한 사람들을 기록하여 전하려고 했던 기록 정신과 당대가 盛世라는 점을 예증하기 위해 사대부 이외 계층의 시까지 채록하여 평가하려고 했던 의식 역시 평가대상의 확대에 작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넷째, 시화집 속 산문 비평의 비중이 높아졌다. 산문 장르의 흥기에 발맞추어 산문 창작이 증가하고 다양화되었던 상황에서 산문의 우열을 가려 모범을 확정하고, 확고한 기준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여 한국은 물론, 중국의 산문 비평도 수용해서 산문의 모범과 평가 기준을 수립하고 실제 비평에 적용하였던 것이다. 이로써 볼 때 조선중기 시화 비평의 의의는 시와 산문의 존재론과 창작론을 고민하여 문학관을 수립하였고, 그것을 비평에 적용하여 비평의 專門化ㆍ細密化를 확립한 것이다. 결국 조선중기 시화 비평의 의의는 문학 비평의 수준을 제고시켰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洪萬宗의 『詩話叢林』, 金昌協의 「農巖雜識」, 金昌翕의 「與宋玉如○澤堂ㆍ雞谷ㆍ簡易集抄評附」 및 산문 비평에서 조선중기 비평의 영향을 찾을 수 있다는 점 역시 문학사에서 주목해야 할 조선중기 시화 비평의 의의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nge and cause of shihhua(詩話) in the middle Chosun dynasty.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some features. First, the shihhuji(詩話集) which had been edited in Corea(高麗) dynasty had descriptive feature and analytic feature all together. But the shihhuaji which had been edited in the middle Chosun Dynasty. was generally analytic. By the way, the form of shihhua criticism almost had not been changed after the latter half of Corea dynasty. Therefore the form of shihhua criticism in Korea has reflective continuity. Second, the rising of analytic criticism resulted from the improvement of literary realization. And critics searched for literary ontology and creation. Consequently various poetics and analytic criticism are occurred. And the criticism from China had an effect on the change. Third, the boundary of criticism had been expanded. For example, the backward classes, a female, and a buddhist monk are include in the boundary of criticism. The change and cause of this phenomenon is the mind which makes critics record backward classes. Fourth, the percentage of prose criticism in shihhuaji was improved. This phenomenon resulted from the improvement of prose realization. critics went on this atmosphere and must set up a standard of literary criticism. Therefore he criticism from China had an effect on this phenomenon. In the conclusion, critics searched for literary ontology and creation. Consequently criticism came to be specialized. we can give many meaning to this point. And shihhua in the middle Chosun Dynasty had an effect on Hong, man-jong(洪萬宗)'s shihhua-collection(詩話叢林), Kim, Chnang-hyeop(金昌協)'s Nongamjapji(農巖雜識), and Kim, Chang-heup(金昌翕)'s prose criticism. we can give many meaning to this point.

      • KCI등재

        『東國詩話彙成』의 기록양상과 그 의미 연구

        권난희(Gwon, Nan-hui)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1 동양한문학연구 Vol.60 No.-

        본 연구는 『東國詩話彙成』의 기록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을 중심축으로 대표적 이본들에서 변화된 기록 현황을 함께 추적함으로써 그것이 시사하는 의미를 살피는 것에 목적이 있다. 『동국시화휘성』은 洪重寅(1677∼1752)에 의해 1차로 편찬된 필사본이고, 얼마 뒤인 1734년에 洪重徵(1682∼1761)의 서문이 부기된, 『詩話彙成』이란 표제로 재정비가 시도되었다. 그리고 1821년에 沈魯崇(1762∼1837)이 『大東稗林』을 간행하면서 『詩話彙編』이라는 이름으로 전질 속에 수록하였는데, 그 결과 이들 3종이 대표적 판본으로 현존하고 있다. 본고는 먼저 최초본인 『동국시화휘성』의 서술방식과 기록양상을 고찰한 후, 이를 기준으로 『시화휘성』과 『시화휘편』은 어떤 변모양상을 보이는지 추적하였다. 『동국시화휘성』은 방대한 자료를 정리하고 취사선택한 후, 시간 순서대로 인물을 배열해 조목으로 選入하고, 각 인물에 해당하는 시화를 그 조목의 기사로 선별하는 방식으로 편찬되었다. 기존 시화서들에서 보다 한층 전문화된 편찬의식에 입각하여 ‘인물을 세로축으로 두고 정리’하였다. 기본적으로 원자료에 충실한 기록양상을 보였으나, 내용이 번다한 문장은 축약하여 싣거나 인물이 혼재된 기사는 각 인물에 해당하는 내용만 선택적으로 기록하기도 하였다. 기존 기록을 재구성하거나 취사선택하더라도 원전의 내용이나 취지에 반하는 기록 방식을 취하지는 않았으며, 어디까지나 객관적으로 자료를 정리하려는 입장을 견지한 일면도 보인다. 『시화휘성』은 『동국시화휘성』을 저본으로 다시 정리된 필사본이다. 《附 高句麗》에서 《附 百濟》를 독립시키고, 조선에 해당하는 《本朝》 앞부분에 〈列聖宸翰〉을 별도로 신설하였으며, 〈補遺〉 [無名氏] 조목의 하위기사를 대거 추가한 양상과 함께, 선입 조목의 가감도 진행하였다. 또 조목 내의 기사들 중 삭제된 현상이 발견되었는데 이들 대부분 단순 일화성 시화라는 특징을 내재하고 있었다. 『시화휘성』으로 轉寫 과정에서 발생한 變貌들은 체재면에서 좀 더 완비하려는 취지에서 진행된 작업의 결과물일 수도 있다. 그러나 『동국시화휘성』과 체재나 내용면에서 기록양상이 상이한 지점은 원저작과는 다른 선입 의식이 적용된 것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시화휘편』은 필사 대상 母本을 ‘그대로 기록하기’ 방식으로 기술하였다. 『동국시화휘성』 및 『시화휘성』과 『시화휘편』을 대조해보면, 기존 내용을 충실히 기록하였고 거기에 추가된 조목과 기사들이 더 존재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시화휘편』의 기록양상은 현존 『시화휘성』 보다는 오히려 『동국시화휘성』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았으며, 『동국시화휘성』과 『시화휘성』에서 서로 가감을 보였던 부분들도 『시화휘편』은 모두 포괄하여 기록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현황들을 종합해 볼 때, 『시화휘편』이 필사의 저본으로 삼았다고 지칭한 『시화휘성』은 오늘날 현존하는 『시화휘성』이 아니라 현존 『동국시화휘성』의 편찬방식을 유지하면서도 내용면에서 한층 더 보완된 텍스트였을 것이라는 추정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이본 3종의 기록양상 추이를 비교한 결과 『동국시화휘성』은 현실적으로 3종 합집합을 하나의 텍스트로 간주해야 하는 서지적 특징을 내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cording aspect of Donggguksihwawiseon g, chase changes of document from a copy of a different edition and ex press what these changes imply. Donggguksihwawiseong is compiled by Hong Jung-in(洪重寅) at first, sh ortly thereafter it was rearranged as Sihwawiseong by Hong Jung-jing(洪重 徵, 1682-1761). In 1821, it was recorded as a Sihwahwipyeon in Daedong paerim(大東稗林) by Shim No-sung(沈魯崇, 1762-1837). As a result, thes e three versions are now being handed down as representative editions.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s the narrative style and recording aspe ct of Donggguksihwawiseong. Based on this, the transformed aspects in Sihwawiseong and Sihwahwipyeon were traced. The compilation of Donggguksihwawiseong was done as follows: Orga nizing and selecting vast amounts of data and arranging people in chron ological order. Making that person as the sub-chapter, an article was co mposed with the relevant material for each sub-chapter. This is organizi ng around the characters , which was not in the existing Sihwa(詩話) co mpilation method. The basic principle of compilation was to faithfully re cord the original source material. However, sentences with miscellaneous contents were abbreviated and recorded. And for articles with a mixture of characters, onl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was select ed and recorded. However, there was no record that contradicts the conte nts and opinions of the original data. The position to organize the data objectively was thoroughly maintained Sihwawiseong is a reorganization of Donggguksihwawiseong as a mater ial. ‘Bu Baekje(附百濟) was made independent from ‘Bu Goguryeo(附 高句麗) , and Yeolseongsinhan(列聖宸翰) was newly established at the beginning of ‘Joseon . And a lot of articles of the ‘Mumyeong Ssi(無名 氏)’ sub-chapter was added, and the pre-introduced sub-chapter was also added or subtracted. Some of the articles in sub-chapter have been delete d, and most of them are characterized as simple episodic Sihwa(詩話). T he transformations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moving to Sihwawiseo ng may be the result of work that aims to be more complete in terms o f the system. However, it is undoubtedly an aspect that has a different meaning from the writer’s consciousness of Donggguksihwawiseong. Sihwahwipyeon describes the transcript subject in the manner of ‘recor ding it as it is . Comparing with Donggguksihwawiseong and Sihwawiseo ng, existing contents were faithfully recorded. Also, sub-chapter and articl es were added thereto. The recording aspect of Sihwahwipyeon was muc h more consistent with Donggguksihwawiseong rather than the existing Si hwawiseong. The parts that showed additions and subtractions to each ot her in Donggguksihwawiseong and Sihwawiseong were often recorded in Sihwahwipyeon. Considering these current circumstances, the Sihwawiseon g, which Shim No-sung referred to as original text of Sihwahwipyeon, w as not at least an extant Sihwawiseong. It would have been a more supp lemented text in terms of content while maintaining the compilation met hod of the existing Donggguksihwawiseong. Also, Donggguksihwawiseon g has a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 that realistically considers the union of these three virsions as one text.

      • KCI등재

        19세기 한ㆍ중(韓中) 시화(詩話) 속 고사(故事)의 양상 - 『시가점등(詩家點燈)』과 『사응루시화(射鷹樓詩話)』를 중심으로

        김보성 이화어문학회 2016 이화어문논집 Vol.39 No.-

        ‘시와 직접적으로 닿아있는 비평’과 ‘시와 간접적으로 연관되는 이야기’ 로 구성되는 장르를 ‘시화(詩話)’라 한다. 예부터 한국과 중국 문인들은 자 신의 문학관을 집약시킨 시화를 면면히 편찬해왔다. 19세기에 이르면서 한ㆍ중 시화는 역대 시화를 계승하면서도 형식상ㆍ내용상 좀 더 심화된 양상을 보인다. 이 시기의 시화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아야 하는 이유가 여 기에 있다. 19세기 무렵 한국에서는 방대한 분량의 개별시화(個別詩話)가 편찬되고, 중국에서는 거질(巨帙)의 시화가 한 문인의 손에서 여러 차례 편찬되는 등 역대 시화를 대대적으로 검토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일어났 다. 대체로 한국 시화에는 ‘시와 관련된 고사(故事)’가 많은 반면, 중국 시화 에는 ‘시론(詩論)과 비평’에 관한 항목이 대다수다. 이러한 특징을 근거로 한국 시화보다 중국 시화가 ‘전문적’이라는 평가가 이루어지곤 한다. 고사가 많은 시화일수록 필기(筆記)나 야담(野談)과 구분하기 어려워지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장르의 변별성’을 기준으로 시화의 전문성을 판단할 수 있을까? 일제강점기의 한학자 정인보는 본래 시화 속 고사의 범주가 광범 위함을 천명했고, 만청(晩淸) 시기 주요 관직을 역임한 심보정(沈葆楨)은 당대 일화를 상세히 기록한 시화의 가치를 재조명했다. 19세기 한ㆍ중 시화 가운데 이규경(李圭景)의 『시가점등(詩家點燈)』과 임창이(林昌彝)의 『사응루시화(射鷹樓詩話)』는 고사 및 일화 관련 항목이 적지 않은 대표적 작품이다. 이규경은 고사를 ‘시재(詩材)’로 간주했고, 임 창이는 일화를 ‘시무(時務)’로 간주했다. 두 문인의 행보는 시화의 시문비 평서(詩文批評書) 면모를 염두에 두면서도 그 주변 이야기 역시 소홀히 하 지 않았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19세기 한ㆍ중 시화 편찬자들은 역대 시화의 시문 이론뿐만 아니라 고 사(일화)에 관한 항목도 비중 있게 망라하고 보충했다. 일본의 시화까지 아울러 그 속에 담긴 ‘이야기’를 주목한다면, 19세기 동아시아 시화의 자료적 가치를 온전히 파악할 수 있다. Shihua(詩話) consists of criticism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poem and stories which are indirectly related to poem. From ancient times,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men had continuously written Shihua that intensively revealed their literary view. From the 19th century, Han Zhong(韓中) Shihua was significantly more advanced in that it was richer in terms of its structure and cont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arefully examine Han Zhong(韓中) Shihua during this period. Around the 19th century, a few individual Shihua(個別詩話) with massive volume was created in Korea. In China, several Individual Shihua(個別詩話) with massive volume was created by one writer. This Korean and Chinese Shihua tended to broadly examine previous dynasties’ Shihua. Korean Shihua contains a lot of ‘poem related Idiom Stories(故事)’, whereas Chinese Shihua mostly contains ‘a theory on poetry(詩論)’ and ‘criticsim(批評)’. That is why Chinese Shihua is considered to have deeper expertise. If Shihua contains too many Idiom Stories, it can be criticized as being too similar with Pil-gi(筆記) or Ya-dam(野談). However, it is arguable whether Shihua’s expertise should be judged based on its ‘distinctiveness’ from other genres. Jung In-Bo(鄭寅普) who was a scholar of Chinese classics(漢學者)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rgued that Shihua originally contained a lot of Idiom Stories and various topics. Shen Bao-Zhen (沈葆楨) who was a high-ranking official during the Late Qing(晩淸) argued Shihua containing a lot of detailed side stories was important. Among the 19th century Han Zhong(韓中) Shihua, Shiga-Jumdeung(詩家點燈) by Lee Gyu-Kung(李圭景) and Sheyinglou Shihua(射鷹樓詩話) by Lin Chang-Yi(林昌彝) are unique in terms that they convey a lot of Idiom Stories and Side Stories. Lee Gyu-Kung considered Idiom Stories to be ‘Topics for poems(詩材)’, while Lin Chang-Yi thought Side Stories were ‘Urgent Issues(時務)’. Their position about Shihua(詩話) shared some similarities in that they considered Shihua(詩話) was a collection of criticism about poems and statements(詩文批評書) but at the same time they also treated Idiom Stories and Side Stories as important. Han Zhong(韓中) Shihua editors during the 19th century considered both ‘theories of poems and statements(詩文理論)’ and ‘Idiom Stories(or Side Stories)’ in successive generations’ Shihua. If we can also examine Japanese Shihua’s ‘Stories’, we can perfectly understand the value of the data of the 19th century East Asia Shihua(詩話).

      • 『시화총림』 소재비시화연: 시화의 분류와 항목화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지영원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부설 한자한문연구소 2023 동아한학연구 Vol.- No.17

        In addition to the previously discussed “A Foundational Design for Creating a Poetry Talk (詩話) Semantic Data Arch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systematically collect data on Poetry Talk using sample data called ‘SihwaChonglim.’ Specifically, we will discuss the significance of the term ‘Comparative Poetry Talk’ used in this study, its usefulness, and ways to efficiently collect data on Sihwa by examining each characteristic component through detailed examples. The study i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at it reorganizes the detailed elements of the ‘Critique’ section and explores their relevance to the development of the ‘SihwaChonglim’ database through the classification and detailed categorization of ‘Comparative Poetry Talk’. 이 연구는 기존에 논의하였던 「데이터 기반 시화 연구 방안 모색」에 더하여, 시화를 더욱 체계적으로 데이터화하는 방안을 시화총림이라는 표본 자료의 분석을 통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연구에서 전면에 두고 사용한 ‘比較詩話’라는 용어가 어떠한 문제의식에서 사용되었으며 어떤 부분에서 효용이 있는지를 논하고, 예시를 통해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살피는 작업을 선행한 후 각각의 특징적인 부분을 들어 시화를 효율적으로 데이터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여 보고자 한다. ‘비교시화’의 구분 및 세부 분류를 통해 시화총림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관련하여 특히 그 ‘비평’ 항목의 세부 항목을 재조직하고 그 의의를 살피는 데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시화조력발전소 운영조건을 고려한 시화호 수리수문분석

        오유진(Yu-Jin Oh),김강민(Kang-Min Kim),이중우(Joong-Woo Lee),양상용(Sang-Yong Ya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추계

        : 시화호는 1994년에 완공된 인공호수로, 완공 이후 심각한 오염에 직면하여 방조제 건설 후 4년째인 1998년부터 바닷물을 일부 유통 하기 시작하여 2001년 10월부터 해수의 상시 유통이 확정되었다. 또한,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2011년 11월에 착공되어 본격적인 전력생산에 들어 갔으며, 2018년 1월 현재 전력공급량은 29억kWh를 달성하였다. 시화호는 환경적 오염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가 야기된 곳이기 때문에 환경적 또는 재해적인 검토를 통한 기초자료의 분석 및 공개는 필수적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목적 하에 수행된 시화호 수리수문 해석결과, 시화호 수리특성은 시화호 조력발전소 운영조건과 시화화 유입하천에 의해 결정되는데, 시화호 조력발전소 관리수위 조건 하에서 고조위는 -1.5m∼ -0.94m의 분포를, 제한수위 조건하에서 -0.76∼0.48m의 분포를 보인다. 또한, 장기하상변동 결과는 수로 부근은 침식이, 그 외의 구간은 퇴적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시화호는 내측으로 갈수록 재해적·환경적으로 불리한 지역임이 확인하였다.

      • KCI등재

        오산시화와 중국문학과의 관련에 대한 일고찰

        권우 ( Yu Qua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88 No.2

        본 논문에서는 오산시화(五山詩話)의 사회적·문화적 배경의 제 요인에 의한 특유의 문학양식을 중국시화과 관련하여 고찰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로 오산(五山)문단에 있어서 북송(北宋) 구양수(歐陽修)로 부터 시작되는『육일시화(六一詩話)』와 같이「시화」의 체재를 입수하기까지는 거의 2백년이란 시간을 필요로 했다는 점이다. 둘째는 오산시대에 하나의 문학양식으로써 시화의 종류는 결국 유행하지 못했고 오랜 공백 시기가 있었다는 것, 그리고 셋째는『제북시화(濟北詩話)』에 한하여 어째서「종영(鐘嶸)」화한 작품으로써 자리매김되었는가 라는 문제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래와 같은 몇가지 결론을 내렸다. 첫째로 카마쿠라무로마치(鎌倉室町) 시대에 있어서 대부분의 시화는「시의 인연유래에 관한 일화쇄화(逸話鎖話)의 종류」로써 유입되었다는 것이고, 문집(文集)이 단편적이다는것, 혹은 시론보다 낮은 차원에서 해석하려고 하는 자세가 보인다는 점이다. 또한 선승(禪僧)에 의하여 유입된『시인옥설(詩人玉屑)』등은 논시(論詩), 평시(評詩)의 전개에 이르기까지 발전해 갔는데,「기운(氣運)」에 따라 변천하는 부분도 있어「시화(詩話)」체재를 입수하는 것이 중국보다 2백년 늦어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둘째는 호관(虎關)에 의하여 씌어진 일본최고(最古)의「시화(詩話)」는 일본의 시화창작에 있어서 새로운 국면을 타개하였다고 할 수 있지만,「시대는 이미송학(宋學)을 선호하고 선(禪)에 감화되고 있었다」고 함에도 불구하고 시대의 많은 유학시승(詩僧)을 포함한 시가(詩歌) 창작경험을 가진 뛰어난 시화작가가 많이 배출되지 못했다는 점이다. 결국 시화창출에 착수하지 못했던 것은 송대시화의 유입과 두보(杜甫)추숭(推崇)에 있어서 가치전환이 비평가들의 발굴에 의하여 중세선림(禪林)에 새로운「시사(詩史)」관(觀)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셋째는『제북시화((濟北詩話)』는 형식으로부터 내용에 이르기까지 후나츠씨(船津氏)의 설에 따르면, 29개의 시화수(詩話數)를 포함한 시화의 성립으로 부터 보면「명백히 구양수를 모방」한 것이고, 전체적으로『제북시화』는 여전히 시화의 원조로 일컷는『육일시화(六一詩話)』에 귀결하는 것으로 취급된듯 하다. 그런데,『구양문공집(歐陽文公集)』에 수록된 것은 전체 28조이고, 시평(詩評)의 체재, 격식상의 체계로 말하면 사실상 중국시화를 유입하는 것과 모방하는 한계에 있어서는 대부분「종영파(鐘嶸派)」의 관점으로 다시 전환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ingenious literary style of the Five Mountain Poem with Chinese literature. The content of the paper is as follows. Firstly, it takes nearly 200 years for the Five Mountain Literary Arena to establish the poetic system which is illustrated by the work LiuYiPoem and Ou-yangHsiu’ spoem in Northern Song Dynasty. Secondly, although the poemin the times of Five Mountain was one of the famous literary styles, it was radicall yunpopular. Therefore, with regard to the poem, the times of Five Mountain stated in the blank period. Thirdly, the paper proposed the reason why JiBeiPoem was evaluated as theview of ZhongRong’swork. Three problems were identified in this paper. First of all, the establishment of the poetic system in the times of Kamakura Muromachi was 200 years later than that of China. On one hand, because the poem in the times of Five Mountain mainly described trivial matter, and the quality of the poetic anthology was much lower than poetics. On the other hand, the ShiRenYuXie brought by monks did not reach the standard of poetics and poeticcriticism. Secondly, it was the blank period from the middle to the end of the 13thcentury. There only appeared the KoKan’s poem in this period. One reason for the lack of poetic works lay in the less of outstanding poets with rich experience. The other reason was that more and more monks who chanted poems began to accept the Buddhist thought. Moreover, the integration of Dufu’s ideology into poems was advocated, which brought new poetic concept to the Middle Monastic. Thirdly, the work of JiBei Poem was closely related to the view of ZhongRong from the perspective of poetic style and system, rather than Ou-yangHsiu’s view. Infact, the work of JiBei Poem from style to content was totally the imitation of Ou-yangHsiu’s poem. From the point of whole, it combined with the work LiuYi Poem which was the ancestor of poem.

      • KCI등재

        시화호 간척개발사업과 환경관리정책의 변화

        이혜경(Lee, Hye-Kyu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2 환경법과 정책 Vol.9 No.-

        시화호 간척개발사업은 진행 과정 중에 발생한 수질오염 사건은 이전에는 이슈화되지 않았던 간척사업의 환경적 문제를 사회적 의제로 만들었다. 이 글에서는 수질오염 사건을 계기로 시화호 간척개발사업의 간척지 개발과 환경관리정책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시화호 간척개발사업은 국가에 의한 대단위 간척종합개발사업으로 1970년대부터 거론되기 시작하여 1986년에 시행방안이 확정되었다. 경기도 시흥시, 안산시, 화성시로 둘러 쌓인 인공호수를 조성하기 위한 방조제는 1987년 6월에 착공하여 1994년 1월에 체절되었다. 방조제 체절 이후 발생한 시화호 수질오염으로 갯벌 및 해양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촉발되었고 이로 인하여 시화호 간척개발사업과 환경관리정책은 변화되었다. 개발사업은 시화호 환경상태에 영향을 받았으며, 개발과정에서 발생한 환경 영향은 환경 관리정책의 내용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개발의 측면에서는 간석지에 농지와 도시 및 산업단지를 조성하려던 계획은 상당히 지연되었고 개발면적, 토지이용계획 등 사업의 내용도 변화되었다. 환경관리 측면에서는 정부가 본격적으로 시화호 환경관리를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농업용수를 공급할 담수호 조성을 목적으로 생성된 시화호에 수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해수를 유통시키게 되었고 결국 해수호로 전환되었다. 또한 시화호 간척개발사업에 이어 더 큰 규모로 진행되고 있던 새만금 방조제 공사를 중단시키는 등 새만금 간척개발사업에 대한 사회적 반대 세력이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시화호가 해수호로 전환된 이후 시화호 간척개발사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급격히 감소하였지만, 시화호 간석지를 대상으로 하는 개발사업은 앞으로 최소 10여 년 이상 계속 진행될 예정이다. 시화호 간척개발사업과 환경관리정책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되는 점을 고려하여, 시화호 주변 간석지 개발로 향후 수질 및 생태계에 발생 가능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사전에 예측하여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environmental problems related to reclamation projects has been the social agenda in Korean society with the event of water pollution occurred under Lake Shihwa reclamation project. This paper describes and analysis the changes in the development of newly-created tidelands and the policy of environmental management by the water pollution in Lake Shihwa. Lake Shihwa, surrounded by Siheung, Ansan, and Hwaseong City of the Gyeonggi Province, is an artificial lake that had been created according to the Shihwa Regional Reclamation Development Project by the government. This region had been a target of the large-scale reclamation project since 1970s. In July 1986, the government decided to reclaim lands for agriculture and industry, and the project in its fullest scale was launched and has continued until now. The construction of a tidal embankment for creating Lake Shihwa started in June 1987 and finished in January 1994. However, after the construction, the influx of industrial waste and domestic sewage water drastically deteriorated the water quality of Lake Shihwa. The water pollution triggered social concerns about tidal flats and marine environment. In addition, it brought into social controversies and heated debates due to the negative side effects of reclamation projects. As a result, the development project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policy was changed. The development was affected by the environmental status of the lake and vise versa. In the context of development, the plan, constructing farmlands and industrial complexes around the lake, had been delayed and the contents of the plan like as developmental area, land use planning had been changed. In the contex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policy, the government started circulating seawat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in 1997 and ultimately in December 2000, the government officially declared to renounce Shihwa as a freshwater lake. The social concern about the project rapidly decreased after the water quality of the lake was improved somewhat as a consequence of circulating seawater. But there are still ongoing development projects in the reclaimed lands of the lake watershed and these will have adverse effects on the water quality and the ecosystem around the lake. Therefore, considering the relation of development and environment, we need to prepare measures to solve possible environmental problems in advance.

      • KCI등재

        隨園詩話에 채록된 淸代 시 수용양상 고찰

        신재환 영남퇴계학연구원 2023 퇴계학논집 Vol.- No.32

        본 논문은 ‘詩選集의 기능’이라는 詩話의 부차적 역할에 중점을 두고, 隨園詩話 에 채록된 많은 淸代 詩가 어떤 목적으로 채록되고, 또한 그것의 채록 경로가 어떠하며, 나아가 채록된 시가 작가 유형별로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다량의 청대 시를 수원시화 에 채록한 목적은 효율적인 ‘성령설의 표방’과 많은 ‘무명 시인의 시 발굴’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전자는 성령설의 본령인 ‘赤子之心의 간직’과 ‘獨抒性靈의 발현’, 그리고 당시 성행한 考據詩와 浙派 시에 대한 반발의 형태로 나타나며, 후자는 수원시화 가 청대 많은 무명 시인들의 시를 세상에 알리는 창구 역할을 충실하게 이행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처음부터 자신의 시가 시집의 형태로 간행될 기회를 얻지 못했던 많은 무명 시인들의 시가 詩話라는 지면을 통해서만이 비로소 세상에 알려질 수 있다는 절박함과 수원시화 에 채록된 청대 시의 방대함이 적절하게 맞아떨어진 결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청대 시의 채록 경로는 크게 작시자의 요구에 의한 채록과 원매의 적극적 수집에 의한 채록, 그리고 우연히 佳句를 접한 후의 채록이라는 세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 중 원매의 적극적 수집에 의한 채록은 대부분 성령설에 부합하는 작품으로 국한되며, ‘문호의 관대함’[門戶須寬]과 ‘채록의 엄격함’[采取須嚴]이라는 두 가지 채시 원칙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채시 과정에서 ‘차라리 넘쳐날지언정 빠뜨리지 말아야 한다.’[寧濫毋遺]는 압박감으로 말미암아 ‘채록의 엄격함’은 그리 철저하게 지켜지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채록된 청대 시는 작가별로 趙翼과 蔣士銓을 비롯한 性靈派 시인, 査愼行과 厲鶚을 비롯한 浙派 시인, 유명 문인과 관원, 제자, 기타 무명 시인 등 다섯 유형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당시 성령설과 첨예하게 대립하던 기타 4대 시학이론, 즉 神韻說과 格調說, 그리고 肌理說과 관련된 시인의 작품은 수원시화 에 거의 채록되지 않았다. 이는 원매가 수원시화 의 편찬을 마무리할 즈음에는 신운설과 격조설은 이미 쇠퇴의 길로 접어들기 시작했고, 기리설은 동조 세력이 상대적으로 미약했으며, 해당 시학이론을 표방하는 관련 시편을 수원시화 에 몇 수 채록한다고 해서 확고한 우위를 차지할 수 없다는 현실적 어려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성령파 시인과 절파 시인은 대체로 전문 작가로 구성되었으며, 기타 유형의 시인은 모두 무명의 작가군에 속한 사람들이다.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secondary role of Shi Hua(詩話) called ‘a function of poetry anthology’ and examined for what purpose a considerable number of Qing Dynasty poems(淸代 詩) from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are recorded, what its recording path is, and furthermore, how the recorded poems are shaped by type of writer. The purpose of recording a large number of Qing Dynasty poems could be understood mainly in two aspects : the efficient advocacy of xinglingshuo(性靈說) and the discovery of poems by many unknown poets. The former appears in “expression of one’s own spirit(獨抒性靈)”, the main spirit of xinglingshuo(性靈說) and the form of opposition to the evidence poetry(考據詩) and Zhejiang school(浙派)’s poetry at the time, and the latter appears that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have faithfully fulfilled the role of a window to inform the outside world of the works of many unknown poets in the Qing Dynasty. It can b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the appropriate match between the urgency that many unknown poet’s works, which could not be published in the form of poetry from the beginning and the vastness of the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 Three methods of collecting were commonly used : collecting at the request of an individual, active collecting of Yuan-mei(袁枚), and collecting of a fine poem poem by chance. Among them, active collecting of Yuan-mei(袁枚) was limited to works consistent with xinglingshuo(性靈說) advocated by him, and was carried out by the dual collection principles of ‘generosity of the gate’ and ‘strictness of the collectio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Yuan-mei(袁枚)’s ‘strictness of the collection’ was not observed very thoroughly due to the pressure of “it would rather overflow than be omitted.” The collected Qing Dynasty poems(淸代 詩) were classified into Spirit school(性靈派)’s poets, Zhejiang school(浙派)’s poets, a high official of the imperial court and general officials, disciples and relatives, a woman of high school and commoners by type of writer. Spirit school(性靈派)’s poets, Zhejiang school(浙派)’s poets are generally composed of professional writers, and all other characters belong to an unknown group of writers. The above content discussed in this paper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cited psalms are far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total sample of Qing Dynasty poems(淸代 詩) recorded in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due to the limitation of small papers. Therefore, it will be a meaningful task to conduct a full investigation of Qing Dynasty poems(淸代 詩) recorded in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and to organize and analyze them. This must be a task that must be preceded in understanding Yuan-mei(袁枚)‘s xinglingshuo(性靈說) and further studying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as ‘a function of poetry anthology’.

      • KCI등재

        『慵齋叢話』시화의 『詩話叢林』 수용 양상 연구

        권난희 동양한문학회 2023 동양한문학연구 Vol.65 No.-

        This analysis aimed to examine a specific aspect of how the articles on Sihwa in the Yongjaechonghwa a were incorporated into Sihwachonglim . In the Yongjaechonghwa , there were 72 articles on Sihwa, among which 36 articles were included to Sihwachonglim . Some of the remaining articles also contained references to Sihwa, so it was necessary to analyze their contents. Therefore, I compared two texts, focusing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ased on this analysis, I considered variations in patterns, the artist's perception, and record consciousness of Sihwa. First, when analyzing the 36 articles that were included in the Sihwachonglim , I noticed that Sihwa and anecdotes were partially omitted from the original content. These omissions often occurred in lengthy anecdotes, especially personal anecdotes that deviated from the nature of Sihwa or subjective character descriptions and evaluations by Seong Hyun. Some works were partially excluded because they deviated from the theme of Sihwa. This indicates that the Sihwachonglim was not merely intended to collect poetry and Sihwa, but rather to gather content that aligned with the compiler's specific plan and vision. In analyzing the article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Sihwachonglim , I observed that they lacked a certain level of poetic quality or had insufficient anecdotal elements. Furthermore, I confirmed that even if an article focused on poetry, it would be excluded entirely if the literary completeness of the work itself was lacking. The prerequisite for recording the Sihwa that Hong Man-jong desired was a work of literary completeness, and when this criterion was met, narratives with anecdotes and reviews became meaningful. I also verified that the actual compilation process was based on the belief that only Sihwa that met certain standards was worthy of preservation for future generations. 본 연구는 15세기 대표 雜記類인 成俔(1439~1504)의 『慵齋叢話』에 수록된 시화류 기사가 17세기 洪萬宗(1643~1725)의 『詩話叢林』본 『용재총화』에 어떤 경위로 수용되었는지 그 구체적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용재총화』 기사에서 시화에 해당하는 72화 중 『시화총림』 본으로 선입된 기사는 36화이다. 그러나 수록되지 않은 36화에도 외관상 시화의 범주에 속하는 기사들이 포함되어 있었기에, 해당 기사들의 내용 분석을 통해 변모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두 텍스트의 동이점을 정리하여 상호 비교하고 그 상이점을 근거로 변이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작가별 기록의식과 시화에 대한 인식 등을 아울러 고찰하였다. 먼저 『용재총화』의 시화 기사 중 『시화총림』본에도 수용된 36개 기사를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기존 내용에서 시나 일화가 부분 부분 생략된 현상이 빈번하게 검출되었다. 내용이 삭제된 부분은 장황한 일화일 경우가 많았는데, 특히 시화의 성격에서 벗어난 신변 잡기적 일화나 성현의 주관적 인물묘사와 품평에 해당하는 부분이었다. 시작품의 경우에는 해당 시화에서 품평하는 주제에서 벗어난 작품일 때 일부 삭제된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시화총림 이 단순히 시와 시화를 모으는 데 목적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 편찬자의 감식안에 적합한 작품만 수렴된 산출물임을 반증하는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용재총화』에 시화 형태로 기록되었음에도『시화총림』본에 아예 선입 되지 않은 36개 기사에는 해당 기사 속 시의 수준이나 일화의 성격이 일정 수준 미흡하다는 공통점이 내재했다. 단순한 에피소드이거나 세교에 무익한 속된 내용일 경우 기사 속에 시가 등장하더라도『시화총림』 작업의 선별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시 중심의 기사이더라도 작품 자체의 문학적 완성도가 미흡한 경우에는 전체 내용이 선입 단계에서 배제된 사실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홍만종이 기록해 남기고자 했던 시화는 문학적으로 완성된 작품 유무가 전재 조건이었고 그것이 1차적으로 충족되었을 때, 시인 주변의 일화와 품평이 병기된 서술 또한 수렴하였다. 비평가 홍만종의 감식 기준에 도달하는 시화만이 후대에 남길만한 가치가 있다는 의식하에 그 기준에 의거해 실제 작업도 진행하였음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論日本詩話 : 兼談中日韓詩和的關係

        張伯偉 중국어문학회 2003 中國語文學誌 Vol.14 No.-

        日本 詩話의 자료는 무척 풍부한 동시에 선명한 특색을 지니고 있다. 본고는 현존하는 일본 시화에 근거하여 그 특색을 종합적으로 논술하였다. 우선, 일본 시화는 '詩格'의 영향 아래 탄생한 것이기 때문에, 시화의 '詩格化'가 그 특색 중 하나라고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특색은 일본 시화가 대부분 초심자를 지도할 목적으로 만들어 졌다는 것과도 관계가 있다. 둘째, 中國 詩話에 대한 비평도 자못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셋째, 시화의 '小學化'는 에도시기 이후의 시화에 나타나는 보편적 현상이다. 이는 곧 詩歌의 언어 연구에 치중하는 것을 말한다. 일본 시화는 중국 시화의 자극과 영향 아래 탄생했다. 특히 대량의 宋人 詩話가 유입되어, 五山禪林에서 시를 평하고(評詩), 시에 대해 논하는(論詩) 유행을 만들어 내었다. 한편 일찍이 일본 시화도 중국에 전해져, 중국 학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한국 시화도 일본에 전해진 것이 있는데, 당시 일본 학자들은 이를 무척 중시했다. 이러한 시화의 교류를 통해 동아시아 文人 交流史의 일면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