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축구 경기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스포츠맨십과 비스포츠맨십 행동 유형과 양상

        조은이,박정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2

        이 연구는 축구 경기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스포츠맨십과 비스포츠맨십의 행동 유형과 양상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기도 소재 ‘D’초등학교에서 방과후수업 중 축구활동에 참가하는 초등학생 1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비참여관찰,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영역분석, 분류분석, 성분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축구 경기에서 초등학생의 스포츠맨십과 비스포츠맨십 행동은 언어, 동작, 언어와 동작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둘째, 스포츠맨십과 비스포츠맨십 행동의 덕목별 표현 양상은 성실, 협동, 정직, 배려 측면에서 다양하게 표출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맨십과 비스포츠맨십 행동은 언어보다는 동작으로 더 많이 나타났으며, 이는 신체접촉이 많은 축구의 경기 특성에 기인한다. 둘째, 경쟁 지향적 경기 방식은 도덕적 스포츠맨십보다는 사회적 스포츠맨십 발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경기 중 정직한 태도나 행동은 다른 덕목에 비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경기 중심 프로그램 운영과 지도자의 방임적 태도의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셋째, 초등학생의 스포츠맨십 수준은 Erikson(1980)의 근면성 대 열등감 단계, Selman(1980)의 제3자적 상호조망의 특징으로 설명된다. 넷째, 초등학생의 스포츠맨십과 비스포츠맨십 행동 양상은 Kohlberg(1976)의 도덕성 발달 단계 중 ‘착한 아이 지향의 도덕성’ 수준으로 해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and aspects of elementary school sportsmanship and non-sportsmanship behavior in soccer games. 13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occer activities during the after-school class in 'D'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on-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occer games, elementary school sportsmanship and non-sportsmanship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language, motion, language and motion. Second, the aspects of virtue of sportsmanship and non-sportsmanship were variously expressed in terms of sincerity, cooperation, honesty, and caring. The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ortsmanship and non-sportsmanship were more behaviors than language, and this 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cer that are frequent physical contact. Second, competition-oriented game method had more influence on social sportsmanship than moral sportsmanship. Honest attitudes and behaviors during the game were hardly observed compared to other virtues, because they were largely influenced by the leader's permissive attitude and the game-centric program. Third, the level of sportsmanship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characterized by Erikson (1980)'s diligence versus inferiority stage, and Selman (1980)'s third-party interplay. Fourth, the sportsmanship and non-sportsmanship asp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explained by Kohlberg(1976)'s level of good child oriented morality.

      • KCI등재

        축구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서 스포츠맨십 및 비스포츠맨십의 행동 양상 탐색

        오익재,이기대,박정준 한국체육교육학회 202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8 No.5

        목적: 본 연구는 축구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서 중학생의 스포츠맨십 및 비스포츠맨십의 행동 양상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사례 연구 방법으로 I시 소재 B중학교의 방과 후 축구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관찰하였고, 스포츠맨십 및비스포츠맨십 유형별 행동지표를 기준으로 관찰일지, 면담, 활동 성찰 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축구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서 스포츠맨십 행동은 비스포츠맨십 행동보다 실천 빈도가 많이나타났으며, 스포츠맨십 행동은 성실, 협동, 공정, 배려의 유형으로 비스포츠맨십 행동은 불성실, 불협, 부정, 이기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참여 학생의 스포츠맨십과 비스포츠맨십 행동 양상은 스포츠 특성, 개인 특성, 지도 교사와 같은 배경 요인과 팀 구축, 연습, 경기 상황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결론: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의 행동을 스포츠맨십 측면에서 해석하기 위해서는 행동의 배경과 상황을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살필 필요가 있다. 스포츠맨십 함양을 위해서는 호의적인 집단 분위기 형성, 구체적이고 의도적인 스포츠맨십 교육 전략, 교사의 솔선수범과 지도 전문성이 필요하다.

      • KCI등재

        스포츠맨십 함양 체육수업 개발과 적용

        이태구 ( Tae-koo Lee ),김규리 ( Kyu-ri Kim ),이한주 ( Han-joo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6 체육과학연구 Vol.27 No.2

        학교체육 연구자들은 지금까지 체육 및 스포츠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스포츠맨십이 발달한다고 강조하여 왔다. 그러나 학교체육수업을 통해 스포츠맨십을 구체적으로 함양하는 방법들의 제안과 실천은 미진하였다. 이연구의 목적은 (1) 통합적 신체활동에 기반 한 스포츠맨십 함양 체육수업을 개발하고 (2) 적용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K중학교 1학년 95명(남:53, 여:42)의 학생들이었다. 연구 자료는 스포츠맨십 검사지(박윤혁, 2014)를 통해 학기 전후의 스포츠맨십 검사자료를 수집하였고, 단원수업 후 실시된 개방형 설문조사 및 면담을 통한 스포츠맨십 함양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관련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스포츠맨십 검사자료에 대해 t검정을 실행하였고, 질적 자료에 대해서는 질적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스포츠맨십 검사에서는 최선, 상대존중, 결과인정, 판정존중에서 긍정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설문조사 및 면담자료 분석 결과, 학생들은 한 학기 동안 진행된 스포츠맨십 함양 체육수업을 최선·상대존중·동료배려·결과인정·판정존중의 가치를 경험하게 하는 수업과 인성교육을 실현하는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간접적 신체활동과 직접적 신체활동을 체계적으로 연계하여 개발한 스포츠맨십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Researchers and teachers in physical education have emphasized sportsmenship in sport education setting. However, how to teach sportsmenship in physical education is not proposed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develop an instructional program for teaching and learning sportsmanship and (2) to examine its effects on sportsmenship. Participants were 7th middle school students(N=95). Data were collected using Sportsmanship Test(Park, 2014), open-ended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ired samples t-test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tudents`` sportsmanship test scores after instruction. Analysis of interview data showed that students experience the value of utmost effort, respect for opponents, respect for teammates, acknowledging results, respect for judgment, and valuable lesson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Implications for sportsmanship education using instructional program were discussed.

      • KCI등재

        소셜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한 초등학생 스포츠맨십에 대한 인식 분석

        박준태 ( Park Jun Ta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3 인성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하여 초등학생 스포츠맨십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이버, 구글, 다음 3곳 주요 포털사이트에서 “초등학생 스포츠맨십”이라는 키워드로 2018년 1월 1일부터 2022년 10월 31일까지 게시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텍스톰(Textom)과 Ucinet6을 통해 주요 키워드 및 TF-IDF 분석, 중심성 분석, 군집분석(CONCOR)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맨십에 대한 키워드 빈도와 TF-IDF 분석한 결과, 「선수, 초등학교, 경기, 배움, 학년, 올림픽, 쇼트트랙, 재학」과 같은 상위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둘째, 스포츠맨십에 대한 중심성 분석한 결과, 「선수, 초등학교, 쇼트트랙, 학년, 올림픽, 경기, 배움, 전국, 재학」 등의 키워드가 연결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맨십에 대한 CONCOR 분석한 결과, 「스포츠맨십 대상, 스포츠맨십 종목, 학교의 스포츠맨십, 스포츠맨십 모델링」으로 4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스포츠맨십에 대한 숨겨진 인사이트를 발견하고 그로 인해 초등학생의 스포츠맨십 형성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eople's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ortsmanship using novel big-data analysis. To solve this research problem, data posted from January 1, 2018 to October 31, 2022 with the keywo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ortsmanship were collected from three major portal sites: Naver, Google, and Daum. After the preprocessing process, the main keywords and TF-IDF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CONCOR) were conducted through Textom and Ucinet6.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s a result of keyword frequency and TF-IDF analysis of sportsmanship, top keywords such as an 「athlete, elementary school, game, learning, grade, Olympics, short track, and school」 were derived. Second, as a result of the centrality analysis of sportsmanship, keywords such as 「athlete, elementary school, short track, grade, Olympics, game, learning, nationwide, and school attendance」 showed high connection centrality. Third, as a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on sportsmanship, four clusters were formed: sportsmanship target, sportsmanship event, school sportsmanship, and sportsmanship model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iscovered hidden insights on sportsmanship and provided information helpful for the formation of sportsmanship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스포츠맨십 교육 콘텐츠 개발

        이태구 ( Tae-koo Lee ),이한주 ( Han-joo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6 체육과학연구 Vol.2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거울뉴런(Mirror Neuron)이론에 기초하여 공감을 주제로 학생중심 수업활용 스포츠맨십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초·중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스포츠맨십을 지도하는 스포츠강사들을 대상으로 그 반응을 조사하는 것이다. 스포츠맨십 교육 콘텐츠는 공감을 대주제로 상황학습이론에 기반하여, 유튜브에서 스포츠맨십을 발휘한 실제 영상들을 선정·편집하여 학생중심 수업방법을 적용한 워크시트와 함께 10차시 분량 20개가 각각 개발되었다. 스포츠맨십 교육 콘텐츠 개발 후, 경기도 교육지원청에 소속된 208명의 스포츠강사들을 대상으로 스포츠맨십 연수를 진행한 후, 개발된 스포츠맨십 교육 콘텐츠에 대한 반응을 인터뷰와 개방형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질적 내용분석을 통한 분석결과, 스포츠강사들은 자신들이 경험한 스포츠맨십 교육 콘텐츠에 대해, ``상대편 존중의 가치를 깨닫게 하는 교육 콘텐츠``, ``스포츠 존중의 가치를 깨닫게 하는 교육 콘텐츠``, ``심판 존중의 가치를 깨닫게 하는 교육 콘텐츠``, ``코치/선수 존중의 가치를 깨닫게 하는 교육 콘텐츠``로 반응하였으며, 스포츠맨십 교육 콘텐츠 개발과 인식에 대하여 논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develop instructional cont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sportsmanship and (2)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sports instructors on that contents. Instructional contents based on sympathy was constructed from Youtube clips. Final version was developed to apply situated learning in class and was comprised of twenty-sportsmanship video clips and worksheets. Participants were sports instructors (N=208)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Open-ended question and interview on call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instructors` perception regarding instructional content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ports instructors responded to the contents as thoughtful experience (1) making myself realize the value of opponent, (2) making myself realize the value of sports, (3) making myself realize the value of judge, (4) making myself realize the value of coach/athlete. This study concluded that instructional contents was touching and emotional. Implication of instructional cont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sportsmanship, pros and cons of the contents and teaching tips were discussed.

      • KCI등재

        스포츠맨십의 실천 윤리적 고찰

        이계영(Gye-Young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7

        본 논문의 목적은 스포츠맨십의 본질을 불교윤리학에 나타나는 근본이념들에 근거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모든 존재들은 다 같이 행복해야 한다는 불교사상은 생명일체의 절대 평등을 강조한다. 이와 같이 불교는 지극히 현실적이고 또한 경험적인 윤리이론을 제안하고 있다. 불교는 해탈, 열반, 깨달음 등으로 표현될 수 있는 이상적 목표를 상정한다. 그 이상적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행위의 실천이 필요하다. 불교에서의 행위는 몸과 입과 마음으로 확대재생산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포츠맨십의 바탕에는 당위가 아닌 개인의 행복추구가 자리한다. 업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불교적으로 선한 행위란 일체 세계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이해, 그리고 깨달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기반한 행위가 불교적으로 선한 업으로 기능한다. 불교적인 윤리에서 진정한 스포츠맨십의 실현은 자기희생이나 당위의 실현을 위한 삶이 아니라 자신의 행복 증진을 위한 삶을 산다는 것이다. 사념처 수행에서 몸은 생물학적 몸이 아니라 존재를 지각하는 실존의 주체로서 몸을 말한다. 따라서 몸의 마음챙김은 심신일여로서의 몸의 지각을 통해 형성되는 감정구조가 마음챙김으로 정화돼 가는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 현장에서 사념처의 적용은 인간적인 성숙과 존재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자각을 돕는 것이며 이는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근원적인 인식으로 전인교육, 자기수양을 이룰 수 있는 내적인 힘을 제공하는 방법론을 찾는 것이라 사료된다. 스포츠맨십에 대한 불교의 윤리관은 스포츠 현장에 있어서 스포츠맨십의 실천 즉 옳은 행동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고, 스포츠맨십의 실천에 대한 도덕적 결정의 기준을 제시하며, 스포츠맨십으로 사는 것에 대한 정당화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한다. The main purpose of the thesis is to observe the essence of sportsmanship based on basic ideologies of Buddhist ethics. Buddhism proposes realistic and experience-based ethics theories. It has the ideal purpose which can be expressed as realization, or nirvana. In order to achieve that purpose, practice of good behavior is needed. Behavior in Buddhism is a kind of reproducing and enlarging behavior by body, mouth, and mind. Accordingly, there is an individual pursue of happiness in sportsmanship. According to Buddhist Ethics, the realization of sportsmanship is not about sacrifice or a thing to do, but rather improving one"s happiness. In the four foundation of mindfulness, body is not biological, but an existential subject of perceiving existence. Accordingly, through body mindfulness, correspondence of body and mind can be perceived, and this emotional structure can be purified into the mindfulness. Applying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to sports is to help perceive human maturity and essence of existence, and this again helps to find the methodologies of inner power through which all-rounded education and self-meditation can be achieved. Buddhist Ethics regarding sportsmanship can provide the analysis of good behaving structure of sportsmanship, propose the ethical standards of sportsmanship, and justify living by sportsmanship.

      • KCI등재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스포츠맨십의 내면화 과정 및 요인 탐색

        백승수(Seung Soo Baek),박정준(Jeong Jun Par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스포츠맨십 내면화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방법상의 요인을 탐색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서사중심적 스포츠맨십 교육을 적용하여 체육수업 활동에서 필요한 스포츠맨십의 덕목을 선정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거시적 수업 방안과 미시적 수업 기법을 구성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통해 연구자 본인의 수업을 관찰 및 촬영하였고,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개방형 설문조사, 서사중심적 통합적 교수-학습 자료(스포츠맨십 실천록, 스포츠맨십UCC, 사진 등)를 수집하였다.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 해석하였으며, 연구 참여자 및 전문가 검토 과정을 거쳤다. 학생들의 스포츠맨십 내면화는 ``비인식기-개념화기-실천화기-내면화기``과정으로 구분되며, 이는 비연속적, 상호보완적 특성을 갖고 있었다. 거시적 수업 방안과 미시적 수업 기법이 스포츠맨십 내면화 과정에서 포괄적, 개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he internalization of sportsmanship can be achieved, and then exploit factors affecting sportsmanship internalization in terms of teaching methodology in Middle School PE. Virtues related to sportsmanship were selected, and various activities where the selected virtues can be naturally practiced were prepared. To macroscopically produce situations where students themselves can learn sports, macro-teaching techniques (e.g. learning, sports-doing, socialization, etc.) were used. The author didn`t fail to incessantly monitor and visually record the progress of all relevant classes while this study was continued. Unstructured and in-depth interviews,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had. And findings (e.g. sportsmanship practise list, sportsmanship UCC, pictures, etc.) as produced through data based on narrative, integrative approaches were collect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ir implications, together with research participants and experts. it was revealed that the internalization of sportsmanship went through four phases: non-cognization, conceptualization, practical representation and internalization; stil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ur phase doesn`t always consecutively complete the cycle of sportsmanship internalization. It could be seen that they affected one another through series of internal reactions, and thereby, reinforced their respective properties, which suggested that they were a discontinuous process by being complementary to one another. and it was found that micro- and macro-teaching techniques affected the internalization of sportsmanship.

      • KCI등재

        원문 : 스포츠맨십의 형성 요인 분석을 통한 프로그램 실행 전략 탐색

        박정준 ( Jeong Jun Park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3 체육과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학교체육수업을 통해 스포츠맨십이 형성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스포츠맨십 프로그램의 실행전략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 소재 ‘Y’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스포츠맨십 교육 프로그램을 1년 동안 실행하였고, 학생 250여명을 인성 수준별로 A~D의 4개 그룹으로 나눈 뒤 각 그룹별로 1명씩, 모두 4명의 주제보자를 선정하여 수업 활동을 관찰하였다. 스포츠맨십 실천록과 행동 체크리스트, 질문지, 면담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빈도 분석과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스포츠맨십 형성 요인을 프로그램, 학생, 교사, 환경 요인으로 범주화하였다. 프로그램 요인측면에서는 활동 종목의 특성과 학습 시간에 따라 스포츠맨십의 실천 횟수, 덕목의 비중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교수·학습 방법의 연습과 경기, 실천록 쓰기, 읽기와 보기, 평가, 개념 이해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A~D그룹의 주제보자별로 형성 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며, 수업 단계별 행동 실천 횟수, 사회성과 도덕성의 비중이 다르게 나타났다. ‘칭찬과 믿음’, ‘갈등해결’,‘솔선수범’과 같은 교사요인과 실제 ‘연습·경기’가 가장 큰 형성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외에도 ‘친구들의 시선이나 평가’, ‘친구의 언행’ 등 또래 환경이 스포츠맨십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스포츠맨십함양 프로그램은 운동화(직접체험)→사회화(관계 형성)→학습화(간접체험)→운동 실천→일상 실천의 5단계 실행 전략이 요구된다. 1~3단계는 상호 보완적 선순환구조의 특징을, 4, 5단계의 특징은 1~3단계에서도 실천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ing strategies of sportsmanship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on formation factors in middle school P;E classes. 250 secon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Seoul were applied to the "sportsmanship education program"(Park, 2011). They were divided into 4 groups(A~D) according by character traits. 4 main informers were selected amon them. For data collection, student journals, open questionnaires, interview, checklist were done, and these data analyzed in terms of Spradley(1980)’s inductive analysis to discover patterns, themes and categories. Also frequency analysis was applied for examining the sportsmanship behaviors. Formation factors of sportsmanship were classed as program, students, teacher, surroundings. Sportsmanship behaviors frequency and the ratio of sportsmanship virtues varied depending on the activities and time. The influences of instructional methods appeared in order ``practice and match``, ``writing journals``, ``reading and watching``, ``assessment``, ``understanding concepts``. Differences on perceived formation factors were depending on each main informers. Sportsmanship behaviors frequency, the ratio of sociality and morality appeared differently each instructional stage. The most influential formation factor was the teacher``s attitude like to ``praise and confidence``, ``resolution of conflicts``, ``leading by example``. Besides surroundings like to ``attention and judgement by friends``, ``friends`` behaviors`` had an influence on formation of sportsmanship. Consequently sportsmanship education program need the following 5 step-teaching strategies: spotization(direct experience) →socialization(building relationship) → academization(indirect experience)→practice in sports→practice in daily life. 1~3 steps means complementary ``virtuous cycle`` and 4~5 steps can be practiced in 1~3 steps.

      • 학교농구 스포츠클럽에서의 스포츠맨십 교육 실천과 학생변화

        김기철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0 스포츠과학리뷰 Vol.4 No.1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tributing to develop the school program for the whole person education. So the sportsmanship education(SE) was planned and practiced in the students in participating sports club activities such as basketball. First, the planning and preparing educational programs. Second, the process of practicing SE included maninly the sportsmanship custom and its internaliz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student were changed in their recognition, attitude, and behavior though the SE. 이 연구에서는 전인 교육이라는 체육의 근본적인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학교 농구 스포츠클럽에서 스포츠맨십 교육을 계획․실천하고, 그 과정과 참여 학생의 변화를 심 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스포츠맨십 교육의 계획과 준비는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결정을 내리는 과정이었으며 그 실천은 통합적인 관점에 근거 하여 스포츠맨십을 습관화하고 내면화 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스포츠맨십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인식, 태도, 행동의 측면에서 변화가 발견 되었다.

      • KCI등재

        스포츠맨십의 윤리학적 정초

        이승훈,김동규 한국체육철학회 201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1 No.1

        This study identifies the essence of sportsmanship from a perspective of utilitarianism,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which are typical ethical theories, and discusses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In a wa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normative ethics and virtue ethics, this study tries to find ethical significance of sportsmanship by reflecting the Aretē concept. Utilitarianism, with a goal of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has its significance on evaluating everything as a result of actions. However, when this is interpreted with sportsmanship, it has limits as it is focused on actions which use all competence by fair means or foul to accomplish a supreme task, that is victory. Sportsmanship in deontology is an action which expresses a good will from practical reason based on categorical imperative. It is, however, limited because sportsmanship is approached with the same interpretation as the application of rules and law due to the conflict of universality and exceptionality. Virtue ethics has its significance because it is based on inner characters or traits of agents rather than rules or principles. It is, however, insufficient to explain sportsmanship only with the morality of the agent. Thus, the concept of aretē may be raised from a new perspective for ethical issues in sportsmanship. Aretē means 'excellence' in Greek. When this is integrated to a sports field, this may be primarily athletic performance, that is excellent athletic performance capabilities. In an ethical approach, this may be a foundation to realize a direction of sportsmanship. It is quite ambiguous to interpret the concept of sportsmanship with ethical theories. However, with the concept of aretē, that is observing good manners, it is possible to analyze sportsmanship concretely. 이 연구는 윤리학의 대표적인 이론인 공리주의, 의무론, 덕 윤리의 입장에서 스포츠맨십의 본질규명을 시도하여 그에 대한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이어 규범윤리학과 덕 윤리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방안으로서 아레테 개념을 접목하여 스포츠맨십의 윤리학적 의의를 찾아보려고 하였다.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목표로 하여 그 행위의 결과로서 모든 것을 평가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이를 스포츠맨십과 관련하여 해석하면 승리라고 하는 지상과제의 달성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가진바 모든 역량을 동원하는 행위라는 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의무론에서의 스포츠맨십은 정언명령을 바탕으로 실천이성에서 나온 선의지를 표현하는 행위이다. 그러나 보편성과 예외성의 충돌로 인해 규칙이나 법의 적용과 동일한 해석으로만 접근해야 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덕 윤리는 어떤 법칙이나 원칙보다 행위자의 내적인 특성이나 성향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행위자의 도덕성만으로 스포츠맨십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스포츠맨십의 윤리적인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선으로서 아레테(aretē)의 개념이 대두될 수 있다. 아레테는 ‘탁월성’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로서 이를 스포츠현장에 접목하면 우선은 경기력, 즉 탁월한 경기수행능력과 관련지을 수 있다. 그러나 윤리적인 접근에 이르면 스포츠맨십의 지향점을 구현하는 근간이 될 수 있다. 윤리학 이론으로 해석하기 모호한 스포츠맨십이라는 개념에 예절의 준수라고 하는 아레테의 개념이 대입되면 보다 구체적인 해석이 가능하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