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수업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도구 개발

        김광현,조규락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수업을 위한 수업분석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업관찰과 기록, 해석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수업의 분석요소와 항목, 기준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분석과 사용성검토, 전문가검토 및 현장평가를 포함하는 개발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현장에 실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수업분석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분석도구는 사전활동(교수자조사, 학습자조사), 교수자(수업언어, 수업전개), 학습자(수업언어, 수업전개), 매체 및 환경(수업매체, 수업환경), 교수전략(교수자중심, 학습자중심), 사후활동(결과평가)의 6개 요소(11개 대항목)와 이에 따른 24개의 소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수업분석도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 분석을 지향하여 분석의 기준을 상세히 제시하였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에 덜 의존하며 수업분석 대상자도 분석결과를 이해하기 쉽다. 둘째, 수업분석도구는 수업을 분석하는데 수업관련 체제적 변인들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통합적인 분석도구로 간주할 수 있다. 셋째, 종합적이고 다양한 수업 분석 요소와 기준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수업분석 전문가는 수업의 목적이나 방법, 특징에 따라 적절한 수업 분석 요소와 항목을 취사선택할 수 있다. 이는 유사한 분석을 지양하고 수업 특성에 맞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게 한다. 넷째, 수업 관찰 이전과 분석 이후의 과정도 포함하여 수업분석의 폭을 넓혔다. 이를 통해 수업분석 전문가는 자신의 전문성을 더할 수 있다. 끝으로 본 수업분석도구는 대학수업 뿐만 아니라 초중고교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analysis tool for college classes. For the purpose, the study developed analysis elements, items, and criteria of instruction in order that instructional analysis experts systematically and synthetically conduct the observation, record, and interpretation of instruction. Applying a model developmental research including literature review, usability test, expert review, and field test, the study developed a synthetic instructional analysis tool, which composes of 6 elements, 11 items, and 24 sub-items. The instructional analysis tool has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it presents the criteria of analysis in detail for quantitative analysis. Thus, instructional analysis depends less on an expert’s individual experiences and is easy for instructors to understand. Second, it considers instruction-related various systemic variables. Thus, it can be an integral tool for analysis. Third, it uses synthetic, various analysis elements and criteria. This allows an instructional analysis expert to choose appropriate elements and items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instruction, methods, and features, followed by eliciting useful suggestions accordingly. Fourth, it broadens the instructional analysis and allows instructional analysis experts be able to increase his/her expertise. Finally, it can be used to analyze classes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s well as college classes.

      • KCI등재

        음악과 원격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온라인 도구의 교육적 접근

        이선미(Lee Seonm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논문은 음악과 원격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온라인 도구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먼저 원격수업과 온라인 도구에 대한 유형과 특성을 살펴보고 온라인 도구를 원격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도구를 ‘원격 교실 온라인 도구’와 ‘수업 활용 온라인 도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교실 공간 대체 온라인 도구는 화상회의 플랫폼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하나의 교실을 대안할 수 있는 것으로 교실로의 활용이 가능한 도구로 보았고, 그 외에 교실 내에서 학생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도구는 수업 활용 도구로 구분하였다. 본고는 온라인 도구의 교육적 접근을 위하여 도입, 전개, 마무리 단계로 구분하여 활용 방안을 논하였다. 각 단계별유용한 온라인 도구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수업사례를 제시하였다. 단계별 특성에 따른 온라인 도구의 사용으로 원격수업에서 실재감을 높이며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도모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과목의 특성과 교수자의 수업 목표 등에 따른 온라인 도구의 선택과 활용 방법이 원격수업을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대면 수업에 있어서 온라인 도구 활용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전략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online tool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usic remote learning. First of all,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mote learning and online tools were explored to present practical methods for applying online tools to remote learn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plored online tools categorized into “Remote classes” and “Online tools for application to learning”. The tools for video classroom space alternative online deal with video conference platform in priority. And it were considered as alternatives to classroom and tools for application to classroom and the others as class application tools for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classrooms. This paper classified educational approaches to online tools into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finishing step and explored utilization methods. It also purposed to present useful online tools for each step and subsequent class examples. Furthermore, it can be intended to improve the sense of reality in remote classes by using online too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ep and promote ac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and learner and learner. The selection and utilization method of appropriate online tools for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subjects and lesson goals suggested in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help lead remote learning to success.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some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on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for utilizing online tools in face-to-face learning.

      • KCI등재

        예비 과학 교사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및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

        한화정 ( Han Hwa-jung ),심규철 ( Shim Kew-cheo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실시한 뒤, 예비 과학교사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및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 도구는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효과,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능력,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수업 설계 및 수업 실연 능력 등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비 과학 교사의 온라인 수업도구 활용 인식을 조사한 결과, 예비 과학 교사는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받기 전에는 본인이 속한 대학교에서 주로 사용한 실시간 화상 강의 도구와 기존의 대면 수업에서 주로 사용된 온라인 수업 도구 위주로만 알고 있을 뿐 다양한 온라인 학습 도구에 대해 잘 알지 못하였다. 그러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받은 후 예비 과학 교사는 다양한 온라인 수업 도구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온라인 수업 도구 중 학생의 참여를 유도하고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 자료를 관리하기 용이한 온라인 수업 도구를 선호하였다. 예비과학 교사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중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예비 과학 교사는 교육 프로그램 내용 중 온라인 수업 도구를 선정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예비 과학 교사는 교육 프로그램이 온라인 수업 관련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본인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능력과 수업설계 및 수업 실연 능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즉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예비 과학 교사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 교사 교육으로서 온라인 수업 도구활용 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인 운영과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terms of their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nd their perceptions of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fter providing education on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to a group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or a semester. An inventory of their perceptions of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consisted of five areas including the satisfaction and effect of such programs, abilities to utilize online teaching tools, lesson designs based on online teaching tools, and teaching demonstration skills. The finding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utilizing online teaching tools show that they did not know various online learning tools before receiving education on their utilization. They were only familiar with real-time video lecturing tools that they usually used in the college and the online teaching tools used in the face-to-face lessons. After receiving training, however, they became familiar with various online teaching tools and developed a preference for such online learning tools which could be used to create an environment to induce students'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and to more easily manage learning materials. The study also examin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nd found that they had the greatest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e of utilizing online teaching tools," which provided experiences of selecting and making use of online teaching tools, in the cont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at educational programs were helpful to enhance their online teaching competence and they were positively aware of their abilities to utilize online teaching tools, design a lesson, and give a teaching demonstration. That i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d positive reactions to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needed to consistently run and expand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s part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우수등재

        수업 관찰 도구 활용 국내 실태에 관한 문헌 분석

        서희주(Suh, Heejoo),김지현(Kim, Jihyun)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1

        학교는 학생들에게 좋은 수업을 제공할 의무가 있다. 어떤 수업이 좋은 수업인지 정의하고 이에 따라 수업을 분석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수업 관찰 도구를 활용해왔다. 그러나 어떠한 수업 관찰 도구가 빈번하게 쓰였고 이러한 도구들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또 이러한 도구들이 어떠한 맥락에서 어떠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는지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수업 관찰 도구가 가진 중요성과 유용함에 비추어 보았을 때 우려되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수업 관찰 도구에 관한 문헌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수업 관찰 도구를 어떤 상황에서 어떤 목적으로 사용했는지 살펴본 다음, 다수의 연구에서 쓰인 관찰 도구가 갖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업 관찰 도구를 사용하는 상황과 목적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여러 연구에서 활용한 관찰 도구는 대부분 해외에서 개발한 것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수업 관찰 도구에 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활발하게 일어나야 함을 시사한다. Schools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quality education to all students. Researchers have developed and applied various classroom observation tools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teaching” and to analyze instructional practices based on such framework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synthesize different aspects of the use of classroom observation tools, such as how the tools were used for which purposes and the dimensions of the instructional practices that these tools looked at. Given the significance of classroom observation tools for research and practice, such gaps in the literature needed to be addressed.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previous studies used classroom observation tools and the nature of the tools used in multiple studies. We summarized how those observation tools were used, for which purposes they were us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ools. We concluded by offering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classroom observation.

      • KCI등재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경영 향상 방안 탐색

        강정찬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7 교육혁신연구 Vol.2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mprovement methods of teaching management through the systematic classroom activities analysis that include teaching management strategies, teaching management analysis methods and tools. Method: These improvement methods of teaching management was developed through action research that utilize literature review, expert interview, and field application.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ystematic teaching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effective and various teaching management information was constructed and presented. Second, teaching management analysis methods and tools were developed to implement systematic classroom activities analysis to improve teaching management. The teaching management analysis methods and tools use the processes of analysis that would be implemented through three steps (diagnostic analysis, analysis of classroom activities, handling of the results). Conclusion: These improvement methods of teaching management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will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and materials to design and practice systematic teaching management strategies .to instructional analysts and teachers. Also, it will provide methods and tools of reflective management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class management. 연구목적: 수업경영과 관련된 하위요소와 구체적인 세부전략을 통합하여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수업경영을 분석할 수 있는 체계적인 분석방법 및 도구를 개발, 적용하여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경영 향상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실천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문헌연구, 전문가 검토를 통한 수업경영 향상 방안을 개발하고, 교사 2명을 선정하여 현장 사례적용 과정에서 다양한 자료의 수집,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수업경영 향상 방안을 수정·보완하였다. 연구결과: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경영 향상 방안으로 첫째, 효과적이고 다양한 수업경영 정보에 기반을 둔 체계적 수업경영 전략으로 구성 제시하였다. 체계적 수업경영 전략은 크게 4개 영역 구성요소로 수업시간 관리, 수업자원 관리, 언어적 표현 전략, 비언어적 표현전략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하위 전략 및 세부 하위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교수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해당 설명을 개요 수준에서 제시하고 있다. 둘째, 수업경영 개선을 위한 체계적 수업분석을 실천하기 위한 수업경영 분석방법 및 도구를 개발하였다. 수업경영 분석 절차는 진단분석 - 수업분석 - 결과 처치의 3단계 과정을 거치되 각 단계별로 필요한 수업경영 분석도구로 진단분석도구인 체크리스트와 성찰일지, 수업분석도구로 수업관찰 및 분석도구인 수업시간 관리 분석도구, 수업자원 관리 분석도구, 언어적 표현전략 분석도구, 비언어적 표현전략 분석도구, 결과 처치도구로 방사형 그래프와 종합분석이 포함되어 있다. 논의 및 결론: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경영 향상 방안은 현장 교사들에게 체계적인 수업경영 전략에 대한 설계 및 실천에 실제적인 정보 및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리고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경영 분석방법 및 도구를 제시하여 수업경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반성적 성찰방법 및 도구, 자기 성찰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문제기반학습 수업 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도구 개발

        홍광표(Kwangpyo H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문제기반학습 수업을 실시하고 수업컨설팅을 실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수업분석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실시한 연구방법은 사례연구, 요구분석, 전문가 평가 및 내용타당도 검증이었다. 사례연구는 연구주제와 관련된 분야의 문헌중심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요구분석은 현장 교사들을 중심으로 수업분석도구 개발에 있어 필요한 사항에 대한 필요를 수집하였다. 전문가 평가는 관련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도구의 최종안 개발을 위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증은 본 연구의 결과 개발된도구의 최종안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수업분석도구는 크게 수업 전 도구, 수업 중 도구, 수업 후 도구로 구분된다. 수업 전 도구는 수업 설계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확인하기 위한내용을 중심으로 되어 있다. 수업 중 도구는 문제기반학습의 절차별로 교사의 활동, 학생의 활동이 합당하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내용으로 만들어졌다. 수업 후 활동은 전체 활동의 평가와 성찰을 확인할 수 있도록개발되었다. 초등학교 문제기반학습 수업 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 도구는 수업의 흐름에 따라 수업 전, 중, 후 활동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각 내용은 학습 흐름에 따라, 학습의 구성요소에 따라, 수업 참여 대상에 따라 만들어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수업 분석도구는 체계성, 과학성, 객관성을 갖출 수 있도록 구안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struction analysis tools that can be used when conducting problem-based learning classes and conducting instruction consulting in elementary schools. The research methods carried out for the realization of the research purpose were case study, needs analysis, expert evaluation, an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Case studies were analyz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literature-centered cases in field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The needs analysis collected the needs for the item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class analysis tools, centering on the field teachers. For expert evaluation, opin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inal tool were collected from experts in the relevant fiel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final draft of the tool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nstruction analysis tools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re largely divided into pre-class tools, in-class tools, and post-class tools. The pre-class tool is centered on the content to check the items to be considered in the class design stage. In class, the tools were created to check whether the teacher's and student's activities are properly organized for each procedure of problem-based learning. The activities after instruction were developed to confirm the evaluation and reflection of the entire activity. Instruction analysis tools for elementary schools problem-based learning instruction consulting should be developed as pre-, middle-, and post-class activitie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instruction. have to lose In addition, instruction analysis tools should be designed to have systematic, scientific and objectivity.

      • KCI등재

        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질 관리를 위한 수업분석 도구 개발

        임정훈,김미화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a instructional analysis tool to improve the quality of synchronous online classes being implemented by university professors or instructors in higher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was reviewed focusing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he synchronous online classe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8 students and 5 professors who experienced online classes at I University to derive a draft analysis tool. The draft of the developed instructional analysis tool was validated by 5 experts in two rounds, and was modified and revised through this process. In addition, the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4 professors from I University to confirm whether this tool could be used regardless of the department or professor’s individual online experi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structional analysis tool for synchronous online class was finally developed, which consists of 4 areas and 20 questions, and some questions were presented with additional explanations to help understand the meaning of contents and context. Finally, some implications and practical guidance for instructional consultants or university professors to improve the quality of synchronous online classes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질 제고와 관리를 위해 수업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수업의 질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중심으로 문헌을 고찰하고, I대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학습자 38인과 교수자 5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분석도구 초안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분석도구 초안은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 5인에게 2차례에 걸쳐 타당성 평가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이렇게 수정 보완된 분석도구는 단과대학의 계열이나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과 상관없이 활용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소속 계열과 수업 경험이 상이한 I대학 교수자 4인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관련 의견에 기초하여 분석도구 문항의 일부를 수정 보완하였다. 이와 같이 3차례에 걸쳐 진행된 타당화 과정을 통해 실시간 온라인 수업분석 도구가 최종 개발되었다. 분석도구는 4개의 영역(수업구성 및 진행, 자료 및 학습지원 도구, 상호작용, 기술적 안정성)과 2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 문항들은 내용의 이해도를 명확히 하기 위해 괄호안에 부연설명을 추가로 기술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분석 도구는 온라인 수업을 다각화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실제적 도구로, 수업컨설팅을 수행하는 컨설턴트나 수업을 설계, 운영하는 교수자에게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질 제고를 위해 확인하고 점검해야 하는 주요 사항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실험·실습수업 자가 진단 도구 개발

        박상언,장경원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self class diagnostic tool to manage the quality of experiment/practice class, which are one of the importa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university class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literature analysis of experiment/ practice clas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4 instructors and 5 learners in experiment classes and practice class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items of the diagnostic tool for the experiment and practice class were constructed, and then the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of the items was tested. Afterwards, a diagnosis tool for experiment and practice classes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test results. The experiment and practice class diagnostic tool consists of 3 upper domains, 9 lower domains, and 33 items. The top areas are 1) class preparation, 2) class implementation, and 3) class performance. The sub-domains include 1) preparation of experiment/practice class contents, 2) preparation of experiment/practice class environment, 3) explanation of experiment/practice contents, 4) encourage interest and participation, 5) experiment/practice management and control, 6) collaboration activity management, 7) experiment/practice class environment management, 8) task and assessment management and 9) class performance. The developed self experiment/practice class diagnostic tool will help effectively diagnose and evaluate experiment/practice class, and guide instructors' roles in experiment/practice class. However, since experiment/practice classes vary according to major, department, and subject, there is also a limitation in that the questions of the developed diagnostic tool should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diagnostic tools for various types of experiment/practice class. 이 연구는 대학수업의 중요한 교수・학습 방법 중 하나인 실험・실습수업의 질 관리를 위해 실험・실습수업 자가 진단 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험・실습수업에 대한 문헌분석과 실험・실습수업의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실험・실습수업 자가 진단 도구 문항을 구성한 후 문항에 대한 타당도 검사를 거쳐 실험・실습수업 자가 진단 도구를 개발하였다. 실험・실습수업 자가 진단 도구는 3개의 상위 영역, 9개의 하위 영역, 33개의 문항으로 구성된다. 상위 영역은 수업 준비, 수업 운영, 수업 성과이다. 하위 영역은 실험・실습수업 내용 준비, 실험・실습수업 환경 준비, 실험・실습 내용 설명, 흥미 및 참여 유도, 실험・실습 관리 및 통제, 협업 활동 관리, 실험・실습수업 환경 관리, 과제 및 평가 관리, 수업 성과이다. 개발된 실험・실습수업 자가 진단 도구는 실험・실습수업에 대한 효과적인 진단과 평가, 실험・실습수업을 위한 교수자의 역할 안내에 도움을 줄 것이다. 그러나 전공 및 교과목별로 실험・실습수업이 다양하므로 개발된 진단 도구의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해야 한다는 제한점도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다양한 유형별 실험・실습수업을 진단 및 평가할 수 있는 진단 도구 및 평가 도구 개발과 활용 사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 수업에서 창의성을 촉진하는 수업평가 도구 개발

        변현정,김누리,유지현,이용민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9 창의력교육연구 Vol.19 No.4

        This study is to develop course evaluation inventory to enhance creativity in higher education. In developing the course evaluation inventory, ADDIE from instructional design model, CIPP from evaluation model, and 4P from creativity research were adapted to construct evaluation categories and items. After development of course evaluation items, first and second expert reviews for content validity and face validity were conducted. Six categories and items of course evaluation inventory for enhancing creativity were developed. The inventory include instructor’s self evaluation version and student’s course evaluation version. The course evaluation inventory for enhancing creativity consists of six factors including learning goal,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teaching methods for promoting creativity, creative outputs, evaluation method and learning outcomes. The effect of this inventory were verified by applying this tool to course evaluation of two different types of courses, both creativity promoting courses and general lecture based courses. 이 연구는 대학생 창의역량 증진을 위하여 창의성 수업평가 도구의 영역과 문항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수업평가 도구개발을 위하여 교수체제개발모형인 ADDIE, 교육평가모형인 CIPP와 창의성 4P모형을 기반으로 평가요인 및 문항을 구성하였고, 1차, 2차 전문가 내용타당도와 학생 안면타당도 검증을 거쳐 총 6개 문항으로 창의성 수업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평가도구는 교수자 자기평가와 학생 수업평가로 구성되었으며, 6개의 영역인 ‘학습(수업)목표, 창의적 학습환경, 수업방법, 창의적 결과물, 평가방법, 학습성과’에 대한 문항이 포함되었다. 또한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여 창의성을 촉진하는 수업과 일반 수업에 적용하여 평가도구의 결과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창의성 수업평가 도구를 대학생 창의역량을 증진하고자 하는 수업평가에 활용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수업평가 도구개발 연구

        박승순(Park, Seung-So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전문적인 자질과 직접 관련된 자신 및 타인의 수업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개발과 이 도구의 타당성을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는 대집단 이야기나누기와 소집단 조형활동의 수업을 평가할 수 있는 수업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이 도구에 의해 교사의 실제 수업행동을 담은 비디오 수업자료를 평가해보게 한 다음 교사의 자기평가와 유아교육 전문가의 평가와의 일치도를 통해 본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의 수업평가 문항 선정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치원교사 166명을 대상으로 비디오 수업자료에 의한 개방형 질문지 조사하였다. 다음은 유아교사 수업평가 문항의 내용 타당도 검증 및 수정하고 유치원 교사와 유아교육관련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유아교사의 수업평가도구 시안 완성한 후 수업평가도구 적용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공사립유치원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비디오 수업자료에 의한 평가를 실시하여 유아교사의 수업평가도구를 확정하였고, 수업평가점수가 상위인 교사 2인, 하위인 교사 2인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자기평가와 유아교육전문가의 평가의 일치도를 통한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비디오 수업자료를 활용한 유아교사 수업평가도구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제 교수행동에 있어 유아교사 자기평가와 전문가 평가간의 일치도를 살펴본 결과 상위집단 교사는 자신의 수업을 비교적 일관되게 평가하는 반면에 하위집단 교사는 자신의 수업을 정확하게 평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디오 수업자료를 활용하여 개발한 유아교사의 수업평가도구는 타당하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is study trie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ectiveness Evaluation Scale (TEES), a scale that can be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It seeks to answer two questions: Is TEE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for evaluating teaching effectiveness? And how is the consistency between the selected teachers" own teaching effectiveness evaluation and researcher"s?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a total of 166 early childhood educators watched authentic video segments of story sharing and small group art activity time. As they watched, they evaluated the teachers" teaching effectiveness. In the second phase of this study, 212 early childhood teachers, absent from the initial phase of the study, evaluated teachers" teaching effectiveness using TEES while watching the first phase’s video segments. The results from the second phase were use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original items. Afterwards, four teachers from among the 212 had their own classroom management video taped. Using that video segment, the study evaluated the degree of consistency between the selected teachers" evaluations regarding teachers" teaching effectiveness and that of the researchers. The study found evidence that the TEES is an appropriate instrument for evaluating teacher"s teaching effectiveness. It also found that of the four early childhood teachers, two scored high and the other two scored low on the TEES. The degree of consistency between the selected teachers" evaluations and those of the researchers" was found to be hi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