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령에 따른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의 변화

        김미애(Kim, Mi-Ae),박용경(Park, Yong-Kyung),김은휘(Kim, Eunhwi),김미한(Kim, Mi Han),정성화(Jung, Sung-Hwa),서순림(Shu, Soon-Rim),김홍(Kim, Hong)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1

        본 연구는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성별, 질병유무, 운동유무, 그리고 연령에 따라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성인의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대구ㆍ경북에 거주하고 일상생활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인지기능 장애가 없는 건강한 20-70대의 남녀 성인 137명으로 하였다.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각각 MVPT-V, VMI-3R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시지각 능력에는 성별(β=-.170, P=.012)과 연령이(β=-.614, P<.001), 시각-운동통합 능력에는 연령(β=-539, P<.001)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고, 특히 시각-운동통합 능력이 시지각 능력보다 연령에 더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Wald's χ²=16.03, P<.001).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화에 따른 인지기능의 감소가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의 감소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노화에 따른 인지기능의 감소를 적절하게 예방하기 위해서는 연령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시각-운동통합 능력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효과적인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visual perception (VP) and visual-motor integration (VMI)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152 subjects (aged 20 to 70 years old; both gender, n=10 in each ages) living in Dague and Gyeongbuk district and 137 proper data were collec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based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the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Vertical Format (MVPT-V) and the Visual-motor integration 3rd Revision (VMI-3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nd most results were expressed the mean ± standard deviation (SD) or percentage (%). As a results, the main factors were gender and age on VP and age on VMI. Particularly, VMI is more affected by age than VP.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gular evaluation of VMI is very important to protect cognitive deficit by aging process effectively.

      • KCI등재

        디지털감각지각훈련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손기능과 시각-운동 통합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고운,오혜원 대한통합의학회 2019 대한통합의학회지 Vol.7 No.4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 3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감각지각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은 그룹과 발달장애 아동의 손 기능 및 시각 운동 통합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분하였다. 방법 : 8주 동안 총 16회, 1주일에 2회 50분씩 실험군과 대조군 각 20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젭센-테일러 손 기능 테스트는 개입 전후의 손 기능을 알아내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비주얼 모터 통합 기능을 식별하기 위해 Beery VMI-6을 수행하였다. 결과 : 중재 후 실험군에서 손기능 및 시각 운동 통합 능력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통제군에서는 현저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이는 디지털 감각 훈련 프로그램에서 발달장애 아동의 손 기능 및 시각적 운동 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 : 따라서, 디지털 감각 인식 훈련 프로그램은 발달 장애 아동의 손 기능과 시각적 운동 통합 능력을 긍정적인 중재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hand function and visual motor integration capabilities in 30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 = 20) that received digital sensory perception training and a control group (n = 10) that did not receive this training. Methods : Training was conducted a total of 12 times for six weeks, for 50 minutes a day, twice a week,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hand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Beery VMI-6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visual motor integration capability.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ability to perform hand functions and visual motor interac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Digital sensory training therefo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hand function and visual motor integra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 : A digital sensory perception training program is an arbitration method that can positively improve the hand function and visual motor integration abilit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안구 운동 프로그램이 자궁 내 태아 발육 지연 아동(IUGR)의 시각 운동 통합 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성해 ( Seong Hae Cho ),조영남 ( Young Nam Cho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3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2 No.2

        목적: 본 연구는 자궁 내 태아 발육 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안구 운동 프로그램이 시각 운동 통합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대구 N병원의 소아재활센터에서 외래 치료를 받는 대칭성 자궁 내 태아 발육 지연(symmetric IUGR) 진단을 받은 남자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치료는 안구 운동 프로그램을 주 3회 실시하였고 치료의 연속성과 효과를 위해 2013년 3월 14일부터 5월 14일까지 8주 동안 진행하였다. 안구 운동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검사(BayleyⅢ, DDSTⅡ)를 실시하였고, 시각 운동 통합 발달 검사(VMI)를 통해 사전, 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자궁 내 태아 발육 지연 아동에게 안구 운동 프로그램 중재를 시행한 후 중재 전에 비해 VMI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자궁 내 태아 발육 지연 아동에게 안구 운동 프로그램 중재가 시각 운동 통합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eye movement program on visual motor integration ability of child with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Methods: Subject was diagnosed symmetrical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IUGR) of child with male, and received outpatient treatment in N Hospital`s pediatric rehabilitation center. Subject was received treatment three times a week using the eye movement program, and conducted in 2013 March 14 to May 14 during 8 weeks for effectiveness and continuity of intervention. BayleyⅢ, DDSTⅡ were given for overall development evalution before the eye movement program. The eye movement program consists of 6 types of eyemovements; static fixation, tracking eye movement, pursuit eye movement, saccadic eye movement, vestibulo-ocular movement, vergence eye movement. Developmental test of visual-motor integration(VMI) was used for evaluation of visual motor integration ability, and preliminary evaluation, interim evaluation, subsequent evaluation were performed. Result: Subject child who underwent eye movement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before the intervention showed improved VMI scores. Conclusion: This results show that an eye movement program is effective for an improvement in visual motor integration ability of child with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The following study, children with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programs.

      • KCI등재

        ICF 모델에 근거한 재가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구조 모형

        박용경(Yong-Kyung Park),서순림(Soon-Rim Suh)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는 WHO의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모델을 기반으로 재가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65세 이상의 재가노인 260명이었고, 자료 분석은 SPSS Window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였다. 모형의 적합도 검정 결과 모든 지수 기준을 충족하여 모형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재가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요인은 신체 · 심리적 상태였다. 즉,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우울이 낮을수록, 만성질환이 적을수록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좋았다. 직접적인 영향력이 두 번째로 큰 요인은 시각-운동 통합능력으로 확인되었고, 세 번째로 큰 요인은 사회활동이었다.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개인 요인, 사회적 지지, 사회활동 순이었다.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2%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 model was based on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model. The participants were 260 elderly who were more than 65 years old.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 visual-motor integration and social activities had direct effects on IADL. That is,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lower the depression and the less chronic illness, the better IADL. Personal factor,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ies had indirect effect on IADL. This model explained 32% of the variance in IAD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