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결산 공시이후 개별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수정

        이동헌,유승원,김숙민 한국회계정보학회 2015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가결산 이익의 공시이후 나타나는 재무분석가 예측의 수정정도와 수정예측의 특성을 분석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가결산이익은 정보불균형과 적시성을 목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자본시장에서 유의한 정보로 활용되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가결산 이익이 자본시장의 정보중개인의 역할을 하는 재무분석가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바는 실증적 분석이 미진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가결산이익 공시이후 재무분석가의 수정행태를 분석함으로써 기업이 제공하는 정보가 재무분석가에 의해 어떻게 활용되고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가결산 이익 공시 이전 7,414개의 재무분석가 예측치 중에서 1,527개의 예측이 수정되었으며 이와 관련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결산 이익예측 공시 이후 가결산 이익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의 차이가 클수록, 가결산 이익의 공시유형이 수시공시보다 공정공시일 경우, 명성이 있는 재무분석가일수록, 대규모 증권사 소속 재무분석가일수록 업무복잡성이 낮은 재무분석가 일수록 수정예측에 관한 보고를 공시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는 재무분석가 예측수정의 공시의 결정에 있어서 공시정보의 특성 및 재무분석가 인적특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수정된 재무분석가 예측은 가결산 이익예측과의 차이를 반영하고 있으며, 명성있는 재무분석가는 이러한 예측정보의 차이를 증분적으로(incremental) 반영한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재무분석가는 가결산 예측의 차이를 예측수정에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가결산정보가 자본시장에서 중요한 정보의 원천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재무분석가의 예측수정의 공시와 관련해서 내재적 특성에 관한 근거와 이론적 모형은 제시되었으나 실증적 검증은 미진하였다. 본 연구는 가결산 이익의 특성 및 재무분석가 인적특성과 같은 수정공시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재무분석가의 예측수정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가결산 실적수정과 이에 대한 정정공시의 결정요인

        강내철 한국공인회계사회 2020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2 No.4

        Firms should disclose their preliminary earnings as soon as internal process of preparation of financial statements are ended to obey the disclosure requirement of supervisory institution. This is for relieving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firms and the stakeholder. By the way preliminary earnings are revised very often after an audit. Furthermore, despite the preliminary earnings is revised, almost of firms are not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It would be advisable to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on revision of preliminary earnings, when the preliminary earnings are revised. However it is not mandatory for firms to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It is discretion of firm whether or not to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over revision of preliminary earnings. Some firms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that their preliminary earnings are revised after audit while others do not. The decision on whether or not to make corrective disclosure over revision of preliminary earnings is significant in the point of information asymmetry. It is important to make a voluntary corrective disclosure over revision of preliminary earnings in that it can help to mitigate information asymmetry. If firms do not disclose the fact that preliminary earnings are revised, most investors would be unaware of earnings revision until final earnings are announced in annual report. Furthermore this can give some investors opportunity for arbitrage trading. Like this, undisclosed information can irrigate information asymmetry and cause problem of adverse selection. Stakeholder are concerned about firms’ disclosure quality. They worried that firms are trying deceive them by revise preliminary releases furtively, and omit a corrective disclosure when the preliminary earnings is revised. If that is true, the purport of supervisory authority to mitigate the information asymmetry by timely disclosure of preliminary releases would be damaged. The situation that a piece of firms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in time whereas most of firms do not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when the preliminary releases is revised provoke the reason why some firms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whereas other firms do not.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the motivations of voluntary corrective disclosure and meanings of corrective disclosure through market response to news of earnings revision. The data of 4,669 firm-year for 7 years(2012∼2018) are analyzed. It is predicted that a materiality of earnings revision, information asymmetry, litigation risk and accounting complexity could explain determinants of voluntary corrective disclosure. The dependant variable is measured with dummy variable which gets 1 if a firm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otherwise 0. The materiality is measured in two ways with absolute magnitude of earnings revision and qualitative materiality of earnings revision. The latter is dummy variable which gets 1 if the sign of earnings numbers has turned after earnings revision, otherwise 0. An information asymmetry exasperates an information cost which in turn undervalues a market valuation of firm. Therefore undervalued firms trying active policy in information disclosure to mitigate the information asymmetry. These activities would be result in a voluntary corrective disclosure of earnings revision. An information asymmetry is measured with three variables; a book-to-market ratio, a numbers of financial analysts who present a earnings forecast of the firm and share of foreign investors. A firm which has risk averse members in board of director or conservative auditor are more sensitive in disclosing corporate information to alleviate litigation risk. A litigation risk is measured with two variables; a ratio of numbers of outside director to total numbers of board member and an excess audit hour, a difference between actual audit hour and normal audit hour. An accounting complexity makes delay in announcement of preliminary earnings numbers which in tur... 기업들은 감독당국의 공시요구에 따라 혹은 외부이해관계자들에게 신속히 기업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가결산 실적을 공시한다. 그러나 이것은 감사되지 않은 수치이므로 사후에 수정될 수 있고 실제로 수정이 자주 발생한다. 수정된 실적은 중요한 투자정보이므로 적시에 외부에 공시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적수정에 대한 정정공시는 의무가 아니며 기업의 자율적 선택에 따른다. 이로 인해 실적이 수정되었더라도 정정공시를 누락하는 기업이 더 많은 상황이다. 실적이 수정되었을 때 이에 대한 정정공시를 하는지 여부는 정보비대칭의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정정공시가 없으면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나중에 최종재무제표가 발표되어서야 이를 알게 된다. 반면 어떤 투자자는 미공개정보를 이용하여 차익거래의 기회로 활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가결산 실적이 수정되었는데 이에 대한 정정공시가 없으면 정보비대칭이 악화되고 역 선택의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결산 실적이 수정되었을 때 어떤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정정공시를 선택하는지 정정공시의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최근 7년(2012년~2018년)간 가결산 실적이 수정된 상장기업 공시자료 4,669건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결산 실적이 수정되었을 때 이에 대한 정정공시를 선택하는 결정요인으로 수정의 중요성, 정보비대칭, 소송위험, 회계복잡성 등을 제시하였다. 분석에 의하면 이 요인들은 가결산 실적수정이 있을 때 이에 대한 자발적인 정정공시를 선택할 가능성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우수등재

        가결산 이익의 수정이 감사지연에 미치는 영향

        강내철 ( Naechul Kang ) 한국회계학회 2018 회계학연구 Vol.43 No.3

        재무제표 작성과정에는 미래의 상황에 대한 수많은 가정과 추정이 필요하고 그 과정에 경영자의 재량적 판단이 개입된다. 어떤 쟁점이 있을 때 이에 대한 경영자와 감사인의 입장은 다르다. 감사인은 감사실패에 대한 부담 때문에 보다 보수적 입장에서 경영자의 재량적 판단을 검토한다. 그 결과 감사인은 경영자가 제시한 회계수치를 더 보수적인 값으로 수정하도록 권고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회계수치가 이미 외부에 공시된 경우 이를 수정하면 부실공시라는 비난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경영자는 회계수치를 수정하는 것에 부정적일 것이다. 더욱이 이익조정의 의도가 없고 회계수치가 적절한 내부통제시스템에서 산출되었다면 감사인의 수정권고를 납득할 수 없을 것이다. 감사인은 이 문제를 풀기위해 추가감사를 통해 자신의 입장을 보강하여 경영자와 협의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는 감사지연을 유발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미 공시된 가결산 이익이 감사과정에서 수정되는 경우에는 유의한 감사지연이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이를 실증적 증거를 통해 확인하였다. 예상대로 사후에 가결산 이익이 수정된 경우에는 유의한 감사지연이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가결산 공시의 신속성을 추구할수록 공시의 정확성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결산 이익이 수정된 기업은 실적공시의 신속성을 위해 그 정확성을 희생한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결산 이익의 수정과 그로 인한 감사지연은 회계수치에 신뢰성을 부여하는 감사인 본연의 역할이 충실히 이행되었음을 나타낸다고 해석된다. If a preliminary earnings is disclosed, this numbers receive intensive attention of investors nevertheless unaudited numbers. However preliminary earnings can be revised after audit. Actually, lots of firms which disclosure preliminary earnings corrected their earnings numbers after audit. If the earnings numbers already disclosed are revised, manager will be suspected of issuing unreliable numbers. Therefore managers would not accept earnings numbers revised if manager has no incentive to manage earnings and earnings numbers had prepared in proper internal control systems. It needs so many estimation and assumption in preparation of financial statements, managers are allowed to make a discretionary judgement. Auditors review manager's discretionary judgement in conservative viewpoint due to risk of audit failure. This may cause a disagreement between auditor and manager in certain accounting issue. In this case, an auditor needs more time for collecting additional evidence to reinforce his basis of conclusion and negotiation with management. In a meanwhile, the publication of audit report will be postponed. In this article, we expect that there will be significant audit delay when unaudited earnings numbers are revised after audi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are significant audit delays when the preliminary earnings are revised. The auditor should conduct more precise audit procedure correcting earnings numbers. It seems that the auditors are faithful in his role to improve audit quality when the preliminary earnings are revised after audit.

      • KCI등재

        가결산 실적수정과 내부회계관리제도의 검토의견

        강내철 한국회계정책학회 2021 회계와 정책연구 Vol.26 No.3

        [Purpose] A lot of firms release preliminary earnings to provide financial information more timely, but these are not audited figure which can be revised ex post and actually often revised. The revision of earnings can make a confusion in the market, also can make a concern about effectiveness of internal control system. If a material amount of revision arises, review opinion on ICFR can be modified due to material weakness in internal control. This article examines the impact of revision of preliminary earnings due to audit adjustment on review opinion on ICFR. [Methodology] The impact of financial statement revision on review opinion on ICFR was measured using absolute change in net income. If change in net income exceeds a critical point of materiality, it could be possible that review opinion on ICFR is modified. [Findi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seemed that as a materiality in amount of change in net income is larger, the probability of modification of review opinion on ICFR is higher. These results were sustained after control the various factors that seem to be related with a decision of whether or not to modify review opinion on ICFR. The probability of reporting existing weakness in internal control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irm size, listing period, book to market ratio and blockholders’ share;i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uditor effort, financial distress, earnings revision in previous year, auditor size and auditor changes. [Policy Implications] The fact that review opinion on ICFR can be modified as material revision in preliminary earnings arise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whether or not to report existing material weakness in internal control, and also which has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of ICFR in providing investors with advance warning of potential accounting problems. [연구목적] 많은 기업들이 실적정보를 적시에 제공하기 위해 감사되지 않은 가결산 실적을 공시한다. 이로 인해 당기 감사과정에서 실적치가 수정되는 일이 빈번히 생긴다. 경영자가 공시한재무제표가 사후에 수정되는 것은 기업의 내부통제시스템이 유효하지 않았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정내용의 중요성에 따라서는 내부통제의 취약점을 이유로 내부회계관리제도 검토의견이 변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당기 감사과정에서 생긴 재무제표의 수정이 내부회계관리제도 검토의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연구방법] 가결산 실적수정 금액이 일정한 중요성 기준을 넘을 경우에는 내부회계관리제도검토의견이 변형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측한다. 이를 내부회계관리제도 검토의견의 변형여부를 종속변수로 하고, 수정금액의 크기(절대값)를 독립변수로 한 회귀모형을 통해 확인한다. 모형에는 종속변수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요인들(기업규모, 상장기간, 정보의 비대칭, 감사위험, 감사인의 특성 등)을 포함하여 해당 효과를 통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가결산 재무제표의 수정은 내부통제의 중요한 취약성을나타내고 이로 인해 내부회계관리제도의 검토의견이 변형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나아가 실적수정의 금액적 중요성이 클수록 내부회계관리제도의 검토의견이 변형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문제로 검토의견이 변형될 가능성은 기업규모나 상장기간, 정보의 투명성, 감사위험, 감사인의 보수성 등의 요인들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책적 시사점] 본 연구의 분석은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감사인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지만 가결산 재무제표가 당기 감사과정에서 수정되었을 때 내부회계관리제도 검토의견이 변형될 수도 있다는 사실은 감독당국을 포함한 기업의 모든 이해당사자들에게 중요한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경영자의 가결산 이익공시가 재무분석가의 예측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최정운,이동헌,황문호 한국회계정책학회 2013 회계와 정책연구 Vol.18 No.1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ffect of forecast error in preliminary financial reports on analysts' forecast properties using 1,125 from 2006 to 2009. Preliminary financial reports, one of management forecast disclosures, are announced mandatorily or voluntarily before actual earnings are finalized at the general shareholder meeting in Korean stock market for the purpose of decreasing information asymmetry. Prior research report that some companies have a tendency to release the optimistic earnings by taking advantage of regulation weakness. The disclosure of firms affect market participants. Specifically, firms have a feedback relation with analysts, which implies that they take each others' information into account.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reflect their error in their revised forecasts. This paper focuses on the effect of forecast error in management forecast on analysts forecasts. Our result shows that the accuracy of analysts forecasts after the disclosure of preliminary financial reports decreases. Also the revised magnitude of analysts has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analysts' forecast error, which means that analysts reflect error in preliminary financial reports into their revised forecast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improving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 of management and analysts. Also our results provide a better way to help more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in market. 본 연구는 경영자의 가결산 이익공시가 재무분석가의 예측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선행연구와 언론보도에 따르면, 사업연도 종료 직후 경영자가 제공하는 가결산 이익은 실제 이익보다 과대하게 예측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결산 공시에 포함된 예측편향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가설로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가결산 이익공시 전․후의 재무분석가 예측정확성을 분석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경영자의 가결산 공시 이후 수정된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치는 그 정확성이 유의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재무분석가의 예측정확성은 경영자의 가결산 이익예측오차가 클수록, 재무분석가의 예측수정 정도가 클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결산 예측오차는 재무분석가의 예측오류 증가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결산 이익정보에 내포된 경영자의 예측편향이 재무분석가의 예측 의사결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한편, 자본시장의 정보비대칭을 완화하기위해 도입된 가결산 공시제도가 적절한 통제장치의 부재로 인해 오히려 시장의 비효율성을 높일 수도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자본시장의 주요 정보 원천인 경영자와 재무분석가의 관계를 실증함으로써 기업공시에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역대국회 회기별 법률안의 처리결정과 처리기간의 영향요인

        朴倞墩 한국의정연구회 2015 의정논총 Vol.10 No.2

        국회의 입법활동 중 법률안의 결정에 대한 시계열적이고 계량적이고 거시적인 분석이 미진한 가운데, 국회회기를 기본 단위로 제헌국회 이후 현 19대 국회의 337회기까지 법률안의 채택과 불채택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법률안의 통과양태 즉 원안가결, 수정가결, 불수용, 철회라는 4가지 의사결정의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행정부 발의 및 위원장 발의 등의 발의권자 변수는 원안가결의 처리결정에 대한 영향력이 강하였다. 수정가결에는 본 연구의 이용 변수 이외에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양한 변수들이 철회기간을 지체시키고 있었으며, 불수용이라는 결정이 발생하면 처리기간은 매우 짧은 것으로 분석된다. 법률안의 처리결정과 처리기간이라는 두 가지 종속변수에 대해서는 위원장이 발의한 법률안은 원안가결에 영향이 강하면서 법률안의 처리기간을 줄였다. 행정부에 의해 발의되거나 여소야대 국회에서 발의된 법률안의 사전조율이 잘 된 경우 통과에 어려움이 없지만, 그 반대로 실패할 경우에는 수정되거나 통과를 위한 처리시간이 늘어남을 알 수 있다. 국회는 정태적인 입법안의 의사결정의 장이 아니라 동태적인 논의의 장이다. 최근 회기로 올수록 원안가결, 수정가결, 철회의 의사결정 속도가 빨라지고 법안통과가 가속화되고 있어 국회의 입법안 결정의 생산성은 높아지고 있어 바람직하지만, 충분히 숙고되지 않거나 사전조율되지 않은 법률안은 도태될 운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법률안의 제출 전에 보다 긴 시간을 가지고 논의하여 되도록 원안가결이 될 수 있는 좋은 법안이 제안·통과되어 다양한 불협화음을 줄어들기 기대해 본다. Given there is a lack of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legislative process, this study tries to statistically test the bill passage in legislative sessions from the first National Assembly to the recent 19th National Assembly. The research analysis focus is on the determinants of the adoption and/or rejection of bill in each parliament session. Bills proposed are grouped into bill passage per se, bill amendment, bill non-acceptance, and bill withdrawal.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variables of bill proposal such as the government proposal and committee chair proposal have strong effects on bill passage. The amendment of bill is affected by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the withdrawal of bill happens with the delayed decision-making of bill, the non-adoption of bill lasts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passage time. A variable of committee chair proposal tends to shorten the period of bill passage. Divided Government is likely not only to yield bill amendment but also to lengthen the passage time. Parliament is not a static place for decision-making but a dynamic one for active discussion. Through active debate in the Assembly, the productivity of bill passage is higher than the past. However, in order to seek desirable outcomes in bill passage, National Assembly needs to get more sufficient time to discuss the bill proposed.

      • KCI등재

        입법과정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 변화 연구 : 제17대, 18대 국회를 중심으로

        邊雄田,黃潤元 한국의정연구회 2012 의정논총 Vol.7 No.2

        우리나라의 고령인구 증가속도는 세계적으로도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노인복지정책 관련 법률 정비는 시급한 국가적 과제라고 할 수 있으며, 입법부의 노인복지관련 법률 정비는 노인복지정책의 핵심이다. 노인복지정책의 변화는 노인복지법과 같은 입법활동의 변화를 통해 잘 나타난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 결정과정에서의 국회역할을 제17대와 제18대국회의 보건복지위원회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의 현실을 분석하고, 미래 방향을 찾고자한다. 특히, 노인복지법은 1981년 6월 5일 확정, 공포되어 제정되었는데, 1984년 제1차 개정 이후 20여 차례나 개정되었다. 이 과정에서 노인복지법은 2000년대 들어와 주택 관련 규정정비, 노인 학대방지관련 규정 개정 및 기초노령연금제도 규정의 개정을 통해 노인들이 실제로 피부에 느낄 수 있도록 선진화되고 현실화되어 왔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제17대, 제18대 국회의 노인복지정책 관련 활동을 입법과정인 법안 처리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 17·18대국회 본회의에서 최종적으로 가결된 보건복지위 소관 법안은 총 218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통과법안 218건중 노인복지정책과 관련 법안은 19건이었으며, 이는 이 시기에 통과된 보건복지위소관법안의8.7%에 불과하다. 이는 노인복지정책 관련 법안에 대한 제정이나 정비가 좀 더 필요하며,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여전히 미흡하다는 점을 말해준다. Korea is becoming one the most fast moving country in terms of aging society in the world. Accordingly the government of Korea should be well prepared for this new policy environment for the elderly through legitimizing these national agendas. Since the policy changes takes place in legislation process in the legislative body, the Korean parliament should take appropriate policy actions toward this rapidly changing elderly-friendly policy environment.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plores the elderly welfare policy making process through 17th and 18th legislative sessions in Korea, particularly examining the Health & Welfare Committee legislation processes so as to seek the desirable future policy objectives. Specifically the Elderly Welfare Law has been revised 20 times so far in the parliament since its inception in 1981 as a token of policy changes in Korean elderly policy. As a result of these frequent revisions of the Elderly Welfare Law, the law per se has become more advanced and materialized for the elderly to make more secured livings. In this regards, it is important for us to conduct a research covering elderly welfare policy making processes through legislation process focused on the recent parliamentary sessions of 17th and 18th,, and this study is one of those efforts. The study result shows that only 8.7% of total bill in the committee was found to be in the elderly policy related issues, showing 19 bills out of 218 bills, and that the more concerns and efforts to enact and revise the elderly welfare-related laws so as to enhance the standard of living for the elderly should be driven in the Korean parliament and society as a wh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