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인 남성의 우울성향 및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남성호르몬 농도

        박진수(Jin Soo Park),이유정(Yu Jeong Lee),나연자(Yeon Ja Na),공미희(Mihee Kong),김현주(Hyeon Ju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3 스트레스硏究 Vol.21 No.3

        남성호르몬 감소의 원인은 연령 외에도 대사증후군, 당뇨병, 비만, 음주, 흡연, 약물 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우울증이나 스트레스가 남성호르몬 농도 감소와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우울성향 및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남성호르몬 농도의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2009년 4월 1일부터 2012년 7월 31일까지 일개 대학병원에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20대 이상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우울성향에 대하여 65세미만에서는 한국어판 CES-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를, 65세 이상에서는 한국판 노인 우울척도 단축형(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GDSSF-K)를 이용하였으며, 스트레스 상태는 한국어판 BEPSI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8시간 이상 공복상태에서 오전 중 측정한 총남성호르몬(Total testosterone, TT), 자유남성호르몬(Free testosterone, FT)을 이용하여 우울 및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남성호르몬 농도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우울성향 군 또는 높은 스트레스 군에서 TT, FT이 약간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우울성향 및 높은 스트레스를 동반한 군(17명)과 비우울 및 낮은 스트레스를 보이는 군(254명)간을 비교해 보면, 우울성향 및 높은 스트레스 동반 군에서 TT, FT 모두 낮았으며, TT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 by Mann-Whitney test). 우울성향 및 높은 스트레스를 동반한 군에서는 비우울 및 낮은 스트레스 군에 비하여 총 남성호르몬이 의미있게 낮았다. The causes of decreasing in the male sex hormone (testosterone) are known to metabolic syndrome, diabetes, obesity, drinking, smoking, drugs etc, as well as age. Depression and stress are reported to association with decreasing in testosterone levels, als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serum testosterone levels according to depression and stress state.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adult males more than 20 years old, who visited one health promotion center from April, 2009 to July, 2012. We evaluated the state of depression by surveying CES-D-K for males less than 65 years old, and by surveying GDSSF-K for males more than 65 years old, and also evaluated the state of stress by surveying BEPSI-K. Total testosterone (TT) and free testosterone (FT) were measured by sampling venous blood in fasting state more than 8 hours in the morning. Then, we analyzed the serum testosterone levels according to depression and stress state. In the depression group or the high stress group, TT and FT were a little low, but were not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each group. However, by the comparison of depression and high stress group (n=17) with non-depression and low stress group (n=254), TT and FT were both low in the depression and high stress group, and TT wa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p=0.04 by Mann-Whitney test). By the comparison of depression and high stress group with non-depression and low stress group, TT was significantly low in the depression and high stress group.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 행위와 우울, 불안, 스트레스의 관계

        최명숙(Choi Myung Sook)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환경호르몬에 대한 인식, 지식, 환경호르몬(내분비계 장애 물질) 노출 위험 행위와 정신건강 상태(우울, 불안,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확인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S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43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로 환경호르몬에 대한 인식과 지식,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 행위, 우울, 불안, 스트레스 척도-21(K-DASS-21)한글판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4를 이용하여, t-test와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경호르몬에 대한 인식 정도는 2.79점(점수 범위 1-5)으로 보통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환경호르몬이 사람에게 위험하다고 생각한다’에는 평균 3.63점으로 점수가 가장 높았다. 연구 대상자의 환경호르몬에 대한 지식 정도는 총 30개 문항에 대한 정답률이 58.2%로 환경호르몬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 행위 점수는 2.78점(점수 범위 1∼5점)으로 보통 수준이었다. 대상자의 우울 평균 점수는 10.64점으로 가벼운 우울 상태, 불안 평균 점수는 8.72점으로 가벼운 불안, 스트레스 평균 점수는 12.01점으로 정상 범위였다.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 행위는 우울, 불안, 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 행위를 많이 할수록 우울, 불안, 스트레스 증상을 많이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 행위는 스트레스 정도 5단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울, 불안의 5단계에 따른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 행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항목별로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 행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 행위에 따라 우울, 불안, 스트레스 증상에 차이가 있어,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 행위를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knowledge, and risk behavior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hormones (endocrine disruptors) and their mental health status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3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at a university located in S city. Data collection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using awareness and knowledge of endocrine disruptors, risk behavior of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ors, Korean version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cale-21 (K-DASS-21).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4, with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degree of awareness of endocrine disruptors hormones was 2.79 points (score range of 1-5), which was found to be moderate. When asked, I think environmental hormones(endocrine disruptors) are dangerous to humans, the highest score was 3.63 out of 5. As for the degree of knowledge of endocrine disruptors of the study subjects, the correct answer rate for a total of 30 questions was 58.2%, and the level of knowledge of endocrine disruptors was not high. The environmental hormone(endocrine disruptors) exposure risk behavior score was 2.78 points (score range 1 to 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the subject s depression was 10.64, indicating a mild depressive state, and the average score of anxiety was 8.72, and the average score of mild anxiety and stress was 12.01, which was within the normal range. Behaviors at risk of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or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more risky behaviors exposed to endocrine disruptors, the more symptoms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were report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isk behavior of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ors according to the five levels of str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isk behavior of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ors according to the five stages of depression and anxiety,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isk behavior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hormones by ite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o reduce the risk of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ors, as the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vary according to risky behaviors exposed to endocrine disruptors.

      • KCI등재

        노인 여성의 한국무용 수행이 스트레스 지수 및 노화 지연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정하 ( Jeong Ha Kim ),윤정수 ( Chung Su Yun ),윤신중 ( Shin Jung Yun ),백승현 ( Seung Hyen Pack ) 한국무용과학회 2014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0 No.4

        본 연구는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무용 수행이 스트레스 지수 및 노화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노인의 삶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스트레스 관리와 노화 지연 호르몬의 농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한국무용의 운동생리학적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한국무용 수행 집단 10명, 통제 집단 10명으로 나누어 실험절차에 따라 한국무용 수행은 1주일에 3회, 1회 60분, 12주 동안 총 3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한국무용 수행 전·후 노인 여성의 스트레스 지수 및 노화호르몬의 농도를 측정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집단 내에서 한국무용 수행 후, 수행 전에 비하여 노인 여성들의 스트레스지수는 유의한 차이(***p<.001)가 있게 감소하였으며, 노화 지연 호르몬인 성장호르몬(*p<.05)과 DHEA-S(*p<.05)는 유의한 차이가 있게 증가하였다. 에스트로겐은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증가하는 변화양상을 보였다. 수행 후 공변량 분석(ANCOVA) 결과 집단 간에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하여 스트레스지수는 유의한 차이(***p<.001)가 있게 감소하였으며, 성장호르몬(**p<.01)과 DHEA-S(*p<.05)는 유의한 차이가 있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감안할 때 한국무용 수행이 노인의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와 노화 지연 호르몬의 농도 개선을 위한 유산소 운동으로써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one at the target of elderly women performing Korean dance to define the effect of exercise physiology by analyzing its influence on the changes of stress index and aging delay hormone as a means of stress management which has negative effect on elderly women`s life and increasing the thickness of aging delay hormone. They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 and Korean dance performance group with 10 members each. According to the procedure, Korean dance was performed for sixty minutes at a time, three times a week and 36times altogether lasting for 12 week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terials measuring elderly women`s stress index and the thickness of aging delay hormone before and after the Korean dance performance, their stress index decreased significantly (***p<.001) and aging delay hormone, growth hormone(*p<.05) and DHEA-S(*p<.05) increased significant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strogen but it shows a positive aspect of change. As a result of ANCOVA after the performance, there are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tress index (***p<.001) an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growth hormone(**p<.01) and DHEA-S(*p<.05) compared with before the performance. Therefore, Korean dance performance is considered to have a usefulness as an aerobic exercise for elderly women`s effective stress management and for increasing the thickness of aging delay hormone.

      • KCI등재

        운동수행 순서에 따른 무용연습이 스트레스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남상남(Sang Nam Nam),김종혁(Jong Hyuck Kim),유정재(Jungl Jae Yoo) 한국무용과학회 200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4 No.-

        본 연구는 현대무용연습방법에 따른 규칙적인 무용연습이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H대학교 현대무용전공 24명의 여학생들로 구성하였으며 두 집단 A Class와, B Class로 나누어 무용수행전, 무용수행 12주 후의 스트레스 호르몬의 변화를 알아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대무용수행기간에 따른 스트레스 호르몬에서는 A, B Class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무용연습방법에 따른 스트레스 호르몬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용연습시 연습방법에 따른 스트레스 호르몬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적합한 연습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며 본 연구의 두가지 A그룹[Bar Exercies(바 엑서사이즈) + Floor Exercies(플로워 엑서사이즈)]과 B그룹[Floor Exercies(플로워 엑서사이즈)+Bar Exercies(바 엑서사이즈)] 운동프로그램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실험설계를 통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무용연습시 효율적인 운동처방의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understand how a regular practice applying generally pursued modern dance practice methods influences various parameters. To that end, a group of 24 students majoring in Modern Dance at H University was selected. These students in turn was divided into Class A and Class B. For the period of 12 weeks, the effect of practice using given practice methods on stress hormon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each tim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erms of practice period, neither Class A nor Class B revealed any remarkable difference in stress hormone. Given all the test results, it can be found that practice period while any significant effect was not measured in terms of stress hormone. Therefore, these findings lead the researcher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at efficient ways of practice must be developed or employed which suit practice methods intended and student capability involved to help improve stress-hormone related body functions. In addition, if the study will be done on exercise program through more systemic experiment, The 2 style exercise programs of this study should will be well application for participatient of sports for all at exercise prescription.

      • KCI등재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Plasma Stress Hormone Responses to Acute and Chronic Immobilization Stress

        정은우,김현식,이상관,김민수,조장희,성강경 대한침구의학회 2010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7 No.5

        목적 : 침은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으며 고혈압, 당뇨, 정신질환 등을 포함한 스트레스성 질환에도 활용되고 있다. 결박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호르몬(코르티코스테론, 멜라토닌)의 혈장 농도를 크게 증가시키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스트레스 요인이다. 본 연구는 결박 스트레스를 시행한 백서의 스트레스 호르몬의 혈중 농도에 대한 전기침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 결박 그룹은 2시간의 결박 스트레스를 받았으며 결박 스트레스 및 고주파수 전침그룹과 결박 스트레스 및 저주파수 전침그룹은 결박 스트레스와 고주파수 전침, 또는 결박 스트레스와 저주파수 전침을 동시에 각각 시행하였다. 급성 스트레스 유발 시에는 결박 스트레스를 1차례, 만성 스트레스 유발 시에는 7차례 시행하였다. 전기침 자극에는 우측 족삼리(ST36)를 사용하였다. 결박 스트레스 및 전기침으로 유도된 코르티코스테론과 멜라토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결박 스트레스 및 전기침 자극이 시작된 30분, 60분, 90분, 120분 후에 백서를 단두하여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결과 : 급성 스트레스 유발 시에는 고주파수 전침그룹의 코르티코스테론 혈장 농도가 증가하였고 멜라토닌 농도의 시간적 패턴을 변화시켰으나 저주파수 전침그룹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만성 스트레스 유발 시에는 고주파수 전침그룹의 혈장 코르티코스테론과 멜라토닌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저주파수 전침그룹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전침이 결박 스트레스로 유도된 스트레스 호르몬의 혈장 농도 및 시간적 분비패턴을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스트레스 호르몬 반응을 변화시키는 데 있어서 주파수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Relationship of Stress Hormone and Neuroimmunological Response

        Chang-Eun Park(박창은)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8 No.3

        심리적 스트레스는 신경과 호르몬의 경로를 통해 면역 및 염증 세포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스트레스는 또한 장관내 신경계의 내인계 인자에 의해 펩티드 호르몬 및 신경 전달 물질의 반응을 촉진시킨다.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의 주된 근원은 백혈구이며 이로 인해 B세포, T 세포 그리고 이들로부터 방출되는 사이토카인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코르티솔과 연관된 사이토카인은 스트레스 매개성 면역 조절에 의해 방출된다.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인자는 혈장에서 코르티솔을 증가시킨 반면에 인터루킨 (IL)-12/인터페론 (IFN)-γ, NK세포활성은 면역반응을 억제시킨다. 따라서 스트레스는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연관성이 있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이들의 연관성을 위한 기전 연구가 요구된다. 향후, 스트레스와 관련된 면역반응의 질병관리 및 치료를 위한 바이오마커 적용의 구조체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Psychological stress can modulate immune and inflammatory cell function through neural and hormonal pathways. Stress also triggers the response of peptide hormones and neurotransmitters by intrinsic factors of the enteric nervous system. The major sources of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are leukocytes, whereby B and T cells and their release of cytokines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A cortisol-related cytokine released by stress-mediated immune modulation. Stress-induced factors were increase in cortisol plasma levels, whereas, interleukin (IL)-12/Interferon (IFN)-γ and NK cell actiity were inhibits the immune system. Therefore, the job stresses are related to influenced immune responses bu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monstrate for its mechanism relationships. Furthermore, the research needs framework the biomarker adoption for disease management, and treatment with stress related immune response.

      • KCI등재

        국내 생강 에센셜오일이 만성 스트레스로 교감신경이 항진된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지중구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4

        스트레스는 인체의 다양한 기관과 정신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교감신경 항진을 야기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스트레스로 교감신경을 항진시킨 동물 모델에서 국내산 생강 에센셜오일이 스트 레스 호르몬 및 뇌 조직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세포독성 평가 및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혈청 바이오 마커와 뇌 조직의 병리학적 분석이 기초한 효과를 관찰하였다. 동물 실험에서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의 처리는 만성 스트레스로 교감신경을 항진시킨 동물 모델 제작 후 2주간 100 nl/㎖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은 100 nl/㎖ 농도 이하에서 독성이 없었으며, 6-진저롤 함량이 345 ppm으로 확인되었다.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의 처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청에서 부신피질호르몬, 코르티코스테론, 멜라토닌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농도를 크게 줄였으며, 복측 피개부(VTA) 및 흑색질 치밀부(SNpc) 부분에서 TH-면역 반응이 때때로 중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보존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이 교감신경 항진을 개선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국산 생강은 교감신경 항진에 대한 아로마오일의 새로운 원료로 활용될 수 있다. Exposure to stress can lead to sympathetic hyperactivity, which include a systemic disease with lesions in a broad spectrum of organs and a psychiatric condition. The purpose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korea ginger essential oil on stress hormone and brain tissue response in chronic mild stress-induced rats model of sympathetic hyperactivity. Evaluation method carried out cytotoxicity assessment and component analysis, what observe the effects based on serum biomarker and histopathological analysis of brain tissue. As this time, the korea ginger essential oil was treatment at doses of 100 nl/㎖ for 2 weeks after make a chronic mild stress-induced rats model of sympathetic hyperactivity. As a result, the korea ginger essential oil was not toxic at less than 100 nl/㎖, contents of 6-gingerol was 345 ppm. Compared to the control rats, the korea ginger essential oil treatments significantly reduced the serum concentrations of stress hormone (i.e., ACTH, corticosterone, melatonin). Furthermore, The korea ginger essential oil treatments effectively preserved the TH-immune response was occasionally interrupted in the ventral tegmental area (VTA) and the 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 (SNpc).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korea ginger essential oil improved sympathetic hyperactivity. Thus, the korea ginger may be a novel material of aroma oils for the management of sympathetic hyperactivity.

      • KCI등재

        장기간 저항 운동 강도별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의 차이

        장봉우 ( Bong Woo Chang ),동중영 ( Joong Young Do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9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저항운동 강도별 스트레스를 지칭하는 호르몬의 분비 차이를 제시하는 것이며, 타 연구 논의의 차별화로 배제된 심리적 관련 변인을 기술하였다. 연구대상은 C 대학교 남자대학생 17명으로 최대하 및 최대운동 강도별로 각각 6주간의 저항운동 실시 후 네 시점별 성장호르몬과 테스토스테론 및 코르티솔의 차이 결과, 남성호르몬을 제외한 성장 및 코르티솔 변화는 안정시에 비해 운동직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6주 전후 변화는 코르티솔만이 네 시점별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분비 차이의 의미로, 성장호르몬 증가는 운동 강도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남성호르몬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최대강도 운동의 경우 코르티솔은 6주 후 평소 안정 시에도 증가되어 있었다. 장기간 운동처치의 생리적인 결과 해석에 심리적 변화를 고려하여야 하며 부정적인 스트레스로 변환되지 않도록 심리적인 여러 변인 연구가 병행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weight training intensity works on the secretion of the human growth hormone, testosterone and cortisol, which are kinds of the stress hormone secreted out of the endocrine system. To study this purpose effectively, Thus, 17 male students at a university were selected to b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 A group composed of 8 subjects took exercise at submaximal intensity(SUB Group) and another group composed of 9 subjects took exercise at maximal intensity(MAX Group) for 6 weeks. The stress hormone changes of growth hormone, testosterone and Cortisol were analyzed before exercise, immediately after exercise, 10 minutes after exercise, and 40 minutes after exercise respectively, two times to pre-training and post-training for 6 weeks. To sum up, 9 subjects who took resistance exercise at the two intensities for 6 weeks showed high growth hormone levels SUB Group and Max Group. Also it suggests that ordinary people have need to carefully determine exercise intensity according to their physical-psychological conditions. The reason why testosterone was not significantly secreted in comparison to growth hormone and cortisol might be complicatedly related to subject`s physical condition,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needs.

      • KCI등재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Immobilization Stress Responses : A Study on Inhibitory Avoidance Task, Forced Swimming Test, and Stress Hormones

        권소연,김민수,이상관,제준태,오재건,이종덕,성강경,Kwon, So-Yeon,Kim, Min-Soo,Lee, Sang-Kwan,Je, Jun-Tae,Oh, Jae-Gun,Lee, Jong-Deok,Sung, Kang-Keyng The Society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11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2 No.1

        목적 : 본 연구는 결박 스트레스를 시행한 백서의 기억력, 우울, 스트레스 호르몬의 혈중 농도에 대한 전기침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재료와 방법 : 결박 그룹은 10일 동안 2시간의 결박 스트레스를 받았다. 결박 스트레스 및 고주파수 전침 그룹은 2시간의 결박 스트레스를 받는 동시에 100Hz의 전침을 우측 족삼리 (ST-36)에 시행하였다. 기억력과 우울에 미치는 결박 스트레스와 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억제성 회피 과제와 강제 수영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박 스트레스 및 전기침으로 유도된 코르티코스테론과 멜라토닌,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노르아드레날린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결박 스트레스 및 전기침 자극이 시작된 30분, 60분, 90분, 120분 후에 백서의 꼬리에서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결과 : 억제성 회피 과제에서 전기침을 시행한 그룹은 시행하지 않은 그룹에 대해서 장기 기억의 증진에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강제 수영 검사 결과에서는 우울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스트레스 호르몬 반응 결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 1. 고주파수 전기침 (100Hz)은 억제성 회피 과제 결과 결박 스트레스에 기억력을 상승시켰다. 2. 고주파수 전기침 (100Hz)은 강제 수영 시험 결과 결박 스트레스로 유도된 우울을 감소시키지 않았다. 3. 고주파수 전기침 (100Hz)은 혈액 채취 결과 스트레스 호르몬을 감소시키지 않았다.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memory, depression, and plasma stress hormone levels in rats that were under immobilization stress. Materials and Methods : The immobilization-only group was given two hours of immobilization stress for 10 consecutive days. The immobilization and high frequency EA group was given two hours of immobilization stress simultaneously with high frequency (100Hz)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on the right ST-36 (Zusanli) for 10 consecutive days. We conducted the inhibitory avoidance and forced swimming tests to recognize whether immobilization stress and electroacupuncture have effects on memory and depression. We collected blood samples from the tail of each rat at 30, 60, 90, and 120-minute intervals during the immobilization stress and EA stimulation to measure plasma concentrations of ACTH, corticosterone, melatonin, and norepinephrine induced by immobilization stress and electroacupuncture.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high frequency on the increase in anamnesis based on the result of the inhibitory avoidance t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decreasing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forced swim test.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ponse indicated by stress hormones. Conclusions : 1. High frequency electroacupuncture (100Hz) improved anamnesis in immobilization stress states under the inhibitory avoidance task. 2. High frequency electroacupuncture (100Hz) did not reduce depression induced by immobilization stress under the forced swimming test. 3. High frequency electroacupuncture (100Hz) did not decrease stress hormones through blood sampling.

      • KCI등재

        운동선수의 월경곤란증이 월경주기에 따른 난소 및 스트레스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

        권영우 ( Young Woo Kwon ),박승한 ( Seung Han Park ),류호상 ( Ho Sang Yoo ),이종삼 ( Jong Sam Lee ),양승환 ( Sung Hwan Yang ),오광진 ( Kwang Jin Oh ),김진해 ( Jin Hae Kim ),어수주 ( Su Ju Eo ),김진형 ( Jin Heung Kim ),권광선 ( Kwan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5 체육과학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운동선수의 월경곤란증이 생리주기(월경기, 분비기)에 따라 난소호르몬(estrogen, progesterone)과 스트레스호르몬 (cortisol, catecholamines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대상자는 21명을 대상으로 월경곤란증의 선수군(n=7), 월경곤란증이 없는 선수군(n=7), 대조군으로 월경곤란증이 없는 일반인 (n=7)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난소호르몬의 경우 전체적으로 월경기에 비하여 분비기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p<.001), 집단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tisol과 epinephrine은 생리주기와 집단에 따른 차이나 변화가 없었다. 그렇지만 norepinephrine의 경우 월경곤란증을 가진 선수군의 월경기 수치가 분비기 수치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월경곤란증이 없는 선수군의 월경기 수치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난소호르몬은 집단에 따른 차이나 변화가 없었으나, 스트레스 호르몬인 norepinephrine의 경우 월경기의 수치가 낮게 나타났다. 보다 명확한 연구의 구명을 위해서는 운동중과 운동형태와 강도, 월경곤란증 정도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ysmenorrhea on the circulating concentration of ovarian hormone (estrogen, progesterone), cortisol and catecholamines (epinephrine, norepinephrine) during menstrual cycle in athletes. Twelve one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investigation and composed of athletic group with- and without dysmenorrhea (n=7, respectively), without dysmenorrhea (n=7) and non-athletic control group without dysmenorrhea (n=7). Venous blood sample was obtained during menstrual- and secretory phase. Blood ovarian hormon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secretory phase compared to menstrual phase in all group,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groups. Blood cortisol and epinephrine concentration did not show any change with menstrual cycle also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groups. Blood norepinephrin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menstrual phase compared to secretory phase in athletic group with dysmenorrhea but athletic group without dysmenorrhea and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with menstrual cycle. Stress hormon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in all group during menstrual cycle except norepinephrine which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 in menstrual phase compared to secretory phase on athletic group with dysmenorrhea. In conclusion dysmenorrhea can not effect ovarian hormone during menstrual cycle but partially influenced to stress hormone. Further study needed to elucidate the exact mechanism of those hormone about dysmenorrhea related to the degree of dysmenorrhea and correlation between ovarian and stress horm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