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서의 시민성 교육: 세계시민성과 환대의 개념을 중심으로

        이민경(Lee Min-Ky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2

        This paper investigates principes and method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in era of globalis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has been done focusing on cultural diversity and tolerance. Therefore, the social problems such as social unequality and injustice has been neglected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This study proposes global citizenship and hospitality as a core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ra of globalisation and investigate the principles and methode of education based on them. In brief, I discussed what is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global citizenship and hospitality and how we can practice this educational program. 이 논문은 지구화 시대의 다문화 시민 교육의 지향과 내용, 그리고 방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글로벌화의 진전에 따른 다문화 사회의 형성과 함께 한국사회에서 이루어져 온 다문화 교육은 문화적 다양성의 강조와 수용이라는 아젠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불균등, 사회적 부정의 등 구조적·사회적 문제는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지거나 간과되어 왔다. 이 논문은 이러한 한국사회의 다문화교육의 양상을 비판적 관점에서 검토하면서 지구화 시대의 다문화 시민성 교육의 핵심적인 요소로 세계시민성과 환대의 개념을 제시하고, 이에 기반한 다문화 시민성 교육의 원리와 실행사례를 고찰하였다. 다시 말하면, 지구화 시대의 다문화 시민성 교육은 어떤 비전과 목표를 가져야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비전과 목표에 근거한 다문화 시민성 교육의 구체적인 실천사례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민주시민 역량으로서 반성적 성찰의 교육 방안 연구 -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양해성(Yang Hae Su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7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주체간의 다양한 갈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실질적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에 시민성에 대한 범사회적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으며, 교육계 내부에서도 민주시민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도덕과 교육 또한 교과의 정체성을 잘 반영한 민주시민 교육의 실효성 확보 전략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도덕과 교육을 통한 민주시민 교육은 도덕함을 중심으로 하는 시민윤리교육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즉, 시민윤리교육으로서의 도덕과 교육은 민주시민 역량으로서의 도덕적 탐구 역량과 성찰 역량 및 실천 역량을 고루 발달시키는데 기여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탐구 역량과 성찰 역량 및 실천 역량 중에서도 특히, 성찰 역량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키기 위한 교육 전략의 마련이 시급하다. 메타 인지 능력으로서의 성찰 역량은 다원화 된 사회의 갈등을 해결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중요한 민주시민 역량이다. 개인의 도덕적 판단은 왜곡된 정보와 암묵적 요소 및 비도덕적 욕구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에, 성찰이 결여된 탐구 능력의 발달은 편향된 판단과 자기기만 등의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다원화된 가치를 추구하는 개인 및 집단 간의 갈등을 심화시킬 위험성마저 내포하게 된다. 이러한 성찰 역량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성찰 역량을 효과적으로 길러주기 위한 교육 방안이 아직 충분하게 마련되지 못하였으며, 교사들 또한 학생들에게 성찰을 지도함에 있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개인 및 집단이 반성적 성찰을 함에 있어, 인지적 왜곡이나 확증 편향 등 다양한 심리적 장애 요인이 존재하기에, 진정한 의미의 성찰 역량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심리학적 고려가 풍부하게 반영된 교육 전략의 마련이 요청된다.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ethics education can be characterized as citizen ethics education.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centered on ‘Doing Moral’, reflective deliberation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However, due to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cognitive distortion, biased emotional response, and confirmation bias, it is difficult to derive reflective deliberation. However, it is possible to educate reflective deliberation through methods to provide emotional persuasion. Therefore,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persuasion should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document.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시민’ 어휘 분석

        김경은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aning of citizen in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from the 6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a corpus-based method which is an inductive text analysis method was adopted. Specially, concordance, cluster, and collocation analysis were us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from the 6th curriculum to 2015 revised curriculum, ‘citizen’ and ‘democratic citizen’ has appeared at a high rate and ‘global citizen’ has appeared from the 7th curriculum. These vocabularies were found in the goal part of the curriculum. Secondly, since the 7th curriculum, ‘citizen’ has been appeared with vocabularies such as ‘democratic’, ‘global’, ‘community’, ‘participation’, ‘action’, and ‘communication’. This means that the active nature of citizenship in the public arenas has been emphasize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최근 정치 제도적 완성의 차원보다 사회적 통합 차원에서 시민교육에 대한 강화가 요청되고 있고 사회과는 학교시민교육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교과라는 점에서 해당 교육과정에서 시민교육의 핵심이 되는 ‘시민’이 어떻게 규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에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 속에 나타난 ‘시민’의 어휘 분석을 통해 해당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시민’의 의미를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6차 사회과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언어학에 기반한 코퍼스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시민’ 어휘의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콘코던스 분석을 실행한 결과, ‘시민’ 및 관련 어휘로 20종의 단어가 나타났고 시기별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시민’, ‘민주 시민’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세계 시민’은 7차 교육과정부터 나타났다. 이 어휘들은 교육과정 문서 체제상 성격 및 목표 영역에 주로 나타났다.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시민’은 도달해야 할 지향점이고 특히 ‘민주 시민’은 그 주된 상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민’이라는 어휘가 문장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클러스터 및 연어 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과정 시기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7차 교육과정 이후로는 전반적으로 ‘민주’, ‘세계’, ‘공동체’, ‘참여’, ‘사회정의’, ‘실행’, ‘소통’ 등의 단어들과 결합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터너(Turner)가 제시한 시민성의 분류 기준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공적 영역에서의 능동적 성향이 강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 본 탈북청소년 교육방법적용과 방향성 고찰

        이효영(Lee, Hyo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6

        이 글은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 탈북청소년을 대상 한 교육방법적용과 방향성 고찰을 통해 탈북청소년이 남한사회에서 적응을 넘어 세계시민으로의 가능성과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탈북청소년은 분단 상황이라는 우리사회의 특수한 위 치에서 상이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는 소외계층이다. 지금까지 이들에 대한관점은 사회의 지원이 필요한 대상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이제는 남한사회 적응을 넘어 사회구성원의 능동적 사회주체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서 세계시민교 육은 세계시민의 역할을 강조하는 실천 행동적 교육으로 탈북청소년의 자발적이며능동적 주체로서 국가정체성 형성을 돕는 교육적 가능성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인 TOE(Through Other Eyes)의 4가지 학습을 제시하여 탈북청소년 교육방법적용과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그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으로 갖추어야 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탈북청소년의 세계시민 교육지원체계가 구축이 요구된다. 둘째 사회 구성원으로, 세계의 시민으로 글로벌 이슈에 대해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동참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셋째 새로운 문화와 공간의 이해, 새로운 시각과 관점을 함양하는 교육, 새로운 체제에 대한 교육에 있어 다양한수업 모형과 기법이 활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탈북청소년의 세계시민교육 관점의 교육방법적용과 방향성 제공에 있어 그들을 우리사회 구성원이자 세계시민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 possibility and implication that North Korean youths of refugee will be able to adapt to the global community as a global citizen through considering the educational direction and application method. North Korean defectors have long been regarded as the underprivileged in a special,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his viewpoint can be regarded as an active social subject of a society member or a person who needs social support. The global citizen education suggests educational possibility to help the development of national identity as a voluntary and active subjec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erms of dynamic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role of citizens of the world. Therefore, we adopted four learning methods of TOE (Through Other Eyes), a global citizen education learning program,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North Korean youth education. The proposal is as follows. First, a global citizen education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cultivate the ability to be equipped as a global citizen. Second, as a member of the global community,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recognize and actively participate as the global citizen in global issues. Third, various teaching models and techniques should be utilized in understanding new cultures and spaces, developing new perspectives and perspectives, and teaching new system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viewers from as a member of North Korean citizens to a new member of citizens of the world.

      • KCI등재

        시민교육 방향 모색을 위한 영국과 대만 시민교육과정의 탐색적 논의

        최정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사회과 교육은 시민교육의 중요한 핵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교육에 대한 사회과 교육의 역할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새로운 시민교육 교과 개설에 대한 필요성이 거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보다 오랜 시민교육의 역사를 지녔으나 최근에 시민교육을 공교육으로 전환한 영국과 우리나라와 유사한 시민 교육 역사를 지닌 대만의 시민교육과정의 특징을 탐색하여, 시민교육으로서의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의 방향성을 설정해 보고자 하였다. 사뭇 상반된 두 나라의 시민교육 역사는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에서도 영국은 주요 학습 내용만 간략하게 제시한 반면, 대만은 상당히 구체적인 내용까지 제시하는 차이점을 보였다. 그러나 두 국가 모두 학습 내용은 정치, 경제, 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교과를 운영하는 데 있어 실천적 측면은 단순히 문서로만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학생 활동을 통해 운영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시민 교과로서 사회과 교육과정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 on how to improve Korean citizenship education by analyzing citizenship curriculum in England and Taiwan. The origin purpose of social studies lies in educating young students to be good citizens. Although social studies pay an important role in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some policy makers and educators raise their voice to create a new subject for the purpose of citizenship education given that the current social studies do not work well for citizenship education. Before the creation of a new citizenship subject, this study attempts to find a way of reviving the current social studies education by exploring other citizenship subject in other countries: England and Taiwan. England has a different democratic history from, while Taiwan has a similar democratic history with Korea. On the other hand, citizenship education is a mandatory course in both countries. Through comparing two countries, this study reveals how to promote and reconstruct Korea citizenship education better.

      • KCI등재

        시·도교육청의 세계시민교육 정책 현황 분석

        유혜영,김남순,박환보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7 글로벌교육연구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ent stat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olicies of local education authority in terms of governance and contents, and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created an analytic framework by reviewing the concept and them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analyzed 654 education policies derived from main work plan in 2017 of 17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themes, contents, governance. The results are followed. First, except for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re was no department or person fully in charge of global citizen education policies at the local education authority. Second, regarding to the theme of global citizen education,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olicies of the local education authority are mainly focused on civic education, and the difference of proportions are affected by the policy direction, the political inclination of the superintendent, and regional context. Third, the proportion of support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global citizenship was the highest in the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olicies of the local education authority. Based on this results, this study suggest that efforts to link each policies fragmented by theme and content are necessar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시도교육청의 세계시민교육 정책을 추진 체제와 내용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세계시민교육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주제를 검토하여 분석틀을 도출하고, 17개 광역시·도교육청의 2017 주요업무계획에서 추출한 654개 세계시민교육 관련 정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교육청을 제외하고 지방교육청 단위에서는 세계시민교육 정책을 전담하는 부서나 담당자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교육청에 따라서는 여러 부서에서 관련 정책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계시민교육의 주제별로 볼 때, 시도교육청의 정책은 주로 시민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주제별 비중의 차이에는 지역교육청의 정책 방향이나 교육감의 정치적 성향, 그리고 지역의 맥락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시도교육청의 세계시민교육 정책은 교육청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교내외 교수학습활동 지원 사업의 비중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세계시민교육 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세부 주제와 내용별로 파편화된 시도교육청의 세계시민교육 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브렉시트 시대 영국의 세계시민교육 위축과 제약 분석: 세계시민교육이 나아갈 방향

        김진희(Jinhee KIM)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8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3 No.2

        이 논문은 영국의 브렉시트 결정 이후 세계시민교육이 어떤 맥락에서, 어떤 쟁점과 이슈로 위축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세계시민교육의 위상을 다시 고찰하는 논문이다. 국가중심의 블록화를 추진하는 브렉시트는 세계시민교육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이것이 세계시민교육의 발전과 제약에 미치는 관계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영국 사례가 세계시민교육 실천 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영국의 브렉시트 사태는 ‘가르침’으로서 세계시민교육의 교과서(text) 문건으로 치부되는 아니라, 시민들이 학습 주체로서 탈(脫)유럽화라는 이슈를 자기 앞에 당도한 삶의 경험으로 이해하고 대응하면서, 브렉시트라는 사태가 살아있는 세계시민교육의 내용(content)으로 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오늘날 흔들리는 세계시민교육의 위상과 향후 방향성을 반성적으로 고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hrinkage and limit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epoch of Brexit. It also attempts to examine a feature of positioning and direc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hich is confronted with a sceptical criticism of its educational impact. In this vein, the major findings and arguments showed the practice and implement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under the pressure of Brexit faces complicated challenges across Europe including UK, since Brexit highly pursues national centred hegemony and nationalistic bloc. It could hinder the structural restriction of implementing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UK. Apparently,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henomenon of Brexit and it s impact is functioning as dynamic learning contents, not for a teaching-learning resource. It has been discussed that Citizens of UK have strived to deal Brexit as a learning experience in life-worl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to move forward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n ever-shrinking world of Brexit.

      • KCI등재

        시민사회와 교양교육의 민주성 강화를 통한 비판적 교양교육의 구성

        심성보 ( Seong Bo S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1

        오늘날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국면을 맞이하여 공리주의적 실용성과 시장주의적 효율성이 득세하면서 국가와 시장의 폭력을 감시하고 견제해야 할 교양교육의 비판적 기능이 약화되고 있다. 이를 방지하려면 새로운 민주적 시민사회에 조응하는 시민의 민주적 교양 능력을 고취하여야 한다. 시민의 교양 능력은 비판적 민주시민의 능력에 달려 있다. 국가와 시장에 대한 시민사회의 공정한 감시자로서 역할을 제대로 하려면 권력에 종속되지 않는, 비판적인 교양시민을 필요로 한다. 비판적 시민의 양성을 위해서는 ``비판적`` 교양교육을 필요로 한다. 비판적 교양교육을 위해서는 시민사회의 ``civil``의 개념과 교양교육의 ``liberal`` 개념의 민주성을 강화시켜야 한다. 즉, 시민성에서 시민권으로 강화된 ``civil``의 민주성과 교양교육의 ``liberal``의미를 동시에 강화하여야 한다. 그렇게 해야 ``비판적 교양교육``의 구성이 가능할 것이며 나아가 민주적 시민사회의 구성 또한 가능할 것이다. 만약 양자의 조응이 잘 되지 않는다면 민주적 시민사회의 공고화는 더욱 위태롭게 될 것이다. Nowadays, entering on the phas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liberal arts education which influenced the communitarian life of citizen has eroded by prevalence of utilitarian pragmatism and market-driven effectivity day by day. So, the critical function of civil society which must examine and check state and market, has weakened. Thus, educated/civilized citizens who should be the subject of civil society fell into petit-citizen. If we prevent from this, we must encourage critical capacities of citizen applying to new democratic civil society. Civility capacities of citizens depend on latent capacities of participatory democratic citizen. A proper role as impartial spectator on state and market will require educated/civilized citizen with autonomous, critical capacities without a rein of power. Cultivation of critical Bildung/culture of citizen requires critical liberal education, which is core of civil society. It must acquire the critical meaning of ``civil``. Therefore, critical liberal education is necessary for being spreaded well beyond ``civicness/civility``, being enlarged into ``citizenship``. And we must require the political meaning of ``liberal`` of liberal education which corresponds it. Thus, it will be possible to reconstruct democratic civil society. Therefore, both democratic civil society and critical liberal education will fit well. If both don`t work, the consolidation of democratic civil society will be more dangerous.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의 민주시민교육 내용 분석

        김혜진(Kim Hyejin),이슬기(Lee Seul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민주시민교육과 관련한 교육의 방향과 내용이 교과별로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민주시민교육과 관련한 내용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중학교 교과(군), 범교과 학습주제에서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정의, 강조하는 시민 역량, 민주시민교육의 내용(가치 및 주제 등)과 교육활동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각 교과의 성격과 목표에 대부분 ‘민주시민’이라는 단어가 언급되어 있었고, 민주시민교육에서 강조하는 시민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과마다 민주시민교육을 다루는 영역 및 항목, 교육활동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범교과 학습 주제로서 민주시민교육이 제시되어 있지만, 한정된 주제로 제시되어 있는 한계가 있었다. 결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민주시민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각 교과를 통해 교육과정 전반에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교과의 특성에 맞게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교육활동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지는 못한 한계가 있다. 향후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is study looked at how the directions and cont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ere presented by subject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the general outline, middle school subjects, and cross-subject learning topic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reviewed. The analysis was focused on the defini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e to be emphasized, contents(values and topics, etc.), and educational activities. Results As a result, the word ‘democratic citizen’ was mostly mentioned in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each subject. It was aimed at enhancing competence emphasized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topics, and educational activities dealing with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or each subject. In addition, although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as suggested as a cross-subject learning topic,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it was presented as a narrow topic. Conclusion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as recognized and efforts were made to reflect it throughout the curriculum, but it was not possible to set a specific dire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suggest a way to conduct educational activities. It is required to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in the future curriculum revision process.

      • 민주시민교육 방법으로서의 입법교육

        이하영(Ha Young Lee) 경인교육대학교 입법학센터 2022 입법과 혁신 Vol.1 No.-

        입법과정은 민주시민으로서 길러야 하는 모든 역량의 총체이다. 의제설정을 위해서는 다양한 통계를 활용하는 수학적 능력이 필요하며 때로는 과학적 사실에 근거하여 주장을 펴야 한다. 상대를 설득하는 과정에는 논증이 필요하므로 철학적 사고와 논리적 말하기 능력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입법과정을 교육 현장에서 구현하는 것은 그 자체로 민주시민역량 증대를 꾀할 수 있어 민주시민교육 방법으로서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현실의 입법과정을 활용하여 민주시민역량을 기르고자 구안된 교육을 입법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사회과교육 및 법교육의 내용 또는 토의·토론과 같은 교육 방법으로부터 입법교육이 차별화되는 지점은 입법 자체가 실행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실의 입법이 법규범을 제정하여 국민의 권리와 의무를 규율하듯, 교육에서의 입법 또한 다양한 입장을 조율하여 결정된 바를 학생들의 삶에 반영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입법교육은 첫째,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함께 만든 규칙에 대한 수용성 즉 준법의식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정치 과정 참여의 필요성을 체득하는 효과를 가져, 정치효능감의 유의미한 상승이 기대된다. 이러한 효과성에 비해 학계에서 입법교육은 이제 물꼬를 트기 시작한 수준이기 때문에 개념이나 방법적 측면에 대한 전문가들의 다양한 논의가 더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입법교육과 민주시민역량 사이의 관련성 및 효과성에 대해 논하여 입법교육이 민주시민교육 방법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한다. The legislative process is the sum of all the abilities that must be raised as a citizen of democratic society. For example, in order to make an agenda-setting claim, it is necessary to have the mathematical ability to utilize various statistics, and sometimes the claim must be developed based on scientific facts. Philosophical thinking and the ability to speak logically are also essential because the process of persuading the other person requires debate. Therefore, the legislative process in education can increase the ability of citizens by itself, and can be used as a method of education for citizens. On the other hand, the point that legislative education is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educational contents or methods such as legal education or debate education. Because legislation itself is premised on enforcement. Just as the actual legislation establishes laws and regulates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people, the legislation in education also reflects the lives of students that it was decided by coordinating various positions. Therefore, legislative educa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acceptance of the rules. Secondly, it has the effect of learning the necessity of participating in the political process so that political efficacy can be increased. However, compared to these effects, legislative education is at a level that has just begun that many discussions by experts are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effectiveness of legislative education, possibility that legislative education functions as a civic education method in the field of school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