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공연 소비자의 시청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현수(Kim, Hyun su),이동수(Lee, Dong Soo)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5

        본 연구는 팬데믹의 영향으로 공연시장의 중요한 한축으로 자리 잡은 온라인 공연이지만 정작 온라인 공연을 소비하는 소비자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온라인 공연 소비자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클래식 음악 공연 영상을 접한 소비자를대상으로 개방형설문을 실시하여 영상 시청요인을 탐색한 뒤, 폐쇄형 설문을 실시하여 공연 소비자의 소비행태 별 시청요인의 차이를 비교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형 설문을 통해 도출된 40개의 시청요인은 양적 연구를 통해 콘텐츠 요인, 개인적 요인, 기술성 요인, 홍보마케팅 요인, 상호작용 요인, 영상화 요인, 편의성 요인의 총 7개 요인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소비행태별 시청요인 차이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플랫폼 별 시청요인 차이는 ‘홍보마케팅요인’, ‘상호작용요인’, ‘편의성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시청 횟수 별 시청요인 차이는 ‘콘텐츠요인’, ‘홍보마케팅요인’, ‘상호작용요인’, ‘영상화요인’, ‘편의성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시청기기에 따른 시청요인 차이는 ‘편의성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채팅참여 여부에 따른 시청요인의 차이는 ‘콘텐츠요인’, ‘개인적요인’, ‘기술성요인’, ‘편의성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채팅 참여’ 그룹의 평균값이 ‘채팅 비참여’ 그룹의 평균값보다 모두 높게 도출되었다. 다섯째, 지용지불 여부에 따른 시청요인 차이는 ’개인적요인‘, ’기술적요인‘, ’ 편의성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유료시청’ 그룹의 평균값이 ‘무료시청’ 그룹의 평균값보다 모두 높게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consumers who consume online performances, and to discuss in-depth discussions on consumers of online performanc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for consumers who encountered a video of a classical music performance through streaming to explore the viewing factors, and a closed-type surve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verify differences in viewing factors by consumer behavio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40 viewing factors derived from the open-ended questionnaire could be categorized into 7 factors. a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differences in viewing factors by consumption patter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viewing factors by video platfor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keting factor , interaction factor , and convenience factor . Second, the difference in viewing factors by the number of viewing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ents factor , marketing factor , interaction factor , video factor , and convenience factor . Third, the difference in viewing factors according to the viewing devi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except convenience factor . Fourth, the difference in viewing factors according to chatting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ent factor , personal factor , technical factor , and convenience factor . Fifth, the difference in viewing factors according to pay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 factors , technical factors , and convenience factors .

      • KCI등재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의 소비자 시청요인이 시청만족과 지속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현수(Kim, Hyunsu),이지윤(Lee, Jiy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21 문화산업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국내외 주요 극장 및 공연단체들이 공연생중계를 위한 스트리밍용 공연을 제작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현 시점에서, 온라인 공연 소비자에 대한 다각적 탐구를 통한 온라인 공연 소비 활성화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스트리밍 방식으로 공연을 소비하는 소비자들의 시청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들이 시청 만족과 지속이용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온라인 스트리밍 공연의 유료, 무료 시청자 그룹을 나누어 그룹별로 시청요인들이 만족도와 지속이용의사에 어떠한 다른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도출된 5개의 시청요인(개인적요인, 홍보마케팅요인, 콘텐츠요인, 편의성요인, 영상화요인) 중 개인적요인, 콘텐츠요인, 편의성요인이 시청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개인적요인, 홍보마케팅요인이 지속이용의사에 통계적 유의수준하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시청자 그룹과 무료 시청자그룹 별 시청만족과 지속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력도 그룹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브 스트리밍 관객들의 시청 결정 요인을 정립하여 시청만족, 지속이용의사와의 영향력을 검증한 본 연구는 기존에 미흡하였던 온라인 공연 소비자 분야 연구의 확장에 기여할 것이며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을 기획·제작하는 실무진들에게도 미래 전략 수립을 위한 세부적인 지침과 통찰을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talize online performance consumption through multi-faceted research on online performance consumers at a time when major domestic and foreign theaters and performance organizations are focusing their efforts on producing streaming performances for live performances. Accordingly, we tried to derive the viewing factors of consumers who consume performances through online streaming, and to examine how these factors affect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use. In addition, we divided the paid/free viewer groups of online streaming performances and tried to find out how the viewing factors have different effects on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intention for each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mong the five factors(personal factors, marketing factor, content factor, convenience factor, video factor), personal factors, content factors, and convenience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nd personal factors and marketing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ed use inten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satisfaction and th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paid viewer groups and the free viewer groups. This study, which established the determining factors for the viewing of live streaming audiences and verified the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will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research in the field of online performance consumer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detailed guidelines and insights for future strategy establishment to working-level staff who plan and produce live streaming performances.

      • KCI등재

        중국 내 한국 모방 프로그램에 대한 중국 현지 대학생의 시청반응 연구 : 중국판 <나는 가수다2> 프로그램의 모방요인(모방요소)을 중심으로

        쟝샤오밍,최영준 한국소통학회 2016 한국소통학보 Vol.15 No.1

        본 연구는 프로그램 콘텐츠의 한류 열풍으로 표현되고 있는 중국판 모방 프로그램에 대하여 어떤 모방요인들이 중국 현지 대학생 시청자들에게 시청선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국판 <나는 가수다2>에 대하여 총 20명의 20대 중국인 대학생을 중국 현지(산둥성 ‘산둥대학교’)에서 5라운드에 걸쳐 포커스그룹 인터뷰(FGI : Focus Group Interview)를 수행하였고 인터뷰의 내용을 분석하는 질적연구 방법을 수행하였다. 중국판 <나는 가수다2> 프로그램에 대한 중국 대학생 시청자의 시청선택 이유를 모방요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정리가 된다. 모방요인의 내용적 측면에서 프로그램 진행방식이나 포맷(코너)의 공정성과 공평함을 높이 평가하였고 모방요인의 형식적 측면에서 중국내 다른 방송 프로그램에서 볼 수 없는 극적 분위기의 무대셋트와 조명효과,실제 콘서트를 보는듯한 오디오 음향효과를 시청선택의 이유로 답하였다. 모방 프로그램으로서 <나는 가수다2>의 모방요인과 시청 만족도, 시청 충성도 사이의 관계를 확인한 질문에 대하여 프로그램의 모방요인에 대하여 형식적 요인들이 긍정적으로 인식될수록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긍정적 이미지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방 프로그램의 시청을 통해 주변인들과 사회교류 욕구가 커질수록 시청권유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regards to this phenomenon, the study sets out to focus on the reactions of Chinese college viewers to China’s copying Korean programs, and find out their reasons for watching the programs, satisfaction and loyalty in relations to China’s reason for copying the Korean programs. For this, 20 Chinese college viewers of the Chinese version of “I am a singer 2”, the Korean program copied by China, were selected, and were made to have five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 The interviewees were young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from Shandong University in Shandong province. The Chinese college viewers were impressed by the way the program was run, which was very unique, and that the new format brought justice and fairness to the program, eventually leading them to watch the copied program. Also, the dramatic directing, stage settings and the lights that were never seen before in Chinese programs as well as the audio effect that reminded them of a concert were another reason for watching the program. Concerning their loyalty to the program, they responded that they recommended the program to others as they wanted to interact and share their thoughts with others. Regarding their reasons for watching and loyalty to the program, they continued watching the program to evade reality (absorption into the program). Lastly, in regards to the question in the interview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asons for copy, satisfaction and loyalty, it was found that the more viewers liked the background settings such as the stage settings, lights and audio effect,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as for the program.

      • KCI등재

        융합적 TV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황주성(Joo-Seong Hwang) 한국정보사회학회 2016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7 No.1

        본 연구는 전통적 TV시청 집단과 융합적 TV시청 집단을 구분하는 유의미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기존에 주로 검토되었던 인구사회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융합시청의 시발점이 되는 인터넷 이용요인과 융합인프라, TV시청시간 등의 영향등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융합적 TV시청 집단의 세부 유형에 따라 이러한 요인들의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비교하고자 한다. 자료는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발행한 『2014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의 원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 이용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융합인프라 및 TV시청시간의 영향을 통제한 뒤에도 융합적 TV시청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 TV시청과 융합적 TV시청의 세 가지 하위 집단을 각각 비교분석한 결과시간이동시청 집단은 TV시청시간이 길고 소득이 많을수록 더 잘 나타나는 반면, 공간이동시청 집단과 시·공간이동시청 집단은 연령과 인터넷 이용요인이 높을수록 더 많이 나타났다. 융합적 TV시청 집단 내에서는 시간이동시청 집단에 비해 다른 두 집단이 인터넷 이용요인의 영향을 더 강하게 받는다는 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significant factors that distinguish convergent TV viewing group from traditional TV viewing group. It focuses on the effects of the Internet use with control of traditional factors. Further it also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among subgroups within the convergent TV viewing group. Data for analysis was gathered by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and KISDI in 2014. The Internet use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s on distinguishing the two TV viewing groups after controlling other factors such socio-economic factors and infra-structural factors. Within the convergent TV viewing group, time-shift group turned out to be different from other two groups. They are more influenced by income and TV viewing time but less by the Internet use. Time-Space shift and Space shift groups are considered to be more convergent type of TV viewing.

      • KCI등재

        유튜브 채널 ‘이스타 TV’ 정보 공감 요인이 시청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플루언서의 공감을 매개 변인으로-

        로요 ( Lu Yao ),이훈용 ( Lee Hun Yong ),김종무 ( Kim Jong M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6 No.-

        미디어의 변화, 인터넷 발전, 스마트폰 대중화 및 SNS 중심의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다. 유튜브와 같은 SNS 동영상 플랫폼은 시청자들에게 자유롭게 시청하고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사용자들은 영상 소비자에서 전파자로의 역할까지 수행하고 있다. 유튜브 시청자들은 '좋아요', '댓글', '구독'을 통해 만족한 콘텐츠에 대한 공감을 표현하고, 이는 다른 시청자들의 영상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튜브의 축구 종합 예능 채널인 이스타 TV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공감요인이 시청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인플루언서 공감이 시청자 행동의도에 어떤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총 508개의 설문을 SPSS 27.0을 활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이스타 TV 정보 공감 요인은 ‘정보 신뢰 공감’, ‘정보 가치 공감’, ‘정보 내용 공감’, ‘정보 만족 공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스타 TV의 정보 공감 모든 요인이 인플루언서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정보 가치 공감’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스타 TV의 정보 공감 요인과 인플루언서 공감이 시청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보 내용 공감’, ‘정보 만족 공감’, ‘인플루언서 공감’은 시청자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나 ‘정보 가치 공감’, ‘정보 신뢰 공감’은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인플루언서 공감이 시청자의 행동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이스타 TV 정보 공감 요인이 시청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인플루언서 공감의 매개역할 분석 결과 인플루언서 공감은 ‘정보 내용 공감’, ‘정보 만족 공감’과 행동의도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이스타 TV 정보 공감 요인 중 ‘정보 내용 공감’, ‘정보 만족 공감’이 시청자 행동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보다 ‘정보 내용 공감’, ‘정보 만족 공감’이 인플루언서 공감에 영향을 미치고, 인플루언서 공감이 시청자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시청자 행동의도가 더욱 강해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유튜브에서 정보 공감에 대한 시청자 행동의도를 이해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mid changes in media, advancements in the internet, the widespread use of smartphones, and an environment centered around social networking sites (SNS), users are consuming content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Platforms like YouTube, an SNS for videos, provide viewers with an environment to freely watch and share content. Users have evolved from mere consumers of videos to broadcasters themselves. YouTube viewers express their appreciation for content by 'liking', commenting, and subscribing, which, in turn, influences the video choices of other viewer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viewer empathy towards the content provided by ESTAR TV, a YouTube soccer entertainment channel, on viewer behavioral intentions, and the mediating role of influencer empathy in this process. To this end, 508 surveys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conduct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firstly, that the factors of ESTAR TV information empathy were identified as 'information trust empathy', 'information value empathy', 'information content empathy',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empathy'. Secondly, all factors of ESTAR TV's information empathy positively influenced influencer empathy, with 'information value empathy' having the most significant impact. Thirdly,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ESTAR TV's information empathy and influencer empathy on viewer behavioral intentions revealed that 'information content empathy', 'information satisfaction empathy', and 'influencer empathy' positively influenced viewer behavioral intentions, while 'information value empathy' and 'information trust empathy' did not show significant impacts. Influencer empathy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viewer behavioral intentions. Fourthly, in 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influencer empathy in the impact of ESTAR TV's information empathy factors on viewer behavioral intentions, it was found that influencer empath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content empathy', 'information satisfaction empathy', and behavioral intentions. This suggests that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content empathy'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empathy' on viewer behavioral intentions is stronger when they impact influencer empathy, which in turn influences viewer behavioral int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viewer behavioral intentions towards information empathy on YouTube.

      • KCI등재

        시청자 품질평가 지수의 타당성 검증 및 정치적 성향요인의 영향에 관한 연구

        강명현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37

        본 연구는 시청자 품질 평가지수(KI 지수)의 타당성 검토와 KI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즉, KI지수를 구성하는 두 개의 평가항목(QI 와 SI)이 여타 추가적인장르별 심층적인 평가항목을 반영하고 있는지, 그리고 인구사회학적요인 이외에 정치적 성향이나 지지정당과 같은 정치적 요인이 KI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먼저세부 항목별 점수와 KI점수, 그리고 이를 구성하는 QI와 SI간 높은 상관관계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KI지수가 장르별 특성을 반영하는 평가항목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KI 지수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성별간 차이를 제외하고 세대별, 정치 성향 및 지지정당에따른 KI 점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지 정당이 KI 점수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요인으로 분석되었는데, 새누리당과 민주당 지지층에 따라 KI 점수는 장르별로는 보도 장르 프로그램에서, 그리고 채널별로는 TV 조선 프로그램에서 지지 정당별 차이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영향요인을 인식되었던 인구사회학적 요인이나 시청행태 요인 이외에 정치적 요인역시 평가점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패널을 설계함에 있어 이러한 정치적 영향 요인을 고려하거나 혹은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특성들을 감안하여 해석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validity of current quality index for television programming. In addition, the study tested any effects of political factors such as political tendency on the programming quality evaluation. Based upon the previous research trends, this study raised two main research questions; 1) Is the current quality index valid to measure a variety of program qualities? 2) do the political factors influence the evaluation of program quality, using different scores?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a research survey was performed.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evaluation index is valid to measure various component of program quality. Furthermore, this study also found some factors such as political tendency or party orientation impacts on the program quality evaluation. Based upon the results, finally, academic implica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he study.

      • KCI등재

        한국 시청자의 중국 드라마 시청 선호 요인에 관한 Q 방법론 연구: 고장극(古裝劇)을 중심으로

        후카,고정민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7

        미디어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드라마의 다문화 전파는 드라마 산업의 공통 관심사가 되었으며 드라마의 수출은 전 세계 국가의 문화를 향상하는 중요한 방식이 되었다. 현재 중국 고장극은 한국에서 리메이크되는 등 OTT 플랫폼을 통해 활발히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한국 시청자들의 시청 욕구를 지속해서 유지하기 위해서 한국 시청자의 주관적인 시청 선호 요인을 Q 방법론을 이용해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중국 고장극의 한국 진출에 대한 시사점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시청자의 중국 고장극 시청 선호 요인은 전통사극을 선호하는 유형과 퓨전 사극을 선호하는 유형으로 나누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사극을 좋아하는 전통문화 추구형은 문화적 유사성을 기반으로 문화적 호기심이 선호 요인이 된다. 퓨전 사극을 선호하는 유형은 문화적 유사성을 기반으로 화려한 제작환경을 선호하는 시각효과 추구형과 배우에 대한 호감을 선호하는 팬덤 추구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콘텐츠 우수성이 선호 요인이 된다. 이는 시청 성향에 따라 고장극 선호 요인이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는 시청자 개인의 주관적 취향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 고장극 제작환경에 전통사극과 퓨전 사극의 시청 선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한국 시청자의 시청선호 요인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둔다. With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the media, the spread of multicultural dramas has become a common concern of the drama industry, and the export of dramas has become an important way to improve the culture of countries around the world. Currently, Chinese costume drama is actively consumed through OTT platforms, such as remakes in Korea. In order to maintain this desire of Korean viewers, the subjective viewing preference factors of Korean viewers were analyzed using the Q methodology and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the entry of Chinese costume drama into Korea we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s that Korean viewers prefer to watch Chinese costume dramas were divided into types that prefer traditional historical dramas and types that prefer fusion historical dramas. Cultural curiosity is the preferred factor in the pursuit of traditional culture that likes traditional historical dramas based on cultural similarities. Based on cultural similarities, fusion historical dramas can be divided into visual effect-seeking types that prefer colorful production environments and fandom-seeking types that prefer to like actors, and content excellence is the preferred factor. It can be seen that this is an individual's subjective taste in which various factors of preference for Chinese costume drama appear depending on the viewing tenden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the factors of Korean viewers' preference for viewing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reference for viewing traditional historical dramas and fusion historical dramas in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Chinese costume drama.

      • KCI등재

        중국 광주지역 대학생 시청자들의 한국드라마 선호요인이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공채희(Cai-Ji Kong),안수근(Su-Keon An)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8

        본 연구는 중국 광주지역 대학생 시청자들의 한국 드라마 선호요인이 한국이나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생 시청자들의 한국드라마 선호요인은 드라마의 ‘주제와 내용’, 드라마의 ‘연출과 음악’, 드라마 ‘배우의 스타일’ 등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드라마의 ‘주제와 내용’ 요인이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대학생 시청자들의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 요인은 ‘한국인의 정시 및 관광지 이미지 요인’, ‘한국의 문화적 요인’, ‘한국인의 스타일 요인’ 등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중국 대학생 시청자들이 드라마를 통해 한국에 대한 현대적 가치에 가장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나아가 한국은 중국과 근접해 있어 문화적으로 친근하고 유교 문화권이라는 유대감 속에서 한국을 호감 가는 국가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드라마의 선호요인이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한국인의 정시 및 관광지 이미지 요인, 한국의 문화적 요인, 한국인의 스타일요인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한 결과는 중국 광주지역 대학생들이 한국드라마 선호요인, 즉 한국드라마의 주제와 내용, 연출과 음악, 배우라는 요인에 초점을 두고 시청하고, 드라마를 평가하며, 한국 드라마 시청을 통하여 한국에 대한 친근감을 형성하게 되고, 나아가 한국의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과 선호를 높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Korean dramas selection factors for Chinese audiences on the national image of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ection factors of Korean dramas for Chinese audiences were categorized ‘subject and content’, ‘direction and background music’, and ‘style of actor or actress’. Among these factors, this study was found that a factor of drama’s ‘subject and content’ had an effect on the selection of Korean dramas for Chinese audiences. Second, ‘touristic factor’, ‘cultural factor’, and ‘stylistic factor’ were examined as a national image factor of South Korea for Chinese audiences. The Chinese audiences surveyed responded positively on ‘cultural factor’. The images delivered through the Korean TV dramas have very much influenced the Chinese audiences to view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s a country of modern and urban elegance. Furthermore, the audiences cognized South Korea is a friendly nation as South Korea and China has a similar cultural background like the Confucian culture. Third, the study found selection factors of Korean dramas for Chinese audienc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national image of South Korean. These positive influences were found on ‘touristic factor’, ‘cultural factor’, and ‘stylistic factor’ From these results, Chinese audiences watch Korean dramas focused on ‘subject and content’, ‘direction and background music’, and ‘style of actor or actress’. Watching Korean dramas help to create the friendly national image of South Korea. The study shows a possibility to increase an interest and preference on the Korean pop culture.

      • KCI등재

        인터넷 1인 게임 방송 시청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김유미,김선균 (주)에스비에스 2020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8 No.1

        The increasingly competitive new media content is making great efforts to provide broadcasting to meet the needs of user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users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in using the content.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various factors that constitute one-man game broadcasting of the Internet using AHP techniqu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rimary viewing factors, 42.1 percent considered content factor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30.0 percent for broadcasting communicators and 27.9 percent for interaction. Second, looking 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ubcomponents of each viewing element, entertainment (70.2%) was the highest among the content factors, followed by creativity (15.7%) and information (14.1%). In addition, among the one-man game broadcasting communicator on the Internet were the host's charm (25.4%), originality (19.3%), communication (19.0%), reliability (18.8%), and professionalism (17.5%). Responsiveness (48.1%) is the next most important subcomponent of interaction, followed by interactive communication (42%) and control (9.9%). Finally, the results of the review of the composite importance showed that entertainment(29.5%, 1th) in content, responsiveness of interaction (13.4%, 2th), two-way communication (11.7%, 3th), attractiveness of the communicators (7.6%, 4th) and content creativity (6.6%, 5th). 갈수록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뉴미디어 콘텐츠들은 이용자들의 욕구와 부합하는 방송을 제공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때문에 이용자들이 그 콘텐츠를 이용하는 데 어떠한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1인 게임 방송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요인들 중 이용자들이 시청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것이 무엇인지 그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AHP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1차적 시청 요인 분석결과, 콘텐츠 요인이 42.1%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다음으로 방송 커뮤니케이터 요인이 30.0%, 상호작용성 요인이 27.9%로 나타났다. 2차적으로 각 시청 요인의 하위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콘텐츠 요인은 오락성(70.2%)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 창의성(15.7%)과 정보성(14.1%)순이었다. 이어 인터넷 1인 게임 방송 커뮤니케이터 요인의 하위요인의 경우 진행자의 매력성(25.4%), 독창성(19.3%), 소통성(19.0%), 신뢰성(18.8%), 전문성(17.5%) 순의 우선순위를보였다. 다음으로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 반응성(48.1%)이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쌍방향커뮤니케이션(42%), 통제성(9.9%) 순의 상대적 중요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복합 중요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는데 분석 결과, 콘텐츠의 오락성(29.5%, 1위), 상호작용의 반응성(13.4%, 2위), 쌍방향커뮤니케이션(11.7%, 3위), 커뮤니케이터의 매력성(7.6%, 4위), 콘텐츠의 창의성(6.6%, 5위) 등이 높은 상대적 중요도를 보였다.

      • KCI등재

        온라인 영상 예배 서비스 품질 요인이 시청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명준 ( Kang Meong-joon ),김종무 ( Kim Jong-m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1 No.-

        본 연구는 온라인 영상 예배 서비스 품질 요인이 시청자의 시청만족과 지속시청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CTS 기독교TV 웹사이트 온라인 회원 중 온라인 예배를 한 번이라도 시청한 경험이 있는 시청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기간은 2021년 10월 5일부터 10월 31일까지 총 25일 동안 진행하였다. 설문결과, 총 320개의 표본이 수집되었고, 오류가 없는 총 29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회수한 설문지를 통계프로그램인 SPSS 25.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영상 예배 서비스 품질 요인은 ‘온라인 예배구성’, ‘온라인 미디어 시스템’, ‘온라인 접근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영상 예배 서비스 품질 요인이 시청만족에 미치는 영향 결과, ‘온라인 예배구성’, ‘온라인 접근성’이 시청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미디어 시스템’은 시청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영상예배 서비스 품질 요인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결과, ‘온라인 예배구성’, ‘온라인 접근성’이 지속시청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미디어 시스템’은 지속시청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온라인 예배 시청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시청만족과 지속시청의도에 대한 온라인 예배 서비스 품질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online worship image service quality factors on viewing satisfaction and continued viewing inten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viewers who watched online worship image at least once among the online members of the CTS Christianity TV website.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25 days from October 5 to October 31, 2021. As a result of the survey, a total of 320 sampl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298 sampl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5.0 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nline worship image service quality factors were “online worship composition”, “online media system”, and “online accessibility”. Second, as a result of the effect of online worship image service quality factors on viewing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online worship composition” and “online accessib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viewing satisfaction, but “online media system”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viewing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the effect of online worship image service quality factors on continued viewing intention, it was found that “online worship composition” and “online accessib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continued viewing intention, while “online media system”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ed viewing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expanded the study of online worship by empirically identifying the quality factors of online worship, such as viewing satisfaction and continued viewing intention, in a situation where study on viewer of online worship was insuffic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