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스마트시티 연구동향 분석

        박건철,이치형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9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0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Smart City and to present implications to policy maker, industry professional, and researcher. Cities around globe have undergone the rapid progress in urbanization and the consequent dramatic increase in urban dwellings over the past few decades, and faced many urban problems in such areas as transportation, environment and housing. Cities around the globe are in a hurry to introduce Smart City to pursue a common goal of solving these urban problem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lives. However, various conceptual approaches to smart city are causing uncertainty in setting policy goals and establishing direction for implementation. The study collected 11,527 papers titled "Smart City(cities)" from the Scopus DB and Springer DB, and then analyze research status, topic, trends based on abstracts and publication date(year) information using the LDA based Topic Modeling approaches. Research topic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Services, Technologies, and User Perspective) and eight regarding topics. Out of eight topics, citizen-driven innovation is the most frequently referred. Additional topic network analysis reveals that data and privacy/security are the most prevailing topics affecting oth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s understand the trends of Smart City researches and predict the future researches. 본 연구의 목표는 스마트시티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에 대한 정책적 · 산업적 · 학술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산업화와 더불어 급격하게 진행된 도시화 및 도시인구 증가로 세계 주요 도시들은 대부분 교통, 환경, 주거 등 다양한 도시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세계 각 도시는 이러한 도시문제를 해결하여 시민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공통된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스마트시티의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시티에 대한 다양한 개념적 접근은 정책 목표 설정 및 추진전략 수립을 위한 방향성 도출에 불확실성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인식하에 스마트시티 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Scopus DB 및 Springer DB에서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학술논문 11,527건의 제목과 초록, 발행연도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연구현황, 연구주제, 연구분야 추이 등을 LDA기반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시티 관련 연구주제는 크게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 분야, 기술 분야, 시민·사용자 관점의 8가지 세부주제로 유형화되었으며, 이중 '시민중심 스마트시티 추진을 통한 지속가능성의 확보'와 관련된 주제가 가장 많이 언급된 주제로 분석되었다. 또한 주제 간 연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데이터와 프라이버시 관련 연구의 중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데이터가 전반적인 스마트시티의 공동기반으로서 역할을 하며 기술, 서비스, 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위치정보 등 개인 정보가 수집되는 과정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등이 잠재적인 위협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스마트시티 연구현황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통해 스마트시티 개념의 발전 방향을 이해하고 향후 대응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스마트시티 추진 및 연구에 정책적, 산업적, 학술적 근거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스마트시티는 미래의 도시로 충분한가?

        허정화(Huh Jeongwha) 평화나눔연구소 2022 인간과 평화 Vol.3 No.1

        도시가 인류의 주된 삶의 공간이 되어버린 지금 새로운 미래도시에 대한 열망은 지금 스마트시티로 집중되고 있다. 국가마다 도시마다 각자의 상황에 맞는 스마트시티를 그려내고 있지만 이 새로운 미래도시를 통해 도시가 가진 다양한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같은 꿈을 꾸고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시티는 현대 도시가 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만이 아니라 많은 국가들의 도시개발의 목표가 되고 있다. ICT와 첨단기술의 협업을 통해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초기 스마트시티의 성공은 여러 사례로 증명되고 있으며, 노후한 도시의 재생이나 신도시개발 개발 분야 모두에서 스마트시티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는 지대하다. 그러나 스마트시티의 개발 과정에서 투자 집중에 따른 또 다른 양극화와 사생활과 개인정보보호의 문제, 공공과 기술기업과 개발사업자, 금융사들 간의 이해관계 조정 문제, 시민 소외 문제 등이 나타나고 있다. 개발 논리와 금융 논리에서 벗어나 도시가 가진 본연의 가치인 자유시민의 터전이라는 점을 놓치지 않기 위해 스마트시티가 추구해야 하는 새로운 가치는 무엇인지 미래의 도시로서 스마트시티가 가야 할 방향에 대한 고민과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Now that cities have become the main living space of mankind, the desire for a new future city is now being focused on ‘smart city’. Each country and each city is drawing a smart city that suits their situation, but they have the same dream that various problems of the city will be solved through this new future city. Furthermore, smart cities are not only a technological means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cities, but are also becoming the goal of urban development in many countries. The success of the early smart city projects, which aims to solve urban problem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ICT and advanced technology, has been proven by several examples. So, there are high expectations for the potentials of smart city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s well as new city development. However, in the middle of smart city development process, some critical issues are emerging, such as another digital divide due to investment concentration,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nflicts of interests amongst public institute, technology companies, developers, and financial companies, and alienation of citizens during the projects. In order to escape from the logics of development and finance, and not to miss the fact that the city is the home of free citizens, the intrinsic value of the city, what new values should be pursued by the smart city? It is time for discussion of smart city as future city for all.

      • KCI등재

        스마트시티법 재개정의 의미와 향후 과제

        이재용,한선희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3

        With the coming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concept of the smart city is being developed to the next level.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e smart city has changed from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the smart city infrastructure in new communities to including the governance and innovation concept to solve urban problems effectively and create new jobs. As a result of this evolution, the previous U-City law was substituted by the law of the smart city and has come into force since last September. In this paper, the pros and cons of the law of the smart city are reviewed in detail by examining the expansion of the smart city concept, the smart city industry, and the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smart city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U-City law.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스마트시티의 개념은 다음 단계로 진화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신도시 지역의 스마트시티 기반시설 인프라 구축 중심에서 거버넌스 및 혁신성까지 포괄하여 도시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동시에 일자리 창출 효과까지 염두에 두는 형태로 스마트시티가 진화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이전 U-City법은 스마트시티법으로 개정되어 지난 9월 발효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시티법이 이전의 UCity법과비교하여 새롭게 추가된 스마트시티 개념의 확대, 스마트시티 산업, 스마트시티 인증 등을 세부적으로검토해 보고 어떠한 점에서 개선되었는지 그 의미를 논의하는 동시에 현재 스마트시티법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 역시 파악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스트림-리즈닝을 위한 실시간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처리<sup>☆</sup>

        윤창호 ( Chang Ho Yun ),박종원 ( Jong Won Park ),정혜선 ( Hae Sun Jung ),이용우 ( Yong Woo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3

        스마트-시티는 스마트-시티의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를 비롯한 수많은 인프라를 지능적으로 관리하고, 다양한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도시민에게 제공한다. 스마트-시티에서는 스마트-시티 어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많은 사물인터넷 기기들로부터 끊임없이 발생하는 대규모의 스트림 빅-데이터를 지능적으로 처리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하지만, 스마트-시티에서 대규모의 스트림 빅-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에는 실시간 처리와 관련된 제약들이 존재한다. 본 스마트-시티-사업단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스마트-시티미들웨어와 이를 이용한 스트림-리즈닝 방법론 및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스마트-시티에서 스마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마트-시티-사업단에서는 스트림-리즈닝을 사용하는 방법론을 사용한다. 이 스트림-리즈닝은 대용량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후속연구로서 스마트-시티미들웨어의 클라우드-컴퓨팅 플랫폼을 이용하여 스트림-리즈닝을 위한 실시간 분산병렬처리 클라우드-컴퓨팅 방법론과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시티에서 발생하는 사물인터넷빅-데이터를 스트림-리즈닝에 사용하기 위하여 이 후속연구에서 개발된 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분산병렬처리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스마트-시티의 각종 센서들로부터 전송되어지는 사물인터넷 빅-데이터를 사용하여 스트림-리즈닝하는 데 필요한 클라우드-컴퓨팅 기반의 실시간 분산처리 방법론과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으며, 이 방법론을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스마트-시티 미들웨어에 구현하여 실시간 분산처리 성능을 평가한 것을 소개한다. Smart Cities intelligently manage numerous infrastructures, including Smart-City IoT devices, and provide a variety of smart-city applications to citizen. In order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needed for smart-city applications, Smart Cities require a function to intelligently process large-scale streamed big data that are constantly generated from a large number of IoT devices. To provide smart services in Smart-City, the Smart-City Consortium uses stream reasoning. Our stream reasoning requires real-time processing of big data.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real-time processing of large-scale streamed big data in Smart Cities. In this paper, we introduce one of our researches on cloud computing based real-time distributed-parallel-processing to be used in stream-reasoning of IoT big data in Smart Cities. The Smart-City Consortium introduced its previously developed smart-city middleware. In the research for this paper, we made cloud computing based real-time distributed-parallel-processing available in the cloud computing platform of the smart-city middleware developed in the previous research, so that we can perform real-time distributed-parallel-processing with them. This paper introduces a real-time distributed-parallel-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stream reasoning with IoT big data transmitted from various sensors of Smart Cities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real-time distributed-parallel-processing of the system where the method is implemented.

      • KCI등재

        스마트시티 정책 확산의 영향요인 분석 –공간효과를 중심으로-

        이다솔,권기헌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8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 조례 제정과 관련된 정책확산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첫째, 스마트시티 연구와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한다. 둘째, 한국의 지역수준에서 지리적 공간상 존재하는 인접한 지방정부 간 영향을 고려하여 스마트시티 정책확산에 대한 내·외부적인 영향요인을 분석한다. 셋째,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여 스마트시티 조례 제정과 관련하여 실증적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스마트시티 연구와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결과 2016년부터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정치/행정 분야와 정보/통신 분야의 연구 분야에 집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시티 정책 조례 제정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접한 지역을 통해 공간적 파급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스마트시티 실행수준, 스마트시티 플랫폼 구축여부,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구축여부도 스마트시티 조례 제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마트시티 특성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를 유형화하여 맞춤형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스마트시티 추진을 위해서는 인접한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이 필요하다. 셋째, 맞춤형 전략 수립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시민들의 욕구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스마트시티 기술 연계 공모전 등을 통하여 각 지자체, 기업,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여 우수 사례를 발굴해야 한다. 다섯째, 스마트시티 추진을 위한 질 높은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스마트시티 추진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규제문제들과 위험요인에 대해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스마트’용어의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스마트시티’의 개념정립을 위한 연구

        최봉문(Bong-Moo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2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홈 등 스마트 공간들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공상과학이나 영화에서나 존재하는 것이 아닌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현실화되고 있다. 바야흐로 지금은 “스마트” 용어의 시대이다. 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스마트라는 용어가 무분별하게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서 스마트시티에 대한 개념적 혼선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시티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과 향후 스마트시티가 나아가야할 방향 등 정책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스마트 용어가 도시 및 공간에 적용되고 있는 스마트시티에 대하여 살펴보고 스마트시티의 발전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스마트’ 용어의 적용사례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란 용어는 ‘지능화, 첨단적’의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스마트시티의 정의는 다양한 견해로 보이는 걸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스마트시티는 단순히 ‘스마트(smart) + 도시(city)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를 스마트하게 만들고자 하는 의미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옳다고 할 수 있다. Smart scope, such as smart equipments, smart homes, and smart phones, has been appeared lately being developed. Such technology developments have been close and practical to our daily lives, not regulated in a science fiction and a movie .It is just the peak of a smart term period. However, with the result from imprudent application of the term smart in the various fields in a short term, the concept of the term Smart City has been nebulous.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design the obvious concept of Smart City and figure out the political improvement how it will make the direction in the future. That is to study the Smart City which applies the term smart in its city and space, and to examine the improvement directions. After studying the application of the term smart, we determine this word has intelligent and high-tech concepts and is used variously in the diverse fields. But we conclude that the term Smart City in these fields is defined differently. From these perspectives, the term is not a simple creature consists of smart and city. It is to be designed as the meanings of making the cities smart.

      • 스마트시티와 스마트시티 교통부문의 개념 정립 연구

        소재현(SO, Jaehyun),김태형(KIM, Teahyung),김미정(KIM, Mijeong),강지원(KANG, Jiwon),이호(LEE, Ho),최정민(Choi, Jung Min)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9 No.-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기술의 핵심플랫폼이라 일컬어지는 스마트시티와 스마트시티 교통부문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연구보고서 및 사업보고서 등으로부터 스마트시티와 스마트시티 교통부문의 정의내용들을 수집하였고, 빅데이터 분석방법 중 하나인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정의내용에 포함된 단어별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자주 언급된 단어들일수록 스마트시티와 스마트시티 교통부문을 정의하는 핵심내용이라는 가정 하에, 빈도 수가 높은 단어들을 추출하여 범주별로 분류하고, 그 단어범주별 핵심개념들의 조합에 기반한 개념정립을 수행하였다. 국내·외 정의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와 스마트시티 교통부문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 결과, 스마트시티는 ‘ICT 혁신기술’, ‘도시기능 향상’, ‘환경 및 기후변화 대응’, ‘사회통합 및 포용성’, ‘경제개발 및 성장’, ‘삶의 질 향상’, ‘시민 서비스’, ‘거버넌스’의 8가지 주요 핵심기능에 의해 정의하였고, 스마트시티 교통부문은 ‘패러다임 변화 및 지능화’, ‘공유화·자동화·전기화·개인교통·통합화’, ‘ICT 기술’, ‘지속가능성 및 안전’, ‘삶·연결·포용·성장’의 5가지 주요 핵심기능에 의해 정의하였다.

      • KCI등재

        국내 주요 도시의 스마트시티 수준 분석: STIM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조성운(Sung Woon Jo),이상호(Sang Ho Lee),조성수(Sung Su Jo),임윤택(YounTaik Lee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도시의 스마트시티 수준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는 문헌고찰, 평가지표 구축, 평가지표 가중치 분석, 지자체 스마트시티 수준 분석, 결론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스마트시티 수준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는 다층형 스마트시티 모델(Multi-Layered Smart City Model)의 STIM 구조(Service, Technology, Infrastructure, Management Layered Architecture)기반으로 구축되었다. 평가지표는 스마트시티 개념, 사례,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구축되었고, 전문가 AHP 설문을 통해 가중치가 부여되었다. 연구의 공간 범위는 서울 등 7대 광역시이며, 시간 범위는 2017년~2019년이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KOSIS, KISDISTAT 등의 공공데이터이다.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시티 서비스, 기술, 인프라, 관리의 수준은 수도권인 서울과 인천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영남권인 부산, 대구, 울산이 비교적 중간 수준으로 분석되었으며 충남권과 호남권인 대전과 광주가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STIM 종합순위 또한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특히 수도권과 그 외 권역의 스마트시티 수준 격차가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스마트시티 수준 격차를 줄이기 위해 균형발전 전략이 필요하며,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시티 계획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mart city for major cities in Korea. The assessment indicators are based on the STIM structure (Service, Technology, Infrastructure, and Management Layer Architecture) of the Multi-Layered Smart City Model. Assessment indicators are established through smart city concepts, case analysis, big data analysis, as well as weighted through expert AHP survey. For the assessment, seven major metropolitan cities are selected, including Seoul, and their data such as KOSIS, KISDISTAT from 2017 to 2019 is utilized for the smart city level assessment. The smart city level results show that the service, technology, infrastructure, and management levels were relatively high in Seoul and Incheon, which are metropolitan areas. Whereas, Busan, Daegu, and Ulsan, the Gyeongsang provinces are relatively moderate, while Daejeon and Gwangju, the South Chungcheong region and the Jeolla provinces, were relatively low. The overall STIM ranking shows a similar pattern, as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rt city level outperforms the rest of the analyzed areas with a large difference. Accordingly, balanced development strategies are needed to reduce gaps in the level of smart cities in South Korea, and respective smart city plans are nee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is paper will follow the literature review, assessment index establishment, weight analysis of assessment index, major cities assessment and result in analysis, and conclusion.

      • KCI등재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김도년(Kim, Do-Nyun),권원순(Kwon, Won-Soon),양성민(Yang, Sung-Min),허효성(Huh, Hyo-Su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7 No.3

        전 세계적으로 가속화되는 도시화는 인구의 집중화와 한정된 자원의 과도한 소비를 초래하였으며, 이러한 문제 해결 방안으로서 지속가능한 도시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추세이다. 스마트시티는 이러한 흐름의 중심에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시설계 측면에서도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해 추진하고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실질적인 프로젝트로 진행되고 있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시티에 관한 이론적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만의 계획기법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계획기법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러시아 이르쿠츠크 주정부가 추진하는 바이칼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계획내용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첫째,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수립 과정은 기존 마스터플랜의 수립과정보다 세분화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계획 시 각 계획 항목에 대해 유연한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셋째, 스마트시티 구현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기후, 인프라 및 공간계획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혹한기 기후대인 시베리아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바이칼스마트시티의 목표를 구현할 수 있는 특화된 마스터플랜 계획기법을 재정립하고 향후 진행되는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계획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Globally accelerated urbanization has led to excessive consumption of limited resources and high population concentration. This highlight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ustainable urban system as a solution. Smart Cities, suggested as one of the promising solutions, has been under study in various fields. Moreover,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both studies and projects in the planning practice of urban design. While theoretical studies on Smart Cities have been actively investigated, however, research on planning methodology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lanning methodology for Smart City Master Plan. The case study of the Baikal Smart City Master Plan for Irkutsk Oblast in Russia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to prepare the Smart City Master Plan should be subdivided. Second, a flexible approach to each planning item is required in the planning process. Third, holistic approaches to climate, infrastructure, and spatial plan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Smart Citie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redefining the master plan and planning methodology for “Baikal Smart City”,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Siberian climate, thereby contributing to future plans for Smart Cities.

      • KCI등재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 바이칼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의 공간계획을 중심으로

        김도년,권원순,양성민,허효성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6 No.5

        Globally accelerated urbanization has led to excessive consumption of limited resources and high population concentration. This highlight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ustainable urban system as a solution. Smart Cities, suggested as one of the promising solutions, has been under study in various fields. Moreover,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both studies and projects in the planning practice of urban design. While theoretical studies on Smart Cities have been actively investigated, however, research on planning methodology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lanning methodology for Smart City Master Plan. The case study of the Baikal Smart City Master Plan for Irkutsk Oblast in Russia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to prepare the Smart City Master Plan should be subdivided. Second, a flexible approach to each planning item is required in the planning process. Third, holistic approaches to climate, infrastructure, and spatial plan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Smart Citie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redefining the master plan and planning methodology for “Baikal Smart City”,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Siberian climate, thereby contributing to future plans for Smart Cities. 전 세계적으로 가속화되는 도시화는 인구의 집중화와 한정된 자원의 과도한 소비를 초래하였으며, 이러한 문제 해결 방안으로서 지속가능한 도시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추세이다. 스마트시티는 이러한 흐름의 중심에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시설계 측면에서도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해 추진하고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실질적인 프로젝트로 진행되고 있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시티에 관한 이론적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만의 계획기법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계획기법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러시아 이르쿠츠크 주정부가 추진하는 바이칼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계획내용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첫째, 스마트시티마스터플랜 수립 과정은 기존 마스터플랜의 수립과정보다 세분화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계획 시 각 계획 항목에 대해 유연한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셋째, 스마트시티 구현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기후, 인프라 및 공간계획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혹한기 기후대인 시베리아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바이칼스마트시티의 목표를 구현할 수 있는 특화된 마스터플랜 계획기법을 재정립하고 향후 진행되는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계획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