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대처전략 및 경기력 간의 구조적 관계
신성진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4
이 연구는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대처전략 및 경기력에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각 변인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연구에 기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서울과 경기, 인천, 전북에 소재한 대학교 태권도전공 중 15개 팀에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무작위로 선정하여 표본을 추출하 였고, Window SPSS 22.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는 스포츠 대처전략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스포 츠 대처전략은 경기력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는 경기력에 부분적으 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경기력 간에 스포츠 대처전략은 부분적으로 매개역할 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선수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대처전략, 경기력의 구조적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에 기여할 수 있으며, 추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와 척도 개발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Taekwondo athletes' self-management, sports coping strategies, and athletic performance, and to contribute to basic research to understand each variable. To this end, the researcher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used in the preceding study by 15 teams among universities in Taekwondo majors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Jeonbuk, and randomly selected and extracted a sample. Analysis used the program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elf-management of college Taekwondo play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ports coping strategies. Second, the sports coping strategies of college Taekwondo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formance. Third, the self-management of college Taekwondo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formance in par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ports coping strategy partially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self-management and athletic performance of university Taekwondo athlet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thletes' self-management, sports coping strategies, and athletic performance, and late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eration effects and scal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suggested.
스포츠경기력혼란상태(Perturbation in Performance) 측정을 위한 분석인자와 측정방법의 탐색
최형준(Hyong Jun Choi),김주학(Joo Hak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2 No.2
최근에는 스포츠 경기력을 일정한 리듬을 통해 나타내는 프로파일링(profiling)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스포츠경기력분석 분야에서의 스포츠경기력혼란상태(perturbation in performance: 이하 PiP)는 경기력의 불규칙적인 패턴을 찾아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제시하기 위한 자료를 제시한다. 하지만 그동안 이에 대한 체계적인 방법론적 확립이나 명확한 정의조차 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스포츠경기력혼란상태의 분석인자와 측정방법을 탐색하고 스포츠경기력혼란상태에 대한 고찰을 하는 튜토리얼(Tutorial) 형식의 연구이다. 탐색된 선행연구에서는 스포츠경기력혼란상태를 `행위의 과정`과 `행위의 결과`에 기준하여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기준점과의 이동거리`, `결정적인 사건(critical incident)`, `승인(Winner)과 패인(Error)`을 이용하여 스포츠경기력혼란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스포츠경기력혼란상태의 다양한 측정방법 개발, 분석인자의 탐색, 측정도구의 개발, 스포츠 현장 적용 및 활용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Recently, the methodological development on the performance profiling, which could display the consistent rhythm of performance, was considered in the field of performance analysis of sports. Especially, the perturbation in performance is able to provide the problematic issues and situations within the unstabilized patterns of performances. However, the clear definitions or systematic methodologies of measuring perturbation in performance has not proposed and investigated according to past researches. Thu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se previous studies relevant to the perturbations in performance.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studies critically and then to discuss the perturbation in performances as tutorial format. As results, `the process of action` & `the results of action` were based for the measurement. For the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se perturbation in performance, `the distance from customized location on court`, `the critical incident made the perturbations` and `winners and errors` were used to identity the perturbation in performance.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s that there are further researches required on variety methods, identification of performance indicators,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and the application of usage on perturbation in performance.
사격선수의 자신감 및 경기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기여도
이동준,김화복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1
이 연구는 사격 선수들의 자신감과 선수가 인지하는 경기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 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전국의 사격 선수를 모집단을 설정한 다음 편의표집법을 통해 수집된 총 479부의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셀프리더십과 스포츠 자신감 및 경기력의 관계는 2단계 절차로 분석하였는데 첫 단계로는 SPSS 18.0을 이용한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셀프리더십의 수준별 스포츠 자신감 및 경기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 고 두 번째 단계로는 AMOS 18.0을 이용한 구조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을 통해 요인 간 관계 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의 수준 별 스포츠 자신감과 인지된 경기력의 차이에서는 셀프리더십 수준이 높은 선수집단이 낮은 선수집단에 비해 스포츠 자신감과 인지된 경기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과 스포츠 자신감의 관계에서는 건설적 사고전략이 스포츠 자신감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셀프리더십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는 건설적 사고전략과 행동지향적 전략이 인지된 경기력 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자신감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는 스포츠 자신감이 인지된 경기력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ontribution of self-leadership on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among Shooting players. In compliance with the purpose, total 479 copies of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of random sampling and utilized in the study. The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was analyzed by two steps. As first step, the sports confidence of self-leadership by ability grouping and the difference of athletic performance were analyzed from independent samples t-test, using SPSS 18.0 program. As second step, the relationships among factors were analyzed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AMOS 1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sports confidence of self-leadership by ability grouping and the difference of athletic performance,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self-leadership showed high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comparing with those of group with low level of self-leadership. Secon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ports confidence, the contra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had positive effects on sports confidence. Thir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athletic performance, the behavior-focused strategies had positive effects on athletic performance. Forth,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the sport confidence had positive effects on athletic performance.
신정택,육동원,정재은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는 골프경기 상황에서 대학골프 선수를 대상으로 하여 이전수행, 스포츠자신감이 골프 경기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골프 경기력 향상과 그것에 필요한 효율적인 코칭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일정수준 이상의 기술수준을 가진 대학생 골프선수로서, 제 3회 회장배 대학골프대회에 참가한 남?여 선수 131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시합상황에서 골프선수들이 느끼는 스포츠자신감을 검사지로 측정하였다. 스포츠자신감은 특성스포츠자신감과 상태스포츠자신감으로 나누어 측정되었으며, Vealey(1986)가 제작한 검사지를 신뢰도 검증과 타당도 검증 작업을 거쳐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윈도우용 SPSS Ver. 10. 0의 하위 프로그램 Descriptives, GLM, Regression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연구변인(성별, 이전 평균성적, 경력)에 따른 스포츠자신감을 분석한 결과, 이전평균성적에 따라서는 특성스포츠자신감과 상태스포츠자신감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경력에 따른 스포츠자신감 분석 결과 특성스포츠자신감과 상태스포츠자신감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성별에 따라 특성스포츠자신감과 상태스포츠자신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성별, 이전평균성적, 경력에 따른 골프경기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연구변인(이전평균성적, 경력, 특성스포츠자신감, 상태스포츠자신감)이 골프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 회귀 분석한 결과 이전평균성적과 특성스포츠자신감이 골프경기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fficient coaching data to improve the performance level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in the athletic performance in the game of golf and past achievement and sport-confidence with college golfers. A total number of subject were 150 amateur golfers, who participated in the third collegiate golf tournament (2002. 3. 25-28). The 131 subjects out of 150 were used due to the availability of data excluding 19 subjects. The sport confidence was used as an inventory and it was measured as trait sport-confidence and state-sport-confidence. The inventories of trait sport-confidence and state-sport confidence were translated to Korean language and each inventory consist of 13 questions based on a 9-point Likert scale. The reliabilities were as high as .92 in both surveys. The 19 subjects were excluded due to the availability of data and the collected data were computerized into such sub-programs of SPSS 10.0 as Descriptives, GLM, and Regression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data. M & SD, independent t test, and one way ANOVA were used with p<.05. The result co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ly, according to the sport-confident level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scores,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it-sport-confidence and state-sport-confidence. In other words, the previous scores was a predicting factor of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next game of golf. Secondly, according to the sport-confident level on the basis of career,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it-sport-confidence and state-sport-confid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career on the performance of golf. In other words, career was not a predicting factor of golf performance. Lastly, trait-sport-confidence and the previous average scores proved to be significant factors to have an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in the game of golf with analysis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having golf performanc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he previous average scores, experience, trait-sport-confidence, and state-sport-confidence as independent variables.
대학스포츠 선수-지도자 교환관계가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적용
김우식,김영식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5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ports players and leaders and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the interdependence relationship by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perceived performance affected by it. Methods: To this end, from October 1, 2021 to October 10, 2022, 104 rows of couple data (208 players: 104 players and 104 leaders) were conveniently sampled and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ample plan.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ollege sports player exchange relationship, the higher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the playe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university sports leader exchange relationship, the higher the leader's perceived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player exchange relationship did not affect the opponent's effect on the leader's perceived performance. These results show that despite many changes in the professional sports environment, the player-leader relationship is still generally formed vertically, which can be seen as the cause of the decline in performance.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nterdependent model (APIM) self-relative effectiveness based on the university sports player-leader relationship was sufficiently confirmed, and the possibility of creating new values of elite sports was shown through the exchange relationship (LMX) required in the era.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스포츠 선수-지도자 간의 교환관계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받는 인지된 경기력과의 인과 관계를 분석하여 상호의존관계에 중요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21년 10월 1일 ~ 2022년 10월 10일까지 표본계획에 의해 커플 자료 104행(208명 : 선수104명, 지도자 104명)을 편의표본 추출하여 구성하였으며, 사전 A형 집단(선수 20명)과 B형(지도자 10명, 대학교수 10명)과 논의를 거친 후 대표요인을 선정하였으며, 유표 표본 집단에 대해 SPSS 프로그램과 AMOS 21.0를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스포츠 선수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선수의 인지된 경기력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학스포츠 지도자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지도자의 인지된 경기력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선수 교환관계가 지도자의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결과는 전문 스포츠 환경은 많은 변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진 선수-지도자 관계가 대체적으로 수직적으로 형성하고 있어 결과적으로 경기력 저하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대학스포츠 선수-지도자 간 상호의존모형(APIM) 자기-상대방 효과성을 충분히 확인하였고, 시대에 요구되는 교환관계(LMX)를 통해 엘리트 스포츠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보여주었다고 판단된다. 즉, 성공적인 경기력을 위한 과정에서 선수-지도자의 교환관계(LMX)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지표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상호의존모형을 적용된 연구는 의미가 있기에 대학스포츠에 관련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 판단된다.
고등학교 엘리트 품새선수의 자기관리가 스포츠 수행전략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신성진,신연지,오경록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고등학교 엘리트 품새선수의 자기관리가 스포츠 수행전략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19년 한국체육대학교 총장기 태권도대회 및 대한태권도협회장기 태권도대회 등에 참가한 고등학교 엘리트 품새선수 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중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된다고 판단한 12부를 제외하고 총 28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관리는 스포 츠 수행전략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관리는 인지된 경기력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수행전략은 인지된 경기력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고등학교 엘리트 품새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management strategy and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in self-management of high school elite poomsae players. To this end, the researcher surveyed 300 high school elite poomsae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the 2019 Taekwondo General Taekwondo Competition and Korea Taekwondo Association General Taekwondo Competition. A total of 28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12, which were determined to be inconsistent. The survey tool was used after modifyed and supplemented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previous study. Th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ed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PSS 22.0 program. Was us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management was found to partially influence sports performance strategy. Second, self-management was found to partially affect perceived performance. Third, sports performance strategy partially influenced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understanded the future performance improvement of high school elite poomsae players.
고등학교 축구선수의 스포츠자신감과 경쟁불안 및 경기력의 관계
김용호,문화실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축구선수의 스포츠자신감과 경쟁불안 및 경기력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22년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되어 8월 전국대회에 출전한 고등학교 축구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편의표본 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349명을 표집하였다. 이 중에서 질문 문항에 대한 일부 답변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302명이었다. 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고등학교 축구선수의 스포츠자신감이 경기력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는 스포츠 자신감의 모든 요인이 경기력의 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자신감 중 코치 지도력, 사회적 지지, 신체적/정신적 준비가 경기력의 축구지능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능력 입증, 신체적/정신적 준비, 코치 지도력은 경기력의 펀더멘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치지도력과 신체적/정신적 준비는 경기력의 정서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포츠자신감 중 코치지도력과 능력입증이 경기력의 정신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축구선수의 경쟁상태 불안이 경기력에 정적 및 부적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경쟁상태 불안 중 인지적 불안은 경기력의 동기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축구지능에는 신체적 상태 불안과 인지적 상태 불안 모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 among sports confidence,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performance in high school soccer players. The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sports confidence affected their performance. All factors of sports confiden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motivation for performance. Among sports confidence, coach leadership, social support, and physical/mental prepa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occer intelligence, and among sports confidence, ability demonstration, physical/mental preparation, and coach leadership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undamentals of performance. Among sports confidence, coach leadership and physical/mental prepar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 of performance. Lastly, among sports confidence, coach leadership and ability verific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mental performance. Second, high school soccer players' competitive anxiety had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ir performance. Specifically, among competitive state anxiety, cognitive anxiety had a negative effect on motivation for performance, and both physical anxiety and cognitive anxiety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cer intelligence.
장애인스포츠 경기력향상을 위한 수요자 중심 지원모델 제안
이재원 ( Jae-won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장애인스포츠 경기력향상을 위한 수요자 중심 지원모델을 제안하고 실제 장애인 엘리트스포츠 현장에 적용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최근에 이르러, 장애인스포츠는 훈련환경 개선, 스포츠과학의 다각적인 접목, 선수양성 시스템 적용 등을 통해 경기력을 극대화시키는 행정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공급자 중심의 지원체계의 한계와 생애주기별 지원체계 지원의 미진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수요자 중심의 장애인스포츠 경기력향상 지원모델 개발을 위하여 FGI, 전문가 설문조사, 내용타당도 검증과 공인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원모델은 심동적 영역,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을 기반으로 체력의 완성, 운동기술향상, 배움과 실현, 관계 형성, 자기 계발, 승리의 단계로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장애인스포츠 최상수행을 위한 경기력향상 지원모델은 수요자 중심 지원모델을 기반으로 엘리트스포츠 현장 적용 가능성에 최우선의 가치를 담아 개발된 지원 모델이다. 결론적으로, 장애인스포츠 최상수행을 위한 경기력향상지원모델 개발은 선수 발굴 및 양성과 더불어 선수들의 경기력향상을 위한 총체적인 진단과 적용 평가에 이바지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mand-oriented support models for the performance enhancement of the sports for the disabled and to apply them to actual sports sites for the para athletes.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administrative supports for the disabled sports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sports through improving training environment, combining multilateral sports science, and applying the system for training athletes.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provider-oriented support models and the insufficient support models for the providing services tailored to different life stages to offer necessary assistance to individuals in a timely manner, the support system has been difficult to establish. Therefore, the demand-oriented support model was develop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FGI, expert survey, content validity and official validity for the performance enhancement of sports with disabilities. The developed support model was developed by organizing the completion of physical strength, enhance of motor skills, learning and realization, relationship formation, self-development, and victory stages based on the psycho-dynamic, cognitive, and justice areas. The performance enhancement support model for the peak performance of disabled sports is feasibly develope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national athletes with disability on the basis of the demand-oriented support model, putting top priority on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elite sports sites.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enhancement support model for the peak performance of sports for the disabled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finding and training players. even contributing to the diagnosis and application evaluation for the overall sports development.
무도스포츠를 전공하는 대학선수들의 자기관리행동이 자신감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김주영,강명구,최봉준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는 무도스포츠를 전공하는 대학선수들의 자기관리행동이 자신감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무도 스포츠 선수들의 경기력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기관 리행동을 독립변인, 자신감을 매개변인, 경기력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설문대상은 2020년 현재 대한체육회에 등 록된 무도스포츠(유도, 태권도, 검도, 씨름, 복싱) 대학선수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최종 172명의 자료 를 사용하였고, SPSS 21.0 을 이용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관리행동의 정신관리, 대인관리, 훈련관리 가 자신감의 사회적지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관리행동의 정신관리, 훈련관리가 자신감의 코치지도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관리행동의 훈련관리가 자신감의 신체․정신적 준비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관리행동의 정신관리, 신체관리, 대인관리가 자신감의 능력입증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관리행동의 정신관리, 신체관리가 경기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신감의 코치지도력이 경기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self-confidence and performance in college combat sports athletes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help them improve their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college combat sports athletes' self-management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self-confidence as a parameter, and performance as a dependent variable. Convenience sampling was applied to college combat sports (judo, taekwondo, swordsmanship, wrestling, boxing) athletes registered in the Korean Sport and Olympic Committee as of 2020; as a result, the data from a total of 172 athletes were processed using an SPSS 21.0 program, an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mental management, interpersonal management, and training management among the factors for self-management positively affected social support among those for self-confidence; mental management and training management positively affected coach leadership; training management positively affected physical and mental preparation; and mental management, body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management positively affected competence establishment. Second, mental management and body management positively affected performance. Third, the coaching leadership of confidence had a positive affect on performance.
전명규(Myung Kyu Jun)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3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5 No.2
빙상선수 셀프리더십과 스포츠 자신감 및 경기력 관련성이 연구는 엘리트 빙상선수들의 셀프리더십, 자신감과 경기력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등록된 빙상 선수 전집으로부터 성별, 경력별, 종목별 그리고 집단유형별 특성을 고려 집락적 임의표집방법으로 전체 총 216명의 빙상선수가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변인별 수집된 자료는 정규성 검토를 거쳤으며, 측정에 사용된 검사지들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방법과 신뢰도계수를 산출하였다. 변수간 관련성 분석을 위해서는 상관분석 및 독립표본 t검증과 다변량 회귀분석(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방법을 적용하고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과 스포츠 자신감과 경기력의 관련성에서는 셀프리더십 수준이 높은 선수집단이 낮은 선수집단에 비해 스포츠 자신감과 경기력이 높다. 둘째 셀프리더십의 건설적 사고전략과 스포츠 자신감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셀프리더십의 건설적 사고전략 및 행동지향적 전략과 경기력 간에는 정적관계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이 높은 선수들이 스포츠 자신감과 경기력에서도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결과는 자기관리와 통제능력의 지표인 셀프리더십이 경기력향상과 중요한 인과적 관계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암시 한다. 셀프리더십의 구성개념 가운데 건설적 전략, 행동지향적 전략이 경기력과의 관련성이 있는 만큼 셀프리더십과 자신감의 하위요소들과 경기력 간의 인과적 관계규명을 위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ontribution of self-leadership on sports confidence and perceived-performance among skating athletes. In compliance with the purpose, total 216 subjects were collected by using of cluster convenience sampling and utilized in the study. The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was analyzed by two steps. As first step, the sports confidence of self-leadership by ability grouping and the difference of athletic performance were analyzed from independent samples t-test,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sports confidence of self-leadership by ability grouping and the difference of athletic performance,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self-leadership showed high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comparing with those of group with low level of self-leadership. Secon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ports confidence, the contra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had positive effects on sports confidence. Thir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athletic performance, the behavior-focused strategies had positive effects on athletic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