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라가야 수혈식석곽묘의 유형화를 통해본 신분질서

        최경규 ( Gyong Kyu Choi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2 文物硏究 Vol.- No.22

        가야제국에 대한 연구는 그간 김해의 금관가야와 고령의 대가야 중심의 연맹체적 해석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 때문에 아라가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하지만, 아라가야의 중심고분군인 도항리고분군에는 4세기 중엽 이후에 대형 목곽묘가 조영되기 시작하고, 이어서 5세기 초엽~중엽에는 대형봉토고분의 매장주체부로 수혈식석곽묘가 축조되는데, 동시기 금관가야에 비해 탁월하며, 대가야와 비교해도 대등한 수준이다. 아라가야의 성장과 발전은 묘제의 변화과정에 나타나 있으며, 아라가야의 최전성기의 묘제인 수혈식석곽묘의 연구를 통해 당시 아라가야 발전기의 대외정세와 지배층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간의 연구경향은 유물중심의 편년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묘제는 목곽묘에서 횡혈식석실묘에 이르는 통시적인 연구경향이 강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아라가야 수혈식석곽묘를 중심으로 성장과 발전을 논하기 위해, 앞 시기의 목곽묘와 수혈식석곽묘를 관곽의 개념을 적용하여 유형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유형화 결과, 목곽묘와 수혈식석곽묘는 각각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수혈식석곽묘의 상위위계인 Ⅰ·Ⅱ유형은 다시 규모, 순장형태, 부장유물의 질적 차이 등에 따라 Ⅰ유형은 3개의 소유형, Ⅱ유형은 2개의 소유형으로 세분할 수 있었다. 아라가야의 5세기 대 수혈식석곽묘 Ⅰ유형에는 순장이 시행되었으며, 마갑과 철제 갑주류 등의 상당한 위세품의 부장되었다. 이는 아라가야 성장의 외적표현이 수혈식석곽묘의 축조와 동시에 나타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수혈식석곽묘 Ⅰ유형의 유형분화 양상은 아라가야의 王과 그 아래에 上·下旱岐층의 존재와 대응되는 것으로, 수혈식석곽묘의 유형화를 통해 파악된 지배층의 분화양상은 아라가야의 정치적 성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고고학적 현상으로 파악된다. The research on the Gaya Empire has been interpreted as confederacies of the center of Geumgwan Gaya in Gimhae and Dae Gaya in Goryung, due to that, Ara Gaya has been lacking research. However Dohangri tombs which is center of Ara Gaya`s tombs started up construcitng the large wooden outer coffin since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and then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y, As the principal part of large fief of burial tumulus, stone - lined pit burial tomb was constructed. That is excellent compared to Geumgwan Gaya and is the same level compared to Dae Gaya. The growth an development of Ara Gaya appeared in the process of change of burial. By researching of the stone-lined pit burial which is the peak of Ara Gaya, 1 could look through the foreign situation and the ruling class of Ara Gaya in those days. However, the recent studies tend chronological study of the artifact-centric and the research of the burials have tendency to be diachronic study from wooden outer coffin to stone chamber tomb with tunnel entrance. Therefore in this paper, I tried to make typology by applying to the previous wooden outer coffin and stone-lined pit burial as the concept to coffin to discus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one-lined pit burial in Am Gaya. As a result of typology, wooden outer coffin and stone-lined pit burial could be divided into 4 types,1,2 I, I II type of upper hierarchy in stone-lined pit burial tomb sub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the scale, the form of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the qualifies of director`s remains: I type into three small types, II type into two small types stone-lined pit burial tomb I type in Ara Gaya in the 5th century was performing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and was buried with considerable prestige goods such as bard and iron armor. This is to say that the outward expression of Ara Gaya growth appeared simultaneously with the construction of stone-lined pit burial tomb. The differentiation type of stone-lined pit burial tomb is corresponding to the presense of king(王) of Ara Gaya and the below strata(上-下旱岐層). At last, the differentiation of the elites through the typology of stone-lined pit burial tomb is realized important archaeological phenomenon which was showing the political grow go Ara Gaya.

      • KCI등재

        서부경남 加耶 竪穴式石槨墓의 수용에 관한 연구

        조영제 영남고고학회 2007 嶺南考古學 Vol.- No.40

        The vertical entrance burial, a representative kind of Gaya mortuary feature, is built underground or partly underground of a rectangular pit lined with river cobbles or flat stones. The stones are placed to form the structure of a narrow rectangular chamber, on top of which are piled stones. The central subterranean-style vertical entrance burials have a large mound constructed over them. In this way, the subterranean-style vertical entrance burials of Western Gyeongnam did not appear as successively changed wooden chamber burials, but the construction of this mortuary type originates from the stone chamber construction form that appeared early in the Gimhae Busan area and was repeatedly transmitted. The vertical entrance burials adopted the physical dimensions of the burial pit, burial floor features, location of mortuary artifacts, and many elements were adopted without any change from the wooden chamber burials that directly preceded the vertical entrance burials. Not only that, the same kinds of artifacts that were interred with the deceased in wooden chamber burials were used in the vertical entrance burials.There is a high degree of variation in the form of pottery that was characteristically interred as mortuary offerings in the wooden chamber burials, and as such it represents wealth. Yet in comparison the character of the pottery of the vertical entrance burials is that it displays obvious regional differences and a degree of vessel standardization.It is thought that the switch from a variable and diverse pottery culture to increasingly regionally standardized pottery -- along with the emergence of vertical entrance burials and large-scale mounded tombs -- is the formation of the identities of the various Gaya polities and is archaeological evidence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regional polities. 가야묘제를 대표하는 竪穴式石槨墓는 지하 또는 반지하식의 장방형 墓壙을 파고 그 내부에 割石 또는 판석을 이용하여 평면 세장방형의 石槨을 구축하고 그 위에 여러 매의 개석을 얹은 구조를 하고 있으며, 중심 고분군의 대형분에서는 대체로 石槨 위에 거대한 봉분을 쌓고 있다. 이러한 서부경남 가야의 竪穴式石槨墓는 이전 시기의 木槨墓에서 순차적으로 변화 발전하여 등장한 것이 아니라 일찍부터 등장하여 형식 변천을 거듭하고 있던 김해부산지역으로부터 石槨 축조기법만을 받아들여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그 결과 竪穴式石槨墓 등장 직전에 축조된 木槨墓의 墓壙의 장폭비와 바닥시설, 유물부장 위치 등 여러 요소들이 변함없이 竪穴式石槨墓에도 채용되었다.뿐만 아니라 유물 역시 木槨墓에 부장되었던 것이 그대로 竪穴式石槨墓에도 부장되고 있었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木槨墓 부장 토기들이 「형식 난립기」의 토기들이라고 부를 정도로 다종다양한 것임에 비해 竪穴式石槨墓 부장토기는 지역색이 뚜렷한 정형화된 자료들이 부장되고 있다. 이처럼 다종다양한 토기문화가 정리되어 지역색이 뚜렷한 정형화된 토기문화로 바뀌었다는 것은 竪穴式石槨墓의 등장과 함께 축조되기 시작한 거대한 高塚古墳과 함께 서부경남의 가야제국이 뚜렷한 정체성을 확립한 지역 정치체로 성장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인 증거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수혈식석곽묘 조사방법에 대한 검토 - ‘함안 도항리 삼양인트로빌신축부지 내 유적’예를 중심으로 -

        박성훈,김재영,조영한 한국문화유산협회 2010 야외고고학 Vol.0 No.9

        수혈식석곽묘는 가야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그 구조와 무덤에서 출토되는 다양한 유물은 고고학적으로 가야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어왔다. 수혈식석곽묘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경향을 살펴보면, 무덤구조와 출토유물의 형식분류 및 속성분석을 통한 편년과 정치체 연구에 집중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경향으로 인해 수혈식석곽묘의 발굴조사도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구조와 규모,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최근, 각지에서 봉토분 조사예가 증가하면서 봉토 조사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봉토조사에서 점토낭의 사용, 구획석열, 분할성토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매장주체부인 석곽 조사방법에 대한 논의는 미진하여 석곽조사는 여전히 드러나는 현상의 관찰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석곽 조사방법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살펴보고, 봉토조사와 같이 다양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발전적인 조사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 유적을 대상으로 최근까지의 발굴조사 방법을 검토하고, 그 유적에 대한 실질적인 발굴조사를 통해 기존 조사방법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조사방법의 수정을 시도하였다. 조사방법의 수정은 석곽을 각 시설별로 구분하여 축조과정과 축조과정상 에서 예측되는 사항에 대해 사전조사를 통해 충분하게 검토하였다. 그리고 실제 조사에서 그 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조사방법을 시도하였다. 다음으로 실제 조사에서 수정된 조사방법을 통해 얻어진 성과에 대해 살펴보고, 수정된 조사방법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수정된 조사방법을 통해 얻어진 성과는 대표적으로 벽석의 세부적인 축조공정을 들 수 있는데, 내벽면 관찰로 파악한 세부공정을 뒷채움층의 토층조사와 묘광벽면의 기울기변화로 검토한 결과, 벽석의 축조공정과 일치하는 선상에서 뒷채움층이 분층(分層)되고, 묘광의 벽면이 단(段)을 이루면서 경사각도가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축조공정상의 분리는 다른 조사 예를 통해서 피장자의 안치시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각 시설에 대한 조사성과는 조사방법의 효용성을 적극적으로 보여주는 단서로, 조사성과에 따라 조사방법을 수정·보완하여 수혈식석곽묘 조사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으로, 수정된 조사방법을 통해 얻어진 성과를 바탕으로 석곽의 축조공정을 복원해 보고, 제시된 수혈식석곽묘의 조사방법의 효용성과 한계점을 검토하였다. The vertical entrance stone-lined burial is the representative burial type of Gaya.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this burial type, as well as the various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tructure, have provided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archaeological study of Gaya. Studies on vertical entrance stone-lined burials until now have generally focused on chronology and political systems, through form classification and attribute analysis of architectural features and grave goods. Due to this tendency, the investigation of vertical entrance stone-lined burials carried out in the field has also tended to focus on the superficial observation of burial structure, size and grave goods. The recent increase in the excavation of mounded tombs has led to active discussions on methods for excavating the mound structure of these tombs. Such discussions were possible due to the existence of data such as dividing stone lines, sectioned earth layers and bags filled with clay. However, in the case of the stone wall of the burial chamber, investigation has still focused on observing superficial phenomena. This paper addresse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previous method of investigating the stone wall feature of vertical entrance stone-lined burials, and attempts to search for an investigation method which may provide a wider range of information, as has been achieved for burial mounds. Therefore, recently implemented investigation methods are reviewed and their problems are pointed out. In addition, through the actual excavation of burials, attempts are made to modify investigation methods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method. Regarding the modification of investigation methods, the stone wall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function. Preliminary investigation is carried out on the stone walls in order confirm the construction process, as well as expected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newly established investigation method is then tested through actual excavation. Next,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modified investigation method are assessed and the utility of the modified method is reviewed.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modified investigation method include an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tone wall. Observation of the soil layers of the earth backfill and the slope angle of the burial pit wall led to an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construction process, and this made it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earth backfill was deposited in layers which corresponded to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tone wall, as well as that the burial pit wall also evidenced layers which had different slope angles.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se separate stages of the construction process were closely related to when the corpse was interred. The information obtained regarding the different components of the burial structure demonstrates the utility of an excavation method. The excavation method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excavation results, and the final modified excavation method for vertical entrance stone-lined burials was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modified excavation method,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burial's stone wall was restored, and the method's utility and limitations were reviewed.

      • KCI우수등재

        경주지역 신라 수혈식석곽묘 출토품과 묘곽면적 상관관계 재검토

        우정연(Woo, Jungyoun) 한국고고학회 2021 한국고고학보 Vol.- No.121

        최근 경주지역에서 조사보고된 신라 수혈식석곽묘가 증가함에 따라 적석목곽묘와 함께 신라 무덤의 주요한부분을 구성하였던 수혈식석곽묘의 사회적 성격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수혈식석곽묘의 구조적 특징 및 시간적 위치 파악에 더해 수혈식석곽묘 간 위계적 관계 설정 시도가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러나 적석목곽묘에 적용되는 위계 구분 기준, 특히 출토품과 묘곽면적 사이의 위계적 상관관계가 수혈식석곽묘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다고 선험적으로 상정하는 기존의 견해에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신라 석곽묘가 조사보고된 경주지역 유적을 중심지의 월성북고분군, 탑동-교동고분군, 황성동-석장동고분군, 그 주변의 북부지역, 서부지역, 남부지역, 남동부지역, 동남해안지역으로 구분하고, 전체 묘곽면적이 확인된 수혈식석곽묘 552기를 대상으로 출토품과 묘곽면적 사이의 관계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였다. 이를 통해경주지역 수혈식석곽묘의 묘곽면적은 출토품보다 지역과 유적에 따라 주요한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적석목곽묘 출토품과 묘곽면적의 상관관계에 터한 위계 구조 안에 수혈식석곽묘도 그대로 포섭된다고 상정하는 기존 견해는 수혈식석곽묘의 지역적 특수성에 대한 고려를 통해 수정되어야 한다.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Silla stone-lined pit burials excavated and reported in Gyeongju, attempts are being made to understand hierarchical relations between stone-lined pit burials in the region. This line of research certainly has the potential to help understand social relations implicated in the construction of stone-lined pit burials exhibiting differences in grave goods and/or grave sizes. Nevertheless, it is assumed in previous studies that rules for hierarchical classifications of stone-piled wooden cists are applicable to hierarchical classifications of stone-lined pit burials. This is problematic, above all, because such rules are in fact only applicable to a small part of stone-lined pit burials in Gyeongju. Recognizing this, I re-examined the claimed correlation between grave goods and grave sizes through individual stone-lined pit burials found in Gyeongju. Analysis shows that such rules are only partially applicable in Gyeongju.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uch universal rules as assumed in previous studies should be corrected in view of chronological and regional differences.

      • KCI등재

        早日里式石槨墓의 築造背景 硏究

        조수현(Cho, SooHyun) 한국상고사학회 2008 한국상고사학보 Vol.61 No.-

        이 글은 울산·경주지역의 수혈식석곽묘 중 석곽 단벽이 호형으로 이루어진 석곽묘에 대한 것이다. 기존에는 ‘이형(울산식)석곽묘’ 또는 ‘신라식석곽묘’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필자는 ‘조일리식석곽묘’로 명명하여 그 분포상과 축조배경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현재까지 울산지역은 5개소에 90기 정도. 경주지역은 10개소에 42기 정도가 보고되었고, 모두 4개의 형식으로 분류된다. 전체 분석이 가능한 104기 중에는 석곽의 장축이 3m이상의 것이 60기로서 약 58%에 해당하며, 울산지역이 경주지역에 비해 8:2 정도로 우세하다. 이러한 조일리식석곽묘는 신라토기 편년에 의해 모두 5단계로 분류되며, 조영시기는 5세기 3/4분기~6세기 3/4분기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조일리식석곽묘의 축조배경은 대호와 같은 대형 토기류 등의 부장증가로 인해 유물부장공간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러한 구조적 요인에는 울산 서부지역 묘제의 전통적인 지역성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조일리식석곽묘는 울산의 서부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분포하며, 조일리식석곽묘 중 B형식은 고분군 축조집다나 내에서도 가장 상위급 피장자의 것으로서 전대 목곽묘의 전통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하나 형태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bout the newly name "Joil-ril style stone coffin tomb" which has been named Ulsan style coffin tomb or Silla style stone coffin tomb that is made of arc with stone coffin of stone line tomb in Ulsan, Gyeungju area. In this studying, I would give the new name Joil-ril style coffin tomb by total analysis and would search the distribution and building background as followings. So far, It has been reported five places including 90 tombs in Ulsan area and 10 places including 42 tombs in Gyeongju area, finally classifies into 4 styles. Among the analysis-104 tombs, The stone-line tomb in Gyeongju area which are for 60 tombs and this figure can be about 58%. In conclusion that Ulsan area is much more superior than Gyeongju area in numbers as 8 to 2. Thus Joil-ril style stone coffin tomb can classify into 5 steps by recording chronological of silla pottery and the construction era can be set up 5th century-third quarter and 6th century-third quarter. In addition, The building background of Joil-ril style stone coffin tomb is considered to maximize the burial accessories space due to increasing a large class of pottery such as big jar, on the other hand it is a possibility that should be effected the strong region feature structurally. Especially. Joil-ril stone coffin tomb is ranged intensively in Western part of Ulsan area so that shoul be centered in this area, B type of Joil-ril stone coffin tomb is admitted the burial of dead person, a superior position among the tumulus of construction group which is the most well reflection of tradition in former ages.

      • KCI등재

        호남지역 고려 분묘의 변천양상과 그 의미

        고금님 ( Keum Nim Koh ),장지현 ( Ji Hyoun Jang ) 호남고고학회 2013 湖南考古學報 Vol.43 No.-

        호남지역의 고려 분묘는 지금까지 석곽묘 143기, 토광묘 236기로 모두 379기가 확인되었다. 분묘는 주로 구릉의 사면부와 구릉과 구릉이 이어지면서 곡류하는 부분에 위치하며, 분포양상은 석곽묘와 토광묘가 공반하는 경우와 단독 조성되는 경우로 구분된다. 분묘의 구조에 있어 석곽묘는 시신매납방식에 따라 횡구식과 수혈식으로 구분되며, 장벽은 3형식, 단벽은 크게 6형식으로 분류된다. 토광묘는 묘광 내 시설의 유무에 따라 1형식과 2형식으로 나누어지며, 1·2형식은 관의 사용유무에 따라 직장토광묘(A)와 목관토광묘(B)로 분류된다. 고려 분묘의 변천은 4단계로 구분되는데, 1단계는 횡구식석곽묘가 확인되는 시기로, 장방형의 평면과 장벽 1형식이 주류를 이룬다. 2단계는 횡구식석곽묘와 1Aa와 1Ab형식의 토광묘가 확인된다. 횡구식석곽묘는 장벽 2형식, 생토면 바닥, 단면 사각형 등의 구조로 변화하게 되는데, 이는 고려 석곽묘의 전형적인 구조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3단계는 다양한 구조의 분묘가 확인되나, 석곽묘는 수혈식석곽묘가 주를 이루며 장벽형태는 2·Ⅲ형식이 확인된다. 토광묘는 1Ab와 1Bb형식와 2형식이 나타나고 요갱, 사우혈, 부장공간 등의 내부시설이 설치된다. 4단계는 토광묘가 주 묘제로 나타나는 시기로 1Bb형식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석곽묘는 2~3기 정도만 확인된다. 호남지역 고려 분묘의 피장자는 석곽묘의 경우 서리, 향리, 하급장교 등 중간계층으로 분류되는 정호층, 토광묘는 일부 중간계층과 백정층, 잡척층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12세기 중반 이후 석곽묘에서 토광묘로 묘제의 변화가 진행되는데, 이는 무신정권, 대몽항쟁, 원의 간섭 등의 사회변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Up to the present, about 379 units of tomb have been identified in Goryeo tombs in Honam district with 143 units of stone coffin tomb Goryeo tombs and about 236 units of pit tombs. These tombs have a tendency to be located mostly at the inclined parts of hills and at the parts where hills meander while being linked to each other. A stone-lined tomb is divided into the side entrance type and pit type, and long wall is classified into 3 forms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corpose burial while short wall is roughly subdivided 6 forms. The pit tomb is divided into TypeⅠ which didn`t have facilities in a pit and TypeⅡ which had some facilities with cut stone on some walls. TypeⅠ can be again divided into coffin-free direct burial pit tomb(A) and wooden coffin pit tomb(B) according to whether a coffin was used or not. The transitions of Goryeo tombs are divided into 4 Phase. In phase 1, a side-entrance type stone-lined tomb is identified, which is dominated by a rectangular plane and Form I of long wall. In Phase 2, a side-entrance type stone-lined tomb and pit tombs in Form ⅠA is identified. a side-entrance type stone-lined tomb changed into the structure of long wall in Form II, intact soil floor, and cross section quadrangle, which aspects are judged to be a typical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the Goryeo stone coffin tomb. In Phase 3, stone-lined pit tomb and diverse planar shapes of pit tombs are identified. stone-lined pit tomb is Form II&Ⅲ in the shape of long wall are identified. Phase 4 had pit tombs as a main burial system, and only 2~3 units of stone-coffin tombs are identified. The pit tomb in Form IAa and IBa mostly disappeared and the number of pit tombs in Form IBb began to increase.

      • KCI등재

        百濟成立과 發展期의 錦江流域 墓制樣相

        崔完奎(Choi, Whan-Ku) 한국상고사학회 2002 한국상고사학보 Vol.37 No.-

        본 논문은 백제 성립과 발전기에 해당하는 시기에 금강유역에 있어 墓制의 양상을 살펴본 글이다. 백제의 성립기라 할 수 있는 3세기의 묘제는 漢城 백제와 전혀 다른 周溝土壙墓가 축조되고 있었고, 발전기에 해당하는 4세기는 물론, 5세기 중엽이전까지도 土壙墓, 竪穴式石槨橫 등 중앙과 양상이 다른 각각 지역적 특징을 지닌 묘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다음 단계에서는 公主遷都 이전, 또는 그 이후에 중앙의 영향으로 축조된 두 유형의 初期 橫穴式石室橫이 등장하게 된다. 周溝墓는 馬韓의 묘제로서 영산강유역의 대형 墳丘墓로 변화 발전되어간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주구토광묘는 주구묘와 속성에서 많은 차이점이 발견되는 것으로, 오히려 그 속성과 출토유물 가운데 중국의 秦葬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그 出自는 秦의 苦役을 피해온 流亡民이라는 문헌의 기록과 일치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나아가 영남일원에서 이러한 전통을 가지는 분묘와 출토유물이 확인되고 있어 앞으로의 면밀한 검토를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土壙墓와 竪穴式石槨橫은 중앙과 다른 묘제지만 출토토기에서는 한강유역의 것들과 통하고 있어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들 분묘에서 출토되고 있는 威勢品과 중국제 유물로 미루어 지역을 기반으로 상당한 세력을 갖추고 있었을 것으로 앞으로 새로운 관점에서 중앙과 지방과의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각 지역에서 遷都이전에 횡혈식석실분의 축조의미는 백제의 발전과 더불어 지방세력은 자발적으로 외부 선진문화를 받아들여 내부 결속 및 중앙과의 관계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자 했던 것을 해석할 수 있다. This study delves into the pattern of tombs which, as found on the basin of the Geum River, were erected during the period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Beakje Kingdom. In the 3rd century corresponding to the period of formation of Baekje Kingdom, such types of tombs as the ditch tombs and the pit tombs with ditch were constructed which looked totally different from those of Beakje with the capital in Seoul(漢城百濟). Even from the 4th century that was applicable to the period of its development to the mid-5th century, tombs like the pit tombs and the vertical digging stone lines tombs were used for burial that beared local traces unlike the pattern of tombs in the capital area. In the next phase, two types of early the horizontal digging stone chamber tombs that were constructed before or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Gongju under the influence of the capital area began to appear. The ditch tombs belongs to a sort of Mahan(馬韓)'s tomb system and is believed to have gradually developed to bigger the mounded tombs as found on the basin of the Yeongsan River. Actually,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properties between the pit tombs with ditch and the ditch tombs. Judging from the characters and unearthed articles of the tombs, it rather seems that the ditch tombs is more deeply related to the tomb system of Chinese Chin(秦). This fact could be supported by the records of the literature claiming that the buried were the vagrants who escaped from the persecution of Chin. Further careful studies ar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tombs and articles of this origin that have continuously been excavated throughout the area of Gyeongsang provinces. Even though the pit tombs and the vertical digging stone lines tombs are of the type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capital area, the earthenwares excavated from them are sharing some similarities with those unearthed on the basin of the Han River, an evidence that leads to the assumption that they had maintained certain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Various articles of status and Chinese relics unearthed from the tombs are, however, obviously suggesting that the persons buried in the tombs must've been strongmen with considerably solid footholds in this area. Another investigation should thus be made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o determine the tru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n central and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함안 말이산고분군의 풍수 관점과 성신사상

        황종태,양희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7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9 No.-

        함안지역에는 선사시대 유적과 함께 말이산 구릉에 아라가야의 고분이 밀집한 다. 이 말이산고분군의 입지와 고대 장례풍습을 풍수학적으로 연구한 결과, 고분이 위치하는 말이산은 낙남정맥의 여항산을 주산으로 주용맥이 말이산 구릉의 북단에 이르며, U자형의 와(窩)형국이다. 말이산 지룡능선의 앞쪽에는 안산이 막아주고 광 정천이 감싸는 형세로 풍수적으로 명당의 요건을 갖추었다. 말이산고분군에서 목 곽묘는 장소의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수혈식석곽묘는 지형지세가 반영되었으며, 횡 혈식석실묘는 풍수학적으로 물의 기운을 얻는 용진혈적의 자리이다. 말이산고분군 의 모든 묘제 중 수혈식석곽묘와 횡혈식석실묘의 매장시설 장축 방향은 남북향이 우세하고, 순장고분 주피장자의 두향은 북침이며, 북침은 북관을 중시하는 고대의 장례문화를 반영한 것이다. 남북향인 묘실의 각도는 북쪽을 기준하여 동서로 50°의 범위이며, 이는 북극성과 작은곰자리가 이루는 각도와 비교하여 거의 동일한 범위이다. 이는 고대 성신(星辰)신앙이 내재한 고대의 장례풍습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말이산고분군은 풍수적으로 명당인 지역에 자연스럽게 고대의 고분이 집중하고 별 을 중시하는 고대의 장례풍습이 반영된 한편, 시대가 지나면서 풍수적 관점이 더욱 강조되는 현상이 내재된 고분군이라 사료된다. In the Haman area, along with prehistoric dolmens, the tumulus of Ara-Gaya was concentrated in Mt. Mari hill. As a result of studying the location conditions of this tomb and the ancient funeral customs as Feng-Shui, Mt. Ye-hang was the main mountain of the southbound mountain range and the main mountain range descending from the mountain reaches the northern end of the Mt. Mari hill , it was a U-shaped ‘Wa(窩)’ an aspect. Ansan(朱雀) was in front of the ridge that goes west from the Mt. Mari and Gwangjung-stream was the type of protected and therefore, it was a very good place(龍眞穴的) in Feng-Shui. In Mt. Mari tumulus, the wooden-chamber tomb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place, the terrain of the pit stone-chamber tombs reflects the Feng-Shui, the horizontal-digging stone-chamber tombs is a very good place of Feng-Shui to get the aura of water. Of all the chambers-tombs of Mt. Mari tumulus, the chamber-major axis of the pit stone-chamber tombs and the horizontal-digging stone-chamber tombs was predominantly north-south, the head direction of the burial tomb was northbound, the northward of the head reflects an ancient funeral culture that emphasizes North-faith. The angle of the north-south chamber was in the range of 50° east to west from north, this is almost the same range as the angle between the Polaris and the Ursa Minor. It is judged to be the ancient funeral custom immanent in ancient constellation faith. Therefore, the tombs naturally concentrate on the very good place in Feng-Shui, reflecting the ancient Funeral custom with an emphasis on the stars, meanwhile, it is think that the Feng-Shui element emphasizes the location condition of the tomb as the age passed.

      • KCI등재

        5~6세기 경주지역 고분의 위계와 변천양상

        이동욱 한국문화유산협회 2018 야외고고학 Vol.0 No.32

        고분의 규모와 부장유물은 피장자의 사회적 신분 또는 지위를 나타내며, 나아가지역간 발전정도를 추론할 수 있는 중요한 속성 중 하나이다. 이러한 고분 자료를분석하여 매장과 관련된 행위를 추적하면 묘제상에 반영되는 당시 사회의 형태, 조직, 발전 정도 등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얻을 수 있다. 경주지역의 자연·지리적 환경과 고분의 분포를 고려하여 공간 구성을 구분하면 6개권역으로 나뉜다. 6개 권역에 분포하는 고분들을 규모와 부장유물 조합상 등을 검토한결과 고분과 고분군간에는 모두 9단계의 위계구조가 확인되었다. 그 결과 Ⅰ급-중심권역〉 Ⅲ급-남부권역·서부권역 〉 Ⅴ급-북부권역·동남부권역 〉 Ⅶ급-동남해안권역 순으로위계구조가 나타나고, 상위위계와 하위위계 간에는 묘제와 부장유물이 질적으로나양적으로 차등이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권역별 고분의 위계구조는 시기별로 특징을 가지며 나타난다. 적석목곽묘와수혈식석곽묘를 조영한 지배집단은 1~3기를 거치면서 점차 확대되고 규모와부장유물에서 위계화를 확인할 수 있다. 지배집단의 위계화는 이전 시기부터 있었지만적석목곽묘 조영기에 보다 세분되며, 규모와 부장유물에서 위계가 관찰된다. 특히3기에는 거의 모든 지배집단에서 적석목곽묘를 축조하고, 수혈식석곽묘의 수가 크게증가하며, 등급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이후 4기에는 적석목곽묘의 조영은 점차축소되고, 5기에는 적석목곽묘가 더 이상 조영되지 않고 소멸한 것으로 보인다. 고분의 위계에 따라 당시 지배집단의 정확한 등급을 알기는 어렵지만 A급에서 I급으로갈수록 상위지배자에서 하위지배자에 해당하며, 피장자 생전의 지위가 그대로 고분에반영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권역별 지배집단의 성격이 고분의 위계에 어느 정도반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분의 규모, 부장유물 등은 경주 중심권역과 주변권역사이에 큰 차이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경주 주변권역은 고분의 규모와 부장유물등에서 중심권역의 직·간접적인 규제를 받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The Gyeongju area is divided into six zones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according to its natural and geographic environments and the distribution of its ancient tombs. The investigator reviewed the ancient tombs in the six zones and their size and combination of artifacts buried along with the deceased and found a hierarchy of total nine stages among them. The hierarchical structure went from Grade I: the central zone through Grade Ⅲ: the southern and western zone and Grade V: the northern and southeastern zone to Grade Ⅶ: the East Coast zon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omb style an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artifacts buried along with the decea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tages of hierarchy. This hierarchical structure of ancient tomb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the period. The ruling class that made wooden chamber tombs with a stone mound gradually expanded from Period 1 to Period 3 with the hierarchy of the internal structure and artifacts buried along with the deceased within their ancient tombs. In Period 3, in particular, almost every ruling class made a wooden chamber tomb with a stone mound with appare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rades. Entering Period 4, they gradually reduced in the number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a stone mound, which were no longer made and disappeared in Period 5. Although it was difficult to know the exact grade of each ruling class those days based on the hierarchy of ancient tombs, the upper and lower rulers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from Grade A to Grade I. It seems that the status of the buried during their lifetime was reflected on their ancient tombs as it was. In additi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ulers became clearer with the passage of time. There were especially huge differences in the size of ancient tombs and artifacts buried in them between the central zone of Gyeongju and its surrounding zones. The surrounding zones of Gyeongju must have been under the direct and indirect control of the central zone in the size of tombs and artifacts buried in them.

      • KCI등재

        阿羅加耶의 殉葬 -大型 殉葬墓를 中心으로-

        김수환 영남고고학회 2010 嶺南考古學 Vol.- No.55

        Dohang-ri tombs in Ham-an are the central tombs of Ara-Gaya. The tombs were excavated by Cha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fter 1990s. The evident clue to the sacrificial burial was confirmed from the large size stone lined tomb with vertical digging style which dated from the late 5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through the excavation. Now, the sacrificial burial in Ara-Gaya region is only confirmed in Dohang-ri tombs. This shows various changes and differences in class over time. This study is to provide a methodological structure for full-scale research of sacrificial burial of Ara-Gaya.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large size tombs, No. 4, 6, 8, 34 among sacrificial burial tombs of Dohang-ri tombs. The original state of the sacrificial burial was restored by using the dead's bones who buried alive, artifacts belonging to the dead, and the empty space in stone chamber. The progress of this study goes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of the present reports and studies related to the large size sacrificial burial tomb in Dohang-ri tombs suggested a diversity of problems. Then, an alternative opinion was suggested based on analysis on size of the dead who buried alive, position of burial, location of burial, and so on. The content of the study came through this process is as follows. The sacrificial burial of Dohang-ri tombs appeared along with archaeological phenomena, such as the construction of high and large burial mounds in the third quarter of the 5th century, the construction of large size stone lined tomb with vertical digging style, and an increase in quantity and quality of burial goods. Having considered this, the first appearance of the sacrificial burial of Ara-Gaya occurred as a phenomenon upon the introduction of idea of sacrificial burial through sustaining interaction with Geumgwan-Gaya after the 4th century, the establishment of the political power structure in the third quarter of the 5th century, and the process of social acceptance. The sacrificial burial in this period is a type having the five deads who buried alive lied at right angles to the bottom area of the main body's feet. The burial position continued until the forth quarter of the 5th century without a significant change. The size of the sacrificial burial decreased from five people to two and the position of the dead who buried alive changed from right angle to parallel upon the first quarter of the 6th century. This is thought to be a phenomenon which shows an aspect of decline and extinction of the sacrificial burial. The change could be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but it can not be assured that this is true just with the present data. However, since the same aspect is confirmed from a small size sacrificial burial in the same time, it is evident that sacrificial burial declined with a change of social concept from this point. Later, in the second quarter of the 6th century stone lined tomb with vertical digging style changed to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style and no more sacrificial burial has been confirmed after this period in Dohang-ri tombs of Ara-Gaya.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of the large size sacrificial burial of Dohang-ri is the ruling class including the top ruler (king) and it can be known that the people who buried alive are servants who served the main buried body.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people who buried alive as an attendant on the death of their lord, it could be learned that their characteristic of social statu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wearing personal ornament and the burial location in the chamber. From now on, I try to study on sacrificial burial of the highest class as well as that of the second highest class based on this late study. The study will be in progress as conducting a research focused on changes of sacrificial burial over time and differences in class. 아라가야의 순장은 함안 도항리고분군의 5세기 3/4분기~6세기 1/4분기 대형 및 중대형의 수혈식석곽묘에서만 확인되고 있으며, 현재까지의 보고에 의하면 9기 정도의 순장묘가 확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대사회에 있어 순장의 존재와 양상은 사회발전단계를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만큼 아라가야의 순장 역시 여러 연구자에 의해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어 왔다. 하지만 연구방법의 미확립으로 인하여 동일 순장묘의 순장양상에 대한 해석이 불일치한 상황이며, 이로 인하여 아라가야 순장의 시간적인 변화나 계층적 비교, 더 나아가 순장을 통한 지배계층구조의 규명 등 심화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본고는 아라가야 순장의 본격적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틀 마련을 목적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도항리고분군의 대형 순장묘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보고나 연구를 검토하여 다양한 문제점들을 제시하고, 순장자의 인골(매장자세), 착장유물, 공지 등의 고고학적 요소를 활용하여 대형 순장묘의 순장양상에 대한 해석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아라가야 순장의 채용 시점과 도입 과정, 대형 순장묘의 순장유형과 전개양상, 주피장자와 순장자의 사회적 성격 등을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