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최근 11년간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순구개열 환자의 내원 현황에 관한 연구(1988.3-1999.2)

        양원식,백승학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4

        순구개열은 악안면 선천성 기형 중에서 발생율이 가장 높으며, 여러 선학들의 조사연구에 의하면 순구개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순구개열 환자의 치료에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교정과의 순구개열환자의 내원동향에 관한 역학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순구개열 교정환자들의 연도별, 종류별, 성별, 연령별, Angle씨 부정교합군별 분포에 따른 역학적 특성과 국내병원에서의 수술시기 등의 치료현황에 대한 임상자료 등을 파악하고 이를 순구개열 환자의 교정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 본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순구개열 환자의 수는 1988년부터 1990년까지 증가한 후 1992년까지 감소추세를 보였고, 1993년부터 1996년까지 비교적 일정한 추세를 보 이다가 1997년 이후 현저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2. 내원한 환자를 순구개열의 종류에 따라 조사한 결과 구순열 : 구순치조열 : 구개열 : 구순구개열이 7.6 : 19.2 : 9.6 : 63.6의 비율을 보였다. 편측 대 양측의 발생빈도는 구순열은 79 : 21, 구순치조열은 77 : 23, 구순구개열은 75.3 : 24.5 으로서 편측의 발생빈도가 양측에 비해서 높았다. 그리고 편측성에서 좌, 우측간의 발생빈도는 구순열이 53.3 : 46.7 구순치조열이 59.5 : 40.5, 구순구개열이 59.2 : 40.8 으로서 좌측의 발생빈도가 우측에 비해서 높았다. 3. 순구개열의 남 : 여 발생빈도는 구순열은 57.9 : 42.1, 구순치조열은 68.8 :31.2, 구순구개열은 76.1 : 23.9 로서 남자의 발생빈도가 여자에 비해서 높았다. 그러나 구개열에서는 41.7 : 58.3으로서 여자의 발생빈도가 남자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다. 4. 내원 환자를 연령군 별로 조사한 결과 7-12세 군이 52%로서 압도적으로 많았고, 0-6세 군 (20.4%), 13-18세 군(17.2%), 18세 이상 군 (10.4%)의 순이었다. 5. 구순열의 봉합수술시기로는 0-3개월 군이 60.3%로서 가장 많았고, 4-6개월 군이 17.9%로 두 번째였다. 6. 구개열의 봉합수술시기로는 1-2세군이 31.7%로 가장 많았고, 0-1세군은 25.6%, 2-3세군이 12.1%였다. 구개 및 상악 성장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5세 이상 군은 11.6%를 차지하였다. 7. 구순 반흔 제거수술시기로는 4-6세군 (27.5%), 6-8세군 (19.6%), 2-4세군 (13.7%)이 60%이상을 차지하여 초등학교 취학 전에 구순의 반흔을 제거하려 함을 알 수 있었다. 8. 비변형 교정수술시기로는 0-2세군 (7.1%), 2-4세군 (14.3%), 4-6(21.4%), 6-8세군 (14.3%)으로 초등학교 취학이전이 57.1%로서 최근의 조기 치료경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9. 인두피판술은 평균 6세에 시행되었으며, 수술 시행 시기별의 차이를 보이지 않고 고른 분포를 보였다. 10. 내원한 환자를 순구개열 종류와 Angle씨 분류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구순열군은 I급이 가장 많았고 Ⅲ, Ⅱ급의 순이었으며, 구순치조열, 구개열, 구순구개열군은 Ⅲ급이 가장 많았고, I, Ⅱ 급의 순이었다. 그리고 III급의 발생빈도의 비율차이는 구순치조열은 61.7%, 구개열은 73.9%, 구순구개열군에서 79.3%로서 구순구개열에서 압도적으로 Ⅲ급의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11. 모든 연령군에서 Ⅲ급 부정교합의 빈도가 가장 많아서 (72.7%) 전치부의 반대교합이 주된 내원 동기가 됨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Cleft lip and/or palate is one of the most common congenital craniofacial anomalies. According to previous epidemiologic studies, incidence of cleft lip and/or palate has been increasing nowadays. However, there is not report about epidemiologic study of cleft lip and/or palate patients who visited dept. of orthodontics in Korea.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mportant basic clinical data for the diagnosis and the treatment of the cleft lip and/or palate patients. With the orthodontic and cleft charts, diagnostic models and X-ray films from 250 patients with cleft lip and/or palate who visited Dept. of Orthodon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during the last 11 years, the authors investigated patient`s visiting year, types of cleft, patient`s gender, and Angle`s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and surgery tim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number of cleft patients who visited Dept. of Orthodontics, SNUDH increased during 1988-1990 and then it declined until 1992. From 1993 to 1996, it showed a stationary trend. After 1997 it showed an overwhelmingly increasing trend. 2. In the cleft type, the ratio of cleft lip : cleft lip and alveolus : cleft palate : cleft lip and palate was 7.6 : 19.2 : 9.6 : 63.6. In cleft position, unilateral clefts were more than bilateral ones (cleft lip 79 : 21. cleft lip and alveolus 77 : 23, cleft lip and palate 75.5 : 24.5). In cleft side, left clefts were more than right clefts (cleft lip 53.3 : 46.7. cleft lip and alveolus 59.5 : 40.5, cleft lip and palate 59.2 : 40.8). 3. In gender ratio, males were more than females in cleft lip (57.9 : 42.1), cleft lip and alveolus (68.8 : 31.2) and cleft lip and palate (76.1 : 23.9). But in cleft palate females were more than males as 41.7 : 58. 3. 4. In the age groups, 7-12 year group was the most abundant as 52%, and then 0-6 year group (20.4%), 13-18 year group (17.2%), more than 18 year group (10.4%) were followed as descending order. 5. Most of the cleft lip repair surgeries were operated in 0-3 month (60.3%) and 4-6 month (17.9%). 6. The cleft palate repair surgeries were done in 1-2 year (31.7%), 0-1 year (25.6%), 2-3 year (12.1%), more than 5 year (11.6%) as descending order. 7. The lip scar revision surgeries were done before admission at elementary school in 60%. (4-6 year (27.5%). 6-8 year (19.6%), more than 10 year (19.6%), 2-4 year (13.7%) as descending order). 8. The rhinoplasties were done before admission at elementary school in 51.7%, (0-2 year (7.1%), 2-4 year (14.3%), 4-6 year (21.4%), 6-8 year (14.3%)). 9. The pharyngeal flap were done at 6 Y (72.5 momths) after birth on average and there was even distribution of surgery timing. 10. In relationship between Angle`s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and cleft types, Class I was most abundant and Class Ⅲ, ClassⅡ were followed as descending order in cleft lip group. But Class Ⅲ was most abundant and Class I, Class Ⅱ were followed as descending order in cleft and alveolus group, cleft palate group, and cleft lip and palate group. The percentage of frequency in Class Ⅲ malocclusion was overwhelmingly higher in cleft lip and palate group than any other groups. 11. Because the frequency of class Ⅲ malocclusion was most prevalent in all age groups, anterior crossbite was the most common chief complaint of cleft patients.

      • KCI등재

        한대 순상(荀爽) 역학에 관한 정약용의 인식과 평가

        이난숙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3 No.-

        이 글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한대(漢代) 역학 대가인 순상(荀爽, 128~190)의 역학을 논평한 「이정조집해론(李鼎祚集解論)」과 「정강성역주론(鄭康成易註論)」, 「한위유의론(漢魏遺義論)」의 3편을 중심으로 그의 인식과 평가를 해명한 논문이다. 순상은 동한(東漢)시대 박사(博士)로 보임될 만큼의 대학자였지만, 그의 역학 저술은 일실(逸失)되어 자료가 많지 않았다. 당(糖)대에 이르러 이정조(李鼎祚)가 순상 역학을 비롯한 한역(漢易)을 수집해 주역집해(周易集解) 를 편집했고, 정약용은 이를 ‘금석지전(金石之典)’으로 여겼다. 정약용은 한역이 구가(九家)의 역학으로 집대성되었고, 다시 순상과 우번의 이가(二家)의 역학으로 집대성되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한 이유는 주역 경전의 종지(宗旨)에 부합되는 해석이 많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에 정약용은 순상 역학 가운데 사(辭)·변(變)·상(象)·수(數)에 관한 주석들을 채록해 조목조목 논평하였다. 순상 역학에 관한 정약용의 인식과 평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순상 역학은 경전의 종지에 부합되는 것이 많다. 둘째, 건괘(乾卦)를 사물의 출발점으로 본 것은 잘못이다. 셋째, 준괘(屯卦) 초구(初九)와 비괘(賁卦) 「단전」의 괘변 해석은 매우 긍정적이다. 넷째, 훈고에서 건괘(乾卦) 「상전」 ‘대인조야(大人造也)’의 해석은 긍정 평가했으나, 비괘(賁卦) 육오(六五)의 ‘비우구원(賁于丘園)과 리괘(離卦) 「단전」의 ‘려야(麗也), 쾌괘(夬卦) 구오(九五)의 ‘현륙(莧陸), 간괘(艮卦) 구삼(九三)의 ‘려훈심(厲薰心)’의 해석은 오류, 억지 해석, 또는 부족한 해석으로 평가하였다. 다섯째, 리괘(離卦) 구삼(九三) 일측지리(日昃之離)의 해석은 역의 큰 사례라고 긍정 평가했고, 순상의 상(象) 해석이 사라졌음을 아쉬워하였다. 여섯째, 수리(數理) 가운데 만물수 11,520의 책수 해석을 긍정했으나, 대연수(大衍數) 해석은 오류로 평가하였다. 일곱째, 건원(乾元) 해석에서 일부는 긍정, 일부는 부정 평가했고, 「계사전」의 추기(樞機)에 관한 해석은 그 언급을 보류하였다. 결론적으로 정약용은 한역에서 순상(荀爽)과 우번(虞翻)의 역학을 높이 평가했고, 특히 순상 역학 가운데서 주역 의 종지에 부합되는 이론은 괘변설(卦變說, 推移說)과 물상(物象) 해석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건괘(乾卦)·곤괘(坤卦) 중심의 괘 형성설을 부정하고, 훈고에서는 정미하지 못한 해석들을 바로잡았다. 수리에서는 책수 해석을 긍정하고 대연수 해석을 부정 평가함으로써 객관적인 평가를 하였다. 이처럼 정약용은 순상의 사변상점(辭變象占)에 관한 해석을 포괄해 살펴보고, 한역에는 수용할만한 이론과 해석방법론도 있지만, 또한 견강부회, 혹은 천착한 해석도 많기 때문에 세밀하게 분별해야 함을 역학평론에서 논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Jeong Yak-yong(丁若鏞. 17621-1836) on the Yixue(易學) of Xun Shuang(荀爽. 128-190), a Yi Scholar of the East Han Dynasty(東漢). Xun Shuang was an epidemiological master appointed as a court academician in the East Han Dynasty, and he wrote a lot about Yixue, but most of them were lost and not transmitted. Jeong Yak-yong commented about the Xun Shuang’s interpretation.of Yixue focusing on the inclusion of Li Ding-zuo(李鼎祚)’s The Collected Annotations of the Zhouyi(周易集解) . The content is in three sheet, namely 「The Collected Annotations of the Zhouyi by Li Ding-zuo(李鼎祚集解論)」, 「The Yi Zhu Theory of Zheng Kang-Cheng(鄭康成易註論)」 and 「On the Legacy of Han and Wei Dynasties(漢魏遺義論)」. Here, Jeong Yak-yong judges that HanYi(漢易) was compiled into the Yixue of the nine Great Master(九家), and again epitomized into the Yixue of Xun Shuang and Yu fan(虞飜).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re are many things that match the purpose of the Zouyi(周易) Classic. Accordingly, he commented even the interpretation of the changes(變) and the number(數) by collect and record focusing on he judgements(辭) and the images(象). As a result of the study, Jeong Yak-yong's perception and evaluation about .Xun Shuang’s Yixue are as follows. First, Xun Shuang's Yixue is often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Classics. Second, it is wrong to see Qian Gua(乾卦) as the starting point for things. Third, Tun Gua(屯卦) chujiu(初九). the first Yang of hexagram) and Bi Gua(賁卦) Tuanzhuan(彖傳)'s interpretation of Hexagram transformation was very positively evaluated. Fourth, among ‘the commentary work on classes(訓詁)’, Qian Gua Xiang Chuan(象傳)'s interpretation of big man-made also' was positively evaluated, while Bi gua(賁卦) liuwu(六五)'s Decoration on the Slope and Hills(賁于丘園) and Li gua(離卦) Tuanzhuan(彖傳)'s Hang(麗也), the interpretation of Guai gua(夬卦)’s jiuwu(九五)'s maranth root(莧陸) and Gen gua(艮卦) jiusan(九三)'s worry one's mind(厲薰心) were evaluated as errors or forced interpretations and insufficient interpretations. Fifth, Xun Shuang's interpretation of Li Gua jiusan(九三) ‘the Sun is hanging down(日昃之離)’ was positively evaluated as an excellent example of the station, and it was regrettable that Xun Shuang's Yixue disappeared. Sixth, among Xun Shuang's interpretation of shuli(數理), the Ceshu(策數) interpretation of the number of all things 11,520 was positive, while the Dayan number(大衍數) interpretation was evaluated by all Hanyi(漢易) scholars. Seventh, in Xun Shuang's Qianyuan(乾元) interpretation, some were positive and some were denied, and the evaluation was suspended without mentioning the interpretation of shuji(樞機) in 「the great commentary(繫辭傳)」. Therefore, Jeong Yak-yong regarded The Collected Annotations of the Zhouyi edited by Li Ding-Zuo as a valuable scripture and highly valued the Yixue of Xun Shuang and Yufan among the nine Great Master’s Yixue. However, it was intended to deny the Hexagram formation theory(卦形成說) centered on Qian Gua(乾卦) and Kun gua(坤卦), and to correct the error of 'the commentary work on classes(訓詁)'. He also expressed his view by positively evaluating Xun Shuang's correct interpretation about the judgements(辭) and the images(象). Like this, among the detailed interpretations, errors were negatively evaluated, revealing that there were also points to be noted in Xun Shuang's Yixue.

      • KCI등재

        정보 차원의 배합이 이중 순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위계적 공간 차원상의 순서 학습을 통한 연구

        Jacqueline Chakyung Shin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4 No.3

        Humans are capable of learning sequential information from multiple stimulus dimensions simultaneously, b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specific sequences for learning remains unclea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ole of cross-dimensional distinctiveness in sequence learning, in a serial reaction time task, sequences were presented on two dimensions that were very low in distinctiveness. Repeating sequences were presented in two visuospatial dimensions nested hierarchically within each other-a local spatial dimension that specified the correct response on each trial and a global spatial dimension that indicated the general display region of the stimulus. In the phase-repeat condition, the two sequences were consistently matched in phase, allowing an integrated representation of the two sequences to be formed. In the phase-change condition, the two sequences differed in length and were not correlated. In the phase-repeat condition, integrative learning was found for the cross-dimensional pattern, but individual sequence learning was not found. In the phase-change condition only the global sequence was learned, but not the local sequence. Thus, integrative and individual sequence learning did not occur simultaneously, neither was individual sequence learning complete. Furthermore, learning for individual sequences and the cross-dimensional information had an over-additive influence on performance. This pattern of results contrasts with previous research that showed simultaneous learning for both cross-dimensional and individual sequence information presented in highly distinct dimensions. The current results are attributed to the combination of the two closely related dimensions and suggest that individual and integrative sequence learning can be constrained due to interactions between indistinctive dimensions at encoding or working memory activation stages of processing. 환경 자극 중에는 여러 차원에서 정보가 패턴을 이루면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인간은 동시에 여러 차원에서 제시되는 정보 패턴을 암묵적으로 학습할 능력을 가졌지만, 어떤 경우에 어떤 정보가 학습되는지 잘 이해되지 않고 있다. 예컨대, 화면을 삼분하는 세 영역이 있고, 각 영역 안에 네 개의 국소 위치가 있는 자극판에서 자극이 순차적으로 임의의 한 곳에 제시되면, 자극의 제시 위치는 영역 위치와 (각 영역 내) 국소 위치의 두 개 차원에서 조작된다. 이때 영역 차원과 국소 차원간의 독특성(distinctiveness)이 자극 제시 위치의 순서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본 연구는 살펴보았다. 실험 참가자는 자극의 국소 위치에 따라 반응을 했고, 자극이 속한 영역의 위치는 반응과 무관했다. 관계 반복 조건에서는 영역 및 국소 순서 계열간의 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므로 두 계열이 통합되어 학습될 여지가 있었다. 관계 변동 조건에서는 두 순서 계열간에 일정한 관계가 유지되지 않았으나, 개별 순서 계열들이 독립적으로 학습될 여지가 있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관계 반복 조건에서는 통합 순서 학습은 일어났으나 개별 순서 학습은 일어나지 않았다. 둘째, 관계 변동 조건에서는 영역 순서가 학습되었지만 국소 순서는 학습되지 않았다. 다시 말해서 통합 순서 학습과 개별 순서 학습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았으며, 개별 순서 학습도 불완전했다. 이 결과는 자극 제시 차원간의 독특성이 높았던 선행 연구에서 통합 순서 학습과 개별 순서 학습이 모두 일어난 결과와 대조되며, 본 연구 결과는 두 순서 계열이 밀접한 관계를 가진 차원상에 제시되었기 때문에 얻어졌다고 볼 수 있다. 부호화 혹은 작업 기억 활성화 과정에서 차원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나서 개별 순서 학습과 통합 순서 학습이 제약 받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 SCOPUSSCIEKCI등재

        순구개열환자의 치아 수와 형태 이상에 관한 연구

        백승학,양원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1

        순구개열은 선천성 악안면 기형 중에서 발생률이 가장 높은 질환이며 특히 동양인에게 높은 빈도로 발생된다. 그리고 순구개열에서는 파열부 조직의 선천적 상실과 파열부 봉합 수술후 형성된 반흔에 의한 상악골의 열성장과 상악 악궁의 협착, 코의 형태 이상 등과 함께 치아의 수, 크기와 형태 및 맹출 이상도 높은 빈도로 동반된다. 따라서 저자들은 순구개열 환자의 치아 수, 형태 및 맹출 이상에 관한 임상적 자료를 수집,평가하여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88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였던 순구개열환자 241명의 초진시 교정 chart와 cleft chart, orthopantomogram, intraoral x-ray film, 진단용 모형을 사용하여 순구개열군 별로 매복치, 과잉치, 결손치, 왜소치의 유무와 위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결손치는 비교적 높은 발생빈도 (56.8%) 를 보였으며, 치아별 발생빈도는 상악 측절치와 상악 제2소구치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순구개열 군별 결손치의 발생율은 구순구개열군과 구순치조열군이 구순열군과 구개열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구순열군, 구순치조열군, 구순구개열군 내에서 모두 양측성이 편측성에 비해 결손치의 발생율이 높게 나타났다. 2.과잉치는 11.2 %에서 발견되었으며, 장소별 발생빈도는 영구치열과 유치열에서 상악 측절치와 상악 견치 사이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었다. 순구개열 군별 과잉치의 발생율은 구순열군, 구순치조열군, 구개열군, 구순구개열군의 순이었다. 3.매복치는 18.3% 에서 관찰되었으며, 치아별 발생빈도는 상악 측절치와 상악 견치에서 그 발생 빈도가 가장 높았다. 순구개열 군별 매복치 발생율은 구순열군, 구순구개열군, 구개열군, 구순치조열군의 순이었다. 4.왜소치는 15.8%에서 발견되었으며, 치아별 발생빈도는 상악 측절치와 상악 견치에서 가장 많았다 순구개열군별 왜소치의 발생율은 구순치조열군, 구순구개열, 구순열의 순이었다. 그리고 구개열군에서는 왜소치가 발견되지 않았다. Cleft lip and/or palate (CLP) is one of the most common congenital craniofacial anomalies and occurs more frequently in Asian people. Dental abnormalities in number, size, shape, and eruption of teeth a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CLP.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P on number, size, shape and eruption of teeth and to provide basic clinical data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CLP patients. With the orthodontic and cleft charts, diagnostic models, orthopantomograms and intraoral x-ray films from 241 CLP patients who visited Dept. of Orthodon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 evaluated the frequency of congenital missing teeth, supernumerary teeth, impacted teeth, and microdonti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Frequency of congenital missing was relatively high up to 56.8 %. Congenital missing occurred frequently in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and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Among the CLP types, frequencies of congenital missing in cleft lip and palate group and cleft lip and alveolus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cleft lip group and cleft palate group. And bilateral cleft showed higher frequencies than unilateral ones. 2.Supernumerary tooth was shown in 11.2 % of CLP patients. It occurred frequently in the area between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and the maxillary canine. Among the CLP types, cleft lip group showed relatively most highest frequency. 3.Impaction was shown in 18.3 % of CLP patients. It occurred most frequently in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and the maxillary canine than other teeth. Among the CLP types, cleft lip group and cleft lip and palate group showed most highest frequencies. 4.Microdontia was shown in 15.8 % of CLP patients. It occurred the most frequently in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and maxillary canines. Among the CLP types, cleft lip and alveolus group and cleft lip and palate group showed relatively higher frequencies, There was no microdontia in cleft palate group.

      • 코끼리, 천하를 보여주다 - 조선 사신의 견문을 중심으로 -

        손성욱 ( Son Sung Wook ) 단국사학회 2024 史學志 Vol.64 No.0

        이 글은 명·청 시대 코끼리에 대한 조선 사신들의 견문과 인식을 중심으로 명·청이 어떻게 巨獸 코끼리를 길들이고 활용해 皇權과 제국의 모습을 드러내고자 했는지 살펴보았다. 馴象은 ‘주변’에서 ‘중화’로 진헌되는 동물로 황제에게 복무하여 천자의 德化를 드러내는 데 이용되어, 순상의 성쇠에는 천하가 담겨 있다. 순상은 동남아시아 조공국의 진공으로 제국의 영향력을 보여줬고, 皇都에 온 주변국 사신들은 이를 보고 천하를 체험했다. 조선 사신은 화이관으로 순상을 인식하고 천하를 관찰했다. 명대 조선 사신은 순상에서 皇威를 느꼈으며, 감화된 순상처럼 조선 역시 명의 ‘중화’에 ‘감화’되었다. 청대에는 순상에서 중화를 살피지 않았다. 18세기 순상에 대한 경험과 기록이 증가했지만 皇威를 느끼지는 못했다. 청대 의례 공간 밖에서 조선 사신이 순상을 접하면서 순상은 유람의 대상이 되었다. 19세기 후반 서세동점으로 순상을 진상하던 조공국들이 천하질서에서 이탈하며 순상이 황도에 오지 못하며 천조의 쇠락을 그대로 드러냈다.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perceptions and awareness of Joseon envoys regarding elephants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t examines how the giant beast elephant was utilized in rituals to reveal the imperial authority and the appearance of the empire. Both Ming and Qing emperors summoned animals from the periphery of China to reconstruct and represent the ecological landscape of the empire. Elephants were used in rituals to enhance the emperor's authority and demonstrate the empire's influence through tributes from Southeast Asian vassal states. Envoys from neighboring countries who visited the imperial capital were fascinated by these elephants, experiencing and imagining a natural wonder they might never see again. The concept of all under heaven (天下) was embedded in the emperor's elephants, but Joseon envoys perceived it differently through their diplomatic interactions. While Ming-era Joseon envoys felt the imperial authority through tamed elephants, they were also influenced by the concept of Zhonghua (中华) associated with Ming China. However, during the Qing dynasty, the perception of China was not centered around tamed elephants. In the late 19th century, as countries investigating Qing elephants departed from tributary relations, unmanaged tamed elephants revealed the decline of the empire.

      • KCI등재

        초기 금산사(金山寺)의 계율과 신앙에 대한 태공 월주(太空 月珠)의 계승 및 구현

        염중섭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2 佛敎學報 Vol.- No.99

        Geumsansa (金山寺) was a central temple of Jaeunjong (慈恩宗) or Beopsangjong (法相宗) representing the Baekje region. The Geumsansa Temple secured a high status in Korean Buddhist history thanks to the active work of vinaya master Jinpyo. However, the record related to Jinpyo draws an attention because it contains fragmentary information about his teacher Sunje (順濟). It shows that Sunje was a Confucian monk who studied in the Tang Dynasty, and that he had a huge influence on Jinpyo's pursuit of śīla-vinaya (戒律) and the structure of his faith. In this paper, it is first summarized about Sunje, who has been seldom studied until now. Through this, it is first revealed that Sunje's teacher is more likely to be Seonmueo (善無畏), rather than Seondo (善導), who belonged to Pure Land sect of China. And it also made it clear that there was a dual structure of Kṣitigarbha-bodhi-sattva and Maitreya-bodhi-sattva in the Chinese Buddhism when Sunje studied in China. In addition, it also made it clear that Sunje was influenced by Jajang (慈藏), a representative a vinaya master of Silla. This identification about Sunje is noteworthy in that the vinaya characteristics and double belief structure of Kṣitigarbha-bodhi-sattva and Maitreya-bodhi-sattva confirmed in Sunje are also seen in Jinpyo. More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śīla-vinaya and faith in the early Geumsansa Temple are clearly seen through Sunje. And finally, this study reviews the practices of Taegong Wolju, a modern high monk, and his inheritance of Jinpyo's ideology. In other words, Wolju was a modern practitioner of the traditional śīla-vinaya, jijang, and Maitreya of the Geumsansa. 금산사(金山寺)는 옛 백제 권역을 대표하는 자은종(慈恩宗[法相宗])의 중심 사찰이다. 금산사가 한국 불교사에서 높은 위상을 확보하는 것은 진표율사(眞表律師)의 활약 때문이다. 그런데 진표와 관련된 기록에는 스승인 순제(順濟)에 대한 단편적인 내용이 있어 주목된다. 왜냐하면 순제가 당나라에 유학한 유학승이자, 진표의 계율(戒律) 추구와 신앙 구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본 고는 지금까지 연구되기 힘들었던 순제에 대해서 먼저 정리했다. 이를 통해, 먼저 순제의 스승은 중국 정토종의 선도(善導)가 아니라 선무외(善無畏)가 타당성이 높다는 점을 밝혔다. 또 순제가 유학했을 당시 중국불교의 신앙적인 측면에 지장과 미륵의 이중구조가 존재함을 분명히 했다. 이외에도 순제가 신라의 대표적인 율사인 자장(慈藏)의 영향을 받은 율사라는 점도 분명히 하였다. 순제에 대한 명확성 확보는 순제에게서 확인되는 계율적인 특징과 지장과 미륵의 이중신앙 구조가 진표에게서도 그대로 목도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즉 순제를 통해서 초기 금산사의 계율과 신앙이라는 특징을 더욱 분명히 정리해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대의 고승인 태공 월주의 실천행과 이분이 진표의 이념을 계승하는 측면을 검토했다. 즉 월주는 금산사 전통의 계율과 지장 및 미륵 신앙의 현대적인 실천자였던 것이다.

      • KCI등재

        『書經』「虞書 · 舜典」동후(東后)의 본의에 대한 새로운 해석 - 빈례(賓禮)를 중심으로 -

        이완영 바른역사학술원 2023 역사와융합 Vol.- No.14

        본『서경(書經)』의 기록은 당요(唐堯)부터 중원의 초기 역사를 구성하는제왕(帝王)의 기록으로 주변국에 대한 기록이 서술되어 있다. 중원의 초기역사는 봉건제도의 틀을 유지하고 있었기에 오례(五禮)에 대한 기록을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그중 빈례(賓禮)는 제후가 임금을 뵙는 예인 근례(覲禮)의형태로써 이 기록은 주변국과의 외교 관계를 설정한 것이기에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서경』「우서 · 순전」의 기록에서 순(舜)이섭정하면서 초기에 행한 의례 속에 오례(五禮)와 주변국 간의 빈례(賓禮)가언급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관련 고대 의례로서 그 의미 파악에 접근하였다. 『서경』에는 동쪽 임금에 대한 기록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사근동후협시월 정일 동률도량형 수오례 오옥삼백이생일사지 여오기 졸내복肆覲東后協時月 正日 同律度量衡 修五禮 五玉三帛二生一死贄 如五器 卒乃復 본고는 중원의 요와 순임금 당시 동후(東后)의 존재를 고조선의 통치자로인식할 수 있다는 점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지금까지 『서경(書經)』은중원 초기 제국에 대한 역사기록이라는 입장에서 주변국에 대한 기록은 제후나 이적만융(夷狄蠻戎)의 시각으로 기술되거나 해석되었으나 본고에서는『주례(周禮)』,『의례(儀禮)』,『예기(禮記)』에 기록된 빈례(賓禮)를 통해서 『서경』「우서 · 순전」동후(東后)의 실체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동후 관련 원문을 빈례의 원형으로 새로이 재해석하였다. 중원의 고대 의례인 근례(覲禮), 즉 신하가 임금을 알현하는 예에 대한 기록을 살펴본 결과 순임금이 동순수(東巡狩)할 때 동후(東后)에게 근(覲)한 의례는 제후가 천자에게 올리는 의례로써 빈례(賓禮)의 근례(覲禮) 형태였다. 때문에 순임금이 동후를 만났다는 기록은 기존의 번역에서 일괄적으로 말하는 신하 ‘제후’를 만난다는 것이 아니라 순이 하현상(下見上)한,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뵙는 것이므로 순이 동쪽임금(東后)을 만나러 간다고 해석해야한다. 순과 동후의 만남은 고대 봉건제도 속 빈례의 근례(覲禮) 원형을 살필수 있는 중요한 기록으로 본고에서는 화이(華夷)사상을 배제한 동후와 순의빈례적 만남을 재해석함으로써 4천여 년 전 중원의 동부, 고조선의 예악과천문, 생활문화를 재조명하는 단초(端初)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醇齋 金在華의 文章論

        이상동(Lee, Sang-dong) 대동한문학회 2010 大東漢文學 Vol.33 No.-

        醇齋 金在華(1887∼1964)는 경북 淸道에서 태어나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중반까지의 격변기에 영남권에서 文名을 드날렸으며 滄江 金澤榮과 耕齋 李建昇 등 당대의 문인들과도 문장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펼쳤던 인물이다. 본고는 순재의 문장론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한문학 마지막 세대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이 시기 영남학파 내에서 순재의 위상을 정립하고자 집필된 것이다. 순재는 국권상실의 시대에 道學의 정통을 고수하며 묵묵히 자신의 길을 가고자했던 인물이다. 그는 20대 초반부터 도학과 문장으로 당대에 명성이 높았던 심재 曺兢燮의 제자가 되어 문장 방면에 많은 관심을 두고서 당대의 문인 학자와 교유하였다. 俛宇 郭鍾錫에게 '韓山斗'라는 평가를 받을 만큼 그는 한유의 古文에 많은 관심을 두었는데, 이는 그의 載道之舟의 문장론과 '機軸'과 '條理'의 중요성을 강조한 문장 작법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한유의 문장론을 답습하기 보다는 일정부분 수용 발전시켜 文과 氣, 그리고 道의 관계를 보다 구체화하여 설명하였다. 순재는 전대와 당대 문장의 실상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수사학적 측면을 중시하는 고문가의 문장론과 도를 갖추면 문은 절로 이루어진다는 도학자의 문에 대한 입장과는 달리 本末輕重의 차이를 인정하는 입장에서 내용적 측면(道)과 형식적 측면(文), 그리고 양자의 통일성을 추구할 수 있는 개인적 역량(氣)을 강조하였다. 이는 순재의 문장론이 이전의 도학파의 재도론과 문장가의 주기론을 절충한 것이라 볼 수 있는 근거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장론을 바탕으로 논쟁의 전면에 나서지는 않았지만 스승의 편에 서서 창강의 여한구가 선정에 대해 문장 평가의 기준(大樸元氣)과 작가 선정, 시기별 층위 문제 등을 제기함으로써 논쟁을 더욱 촉발시킨점은 실상과의 부합 여부를 떠나 그 자체만으로도 적극적으로 평가 받아야 할 것으로 본다. 시대의 변화는 당연히 文의 변화를 수반하는데, 그것이 급격한 변화일수록 그 진폭은 더욱 커지기 마련이다. 國運의 멸망이라는 급격한 변화와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적 조류 속에서 더 이상 재도지기라는 기존의 틀 속에만 안주할 수 만 없는 처지가 되었다. 이 시기 도학자들의 문장을 이해함에 있어 이러한 측면이 고려가 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According to the study of Syntax by Jaehwa Kim, nicknamed Soonjae(醇齋 金在華), who was born in cheongdo(淸道), made a name for himself as refined literature works in the Youngnam(嶺南) province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mid- 20th century and had a very vigorous argument over Syntax with literary men, such as Tackyoung Kim(nickname Changgang, 1850∼1927) and Gun (nickname Kyungjae, 1858∼1924) etc in the keeho(畿湖) province, this research was published to demand the interest in the last generation of Chinese literature and to correct Soonjae' status in the Youngnam school of the day. Soonjae, Jaehwa Kim, was the man who adhered to the orthodox Dohahk(道學) and intended to go his own way silently in the era of the lost national rights. He made a pupil under Simjae, Ghungsup Joh(深齋 曺兢燮), who was famous for Dohahk(道學) and writing skills in those days in the early 20th century. He also took many interests in syntax and made exchanges with the great writers of the day. He took so many interests in ancient writing that he was evaluated as Sandoo Han(韓山斗) by myeonyou, Jongsuk Gwag(俛宇 郭鍾錫), which can be confirmed by his syntax in the literature carrying morality and by wordsmanship that placed great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Keechook and Joree. However, he simply didn't follow Hanyou's syntax and rather received and developed his so that he explained more specifically the relation among Writings, Kee and Do. Soonjae understood so exactly the real fact of writings in the previous and present generation that he emphasized private ability - Kee which pursued the unity of formal, informal aspects and both ones. This is the basis which can be considered as what is negotiated by Dohahk group's theory of Literature carrying morality and Jookee theory. On the basis of this syntax, though he didn't stand in the front line of the controversies he provoked more controversies over chang-gang's yeohhangu(麗韓九家) by raising the problems with the criterion of writing assessment, the writer selection and the level of each time on the his master's side. This aspect is thought to be evaluated actively in itself whether the real fact of it is true or not.

      • 상부 관절와 및 관절와 순의 해부학적 분석

        최남용,송현석,윤형문,최승균,Choi, Nam-Yong,Song, Hyun-Seok,Yoon, Hyung-Moon,Choi, Seung-Gyun 대한관절경학회 201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4 No.2

        목적: 상부 관절와에 부착하는 관절와 순에 발생한 병변에 대한 봉합술 후의 결과가 모든 예에서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본 저자들은 상부 관절와 순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해부학적인 정보를 얻고자 견관절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분석하고, 상부 관절와 순이 부착하는 부위의 관절와의 해부학적인 형태 및 부착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견관절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한 108예에서 관상면 영상을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52세(17~71세)였으며, 남자는 55예였고 여자는 53예였다. 일반적으로 상부 관절와 순 파열에서 봉합하게 되는 영역인, 이두건 장두의 관절와 부착 부위의 후방 2개 영상에서 관절와 순의 부착 부위의 길이 및 상외측 관절와의 단면 각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상부 관절와 순의 관절와 전방 부착 부위의 내-외측 길이는 평균 $9.78{\pm}1.64\;mm$였다. 남자는 평균 $10.1{\pm}1.61\;mm$, 여자는 평균 $9.43{\pm}1.6\;mm$였다. 상외측 관절와의 각도는 평균 $89.6{\pm}7.6$도였다. 결론: 관상면에서의 상부 관절와 순의 부착 부위는 후방이 전방보다 짧다. 상외측 관절와의 각도는 후방이 전방보다 작았다. Purpose: The results of the repair for the superior labrum lesions attaching at the superior glenoid have not been satisfactory in every cases. We wanted to analyze the shoulder MRI and the anatomical morphology and pattern of the superior glenoid at which the superior labrum attaches to get anatomical information helpful in treating the superior labrum.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coronal images of the shoulder MRI of 108 cases taken at our hospital. Average age was 52 years (range, 17~71 years), 55 males and 53 females. On two coronal images behind the attachment of the long head of biceps that the repair of the SLAP was performed at, the length of the attachment of superior labrum and the angle of the supero-lateral glenoid were measured. Results: The average length of the attachment of superior labrum was $9.78{\pm}1.64\;mm$. The average length was $10.1{\pm}1.61mm$ in male, $9.43{\pm}1.6\;mm$ in female. The angle of the supero-lateral glenoid was $89.6{\pm}7.6$ degrees. Conclusion: The attachment of the superior labrum in coronal plane was shorter in posterior spot than anterior. The angle of the supero-lateral glenoid was less in posterior spot.

      • KCI등재

        손해보험산업에서 경과손해율과 순사업비율의 정보유용성에 관한 연구

        조석희 한국회계정책학회 2014 회계와 정책연구 Vol.19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information usefulness of earned-incurred loss ratio and net expense ratio reported in the non-life insurance company’s statutory-purpose financial statements, in respect of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Earned-incurred loss ratio is the incurred loss amount divided by the amount of the earned premium and net expense ratio is the amount of the net expense divided by the retention premium amount. Although these items are not reported in the income statement based on the K-IFRS, these items are able to show well the firm’s operation efficiency.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by adding the earned-incurred loss ratio and net expense ratio to the Ohlson (1995)’s model,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fore, earned-incurred loss ratio and net expense ratio have an incremental value relevance. Second, despite different calculation method and different meaning between earned-incurred loss ratio and net expense ratio,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lanatory power of firm’s value. But when the firm’s solvency margin ratio is low, value relevance of net expense ratio is low. Third, the value relevance of earned-incurred loss ratio is different from the level of firm’s solvency margin ratio, but for the net expense ratio,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solvency margin ratio.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level of solvency margin ratio be able to be the variables which have an effect on the predictability of profit and loss information. 본 논문은 손해보험회사의 감독목적 재무제표에 보고되는 경과손해율과 순사업비율 정보의 유용성을 가치관련성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손해보험산업에서 경과손해율은 경과보험료와 비교한 발생손해액의 상대적 크기를 말하고, 순사업비율은 보유보험료와 비교한 순사업비의 상대적 크기를 말하는 것으로 해당 정보는 보험회사의 감독목적 손익계산서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비록 이러한 항목들이 일반목적회계기준(K-IFRS)에 따른 손익계산서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기업의 영업효율성을 잘 나타내 주는 항목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손해보험산업에서 대표적인 감독목적 손익정보라 할 수 있는 경과손해율과 순사업비의 정보유용성을 가치관련성 측면에서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Ohlson(1995) 모형에 따라 순자산과 순이익만으로 기업가치를 설명하는 것보다 경과손해율 및 순사업비율 정보를 추가하여 기업가치를 설명하는 경우, 기업가치의 설명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경과손해율과 순사업비율은 증분적 가치관련성을 가진다. 둘째, 경과손해율과 순사업비율은 비율의 산출방법이나 나타내는 바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기업가치에 대한 설명력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지급여력비율 수준이 낮은 구간에서는 순사업비율의 가치관련성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셋째, 경과손해율 정보의 가치관련성은 기업의 (지급여력비율 수준으로 측정한) 재무건전성이 높고 낮음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반면, 순사업비율 정보는 재무건전성 정도에 따라 가치관련성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는 지급여력비율 수준이 손해보험회사 손익정보의 예측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로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