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 3~6학년 수와 연산 영역 오류 진단 및 피드백 자료 현장 적용을 통한 학생 지도 사례 연구

        손영복(Young bok Son),최근배(Geun bae Choi)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3 초등교육연구 Vol.- No.2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3~6학년 수와 연산 영역 오류 진단 및 피드백 자료(이하 2021학년도 장학자료)’가 수학과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의 수와 연산 영역 오류 유형 지도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3월 초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검사에서 6학년 수학과의 미도달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대상 학생에게 2021학년도 장학자료를 적용하여 수와 연산 영역의 오류 유형을 지도하고, 그 지도 과정과 효과를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 대상 학생이 연구 대조군 대상 학생에 비해 6월 초 실시한 기초학력 향상도 검사에서 전반적인 수 연산 문제해결능력이 좀더 높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초등 3~6학년 수와 연산 영역 오류 진단 및 피드백 자료’가 수학과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의 수와 연산 영역 오류 진단 및 수와 연산 문제에 대한 학생의 이해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며, 지도 교사의 입장에서도 학쟁 지도법 연구에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Numbers and Operations Areas Error Diagnosis and Feedback materials for 3rd~6th grade Elementary school (here in after referred to as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created in 2021)' is effective in teaching the number of students who have not reached the basic level of mathematics and the type of error in the Numbers and Operations Area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the researcher selected students who did not reach the sixth grade mathematics in the national-level basic scholastic proficiency diagnostic test in early March. The researcher appli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created in 2021 to the research target students to guide the types of errors in the numbers and operations areas, and analyzed the teaching process and effects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howed that the study subjects improved their overall numerical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 basic academic ability improvement test conducted in early June compared to the students in the study control group.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Numbers and Operations Areas Error Diagnosis and Feedback materials for 3rd~6th grade Elementary school' helps to diagnose errors in the numbers and operations area of students who have not reached basic math and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of numbers and operations problems, and it is also helpful for the guidance teacher's research on student teaching methods.

      • KCI등재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수와 연산 영역의 재구조화 연구

        서보억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 Vol.59 No.2

        This study is an analysis study on the number and operation area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is study is a literature analysis study that analyzes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number and operation area, and suggests the restructuring direction of mathematics learning contents for numbers and operation areas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contents of the number and operation areas suggested from the 1st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were considered. In addition, in this study, analysis of the mathematical learning contents of number and operation area was conducted. The detail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decided as a tertiary mathematics curriculum as a criterion for analysis. Second, a basic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by subdividing the content of mathematics learning into content elements and terminology elements. Third, on the basis of the developed analysis framework, mathematics learning contents that are the core issues of number and operation area were extracted. Fourth, the extracted mathematics learning contents were compared with foreign curriculum.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direction of restructuring for the number and operation area of middle school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curriculum. 본 연구는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수와 연산 영역의 시대적 변천 과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와 연산 영역에서 수학 학습내용의 재구조화 방향 제시를 위한 문헌 연구이다. 이를 위해 1차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부터2015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까지 제시된 수와 연산 영역의 내용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와 연산 영역의수학 학습내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비교 분석의 기준을 3차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으로 설정하였고, 분석을 위한 수학 학습내용으로 내용요소와 학습요소로 세분화하여 기본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이러한 기본 분석틀을 기초로 수와 연산 영역의 핵심 이슈가 되는 수학 학습내용을 추출하여, 추출된 수학 학습내용에 대해 세계 여러 나라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중학교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에 유의미한 재구조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수와 연산영역의 오류유형에 따른 효과적인 지도 방안

        장수연,안병곤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수학의 수와 연산 영역에서 학생들이 보인 주된 오류 유형을 찾아 분석하고, 오류에 따른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알아보았다. 1학년 1개반 학생들에게 교과서수준의 20문항씩 2번 나눠서 실시하여 20%이상의 오류문항을 선별하여 해당학생과 개별 면담과 관찰을 통한 분석하였다. 오류를 많이 보인 내용은 수 영역에서 50개 이상의 수 세기에서 수를 잘못 세는 오류가 50%이상 발생하였고, 연산 영역에서 대부분의 뺄셈에서 발생하였다. 여기서 발생된 오류를 4가지 유형에 따라 분류한 결과, 부정확한 개념과 정의에 대한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은 수와 연산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 정의, 사실, 기능 등을 확실하게 정립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였다. 또 오류의 교정방안으로 개별 면담과 구체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놀이를 통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오류교정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불량 예비셀을 고려한 자체 내장 수리연산을 위한 분석 영역 가상화 방법

        정우식(Woosik Jeong),강우헌(Wooheon Kang),강성호(Sungho Kang) 大韓電子工學會 2010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7 No.12

        수율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불량 셀을 예비 셀로 수리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메모리가 2차원 예비셀 구조를 갖는 상황에서, 최근의 Giga 용량 메모리의 경우 대부분의 칩에서 예비 셀에도 불량이 존재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예비 셀에 불량이 있는 경우를 고려한 자체 내장 수리연산 시 기존의 모든 자체 내장 수리연산 회로에 적용이 가능한 분석 영역 가상화 방법을 제시하였다. 분석 영역 가상화 방법은 향후 메모리 고용량화에 따른 필수 해결 사항인 에비 셀 불량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memories, repair is an unavoidable method to maintain its yield and quality. The probability of defect occurence on spare lines has been increased through the growth of the density of recent memories with 2 dimensional spare architecture. In this paper, a new analysis region virtualization scheme is proposed. the analysis region virtualization scheme can be applied with any BIRA (built-in redundancy analysis) algorithms without the loss of their repair rates. The analysis region virtualization scheme can be a viable solution for BIRA considering the faulty spare lines of the future high density memories.

      • KCI등재

        구성주의 지식관이란 관점에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분석 : 1학년과 2학년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이부다,김진호 한국학교수학회 2010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3 No.3

        교육과정 개정시 교육과정의 기본철학이 바뀌면 그 바뀐 철학에서 보는 지식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 및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인 구성주의 이론의 지식관이란 관점을 준거로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제7차 교육과정과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 수학교과서를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구성주의 지식관을 준거로 분석하였다. 연구자의 교과서 분석의 객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교과서 한 단원을 정해 초등수학교육전문가들과 연구자의 분석을 Kappa 계수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의 분석의 객관성을 확보한 후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한 준거로 기능, 개념, 계산 원리, 개념 원리, 일의성, 다양성, 계열성, 통합성의 교육과정 내용변인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 및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인 구성주의 지식관이란 관점에서 교과서를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육과정과 교과서 사이의 괴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