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에 대한 형성적 동료평가 프로그램 사례 분석

        신종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3

        대학의 수업 개선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오랜 기간 동안 외국 대학들에서 시행되고 있는 수업에 대한 동료평가(peer review of teaching)에 대하여 최근에는 국내 대학들에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신종호와 홍성연(2013)은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하여 국내 대 학에 적용할 수 있는 동료평가 프로그램 모형들을 개발하고, 우선적으로 형성적 동료평가 프로그램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후속 연구로 국내 대학에서 진행된 수업에 대한 형성적 동료평가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여 동료평가의 효과와 함께 프로그 램의 형태와 참여자의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동료평가의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 형성적 동료평가 프로그램은 수업 공개 및 동료 교수 간의 대화를 활성화하여 수업개선을 위한 협력 적 교육 문화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교수들은 동료평가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수업에서의 문제점 분석 및 수업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수업 기술을 획득할 수 있으며, 전공이 같은 교수그룹인 경우 교과내용, 전공특성, 학생특성을 고려한 논의 및 피드백을 상호 교환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동료평가 프로그램은 교수들이 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게 하는 내재 적 동기부여 역할을 하였다. 동료평가 프로그램의 형태와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동료평가가 형성적 목적 이라 하더라도 프로그램 참여 동기와 참여자의 특성에 따라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과 기대, 멘토의 자격에 대한 의견이 달랐다. 또, 동 료평가 과정에서 제공되는 대화와 피드백의 내용과 형태도 참가자의 특성과 그룹 구성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 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에서 동료평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수업평가의 주요 쟁점에 관한 비판적 검토

        김민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1

        이 연구에서는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수업평가의 목적, 준거와 기준 및 방법을 중심으로 현행 수업평가에 관한 주요 쟁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사를 대상으로 한 향후 수업평가에서 새롭게 고려 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존 수업평가와 2010년부터 시행될 수업평가 방안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들 방안과 관련하여 관련 주체들이 제기하고 있는 수업평가 목적, 수업평가 준거와 기준의 타당성, 수업평가 방법의 객관성과 다양성 등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새롭게 시행될 수업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수업평가의 목적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수업평가의 준거와 기준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수업평가 방법을 다양하게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수업평가를 위한 지속적인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 다섯째, 수업분석 도구의 지속적 개발이 필요하다. 여섯째, 수업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review on the key issues of teaching evaluation that focused on the aims, methods, and criteria of teaching evaluation, and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teaching evaluation development.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main trends on teaching evaluation and identified the basis on establishment that purpose, contents, criteria and standards of teaching evaluation. Also, interview was taken for the abstract teachers\ recognition about teaching evaluation. In the light of critical review of the present teaching evaluation, some implica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evaluation system need that teaching evaluation\ s aim is to be clear. Second, teaching evaluation system acknowledge the diversity and self-regulating of teaching evaluation\ s criteria and standards. Third, for operation in teaching evaluation system, it need to diverse teaching evaluation\ s methods. Forth, for the operation in teaching evaluation system, it need teacher training for teacher evaluation. Fifth, for the operation in teaching evaluation system, it needs development of instruction analysis tools. Sixth, for the operation in teaching evaluation system, it needs feedback about the results of teaching evalu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수학 및 영어 교사의 수업과 평가 연계에 대한 인식 및 실태 분석

        진경애,정연준,박정,이명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1 No.3

        고등학교 수학, 영어 교과의 수업-평가 연계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136개 고등학교 수학 및 영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고등학교 교사들은 수업과 평가 연계의 당위성에는 높은 점수로 동의하였으나 실제 연계 실태에 대해서는 당위성 보다 낮은 점수를 부여하였다. 한편, 수업과 평가 실태에 있어서 수학 및 영어 교과에서 서로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수업 활동의 다양성에 대한 점수는 영어 교과에 비해 수학 교과에서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수업 활동 계획 시 수학 교사는 영어 교사보다 진도 계획을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활동 유형은 두 교과 모두에서 ‘강의식’ 유형의 실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수업 활동 시 학생의 참여도가 낮은 이유에 대하여 영어 교과에서는 ‘상급 학교 진학 준비 위주의 수업’을, 수학 교과에서는 ‘수업 내용의 높은 난이도’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수업과 평가의 연계, 학생 참여 중심, 활동 중심 수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고등학교 수학 및 영어 교사의 활동 중심 수업 및 수업과 평가 연계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project is to explore the state of aligning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high school Math and English. 2015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instruction and assessment alignment, but teachers are not prepared enough for this policy. In order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e of instruction-assessment alignment, the survey with 504 teachers-Math and English teachers- was implemented.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d that instruction-assessment alignment is necessary, but actual alignment of the classroom activities and assessment was not easy. In order to facilitate strong alignment of classroom activities and assessment, enhancing teachers’ expertise through action-orien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s recommended.

      • KCI등재

        수업과 평가 연계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실태 분석

        진경애,박정,정연준,이명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alignment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high school Mathematics and English classes. Aligning instruction and assessment is important in that if the contents and the activities dealt in the classes are not adequately aligned with the assessment, the students'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may decrease. In order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on the alignment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survey with 504 teachers and 7,251 high school students were implemen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generally perceived that the class contents are reflected in the assessment.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first grade students and the second grade students in the perception in that the second grade students perceived lesser linkage of the instruction and assessment comparing the first grade students.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alignment of the instruction and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ize of cities and the type of high schools. The students in large cities and the special purpose schools perceived more linkage of the instruction and assesment comparing small cities and general high schools. Comparison of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perception showe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ighter linkage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an the students. There should be some educational policies to lessen the gap in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alignment of the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fluenced by the grade–first or second grade-, the size of cities and the type of schools as well as the gap with the teachers. 교사의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에 따라 수업 실제가 다르게 운영될 수 있기 때문에 학생의 인식을 파악하는 일은 중요하다. 이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활동 중심 수업과 평가의 연계가 그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수업과 평가 연계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수업과 평가 연계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136개 고등학교의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수업 내용과 활동이 평가에 반영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1학년에 비해 2학년은 수업 활동의 학생 평가 반영 정도에 대해 낮게 응답하고 있었다. 지역별로는 대도시가, 학교 유형으로는 특목고 학생들이 수업 활동의 평가 반영에 대한 응답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평가 결과가 영어와 수학 교과 모두에서 학습 증진에 효과를 미치는 정도에 대하여 학생들의 응답은 1학년 수업이 2학년 수업보다, 대도시가 읍‧면지역 보다, 그리고 특목고가 일반고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업과 평가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 인식을 변화시키고, 학교 유형이나 지역에 따른 차이를 줄이는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부가적으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대체로 교사의 응답 평균이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 활동 평가 후 즉시적 피드백을 제공하는지에 대해서도 학생들은 교사보다 낮은 응답 반응을 보였다. 이는 교사가 학생들의 요구나 태도를 지각하는데 있어서 학생의 시각을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에서의 동료평가 프로그램 도입 방안 탐색

        신종호,홍성연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1

        동료 교수들이 서로의 수업에 대해 검토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수업에서의 동료평가(peer review of teaching)가 대학의 수업 개선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여러 외국 대학에서 시행되 고 있다. 수업에서의 동료평가는 교수들 간의 교수법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전공 특정적인 교수전략 탐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수업의 공개와 평가를 부담스러워하는 우리나라 대학 교육 풍토에서 이제껏 시행되지 못하여 왔다. 본 연구는 국내 정서를 고려한 대학 교원 간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 프로그램 도입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에 기초하여 세 가지 유형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전문가 그 룹토의를 거쳐 통합된 동료평가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파일럿테스트를 통해 해 당 프로그램이 교육의 질적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였다. 이 논문은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수업에서의 동료평가 프로그램 도입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국내 대학 교수들의 의견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수업과 평가의 연계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김수동 안암교육학회 2011 한국교육학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그동안 수업과 평가의 연계에 대한 노력을 체계적으로 해오고 있는 한국과 일본 의 동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초중등학교의 수업과 평가의 연계 및 연계 관련 초 중등교육정책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일본의 수업과 평가의 연계의 개념과 주요 내용 및 실천 방법을 탐구한다. 둘째, 한국과 일본 학생의 학습과정에 대한 평가에 기 초하여 수업지도의 개선을 진행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셋째, 한국과 일본의 수업과 평가의 연계를 추진하기 위한 학교의 노력을 탐구한다. 넷째, 연계의 개념과 주요 내용 및 실천 방 법 측면, 학생의 학습평가에 기초하여 수업의 지도개선을 진행하는 방법 측면, 연계를 추진 하기 위한 학교의 노력 측면에서 한국과 일본을 비교 분석한다. 다섯째, 일본의 수업과 평가 의 연계가 우리나라의 연계 관련 초중등교육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일본의 수업과 평가의 연계가 우리나라의 연계 관련 초중등교육정책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 과 같다. 첫째, 교사는 다양한 자료를 통하여 수업과 평가의 연계 전반에 대하여 숙지하고 이해하며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도와주어야 한다. 둘째, 수업과 평가의 연계 사례를 교사 연수 프로그램 형태로 개발하거나 교사들이 자학자습할 수 있는 교재를 개발, 보급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한다. 셋째, 수업과 평가를 연계하는 전문성을 예비 교사 교육과 자격증 부여 프로그램에 통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넷째, 교사 임용 이후에 계속 기회를 제공하는 연수 프로그램의 이수 기회 및 시기, 연수 내용과 방법 등이 수업과 평가의 연계 능력 신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도록 노력한다. 다섯째, 교사의 수 업과 평가의 연계 능력 신장과 관련된 시범 연구학교를 운영하여 현장 적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노력을 한다. 여섯째, 학생의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이 부단히 신장될 수 있도록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 등 모든 교육관계자가 힘을 합쳐서 노력한다. This study expects to elicit a variety of implications which are helpful for linkage between instruction & evaluation of the Korean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The specific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tries to inquire the concept, key contents & implementation situations on the linkage between instruction & evaluation of Korean & Japanese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Second, this study tries to inquire improvement methods of Korean & Japanese elementary & secondary schools' instruction on the basis of evaluation on the learning processes of Korean & Japanese student. Third, this study tries to inquire the efforts of Korean & Japanese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in order to push ahead the linkage between instruction & evaluation of Korean & Japanese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Fourth, this study tries to compare & analyse the 3 comparative aspects between Korea & Japan mentioned previously as first, second & third. Lastly, fifth, this study tries to elicit a variety of implications on which linkage between instruction & evaluation of Japanese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influences on linkage between instruction & evaluation of Korean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6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on which linkage between instruction & evaluation of Japanese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influences on linkage between instruction & evaluation of Korean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are elicited by this study.

      • KCI등재

        Rasch 모형을 활용한 예비 국어 교사 대상의 국어과 수업 실연 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진수민,최숙기,김형성,김지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敎員敎育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alidated and reliable Korean language classroom performance evaluation tool using a multi-stage Rasch model. The criterion for classroom performance evaluation was selected based upon the concept of ‘class expertise' and previous research carried out concerning class evaluation. As a result, we selected three sub-factors: ‘linking learning objectives with teaching - learning processes', ‘classroom interaction', and the ‘language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eachers'. Motivation induction, presentation of learning goals, consistency of learning goals and contents, appropriateness of learning activities, explanations and demonstrations, footprints, inducing student interests, data utilization, evaluation, strengthening and feedback were examined. The ability to cope and the use of the classroom were also addressed. Four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evaluated on their performan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11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were also involved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Facets Minifac, which was based on the multi-stage Rasch model. 이 연구의 목적은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춘 국어과 수업 실연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수업 실연 평가의 준거는 수업 전문성에 대한 개념과 수업 평가 관련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학습 목표와 교수-학습 과정의 연계성’, ‘교실 상호작용’, ‘교사의 언어· 행동 자질’의 3가지 하위 요인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14가지 준거의 5점 척도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중등 예비 국어 교사 대상의 수업 실연 평가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어교육과2학년 재학생 11명을 대상으로 현직 국어 교사 4인이 수업 실연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는 다국면 Rasch 모형을 근거로 제작된 Facets Minifac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실연 평가에 나타난 평가자의 엄격성 차이는 –1.34 ~ -.99 logit까지로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평가자간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평가자 내 일관성은 내적합도 기준(0.5~1.5 logit)에 따라 적절한 점수를 부여하고 있음을 보였다. 수업 실연 평가 범주별 타당성에 대한 분석결과, 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4) 피험자가 느끼는 곤란함은 모든 평가기준에서 동일하였다. 평가자와 평가기준의 편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편향은 도출되지 않아 평가기준을 해석 및 적용하는 기준이 신뢰할 수 있음을 밝혔다. 평가 도구 5점 척도 적합도를 분석한결과 2점 척도의 적합도에 다소 문제가 있으나 피험자와 평가자 수가 극히 제한적이었으므로 추후피험자 수를 확대하여 추가 검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어 수업 실연의 신뢰할 수있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수업 실연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함으로써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고 학교 교육의 질적 제고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수업평가 관련 변인에 따른 수업평가 결과 차이 탐색 연구

        손충기(Sohn Chung-Ki),김영태(Kim Young-Tae) 한국교육평가학회 2007 교육평가연구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시행하고 있는 대학의 학생 수업평가 결과가 교과의 성격(교양과정, 교직과정, 전공과정)과 학급 규모, 교수자의 특성(성, 지위), 학생의 특성(성, 성적), 척도에의 반응 유형 등의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밝혀 이 분야의 연구과제를 제안하고 수업평가 결과의 해석과 활용에 관한 시사점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5학년도 2학기에 사범대학에서 개설한 34개 과목의 수업에 대하여 남학생 596명, 여학생 1,001명 등 1,597명이 15개 문항으로 구성된 수업평정 5점 리커트척도(매우 우수 ~ 매우 미흡)에 의해 수업평가를 실시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BR>  그 결과, 수업담당 교수의 특성, 즉 교수의 성과 지위(전임교수/시간강사)에 따른 수업평가 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교과의 성격에 따라서는 전공과정, 교양과정, 교직과정 과목의 순으로 수업평가 영역 8개 모두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 학급규모가 적을수록 평가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의 특성으로서 성별의 경우 남학생의 수업평가가 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평가 해당 교과 성적 수준별, 학기 평균평점 수준별에 따라서도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의 수업평가가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평정척도상의 특정 점수에 획일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46%로서 매우 높았으며, 이러한 획일적인 평정은 전공과목, 소규모 학습반, 전임교수 담당 과목, 남자 교수 담당 과목, 성적이 우수한 학생 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BR>  이러한 결과는 대학의 수업평가에 교과의 성격, 학급규모, 성적을 비롯한 학생 특성, 교수의 특성등의 요인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수업평가 과정에 작용하는 다양한 편향요인(bias factors) 규명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대학의 학생 수업평가 결과를 타당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variables - such as characteristics of each course, sex and status(full-time or part-time) of instructors and students, and types of response - in evaluating teaching in order to find out some meaningful suggestions about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se results.<BR>  For this study, the reponses of 1,597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ir evaluations were about 15 items of “Evaluation of Teaching” in 34 courses(12 from liberal culture, 4 from teaching profession, and 18 from maj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BR>  Fir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sex and statu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8 ite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rse. Especially students" evaluations on their major cours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other courses. Third, students" evaluation in small size of their class was higher. Fourth,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students" evaluation according to sex and status of instructor. Fifth, in the case of sex, the result of male student was more affirmative than that of female, and in the case of each course, grade of course under evaluation, and the average grade to a term, the result of high achieving students was relatively higher.<B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hows that the factors such as characteristics of course and student like grade, class size, and instructor"s sex and status can make it possible to have an effect on the evaluation of teaching in university. Therefore, to clarify some bias factors related to the course of students" evaluation of teaching needs more systematic research and needs to be more deliberate in using and applying the results.

      • KCI등재

        사이버대학 수업 주체의자기성찰 중심 수업평가도구 개발

        강인애,이성아,강윤주 한국교육방법학회 2014 교육방법연구 Vol.26 No.4

        평생학습사회에 걸맞게 사이버대학은 양적인 성장을 해오고 있으며, 그에 따른 질적 성장이 요구되어 왔다. 이런 맥락에서 사이버대학의 질 관리 및 학습자들의 수업만족도 제고를 위하여 새로운 수업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수업평가도구가 교수자 및 교과목을 평가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는 학생, 교수자, 그리고 수업조교 각자의 입장에서 수업 활동에 대하여 자기성찰적 평가를 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본 평가도구를 통해 수업에 대한 질과 만족도를 향상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자기평가의 목적을 띈 수업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 FGI, 델파이 조사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개발된 평가도구는 교수자, 학생, 수업조교의 3그룹이 시기적으로 학기 초, 학기 중, 학기 말 3회에 걸쳐 자기평가를 실시하는 수업평가도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평가도구의 활용이 궁극적으로는 사이버대학의 특성을 반영하는 평가도구이며, 나아가 사이버대학 수업 질 관리 및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While life-long learning Society has boosted quantitative growth of cyber university, recent social needs require its substantial development, which, in specific, indicate quality management of and learners’ increased satisfaction with their cyber classes confirmed through course evaluation results. In other words, course evaluation systems should be reexamined to clarify its primary goal and objectives directly related to quality assurance of cyber classes in cyber university.

      • KCI등재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강대현,박영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사회과교육 Vol.44 No.3

        본 연구는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연구로서, 국내외의 수업 평가 논의와 학교 현장의 수업 평가 실태에 대한 논의들을 토대로 사회과 수업 평가 논의의 단초라고 할 수 있는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동시에 이러한 기준을 구체적인 관찰 및 분석 지표로 만들어, 사회과 교사가 자신의 수업과 동료 교사들의 수업을 관찰․분석하고, 서로의 수업에 대해서 장학할 수 있는 공통적인 잣대를 제공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기준 개발의 토대라고 할 수 있는 사회과 수업 평가 영역 및 요소를 설정하였다. 사회과 수업 평가 영역 및 요소는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와 수업 관찰 및 면담 결과를 토대로, 네 가지 범주의 사회과 수업 평가 영역과, 10개의 세분화된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의 개발 주체와 요구되는 기준의 유형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실제로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안)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안)의 검증 및 상세화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실제로 일부 기준의 상세화 사례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수업평가 상세기준의 예를 통해 구체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고, 사회과 수업평가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분야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ubject-specific(Social Studies) standards for teaching evaluation that assess a series of activities related to the classroom teaching which makes up the cor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Furthermore, we ventured to propose the methods of application based on the Social Studies teaching standards. We tried to define the major categories, sub-categories and elements of teaching standards based on the review of the recent foreign and domestic research results and survey results from school teachers. Major categories are divided into four parts in general: (a)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subject matters and teaching preparation, (b)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s, (c)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as reflective practitioners, and (d) connective abilit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 teaching standard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follows: (a) the guidelines for the beginners who want to improve their own performance through analyses and reflective practices, (b) the directives for the experienced teachers who are engaged in mentoring, peer coaching, and collaborative school-wide improvement, (c) the criteria for administrators and supervisors who assess and advise the classroom teaching, and (d) the criteria of the program development for improving teaching profess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