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렬의 수준별 평가에 대한 연구

        이민정,이양 한국학교수학회 2010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3 No.3

        고교 평준화 정책 이후 교육의 수월성이 소홀히 된다는 이유로 수준별 수업의 실시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다. 수준별 수업 이후 수준별 평가에 대한 도입이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표되었고, 이는 학생들이 수준에 맞는 평가를 받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Cotton의 평가가 갖추어야 할 원칙을 참고하여 Gipps의 시험의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강조하여 본 연구의 형성평가 문항의 구성기준을 세웠으며 이 기준에 맞게 수준별 평가 문항을 구성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MacGregor의 대수를 보는 관점과 Foucault의 관점에서 본 수학 수업과 Foucault의 시험에 대한 생각을 이론적 토대로 하여 행렬 단원의 교수학습 내용을 산술과 구조를 강조하여 도입하였으며 그 후, 학생들의 질문을 받아 학생들의 관심과 수준을 반영하여 수준별 평가 문항을 구성하였다. 그런 다음, 우리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형성평가 문항 기준에 맞추어 평가 문항을 적절하게 수정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영어·수학 수준별 수업에 따른 학생 평가 방안

        진경애,송미영,반재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3 No.2

        Ability grouping in Math and English classes has been emphasized and implemented in Korean secondary schools in order to enhance the individualized and customized educational contents to the students. Students are moved to the classes in which they are assigned with regard to their achievement for Math and English classes. However, the problem has been raised with regard to ability grouping in Korean school contexts. That is, the classes are offered with different contents based on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level, however, the students in different ability grouping are assessed with the same criteria and assessment tool. Therefore, the intent of ability grouping is not realized in the ideal way due to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contents of the subjects and the achievement tes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students assessment in the ability grouping, the current research has reviewed the practices of Korean schools and the schools in the U.S. and U.K. with regard to the assessment methods in ability grouping and suggested some approaches.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ing. First of all, we have suggested to match the contents of the classes and assessment tool either partly or totally different way. When the school adopt the totally different assessment tool for the different classes, there need to be the score adjustments based on the students' ability.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the national-level student achievement test be provided in two or three tiers with regard to different content levels and the schools and the students will choose the appropriate test. Third, we suggest that different courses for English and Math with regard to different contents and achievement levels should be offered rather than ability grouping classes within the same school year.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 및 수학 교과의 수준별 수업에 따른 학생 평가의 실태를 조사하고 다양한 평가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수준별 수업과 평가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준별 수업을실시하고 있는 총 500개 학교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및 선행 연구를 종합하여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수준별 평가 방안은 첫째, 부분적 수준별 평가지, 둘째, 전면적 수준별 평가지, 셋째, 혼합 평가지, 넷째, 국가 수준의수준별 평가지, 다섯째는 수준별 과목 제공 및 그에 따른 성적을 산출하는 방식이다. 부분적 수준별 평가지는 공통 평가지에 일부 수준별 세트 문항을 포함하여 학생들이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전면적 수준별 평가지는 수준별 학급(군)에서 다루는 내용을 중심으로 수준별로 독립적으로 평가 문항을 출제하는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 구안한 점수 조정 방식을 제시하였다. 혼합 평가지는 각학급에서 다룬 내용을 일정 비율로 출제하여 한 검사지에 모두 포함하는 방식이다. 국가 수준의 수준별 평가지는 국가 수준의 검사를 두 수준 정도로 출제하여 학생들이 선택적으로 응시하는 방안이다. 수준별 과목 제공 및 그에 따른 성적 산출 방안은 동일한 교과목 내용을 난이도와 수준에 맞게여러 과목으로 개설하여 학생들이 선택하게 하고 과목 내에서 평가를 받는 방식으로 현행 미국식방식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수준별 수업의 효과와 학생 능력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준별 수업에 따른 평가 방안을 도입하여야 하고, 이를 위하여 현행 내신 체제가 개선되어야 한다고제안한다.

      •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의 지속가능성 평가(Ⅶ)

        류재나,한혜진,김호정,김수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사업보고서 Vol.2020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 물 인프라 시설의 노후화로 인한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음 ㅇ 1970년대 구축된 물 인프라 시설들의 노후화로 인해 하수관로 파열, 싱크홀 발생, 붉은 수돗물, 유충 사태 등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안전사고의 발생위험 증가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임 ❏ 인프라 노후화에 대한 선제적 유지·관리가 필요하지만, 시설물의 노후화 수준 및 안전상태 등의 현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조차 어려운 실정임 ㅇ 노후화된 인프라의 재구축을 위한 투자 계획과 재원 마련방안이 부재함 ㅇ 인프라의 선제적 유지·관리를 위해 먼저 시설물에 대한 실태 파악이 필요하며, 관리주체가 되는 지자체가 보유한 자산 및 해당 자산의 상태, 사용자를 고려한 서비스 수준 등에 대한 파악을 기반으로 자산관리의 제도화 및 실질적인 적용이 시급함 2. 연구의 목적 ❏ 지자체별 경제, 사회, 환경 측면에서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여 정책의 효율성, 효과성, 형평성을 향상하기 위한 정보 제공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ㅇ 이전 연차별 연구결과 - 1~3차 연도 연구(이병국 외, 2014; 강형식 외, 2015; 강형식 외, 2016) ∙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 지속가능성 평가’ 기반 구축 - 4~6차 연도 연구(류재나 외, 2017, 2018, 2019) ∙ 전국 지자체 대상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 지속가능성 평가결과 보고서 발간 ㅇ 금년도 연구목적 - ’18년 기준으로 전국 지자체별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 지속가능성 평가 - 일반 국민 대상으로 물환경 서비스에 대한 태도와 의식 측정, 서비스 수준, 중요도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여 자산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현황 파악 - ‘물환경 서비스 지속가능성 정보시스템’ 고도화 - KEI Water Symposium 개최: 통합물관리 과제와 방향 모색 Ⅱ. ’18년 기준 지속가능성 평가결과 요약 1. 부문별 평가결과 ❏ 경제부문 ㅇ 전반적으로 지자체 단위 규모가 클수록 경제부문의 지속가능성이 우수하게 나타남 ㅇ 특·광역시 단위 지자체의 경우 상하수도 부채비율, 하수도 평균단가, 하수도 유지관리 비 투자비율, 하수도 개보수비 투자비율이 취약한 상태로 나타남 ㅇ 시 단위 지자체의 지속가능성 평가 결과 상하수도 부채비율, 하수도 평균단가가 취약한 상태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항목이 보통 수준으로 평가되어 향후 경제부문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주의가 필요함 ㅇ 군 단위 지자체에서는 상하수도 총괄단위원가, 상수도 중앙정부 지원액 비율, 하수도 개보수사업 투자비율 등이 취약한 상태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작년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개선방안 마련이 필요함 ❏ 사회부문 ㅇ 지자체의 규모가 클수록 서비스 보급의 사회적 공평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품질의 지역 간 형평성은 특·광역시 단위 지자체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ㅇ 특히, 상하수도 민원 발생빈도가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최근 몇 년간 발생한 붉은 수돗물, 유충 사태 등의 수질 문제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노후화된 인프라 정비가 시급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ㅇ 군 단위 지자체의 급수보급률, 하수도 설치율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상하수도 서비스 보급의 증대가 필요함 ㅇ 특·광역시 단위 지자체의 경우 상하수도 시설의 노후화율이 타 지자체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노후화된 인프라 시설에 대한 관리가 우선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나타냄 ❏ 환경부문 ㅇ 지자체의 규모가 클수록 상대적으로 환경부문의 운영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환경의 질적 측면에서는 취약한 것으로 평가됨 ㅇ 특·광역시 단위 지자체에서는 하천수질, 불투수면적 비율, 농업용수 이용량이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군 단위 지자체에서는 오염부하 배출부하량, 공공하수처리율, 1인 1일 물사용량, 누수율, 오염발생총량 처리율이 취약한 것으로 평가됨 Ⅲ. 물환경 서비스 국민 인식 조사 1. 설문조사 개요 ❏ 설문조사 개요 및 주요 조사내용 ㅇ 만 20세~69세 7개 특·광역시 남녀 총 1,155명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함 ㅇ 수자원·하수도 서비스에 대한 인식, 만족도, 중요요인, 개선요인에 대하여 조사함 2. 설문조사 결과 ❏ 수자원 서비스에 대한 설문 결과 ㅇ 수자원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수자원 관심 수준, 수자원 서비스 인지수준, 수자원 서비스별 인지 비율, 수자원 서비스 중요도를 구성하여 진행함 ㅇ 수자원에 대한 관심은 약 80%, 수자원 서비스의 중요함을 인식하는 비율은 약 87%로 높게 나타난 반면 수자원 서비스의 세부 내용에 대해 인지하는 비율은 약 30%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음 ㅇ 수자원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약 64점으로 다소 낮은 수준으로 판단되며, 중요요인으로 ‘안정적인 물 공급’과 ‘수압·수질 수준’이 높게 나타남 ❏ 하수도 서비스에 대한 설문 결과 ㅇ 전체 응답자 중 약 85%가 하수도 서비스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약 60점으로 나타남. 또한 하수도 서비스의 세부내용에 대해 아는 비율은 약 33%로 수자원 서비스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냄 ㅇ 하수도 서비스에 대한 중요요인과 개선요인으로 ‘악취 감소 서비스’와 ‘처리시설 및 관로의 노후화율 수준’이 높게 나타남 ㅇ 또한, 하수도 자산관리 서비스별 기대 수준에 대한 질문에서도 ‘악취수준’과 ‘처리시설 및 관로의 노후화율 수준’이 개선되기를 바라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 해당 서비스에 대한 개선 노력이 필요함 Ⅳ. 특·광역시 물환경 서비스 지속가능성 분석 ❏ 하수도 서비스의 지속가능성을 향상하기 위한 자산관리(Asset Management, AM) 체계의 전략적 구축 과정인 서비스 수준(Level of Service, LoS)은 소비자 측면과 공급자 측면으로 분리되며, 이를 결정하는 영향인자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함 ㅇ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측면의 서비스 수준에 대해 표본 지자체별 차이, 하수도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지표들과의 연관성에 서비스 중요요인 및 개선요인에 해당하는 인자들을 중심으로 분석함 ㅇ 국내외 사례분석과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서비스 수준 영향인자 12개를 도출하였으며, 대표적으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요금, 사회적인 측면에서 악취와 민원처리 소요시간, 환경적인 측면에서 하천수질 등으로 구성함 ❏ 분석결과 하수도 서비스 중요도에 있어 모든 지역에서 ‘악취 감소’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하수도 서비스 시급도에 있어서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노후화’가 가장 시급한 개선 요인으로 나타남 ㅇ 하수도 서비스 중요도 분석결과 악취(26.5%), 하수처리(13.7%), 노후화(13.1%), 하수역류(10.6%)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지역에서 악취 감소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남. 또한, 지역별 서비스 지표들의 중요도는 거의 차이 나지 않음 ㅇ 하수도 서비스 시급도 분석결과 노후화(26.3%), 악취(18.1%), 하수처리(10.6%), 침수(9.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 시급한 개선 요인에 있어 차이를 보임 - 서울, 부산, 인천, 울산 지자체에서는 ‘처리시설 및 관로 노후화율 개선’이 가장 시급한 요인으로, 대구에서는 ‘악취 감소’가 가장 시급한 요인으로 나타남 Ⅴ. 결론 ❏ 본 연구는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의 지속가능성 평가를 통해 예산의 효용성과 정책의 효율성, 지속가능성 평가에 대한 정보 제공에 목표를 두며, 다음과 같은 정책적 활용이 가능함 ㅇ 본 연구의 결과는 개별 지자체가 물환경 서비스 및 물 인프라와 관련하여 현재 상태 및 과거 변화추이 등을 파악하고, 서비스의 품질 향상, 효율적인 비용 집행, 물환경 서비스 제공을 위한 투자 및 계획의 수립 등에 활용이 가능함 ㅇ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물서비스에 대한 경제, 사회, 환경 부문에서의 지속가능성 평가결과에 대한 정보 제공을 통해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 유인 ❏ 차년도 연구에서는 통합물관리를 고려한 새로운 지속가능성 지표 발굴, 물환경 인프라의 자산관리 정책방안 제시, 물환경 서비스 지속가능성 정보시스템의 활용방안 마련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ㅇ 첫째, 통합물관리를 고려한 지속가능성 평가지표를 발굴하고자 함 ㅇ 둘째, 물환경 인프라 노후화에 대비한 자산관리 정책방안 제시를 위해 연구 협력을 위한 포럼 운영 및 세미나 개최를 하고자 함 ㅇ 셋째, 지속가능성 평가결과에 대한 홍보를 위해 언론, KEI 연구성과보고회 발표 및 대한상하수도학회 이사회 활동, 자산관리 정책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ㅇ 넷째, 물환경 서비스 지속가능성 정보시스템을 통한 대국민 정보서비스 제공과 시스템 홍보를 통한 이해관계자 참여를 촉진하고자 함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1. Research background ❏ Safety accidents are constantly occurring due to aging water infrastructure facilities. ㅇ Due to the aging of water infrastructure facilities, safety accidents such as the rupture of sewer pipes, sinkholes, red tap water, and tap water larvae are continuously occurring, and the increased risk is an important issue directly related to people's lives. ❏ Although preventiv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infrastructure aging is necessary, it is difficult to objectively grasp the level of aging and the safety status of facilities. ㅇ There is a lack of investment planning and financing for rebuilding aging infrastructure. ㅇ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tatus of facilities, and it is urgent to institutionalize and apply asset management based on the status of assets held by local governments and the level of service considering users. 2. Research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to improve the efficiency, effectiveness, and equity of policies by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of water environment services and water infrastructure. ㅇ Detailed research purpose of this report -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water environment services and water infrastructure - Annual reporting of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water environment services and water infrastructure for local governments ㅇ Purpose of this year’s research - Evaluation of Water Environment Services and Water Infrastructure Sustainability by Local Government in 2018 - Conducting an online survey among the general public - Advancement of ‘water environment service sustainability information system’ (http://wwrd.kei.re.kr/main.do) - KEI Water Symposium: Seeking the tasks of and direction for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WRM) Ⅱ. Summary of Water Services and Water Infrastructure Sustainability Assessment Results in 2018 1. Sustainability assessment results by sector ❏ Economic sector ㅇ Overall, the economic sustainability of large local governments is excellent. ㅇ The ratio of water and sewage liabilities, the average unit price of sewage, the ratio of investment to sewage maintenance costs, and the ratio of investment to sewage renovation costs are low in the special and metropolitan cities. ㅇ Si-level municipalities have a high ratio of water and sewage debt and the high average unit price of sewage. ㅇ Gun-level municipalities were assessed to have a low ratio of central government funding to water supply costs and a low investment ratio to sewage renovation costs, which are similar to last year’s results, so improvement measures are needed. ❏ Social sector ㅇ The larger the size of the local government, the better the social fairness of the distribution of services is. Also, the regional equity in terms of the quality of service was found to be weak among the local governments of special and metropolitan cities. ㅇ The water supply and sewage installation rates in gun-level municipalities are low, so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upply of these services. ㅇ Local governments in the special and metropolitan cities are analyzed to be vulnerable to the aging of facilities, indicating that management of aging infrastructure should be prioritized. ❏ Environmental sector ㅇ The large-scale local governments were found to be vulnerable in the aspect of environmental quality while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are carried out. ㅇ Special metropolitan cities: The river water quality, ratio of impervious surface cover, and agricultural water usage are estimated to be low. ㅇ Gun-level municipalities: The discharge load and daily water use per person were assessed to be considerable while the public sewage treatment rate was low. Ⅲ. A Survey on the National Perception of Water Environment Services 1. Survey overview ❏ Survey targets and the main content ㅇ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ing a total of 1,155 men and women aged from 20 to 69. 2. Survey results ❏ Survey results on water services ㅇ 80 percent of the respondents had interest in water services, and about 87 percen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ervices, while about 30 percent recognized the details of the services. ㅇ Overall satisfaction with water services is considered to be slightly low with a score of 64 points, and ‘stable water supply’ and ‘the level of water pressure and water quality’ are the important factors. ❏ Survey results on sewer services ㅇ Approximately 85 percent of all respond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ewer services. Also, approximately 33 percent know about the details of the services, which is a similar result as in water services. ㅇ For important and improvement factors of the services, ‘odor reduction service’ and ‘the deterioration level of facilities and pipelines’ were rated high. Ⅳ. Sustainability Analysis ❏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services to establish an asset management system. ㅇ This study analyzed the level of services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focusing on the important and improvement factors. ㅇ Based on the case analysis and surveys, 12 influencing factors were derived including charges (economic sector), reduction of odor and complaints (social sector), and water quality (environmental sector). ❏ Reduction of odor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ll areas and aging infrastructure was the most urgent factor for improvement. ㅇ Odor (26.5%), sewage treatment (13.7%), aging infrastructure (13.1%), and sewer backflow (10.6%)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service. ㅇ Factors that need to be urgently improved in sewer services were aging infrastructure (26.3%), odor (18.1%), and sewage treatment (10.6%),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priority improvements by region. - In Seoul, Busan, Incheon, and Ulsan, lowering the aging rate of treatment facilities and pipelines’ is the most urgent factor, while it is ‘reduction of odor’ in Daegu.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 This study aims at budget effectiveness and policy efficiency through the assessment of water environment services and the water infrastructure sustainability,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policy development as follows. ㅇ This study can be used in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and historical changes in water services and infrastructure,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efficient cost execution, and making investments and plans for providing water environment services. ㅇ Encouraging local governments to actively participate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results of the sustainability assessment in th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ectors is possible. ❏ Strategic research plan in 2021 ㅇ First, sustainability assessment indicators that takes into account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will be derived. ㅇ Second, forums and seminars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asset management against aging water infrastructure will be held. ㅇ Third, the results of the sustainability assessment will be disseminated through the press and KEI performance briefing. ㅇ Fourth, information will be provided to the public through the Information System on the Sustainability of Water Environment Services and the discussions on the plans to utilize the system

      • KCI등재

        초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타당도

        조재민,민경석,박인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sequential validity of NAEA(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terms of school practices.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s, the consistency of teacher’s classification of NAEA achievement level descriptions, the accuracy of predicted achievement levels for each student, and teachers’ application of NAEA results for teaching were evaluated. The research results were found that 1) teachers categorized achievement level descriptions somewhat differently from NAEA, 2) teachers expected more below-basic level students compared with NAEA, and 3) NAEA results were far less used than expected in school practices. Also, teachers kept focusing on the national curriculum regardless of the implementation of NAEA. In sum, we found the impacts of NAEA on schools were not in the intended directions and degrees, in terms of consequential validity defined by Messick. Based on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issues on the recent cessation of Elementary School NAEA and suggested several research points for further studies. 결과타당도는 평가 시행에 따른 결과가 본래 목적과 부합되는지, 평가 결과의 직 · 간접적인 사회/교육적 영향은 어떠한지에 대한 가치판단을 반영한다. 그러므로 국가차원에서 공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서 대규모 평가를 활용하는 경우, 평가도구의 결과타당도는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타당도를 단위학교 교사의 관점에서에서 논의하기 위하여, 성취수준 진술문에 대한 교사의 분류 일치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와 교사의 예측 성취수준의 일치도, 단위학교의 교육 활동 속에서 평가 목적의 구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수준 진술문에 대한 교사의 분류는 국어과와 수학과 모두에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성취수준 분류에 대한 일치율이 낮았다. 둘째, 개별 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와 교사의 예측 성취수준은 우수학력과 기초학력 미달에서는 상대적으로 일치율이 높았지만, 기초학력과 보통학력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도 평가 목적의 구현에 대하여 교사는 전반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단위학교 교사들은 평가 시행 결과가 학업 성취수준 파악, 학업 성취 추이 분석, 교수 · 학습 개선, 배경변인 정보 활용, 평가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 또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기초학력 보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현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개선(초등학교 재시행 포함)에 대한 논의에서는 평가 절차(학년, 과목, 전수/표본조사 등) 뿐만 아니라 평가 결과의 교육적 활용(결과타당도) 측면에서도 타당성이 지속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국가 대형 R&D 기술수준 측정 및 평가 방법 연구

        성웅현(Oong-hyun S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2 기술혁신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에서 국가 대형 R&D가 적용될 신제품의 기술수준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관점과 분석 방법론을 새롭게 제안하였고, 초전도 케이블 기술의 수준평가에 적용하였다 신제품의 기술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 요소기술 분류, 평가요인 분석, 평가항목의 구성 및 내용, 기술수준 평가 및 표현 방법등에 관한 논리적 절차를 제시하였다. 기술 경쟁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기술속성 변수를 설정하여 분석 하였다. 상대적인 경쟁성을 수치 및 위치로 표현하기 위해서 다변량 기법인 주성분 분석을 적용하였다. 기술성과 권리성평가 결과를 종합한 기술수준 평가에서 초전도 케이블 기술은 글로벌 선도기술 대비 최소 96.11% 최대 101.76% 범위 내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즉, 대상 기술의 기술수준은 ‘세계 선도기술과 비교하여 대등한 수준에 있다’는 주장을 채택할 만한 충분한 근거가 분석되었다. 제안된 신제품의 기술수준평가 관점 및 논리는 국가 대형 R&D 기술수준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new evaluation perspective and analysis methodology are suggested to assess the technological level of new product produced by national large R&D program and applied to case analysis of the superconducting cable technology. Logical Procedures for the assessment of the technological level include essential technology classification, analysis of evaluation factors, structure and content of assessment items, presentation method of the analysis result. Variable with technological properties are employed to analyze the relative competitiveness subjectivel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re applied to measure the relative competitiveness in terms of size and position. Finally the combined results of technology and right evaluation show that the technology level of DAPAS superconducting cables lies somewhere between 96.11% and 101.76% compared with a global leader in technology. The result provides sufficient evidences that it secures technological edges over other competitors. Therefore it can be called as a globally leading technology. New evaluation perspective and analysis methodology suggested can be applied usefully to assess the technology level of public large-scale R&D program.

      • KCI등재
      • KCI등재

        정보기술아키텍처 성과분석 모형을 활용한 정보화 수준평가 제도화 방안

        정명주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8 行政論叢 Vol.46 No.3

        This study is about how to consolidate different but similar e-government evaluation institutions. First, the main concepts included in the evaluation institutions are conceptualized in depth. These include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enterprise architecture, and information level (e-government level). The structures of the institutions are determined after analyzing relevant acts. Information resource ws included in the concept of enterprise architecture (EA), and EA is, besides information resource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the business and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EA management was settled as a criterion of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Next, the relationship among e-government indicators was analyzed, followed by a review of the current trends of the e-government measurement model through the results of relevant research.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proper for the e-government evaluation model can be displaced by the EA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This survey proposes that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mplement e-government evaluation and, after that, the Prime Minister's Office use evaluation results. 2008년 현재 정부업무평가기본법에 의거한 정보화수준평가(기관역량평가에 포함), 전자정부법에 의거한 행정정보자원관리 성과분석,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거한 정보기술 아키텍처 성과분석 등이 각 각 개별 법령에 의거하여 개발되었거나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업무평가에서의 평가의 통합 원칙에 의거할 때, 이들 유사한 평가기능들이 정립될 필요가 있다는 데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각 각의 평가제도에 내포되어있는 정보자원, 정보자원 관리, 정보기술아키텍처, 정보기술아키텍처 관리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정립하였다. 정립된 개념에 따라 이들 평가제도들이 근거하고 있는 법률을 검토하여 각 각의 상호관련구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보자원은 정보기술아키텍처에 포함되는 요소로서 정보기술아키텍처는 정보자원을 포함한 조직 전체의 업무(business) 및 성과(performance)와의 관계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고, 정보기술아키텍처 관리는 정보자원관리활동의 기준이 되는 개념으로 정립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현행 정보화수준평가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2000년도 제도화된 이후 지금까지 크고 작은 변화를 겪어온 정보화수준평가체계 및 모형과 더불어 최근 전자정부 발전단계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들을 함께 검토한 결과 정보화수준평가모형은 정보기술아키텍처 성과분석 모형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부업무평가에서 정보화수준평가를 시행할 때, 정보화총괄기관인 행정안전부에서 체제이론적 관점에서 정보기술 아키텍처 정책 기획 및 평가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는 차원에서, 먼저 행정안전부에서 정보기술 아키텍처 성과분석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정부업무평가에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나타난고등학생의 수학 학업 특성 분석

        김성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1 No.4

        This study seeks to examine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characteristics from the 2016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hich was published based on the 2009-revised mathematic curriculum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To do so, first, the test tool for mathematics in the 2016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as introduced, and overall assessment results were examined based on achievement score, percentage of achievement levels, correct answer rate in the content areas, and representative test items per each achievement level. Second, specific assessment results for seven content areas were sugges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ose with ‘proficient level’(47.63%)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students, while students with ‘basic level’ and ‘below-basic level’ accounted for 20%. Second, the results from examining representative test items per each achievement level showed that representative test items for advanced-level were evenly distributed, while representative test items for proficient level skewed towards topics ‘equations and inequalities’, ‘sets and propositions’, and ‘sequence’; for basic level, only ‘polynomials’ and ‘sets and propositions’ were observed. Third, an analysis of correct answer rate in the content areas revealed that the correctness rate of the ‘polynomial’ area was the highest and correctness rate in ‘functions’ area was the lowest. Fourth, in the ‘equations and inequalities’ area, ‘the relationship between quadratic functions and quadratic equa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quadratic functions and quadratic inequalities’ was more difficult for students than other achievement standards in equations and inequalities area. Fifth, within ‘Equations for geometric figures’ area, students scored low i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circle and a straight line’. Last, an analysis of essay type item asking for the reverse function of a composite function revealed that typical wrong answers occurred when symbols were used incorrectly to express the reverse function of a composite function, when the characteristics of reverse functions were not correctly applied, and when reverse functions were calculated inaccurately.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출제된 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고등학교 수학과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학업 특성을 살펴보고 교수‧학습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2016년 고등학교 수학과의 검사 도구를 소개하고 학업성취도 점수, 성취수준별 비율, 내용 영역별 정답률, 성취수준별 대표문항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평가 결과를 살펴보았다. 둘째, 7개의 내용 영역별로 상세한 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서답형 문항의 경우 다양한 답안 유형이 나타난 문항을 중심으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보통학력’ 수준(47.63%)에 해당하는 학생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기초학력’과 ‘기초학력 미달’에 해당하는 학생이 약 20%에 이르렀다. 둘째, 성취수준별 대표문항을 살펴본 결과, 우수학력 수준의 대표문항은 모든 내용 영역에 고르게 분포되었으나, 보통학력 대표문항은 ‘방정식과 부등식’, ‘집합과 명제’, ‘수열’ 영역에서 나타났고, 기초학력 대표문항은 ‘다항식’, ‘집합과 명제’ 영역에서만 나타났다. 셋째, 내용 영역별 정답률을 살펴본 결과 ‘다항식’ 영역에서의 정답률이 가장 높았고, ‘함수’ 영역에서의 정답률이 가장 낮았다. 넷째, 방정식과 부등식 영역에서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 ‘이차함수와 이차부등식의 관계’는 방정식과 부등식 영역의 다른 성취기준에 비해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내용이었다. 다섯째, 도형의 방정식 영역에서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가 낮았다. 마지막으로 함수 영역에서 합성함수의 역함수를 구하는 서술형 문항에 대한 분석 결과, 합성함수의 역함수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기호를 정확하게 사용하지 못한 경우, 역함수의 성질을 옳게 적용하지 못한 경우, 역함수를 옳게 구하지 못한 경우가 대표적인 오답의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후보

        수행평가를 통한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수준 평가 전략 탐구

        김수동(Kim, Soo Dong)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9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3 No.2

        우리나라 초·중등학교의 학습부진아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선발, 진단 및 배치와 지도, 그리고 지도 후 학업성취수준에 대한 평가로 구성된다. 그러나 학습부진아 판별검사, 진단 및 배치검사와 지도, 지도 후 검사 등의 평가가 대체로 결과 중심 평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중심 평가는 학습부진아들의 인지구조나 정보처리과정 등을 파악하기 힘들어 학습의 과정에 대한 평가가 어렵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평가 전략으로 수행평가의 도입 가능성을 연구하게 되었다. 즉 이 연구는 학습부진아의 결과 중심 평가 방법을 과정 중심 평가 방법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적절한 전략으로 수행평가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학습부진아 학업성취수준평가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둘째, 분석된 실태를 중심으로 학습부진아 학업성취수준 평가의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셋째, 수행평가가 가지는 특성을 학습부진아 학업성취수준 평가 전략 수립에 도입함으로써, 결과 중심 평가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였다. 끝으로 학습부진아에 대한 개선된 학업성취수준 평가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로 수행되었고 연구의 결과는 수행평가 방법을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수준 평가에 도입함으로써 단위 학교의 학습부진아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통한 학생의 발달 및 교수·학습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The problem of underachievers of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who are short of minimal achievement level per subject or 3R’s become serious in educational field daily. Generally, evaluation for underachievers consists of selection, diagnosis, allocation, instruction, and after-instruction achievement level evaluation. When we think of underachievers’ evaluation which began actively from in nineteen nineties in Korea,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test instrument on selection, diagnosis, allocation and instruction are driven systematically. But evaluation which is related on the after-instruction achievement level of the underachievers are analyzed poor. Because probably the after-instruction achievement level evaluation of the underachievers is related to discrimination test partially. By the way, evaluation for underachievers includes many difficult problems in these days. These phenomena are seemed to be caused by the problem of the product centered evaluation method on underachievers mainly. Therefore, to improve this condition, we studied the possibility introduc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as an achievement level evaluation method of underachiev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followings: First, we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chievement level evaluation of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Second, we confirmed the problem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 3R’s evaluation based on the analyzed actual condition. Third, we introduced performance assessme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product centered evaluation method. Fourth, we present improved academic achievement level evaluation strategy on underachiev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o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in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 the growth of underachievers by introducing performance assessment on the achievement level evaluation of underachievers.

      • 국방정보화수준 평가의 정량적인 평가체계 개발

        심승배,이상호 한국경영정보학회 2019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11

        측정하지 않는 것을 관리할 수 없다는 이야기가 있 다. 국방부는 정보화투자로부터 의미있는 효과를 얻 기 위하여 다양한 분야의 평가를 시행하고 있으며, 국방정보화 분야에서의 평가를 국방정보화정책 평가, 국방정보화사업 평가로 구분하고 있다. 국방정보화수준 평가는 국방부 및 각군의 조직이나 기관의 정보화 역량 등의 정보화 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 국방정보화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연구되 고 있는 국방정보화수준 평가체계는 정성적인 평가 지표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객관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정량적인 평가지표 중심으 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평가영역별로 수 준의 증감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주기적 으로 측정가능하도록 지표의 항상성에 초점을 두고 평가체계를 설계해야 한다. 또한 모든 평가지표에 대하여 목표 대비 성과의 개념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국방정보통신망, 컴퓨 터 체계, 상호운용성 및 표준화, 정보보호, 정보화 환경, 정보체계 활용 분야로 세분하여 국방정보화수 준을 측정하도록 제안하였고, 각 분야의 정량적인 측정지표도 개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