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로존 역내불균형(Internal imbalance)의 시각에서 본 독일의 경상수지 흑자와 그 구조에 관한 연구

        강유덕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8 EU연구 Vol.- No.48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account surplus of Germany in the context of the internal imbalances in Euro Area at post-crisis period. Since the crisis, Southern European countries have completely reduced their deficit in current accounts, while German surplus reached at record level. This salient development of German surplus has been criticized, not only by US Government and IMF, but also by insiders in the EU, notably the European Commission. Focusing on the trade balance in goods, this paper examines three research topics. First, it reviews the development of Germany’s current account balance vis-à-vis its main partners over long period, regrouping them into several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status. Second, it investigates how the production cost, proxied by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REER) and the nominal exchange rate affect German trade balance. Third, the trade balance of Germany is decomposed into two parts, one explained by structural factors and the other by other cyclical factors. Germany’s trade balance has been mostly affected by the business cycles of its trade partners and the exchange rate of euro. First, German surplus has been increasing in trade with non Euro area countries, including US. Its surplus with Euro area has been considerably declined. Second, German REER has been relatively stable, while REERs of Southern European countries have considerably fallen. Third, weak euro ha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German surplus since the late 2014. During this period, German export to non EU countries, notably US considerably increased. Lastly, the cyclical factors have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german surplus vis-à-vis non-EU countries at post crisis period, while they affected negatively German surplus vis-à-vis EU countries. To sum up, it is hardly to conclude that increasing German surplus deepened the internal imbalance in Euro area at post-crisis period. Increasing the domestic demand in Germany is expected to make positive spillover effect into other neighbors in Euro area. The criticisms on German surplus are based on this anticipation, rather than concerns on the internal imbalance that Euro area experienced before the crisis. 이 연구는 독일의 경상수지 추이를 유로존 내 역내불균형의 시각에서 점검하였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남유럽의 경상수지가 개선되어 균형을 이룬데 반해, 독일의 흑자폭은 계속 증가했다. 이에 EU 집행위원회는 역내불균형의 관점에서 우려를 표출하였고, IMF와 미국 정부도 각기 다른 입장에서 비판적 입장을 보였다. 이 연구는 독일의 경상수지 중 가장 중요한 항목인 상품수지를 대상으로 무역상대국에 따른 상품수지 추이를 분석하였고, 생산비용과 환율이 상품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무역상대국에 따른 독일의 상품수지를 구조적 요인과 경기적 요인으로 분해하여 그 추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발생한 독일의 상품수지 흑자추이는 무역상대국의 경기상황과 유로화 환율에 큰 영향을 받았다. 첫째, 독일의 흑자는 주로 비유로존 국가들을 대상으로 증가하였고, 유로존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흑자폭은 크게 감소하였다. 둘째,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독일의 생산비용 증가율이 남유럽 국가들에 비해 낮았던 점은 독일의 상품수지 흑자 증가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위기 이후에는 남유럽 국가들의 생산비용 감소 정도가 독일에 비해 훨씬 컸으며, 이에 남유럽 국가들의 상품수지가 크게 개선되었다. 셋째, 2014년 후반부터 시작된 유로화 약세 현상은 독일의 상품수지 흑자증가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 기간 중 미국을 포함한 역외국에 대한 독일의 수출은 크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독일의 무역흑자가 구조적인 것은 사실이나, 경기가 양호한 역외국을 대상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역내국을 대상으로는 경기적 요인에 의한 무역수지 감소현상이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경제위기 이후 독일의 무역수지 증가가 유로존 내 역내불균형을 심화시켰다고 보기는 어렵다. 독일의 내수활성화는 독일 경제의 비중을 감안할 때, 유럽의 경제성장률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다. 독일의 과도한 흑자에 대한 비판은 역내불균형에 대한 우려보다는 이러한 기대에 근거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 KCI등재

        국제적 경상수지 불균형 문제와 동아시아 국가들의 환율정책

        정세은(Jeong Se Eun) 한국사회경제학회 2006 사회경제평론 Vol.- No.26

          As the problem of substantial U. S. current account deficits continues, critics against exchange rate policies of the China and East Asian countries have been heard increasingly. This paper examines the sustainability of current international external imbalances and draws policy implications for East Asian countries" exchange rate policies. We carry out econometrical analysis to determine to what degree current accounts are unbalanced in international framework. According to results, international imbalances are substantial as much as those in the middle of 1980s when exchange rates were adjusted drastically. Also we examine the evolution of total saving and investment of the China and East Asian countries under current account surplus situation. We find out the China experiences vigorous investment while other East Asian developing countries suffer from lack of investment. Consequently, exports contraction entailed by eventual exchange rate adjustment would do serious negative shock to East Asian countries except for the China. In order to alleviate eventual exchange rate adjustment"s shock, East Asian countries need to cooperate to do simultaneous and mild adjustment of exchange rates.   본 논문은 국제적 경상수지 불균형 문제의 원인과 지속가능성을 분석하여 동아시아 국가들의 환율정책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이끌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속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까지의 시기에 대해 균형 경상수지 수준을 추정하여 실제경상수지가 균형상태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르면 최근의 불균형 상황은 국제적 차원의 환율조정이 발생하였던 1980년대 중반만큼이나 심각하며 거의 대부분의 동아시아 국가들이 균형수준에 비해 흑자를 보고 있지만 특히 개도국들의 과다흑자가 문제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율조정 압력이 특히 동아시아 개도국들에게 가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는데 중국을 제외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우 외환위기 이후 투자율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는 등 내수부문이 상당히 위축되어 있기 때문에 급격한 환율조정으로 순수출이 감소하게 될 경우 고통스러운 조정과정을 겪을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의 불균형 상태가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점에서 완만한 환율하락을 용인해야 하겠으나 환율조정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동아시아 관련국이 동시에 소폭의 환율하락을 실행함으로써 거시 경제적 부담을 나누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로존의 역내 불균형과 조정과정에관한 연구: 유로존 위기 이후 남유럽의 경상수지추이와 구조분석

        강유덕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7 EU연구 Vol.- No.45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Southern European countries reduced their current account deficit in unprecedented manner during the period of 2011-2013 and examines these adjustment proc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the changes of trade balance in both supply (export) and demand side (import).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changes of unit labour costs and export price in order to decide whether the internal devaluation has been effective in reducing the current account deficit. In addition, this paper decomposes the trade balance into structural and cyclical components and illustrates the contribution of each factor in the adjustment process. The reduction of current account deficit in Greece, Spain and Portugal was driven in large part by a sharp fall in their import demand, which resulted from the deep economic recession. Their exports had been stagnating or increased slowly, forming J curve shape, during the first phase of the adjustment. The unit labour cost declined, but this fall in production cost was not necessarily reflected on the export price, which rose during the same period. It suggests that the mechanism of the internal devaluation does not fully explain the rise of export in second phase of the adjustment. The decomposition of trade balance shows that the cyclical component affected much the fall in trade deficit during the period of 2011-2013. This confirms once again the fact that the fall in current account deficit has been driven by the fall in import. The internal devaluation process is very slow, because the wage and price are generally sticky and it cause a large contraction of domestic demand and political instability.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massive current account surplus of Germany is the other side of the internal imbalance. This argument suggests that the discussion about the internal imbalance is not only economic issues, but also political issues, which require closer coordination of economic policies within the Euro Area. 이 연구는 2010-2013년의 기간 중 유로존 취약국의 경상수지 적자가대폭 감소하여 경상수지 균형을 이루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 조정의 구조적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무역수지를 공급측면과 수요측면의 변화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공급측면의 변화에 있어서는 이변화가 내적절하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품수지의 변화를 구조적 요인과 경기순환적 요인으로 분해하여 살펴봄으로써변화의 성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 등 남유럽 3국의 경상수지 적자축소는 수입수요의 급감을 통해 주도되었고, 같은 기간 수출은 정체되거나, 서서히 증가하였는데, 점차 증가세가 뚜렷해지는 J 효과 패턴을 보였다. 조정과정 중 단위노동비용은 하락하였으나, 이 하락이 반드시 수출가격에 반영되지는 않았는데, 이는 내적절하의 메커니즘이 전체 수출 증가를설명하지는 못함을 의미한다. 또한 상품수지를 구조적 요인과 경기적 요인으로 분해하여 살펴본 결과, 경상수지 적자가 축소되는 기간 중에는 경기적 요인에 의한 상품수지 개선효과가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수위축으로 인한 수입수요의 감소가 무역수지 개선에 크게 작용했음을확인할 수 있었다. 내적절하는 그 과정이 느린 반면, 극심한 내수침체와 정치적 불안을동반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역내 불균형의 다른 한축인 독일의 경상수지적자를 축소해야한다는 견해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는 역내불균형의 해소가 경제적 문제만은 아닌, 회원국 간 입장 조율과 같은 정치적 성격 또한 띠고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고용보험법의 현행 적정적립금 기준 평가와 대안 지표로서의 준비율 배수

        허재준(Jai-Joon Hur),김동헌(Dong-Heon Kim) 한국노동연구원 2010 노동정책연구 Vol.10 No.2

        현행 고용보험법의 요율 변경 기준인 적립금/지출 배수는 요율을 낮출 필요성이 없을 때에는 물론 요율을 낮추어서는 아니 될 때에도 요율을 낮추도록 하는 편의(偏倚)를 지니고 있다. 본고는 요율 변경 기준의 대안으로 적립금/지출 배수 대신 적립금/피보험자임금총액/역대수지균형보험료율의최댓값으로 정의되는 준비율 배수를 제시한다. 그리고 향후의 논의에서 준비율 배수를 채택할 때에는 고용보험제도의 성숙 정도에 따라 어떠한 원칙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제시한다. 고용보험기금 재정이 경기변동 주기 간에 안정적인 추이를 보이는 시기에는 ‘과거 ○○년간 가장 높았던 ○개 연도의 수지균형 보험료율평균을 분모’로 하는 준비율 배수 형태가 적절할 것이다. 예컨대 ‘지난 20년간 가장 높았던 3개 연도 수지균형 보험료율의 평균을 분모로 하고 당해 연도의 적립금/피보험자임금총액을 분자로 하는 비율’이 한 예가 될 수 있다. 다만, 그 구체적 형태는 우리나라의 경기변동 과정에 나타난 실업급여수급자 특성과 고용보험 재정 경험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The measure of Employment Insurance fund adequacy as currently specified in the Employment Insurance Law, which is the ratio of year-end accumulated surplus to benefit payments, has a bias toward reducing contribution rates, even when such adjustment is unnecessary or undesirable.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easure called the reserve ratio multiple (RRM) as an alternative measure to test fund adequacy. The reserve ratio multiple is a quotient that is computed from two ratios. The denominator is benefit outlays as a percentage of total covered payrolls in the highest cost year, while the numerator is total net reserves at the end of the current year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otal covered payrolls for the year. For the coming years, this simple RRM measure seems to be adequate to be used to test fund adequacy. But we recommend, as an example, an RRM with an high-cost rate measured as the average of the three highest-cost 12-month periods in the past 20 years, after more than 10 years later. Indeed, specific forms of the RRM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UI recipients and historical developments in Employment Insurance funds.

      • KCI등재

        국민연금 재정안정화의 두 가지 패러다임

        주은선(Joo, Eun-Sun),이은주(Lee, Eun-Joo)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0

        이 연구는 국민연금 재정안정정책의 패러다임을 수지균형 패러다임과 사회적 지속성 패러다임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논리를 비교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지속성 중심의 국민연금 재정안정 논리를 발전시키고자 한 것이다. 그동안 국민연금 개혁의 배경이었던 수지균형 중심 연금재정 패러다임에서는 국민연금의 사회적 부양 원리를 위축시키고, 보험수리적 관점에서 세대간 형평성을 계산하며, 연기금 적립을 최대화시키는 것이 연금제도의 지속가능성을 보증한다고 간주한다. 반면 사회적 지속성 패러다임에서는 세대간 수지불균형이나 국민연금기금 규모를 통해 연금제도의 지속성을 판단하기보다는, 공적연금에서 세대 간 부양 원리를 복원하고 인구구조 및 고용, 성장, 분배 등의 요소들과 정치적 동의가 연금제도의 지속성에 중요하다고 바라본다. 두 가지 국민연금 재정안정론은 공적연금의 자원배분 논리, 세대간 공평성과 세대 간 부양, 연기금의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 측면에서 비교검토될 것이다. 이어서 두 정책 패러다임 각각의 연금재정 안정화 방안들을 살펴보는데, 본고에서는 국민연금의 재정안정화를 위해서는 연기금 대규모화로 연기금 고갈을 계속 늦추는 전략보다는 제도의 사회적 지속성을 높이도록 연금보험료 부과기반을 강화하는 대안을 추구해야 함을 강조한다.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theory of public pension finance based on social sustainability by comparing with public pension financial stability logic focused on contribution-benefit balance of the pension system. Recent public pension reforms have been leaded by the paradigm of public pension stability centered on contributions-benefits balance. It has brought out shrinked intergenerational redistribution and intergenerational inequity with a view of actuarial principle, and has made pursue maximization of the public pension fund as the object of public pension policy. Social sustainability paradigm, however, makes to judge the financial stability of the public pension from the social fundamentals affecting sustainability of public pension like population structure, aside from the size of public pension fund. We examine main contents of the two policy paradigms of public pension finance about distribution principles of the public pension, intergenerational equity and dependency, and the role of the public pension fund. Finally, we compare policy alternatives from the two paradigms. To enhance stabilities of the National Pension, it is needed to seek policy alternatives to expand foundations of social sustainability rather than to raise contribution rate early just to defer timing of exhaustion of public pension fund.

      • KCI등재

        공적연금제도의 재정적 지속가능성 평가

        유희원 ( Yoo Hee-wo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6 사회복지정책 Vol.43 No.4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통용되었던 단선적인 수지균형 관점에서 벗어나, 보다 확장된 개념과 측정방식에 기초하여 국민연금제도의 재정적 지속가능성을 새롭게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국가의 부담여력이라는 보다 일반적인 개념정의 하에, EU의 OMC 지표를 기준으로 퍼지셋 이념형분석을 사용하여 재정적 지속가능성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현재와 미래의 공적연금지출 수준, 고령노동자(55-64세) 고용률 및 실질퇴직연령 등과 같은 OMC 하위 지표들의 조합방식에 따라, 각 국가는 크게 `재정불안정형 Ⅰ(공적연금지출과다형 + 노동시장부적합형)`, `재정불안정형 Ⅱ(공적연금지출과다형)`, `재정불안정형 Ⅲ(노동시장부적합형)`, `재정안정형` 등 4가지 이념형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각 이념형 별로 재정적 취약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데, `재정불안정형`은 높은 연금지출과 조기퇴직률이, `연금지출 과다형`은 높은 연금지출이, `노동시장 부적합형`은 높은 조기퇴직률이 주요 재정위기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이 포함된 `재정안정형`의 경우 연금지출과 노동시장 측면에서 재정위기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노인에 대한 공적 공여(provision)를 일정 정도 희생한 대가로 얻은 결과물이라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재정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러한 진단방식은 재정위기의 본질을 국가의 자원추출역량(생산성)이나 노동시장의 제약사항(조기은퇴) 등과 같은 보다 거시적인 맥락에서 찾고 있다. 이로 인해 재정안정화를 위한 대안 모색 과정에서도 수지균형 관점과 달리 연금급여 축소에 대한 유인이 상대적으로 덜 발생하게 된다. 즉, 단순히 지출을 줄여 수지균형을 담보하기보다는 국가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노동시장여건을 연금재정에 보다 우호적인 방향으로 개선하는 등의 새로운 대안을 모색할 기회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함의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public pension system`s fiscal sustainability based on more expanded notions and measuring means, away from one dimensional fiscal balance commonly used here in Korea. To this end, we measured its fiscal sustainability using Fuzzy Set ideal analysis based on EU`s Open Method of Coordination(OMC), adopting a government`s capability of covering expenses. This analysis shows that each government, in accordance with how OMC sub indexes (i. e. public pension expenses in the present and future, employment rate of the elderly, and effective retirement age) are combined, is classified as four categories: Financially Unstable; Excessive in Pension Expenses; Unfit for Labor Market; and Financially Stable. Each category has a weakness in terms of finance: Financially Unstable, for example, its financial unstability results from high pension expenses and early retirement Age; In case of Excessive in Pension Expenses, it is high pension expenses; and in the event of Unfit for Labor Market its problem originates from high early retirement age. For Financially Stable, to which Korea is applicable, its financial unstability is relatively low in terms of pension expenses and labor market, yet, we should bear in mind that it was possible at expense of the elderly`s provision to some degree. This means of evaluation finds a main reason of financial unstability in macroscopic contexts such as a government`s capability of using its national resources (productivity) and labor market`s restrictions (early retirement). For this reason, in process of seeking alternatives to secure financial stability, we will be less likely to rely on reduction of pension. In other words, it holds significance that it opens a door to new ways such as increasing national productivity and improving labor market conditions rather than simply reducing expenses in order to balance the budget.

      • 공적연금제도의 재정적 지속가능성 평가

        유희원 한국재정학회 2016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통용되었던 단선적인 수지균형 관점에서 벗어나, 보다 확장된 개념과 측정방식에 기초하여 국민연금제도의 재정적 지속가능성을 새롭게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국가의 부담여력이라는 보다 일반적인 개념정의 하에, EU의 OMC 지표를 기준으로 퍼지셋 이념형분석을 사용하여 재정적 지속가능성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현재와 미래의 공적연금지출 수준, 고령노동자(55-64세) 고용률 및 실질퇴직연령 등과 같은 OMC 하위 지표들의 조합방식에 따라, 각 국가는 크게 ‘재정불안정형’, ‘연금지출 과다형’, ‘노동시장 부적합형’, ‘재정안정형’ 등 4가지 이념형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각 이념형 별로 재정적 취약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데, ‘재정불안정형’은 높은 연금지출과 조기퇴직률이, ‘연금지출 과다형’은 높은 연금지출이, ‘노동시장 부적합형’은 높은 조기퇴직률이 주요 재정위기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이 포함된 ‘재정안정형’의 경우 연금지출과 노동시장 측면에서 재정위기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노인에 대한 공적 공여(provision)를 일정 정도 희생한 대가로 얻은 결과물이라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재정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러한 진단방식은 재정위기의 본질을 국가의 자원추출역량(생산성)이나 노동시장의 제약사항(조기은퇴) 등과 같은 보다 거시적인 맥락에서 찾고 있다. 이로 인해 재정안정화를 위한 대안 모색 과정에서도 수지균형 관점과 달리 연금급여 축소에 대한 유인이 상대적으로 덜 발생하게 된다. 즉, 단순히 지출을 줄여 수지균형을 담보하기보다는 국가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노동시장여건을 연금재정에 보다 우호적인 방향으로 개선하는 등의 새로운 대안을 모색할 기회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함의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민연금 재정안정성을 바라보는 관점의 확장: 제도 내·외적 수지균형의 조화

        유희원,한신실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2022 비판사회정책 Vol.- No.7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ceptualize fiscal stability from an alternative perspective that includes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to newly diagnose the financial status of the National Pension by establishing an evaluation framework based on tha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urrent financial status of the National Pension is relatively stable, but the demographic(after 2030) and institutional(after 2060) capacity necessary to fulfill the obligation to pay benefits are greatly impaired in the mid-to long-term. These results mean that the existing reform orientation needs to be reconsidered.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set the most urgent policy task to secure not only institutional capacity but also demographic capacity. This is because the demographic problem occurs first, which in turn acts as a fundamental cause of multiplying the imblance between income and expenditure. In fact, improvement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such as raising the fertility rate, guarantee a stable contribution base for the National Pension. In addition, it can contribute to creating a driving force for future fiscal stabilization reforms by increasing trust in the National Pension. This means that securing demographic capacity is one of the useful policy alternatives to directly or indirectly improve the balance structure of the National Pension. As discussed above, this study evaluates the financial problems of the national pens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find a new reform path that can simultaneously access the two goals of public pensions, such as adequacy and financial stability. 본 연구는 제도 내적 요인(수지균형)과 외적 요인(인구·경제·재정 여력)을 포괄하는 대안적인 관점에서 재정안정성을 재개념화하고, 이에 기반한 평가틀을 구축하여 국민연금의 재정상태를 새롭게 진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 한국의 국민연금제도는 현시점의 재정상태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반면, 중·장기적으로 급여지급 의무를 이행하는데 필요한 인구학적 여력(2030년 이후)과 제도적 여력(2060년 이후)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제도적 여력을 높이는데 주력해왔던 국민연금의 재정안정화 개혁지향을 재고(再考)하여, 인구여력 확보를 최우선 정책과제로 설정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는 인구여력 문제가 시기적으로 가장 우선해있을 뿐만 아니라, 제도 내 수지불균형 문제를 배가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출산율 제고 등 인구구조의 개선은 국민연금의 안정적인 기여기반을 담보함은 물론, 제도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 향후 재정안정화 개혁동인을 마련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는 인구여력의 확보가 국민연금의 수지구조를 직·간접적으로 개선하는 유용한 정책대안 중 하나임을 의미한다. 이처럼 본 연구는 국민연금의 재정문제를 다면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적정성과 재정안정성이라는 공적연금의 양대 표상에 동시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개혁경로를 모색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함의를 지닐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사출성형 설계에서 캐비티 충전 균형을 위한 수지 주입구의 최적 위치 결정에 관한 연구

        박종천(Jong-Cheon Park),성영규(Yeong-Kyu Seong) 한국기계가공학회 2010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9 No.6

        This study shows an optimization procedure for an automatic determination on the gate position to ensure the fill-uniformity within a part cavity by using the injection molding simulation. For an optimization, the maximum pressure-difference within a part cavity induced at the stage of filling is used to evaluate degree of fill-uniformity. In addition, a direct search scheme based on the reduction of design space is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optimization problem. This corresponding proposed methodology was applied in the optimization on the gate location for a CD-tray molding, as a result, showed the improvement of the fill-uniformity within the ca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