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응지향 의사소통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부정 정서와 몰입의 조절된 조절효과

        이미선,우주영 한국재활심리학회 2020 재활심리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순응지향 의사소통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정서와 몰입의 값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먼저, 순응지향 의사소통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이 제1 조절변수인 부정정서의 값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분석하는 단순조절효과(2원 상호효과)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는 제2 조절변수인 몰입의 크기에 따라서 2원 상호효과 자체가 변화하는지에 관한 조절된 조절효과(3원 상호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에 참여한 전국의 556명의 대학생들의 자료를 이용하여 PROCESS macro(Hayes, 2015)에 의하여 2원 상호효과와 조절된 조절효과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 간의 순응지향 의사소통이 증가하면 자녀의 정서적 외로움이 증가하는데, 부정 정서가 증가하면 이러한 영향이 증가되는 2원 상호효과가 발생하였다. 둘째, 몰입활동이 증가하면 2원 상호효과가 감소되는 조절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몰입의 크기가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는 부정정서의 2원 상호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몰입의 수준이 비교적 큰 영역에서는 부정정서의 2원 상호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정정서의 부정적인 영향(순응지향 의사소통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정서가 강화시키는 작용)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몰입이 필요하다는 중요한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 KCI등재

        가족의사소통유형이 남·여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박지현 ( Park Ji Hyeon ),윤혜미 ( Yoon Hyemee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39

        본 연구는 가족의사소통유형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 가족의사소통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지, 그리고 이 관계에 성별 차이가 있는지에 주목하였다. 중학교 2학년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 Sobel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자신의 가족의사소통유형이 대화지향적이라고 인식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수 간 관계를 보면 가족의사소통유형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는데 성별에 따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달리 나타났다. 남학생의 가족의사소통은 유형과 무관하게 자아존중감을 완전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었고, 여학생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 중 교우관계적응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대화지향적 의사소통유형에 초점을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강화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하는 것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문제 극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근거자료를 제공하였고, 여학생의 경우에는 교우관계에 자아존중감이 특별히 중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교사회복지 실천 프로그램 개발에서 성차를 고려한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differences an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ere also examined. 420 middle school students filled out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sking their family communication styl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rule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using SPSS version 18.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family communication type and self-esteem were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school adjustment. Adolescents perceived that their family communication type was conversation-oriented showed better overall school adaptation. Also,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steem, the better the adaptation towar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rules. Second,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self-esteem, boys showed higher score than girls. Thir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f adolescents on the relations of family communication style and school adaptation was substantiated. Gender brought different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hile adjustment toward academic achievement of boys was fully mediated by self-esteem, girls’ self-esteem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on adjustment toward peer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self-esteem of adolescents and parent education program which emphasizes conversation-oriented communication to prevent school mal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가족의사소통 패턴, 의사소통 스타일 및 불안감이 갈등관리방식에 미치는 영향

        장해순 ( Haesoon Jang ),이만제 ( Manje Lee ) 한국화법학회 2016 화법연구 Vol.0 No.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socio-communication style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conflict management style. The data of 663 college student respondents was analyzed with statisticals methods of correlation analysi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was associated with conflict management style. The high conversation orientation group was showned to communicate through integrating style rather than avoiding style in conflict situations. 2. Socio-communication style demonstrated to have an effect on conflict management style. The high assertiveness orientation group obliged to communicate using dominating style, while the high responsiveness orientation group obliged to communicate through integrating style and compromising style under conflict contexts. 3. The results of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communication apprehension had an effect on conflict management style. The high communication apprehension group preferred to use avoiding style to manage conflict rather than integrating style, dominating style, and compromising 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