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편 제1-3권의 정경 형성 단계에 대한 고찰

        방정열(Jeung Yeoul Bang)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3 No.-

        다섯 권으로 구성되어 있는 시편 정경의 형성 단계를 역추적하는 작업은 결코 쉬운 작업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편이 최종적으로 정경이 되기까지의 여러 형성 단계를 암시하는 몇 가지 흔적—예를 들어, 각 권의 마지막 시편의 마지막 구절에 배치되어 있는 송영과 각 시편의 표제어들(superscriptions)—과 제럴드 윌슨(Gerald Wilson)이 자신의 책 The Editing of the Hebrew Psalter(1985)에서 제공한 연구 결과들을 검토함으로써 시편 정경의 복잡한 형성 단계를 ‘부분적으로’ 추적하는 것은 가능하다. 윌슨은 쿰란 동굴에서 발견된 시편 사본들과 마소라 시편을 비교한 다음 제1–3권과 제4–5권이 다른 형성 단계를 밟았다고 주장했으며 오늘날 대부분의 시편 학자는 그 주장에 동의한다. 그러나 제1–3권의 형성 단계와 관련해서는 윌슨도 충분한 논거를 제시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학자들마다 제기되는 상이한 주장으로 인해 만족할 만한 연구 상태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본 논고는 소위 ‘간기’(刊記: colophone)로 불리는 제2권의 마지막 구절인 시편 72:20의 기능과 제1–3권의 표제어들을 분석하여 시편이 최종적으로 정경이 되기까지 제1–2권과 제3권이 별도의 형성 단계를 거쳤음을 뒷받침한다. 고대의 필사 관습과 재료 문화에 대한 연구 결과는 시편 전체가 두 개의 두루마리로 작성되었을 가능성과 제1–2권과 제3권에 있는 표제어들의 선명한 차이가 그 논거로 제시될 것이다. It is extremely intricate to precisely reconstruct all the shaping stages of the Hebrew Psalter which is comprised of five books. Notwithstanding, it seems possible to partially recast the complicated stages of the canonical shaping of the Psalter, analyzing the clues—the doxologies placed at the end of each book and the superscriptions—that the Psalter itself provides, and considering the results of research that Gerald Wilson suggested in his book The Editing of the Hebrew Psalter(1985). Comparing the Qumran psalm manuscripts with the Masoretic Psalter, Wilson argued that Books 1–3 and Books 4–5 went through different stages, and most of psalm scholars today agree with his contention. However, the study concerning the shaping of Books 1–3 is not entirely satisfactory. While analyzing the role of the colophon in Psalm 72:20 and the superscriptions of Books 1–3, this paper claims that Books 1–2 and Book 3 proceeded different stages. To this end, the results gained from research from scribal habits and material culture and the positive difference between the superscriptions of Books 1–2 and Book 3 will be given as the grounds for the argument.

      • KCI등재후보

        예레미야 17:5-8과 시편 1:1-3의 관련성에 관한 언어학적 및 수사학적 연구

        장성길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0 구약논집 Vol.17 No.-

        The book of Jeremiah is free to use poetry and prose style freely, regardless of form in style, and, if necessary, the style of wisdom psalm. This study begins with the fact that various poetic images and metaphors from Psalm 1:1-3 are found in Jeremiah 17:5-8. In this study, I want to see how the style of wisdom psalm was used and how it was developed one step further in Jeremianic wisdom poetry. Ultimately, the message of Psalm 1 states that the wicked move hurriedly and decide entirely according to the human thought, but the righteous are those who move to God's wisdom, memorizing the Torah of God. In the book of Jeremiah, however, the speaker's attention shifts from ‘the life of the happy’ mentioned in Psalm 1 to the person who will receive God's blessing. Jeremiah 17:5-6 speaks of the cursed, and then verses 7-8 speak of the life of the blessed. in this respect, the cohesive structure of Jeremiah 17:5-8 is well organized rather then the text of Psalm 1. From the point of view of meaning, Psalm 1:1-3 is the focu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cked and the righteous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the wicked and the righteous. In Jeremiah chapter 17, the distinction between those who are cursed and those who are blessed depends on what they believe and trust.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o be the action of the mind. So, if the description of the righteous in Psalm 1:3 focuses on describing the condition of the tree from the observer's perspective, Jeremiah diagnoses and judges the action of the mind. In Jeremiah 17, Torah is no longer acting as a criterion between those who are cursed and those who are blessed. The focus was only on trusting Yahweh or not.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see that why the linguistic devices and the metaphors of Psalm 1:1-3 were used with the words of prophetic oracles in Jeremiah 17:5-8. The purpose is to emphasize the meaning of trusting Yahweh in the remnant of Judah and the children of the next generation. 예레미야서는 문체에 있어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시와 산문체를 자유자재로 쓰고 있으며 지혜시의 양식도 발견된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지혜(토라)시라 알려져 있는 시편 1편에 나오는 다양한 시적 이미지들과 은유적 장치들(metaphors)이 예레미야 17:5-8에서 발견된다는 사실에서 출발한다. 신탁을 선포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는 예레미야서에 이러한 지혜시의 양식이 어떻게 쓰였으며, 한걸음 더 나아가 어떻게 발전해 나갔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시편 1편의 메시지는 의인과 악인의 대비를 통하여, 악인들은 분주하게 움직이며, 전적으로 인간의 지혜를 믿고 판단하지만, 의인은 하나님의 토라를 읊조리며, 하나님의 지혜로 움직이는 자들이라고 진술한다. 예레미야서에서는 시편 1편에서 말하던 ‘행복한 자’의 삶으로부터 화자의 관심이 하나님의 복(בּרךְ,바라흐)을 받을 자에게로 전환해간다. 예레미야 17:5-6은 먼저 저주받을 자에 대해 진술하고 있으며, 7-8절은 복을 받을 자의 삶에 대해서 말한다. 따라서 담화 구조에 있어서 예레미야서 17장이 시편 1편보다 어휘결속이 더 잘 되어 있는 문장이라 말할 수 있다. 의미론적 관점에서 볼 때, 시편 1:1-3은 악인과 의인의 대비를 통해 의인은 특별히 토라와 연결시킨 것이 초점이었다면, 예레미야 17장에서 저주 받을 자와 복 받을 자의 구분은 무엇을 믿고 신뢰하느냐에 달린 것이다. 즉 마음의 작용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이 시편과 비교했을 때, 발전해나간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시편 1편에서는 인간이 움직이는 동선을 따라 죄인들의 삶의 방식을 규정했다면, 의인은 시냇가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나무에 비유한다. 그래서 시편 1:3에서 의인에 대한 묘사는 관찰자의 시각에서 나무의 상태를 묘사하는데 초점을 두었다면, 예레미야서는 마음의 작용에 대해서 진단하고 판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레미야 17:5은 저주받을 자로 묘사되고 있으며, 그는 전적으로 인간을 신뢰하는 자이다. 한편 예레미야 17:7에서는 복 받을 자를 여호와를 신뢰하는 자로 묘사한다. 토라는 더 이상 저주받을 자와 복 받을 자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작용하지 않고 있다. 담화의 초점은 여호와를 신뢰하느냐에 달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는 여호와의 신탁을 주로 기록하고 있는 예레미야서 본문 속에 예레미야 17장과 같이 지혜서의 장르와 문예적 장치들이 신탁의 말씀들과 함께 쓰인 이유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성전 파괴와 예루살렘의 멸망이 임박한 시점에 이르러 남은 유다 백성들과 다음 시대를 위해 심판을 통한 회복의 메시지를 남기기 위한 목적에서다. 무엇이 이러한 파괴와 멸망을 지초하게 했는가를 미래의 세대가 분석하고 되새기도록 하기 위해서 지혜서의 장르를 쓴 것이며, 특별히 예레미야 17장은 시편 1편의 시적 담화의 구성과 이미지들을 겹쳐 사용함으로써 본문의 이해를 돕고 있다.

      • KCI등재

        A Farewell to Trito-Isaiah?

        Hyun Chul Paul Kim(김현철)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5 Canon&Culture Vol.9 No.1

        최근 이사야 학자들은 이사야 1-2장과 65-66장이 상호간에 언어 및 주체적으로 중요한 연관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논증했다. 베스터만과 차일즈는 제3이사야의 앞부분도 이사야 1-2장과 유사한 관계를 지니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제2이사야와 제3이사야가 맞물린 이사야 54-57장 모두가 이사야 1-2장과 시편1편과도 상호본문적 공통점들을 갖고 있음을 찾아내려 한다. 이와 아울러 이사야 54-57장 자체 내에 있어서도 54-55장과 56-57장이 서로 명백한 구분이 된다는 전통적 견해에 반하여 상호간에 문맥적으로 밀접한 유사성들이 있음을 밝히려 한다. 이를 통해서 40-55장을 제2이사야로 그리고 56-66장을 제3이사야로 분리하는 주장의 타당성을 거부하며, 오히려 54-57장의 공통점과 연계성을 이해함으로써 이사야서 전체 맥락 속에서 편집과 구조와 신학적 의미를 이해하는데 어떤 도움과 의미가 있는가를 고찰해 보겠다. Scholars have persuasively presented that Isaiah 1-2 and 65-66 share close linguistic and thematic connections. Brevard Childs, in his Isaiah commentary, continuing Claus Westermann`s observations, argues that the initial sections of the so-called Third Isaiah also share close linguistic affinity with Isaiah 1-2. This study will examine this claim further with close attention to the intertextual connections between Isaiah 1-2 and 54-57. The study will enlist and investigate the cases of intertextual correlations and, sub sequently, assess what kind of inner-biblical exegetical work is evident in these two interrelated units as well as within 54-57. Then we will assess how this analysis may shed further lights on the compositional complexity of Isaiah 40-66 as well as literary, social, and theological implications concerning the book of Isaiah as a whole.

      • KCI등재

        A Farewell to Trito-Isaiah?: An Inner-Biblical Exegesis of Isaiah 54–57 in Light of Isaiah 1–2 and Psalm 1

        김현철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5 Canon&Culture Vol.9 No.1

        Scholars have persuasively presented that Isaiah 1-2 and 65-66 share close linguistic and thematic connections. Brevard Childs, in his Isaiah commentary, continuing Claus Westermann’s observations, argues that the initial sections of the so-called Third Isaiah also share close linguistic affinity with Isaiah 1-2. This study will examine this claim further with close attention to the intertextual connections between Isaiah 1-2 and 54-57. The study will enlist and investigate the cases of intertextual correlations and, subsequently, assess what kind of inner-biblical exegetical work is evident in these two interrelated units as well as within 54-57. Then we will assess how this analysis may shed further lights on the compositional complexity of Isaiah 40-66 as well as literary, social, and theological implications concerning the book of Isaiah as a wh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