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비스기업에서 조직정치지각과 조직구성원들의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 : 직무불안정과 조직기반자긍심의 순차직렬 매개효과

        조윤형,이한근,강성호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3 경영컨설팅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정치지각과 조직구성원들의 조직과 개인에 대한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직무불안정과 조직 기반자긍심의 순차직렬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문헌연구를 토대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376명의 서비스 기업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 로 3개월의 시차를 둔 2차례의 설문조사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정치지각은 개인의 비윤리적 행 동에 정(+)의 영향력이 나타났지만, 조직의 비윤리적 행동에는 그렇지 않았으며, 또한 직무불안정에는 정(+)의 영향력을, 조직기반자긍심에는 부(-)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둘째, 직무불안정은 조직기반자긍심과 부(-)의 관계를 보였으며, 조직정치지각과 조직의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 를 매개하지는 않았지만, 조직정치지각과 개인의 비윤리적 행동의 관계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기반자긍심은 조직정치지각 과 조직 및 개인의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직정치지각과 조직 및 개인의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직 무불안정과 조직기반자긍심이 순차직렬로 매개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정치지각이 비윤리적 행동으로 이어지는지의 과정을 보다 명확히 하였으며, 서비스기업에서 조직정치가 나타나지 않기 위한 직무불안정성과 조직기반자긍심의 실질적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Unethical behavior in the workplace, defined as behavior in and by organizations that violates generally accepted moral norms of behavior. In view of the profitable, reputational, and emotional costs of unethical behavior, organizations face the challenge of preventing, detecting, and responding to unethical behavior of employees. So that scholars have increasingly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question of why employees and their managers engage in costly unethical behaviors. This study’s propose is to shed light on the links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ervice firms’ unethical behavior by highlighting the intervening role of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Using a sample of 376 service firm employe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a two-stage mediation model is used in terms of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 a 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 in which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increase job insecurity, which, in turn, reduces their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ultimately increases unethical behavior in both organization and individual dimensions. This study attempts d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mechanism through which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negatively affects unethical behavior. Also, th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중년 여성의 퍼스널 브랜딩과 플로리싱의 관계: 성장 마인드셋, 멘탈력 및 삶의 의미의 직렬 다중 매개효과

        황연경,임수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3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퍼스널 브랜딩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 멘탈력 및 삶의 의미의 직렬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퍼스널 브랜딩, 성장 마인드셋, 멘탈력, 삶의 의미 및 플로리싱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성장 마인드셋, 멘탈력 및 삶의 의미는 퍼스널 브랜딩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직렬 삼중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다. 분석을 위해 SPSS 25와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순차(직렬)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퍼스널 브랜딩, 성장 마인드셋, 멘탈력, 삶의 의미 및 플로리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퍼스널 브랜딩은 성장 마인드셋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었고, 성장 마인드셋은 멘탈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멘탈력은 삶의 의미에 영향을 주었고, 삶의 의미는 플로리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퍼스널 브랜딩이 성장 마인드셋, 멘탈력 및 삶의 의미를 경유하여 플로리싱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효과도 유의미하였다. 즉, 성장 마인드셋, 멘탈력 및 삶의 의미는 퍼스널 브랜딩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순차(직렬) 삼중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삶의 전환점에 있는 중년 여성의 퍼스널 브랜딩과 심리정서 변인을 활용한 플로리싱 모델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serial-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growth mindset, mental toughness, and meaning in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branding and flourishing among middle-aged women.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branding, growth mindset, mental toughness, meaning in life, and flourishing? Second, do growth mindset, mental toughness, and meaning in life have a serial trip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branding and flourishing? SPSS 25 and PROCESS macro 4.2 were used for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equential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branding, growth mindset, mental toughness, meaning in life, and flourishing. Second, personal brand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growth mindset. A growth mindset had an effect on mental toughness, mental toughness had an effect on meaning in life, and meaning in life had a positive effect on flourishing. The indirect effect of personal branding on the path to flourishing through a growth mindset, mental toughness, and meaning in life was also significant. In other words, growth mindset, mental toughness, and meaning in life had a sequential (serial) trip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branding and flourishing.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a flourishing model utilizing personal branding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ariables of middle-aged women at a turning point in their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