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구연 : 소간암 환자에서 고주파열치료와 수술적 절제의 치료 성적 비교

        홍성노,최문석,이준혁,고광철,백승운,유병철,이종철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소간암의 치료법으로는 수술적 절제가 가장 높은 완치의 기회를 제공하는 치료법으로 인정 받고 있으며 경피적 알콜 주입술보다 더 좋은 치료 성적을 보임이 보고 되고 있다. 최근 사용되는 고주파 열치료는 경피적 알콜 주입술보다 종양의 완전 괴사율이 높고 국소재발율이 낮아 수술적 절제에 버금가는 치료 성적이 기대되지만, 아직까지 고주파 열치료와 수술적 절제의 치료 성적를 비교한 연구는 보고 되고 있지 않다. 이에 연자 등은 소간암의 치료에 있어서 고주파 열치료와 수술적 절제의 치료 성적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2년 3월까지 간암으로 진단받고 수술적 절제 혹은 고주파열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간암의 크기가 3 cm 이하, 개수가 3개 이하이면서 이전에 간암에 대한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로 Child-Pugh 점수가 5점인 환자들 중 시술 또는 수술 후 1개월째 시행한 영상학적 검사에서 완전 괴사나 완전 절제가 확인된 경우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들을 대상으로 국소 재발률, 원격 재발률 및 무병생존율과 생존율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고주파열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는 총 63명(남:여=49:18, 평균연령=56.5세)이었으며, 수술적 절제를 시행 받은 환자는 총 102명(남:여=83:19, 평균연령=51.7세)이었다. 추적 관찰기간의 중위값은 고주파열치료군이 22개월, 수술군이 24개월이었다. 결과: 1) 국소 재발률 - 고주파열치료군의 1년, 2년, 3년 국소 재발률은 각각 1.5%, 6.9%, 19.9%였으며, 수술군의 경우 각각 1.0%, 1.0%, 1.8%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2) 원격 재발률-고주파열치료군의 1년, 2년, 3년 원격 재발률은 각각 25.4%, 50.4%, 63.4%였으며, 수술군의 경우 각각 20.9%, 38.5%, 45.8%으로 양군 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0). 3) 무병 생존율 - 고주파열치료군의 1년, 2년, 3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71.6%, 44.5%, 35.6%였으며, 수술군의 경우 각각 79.1%, 61.5%, 54.2%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9). 4) 생존율 - 고주파열치료군의 1년, 2년, 3년 생존율은 각각 98.4%, 86.7%, 73.6%였으며, 수술군의 경우 각각 97.0%, 90.7%, 85.4%로 양군간에 통계학적 유의성이 보이지 않았다(p=0.28). 결론: 소간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고주파 열치료는 수술적 절제에 필적하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 골반부 전이성 종양의 수술적 치료

        김재도,박웅,조명래,손정환,이영구,Kim, Jae-Do,Park, Woong,Jo, Myung-Rae,Son, Jung-Whan,Lee, Young-Gu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0 No.2

        목적: 골반부 전이성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종양학적 결과, 기능 및 합병증의 발생을 통해 수술적 치료의 적응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5월부터 2003년 5월까지 골반부 전이성 종양 환자 중 고식적/수술적 치료를 받았던 9례/10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평균 연령은 57.6/48.0세, 남녀 비는 5:4/7:3이였다. 원발 병소로는 신장암과 자궁 경부암이 각 3례, 폐암, 골수종, 비호지킨 림프종이 각 2례, 유방암, 방광암, 고환암, 전립선암, 위암, 간암, 후복막 평활근육종이 각각 1례 이었다. 고식적 치료로는 방사선 단독 치료가 5례, 항암 화학 단독 치료가 1례, 방사선 치료와 항암 화학 요법의 병합 치료가 2례, 경피적 뼈시멘트 삽입술이 1례에서 행하여 졌으며, 수술적 치료로는 소파술 후 뼈시멘트 삽입술이 1례, 내골반 반절제술 후 Girdlestone 술식이 2례, 재건술이 7례에서 시행되었고, 재건술로는 뼈시멘트 삽입술이 1례, 방사선 조사 또는 저온 멸균 후 자가골 이식술 및 고관절 전치환술이 5례, saddle prosthesis를 이용한 관절 성형술이 1례에서 시행되었다. 치료 후 종양학적 결과 및 Eastern Cooperative Oncologic Group (ECOG) 운동 평가 지수, 술 후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고식적/수술적 치료군에서 종양학적 결과로는 NED 0/1례, AWD 2/6례, DOC 1/2례, DOD 6/1례였고, ECOG 운동 평가 지수는 고식적 치료군에서 치료 전 1.5에서 치료 후 4.3으로 악화되었으나 수술적 치료군에서는 2.6에서 2.2로 관찰되었다. 합병증으로는 금속 대치물 부전이 3례, 감염이 2례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골반부 전이성 종양의 수술 여부 및 수술의 방법은 환자의 상태, 원발 종양의 악성도 및 기대 생존 기간에 따라 결정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We studied to decide the operative indication of the metastatic tumor in pelvis according to the oncologic results, the Eastern Cooperative Oncologic Group (ECOG) performance status and complica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1994 to May 2003, 9 patients who were performed on palliative treatment and 10 paitents on operative treatment due to metastatic tumor of pelvic bone were investigated. On palliative/operative group,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57.6/48.0 years old and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5:4/7:3. Primary origins were 3 cases from kidney, 3 from cervix and 2 of lung, 2 of myeloma, 2 of Non-Hodgkin's Lymphoma, and 1 from breast, bladder, testis, prostate, stomach, liver and retroperitoneal leimyosarcoma respectively. The palliative treatment was performed in 5 cases with radiotherapy, 1 with chemotherapy, 2 with combined chemo-radiotherapy and 1 with percutaneous cementation. The operative methods were 1 case of bone cement insertion after curettage, 2 of Girdlestone with internal hemipelvectomy and 7 of reconstruction after wide excision. Reconstructions were done.: 1 case of bone cementation, 5 of autograft prosthesis composite with irradiation or pastuerization and 1 of saddle prosthesis. We have observed the oncologic results, the ECOG performance status and complication. Results: The oncologic results of palliative/operative groups are NED 0/1, AWD 2/6, DOC 1/2 and DOD 6/1. The ECOG performance status was changed from 1.5 into 4.3 in palliative group and from 2.6 into 2.2 in operative group. The complications were 3 cases of the prosthesis failure and 2 of infection. Conclusion: The indication of operation of metastatic pelvic tumor is decided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condition, the grade of malignancy in primary tumor and the life expectancy.

      • KCI등재후보

        제5 중수골 경부 골절의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 결과의 비교

        강호정(Ho Jung Kang),송계욱(Kye Wook Song),박관규(Kwan Kyu Park),성승용(Seung Yong Sung),한수봉(Soo Bong Hah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2

        목적: 각형성된 제5 중수골 경부 골절의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 결과, 합병증에 대한 비교 및 수술적 치료에 대한 적응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제5 중수골 경부 골절로 내원한 환자 43예를 대상으로 25예에서는 수술적 치료, 18예에서는 보존적 치료를 하여 두 군에 대한 방사선학적, 기능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적 치료를 받은 군(수술 전: 40.7°)과 보존적 치료를 받은 군(수술 전: 38.5°)모두 다 교정 직후 만족할 만한 결과 (수술군: 15.3°, 보존군: 24.1°)를 얻었으나, 최종 추시상의 교정된 각형성의 유지는 수술군이 보존적 치료군보다 더 우수한 결과(수술군: 15.7°, 보존군: 34.2°)를 나타내었으며, 환자들의 주관적인 만족도도 높았다. 보존적 치료를 받은 군(38.9%)에서 수술적 치료를 받은 군(4%)보다 중수골 두부의 함몰 변형이 더 많이 일어났다. 치료 방법에 상관 없이 수부의 기능적 결과는 우수하였다. 결론: 보존적 치료시에 골절부 각교정의 유지가 잘 되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수부 합병증은 40° 이상의 각형성 잔존시 발생하였다. 따라서 140° 이상의 각형성이 있는 제5 중수골 경부 골절에서는 수술적 치료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between conservative and operative treatments and to give guidelines in the treatment of angulated fifth metacarpal neck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The 43 cases of fifth metacarpal neck fracture (25 operative cases, 18 conservative case) were reviewed. The functional and radiologic results between two groups were evaluated. Results: Both the operative group (preop.: 41.9°) and the conservative group (preop.: 39.7°) showed satisfactory results (operative group: 15.3°, conservative group: 24.1°) immediately after the correction. The maintenance of angulation correction was superior in operative group (15.7°) than in conservative group (34.2°), and patients subjective satisfactions were superior in operative group too. Depressed knuckle on dorsum of hand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conservative group (38.9%) than operative group (4%). Functional result in both groups was good. Conclusion: Because the correction of angulation was not maintained well in conservative group and a large portion of complications often occurred in cases of angulation more than 40°, operative treatment is needed in cases of angulation of fractured site more than 40° in the fifth metacarpal neck fracture.

      • KCI등재

        흉요추부 손상의 TLICS 분류법의 유효성

        김성규,이태민,서형연,이원균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1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thoracolumbar injury classification system (TLICS) when making treatment decisions in a group of thoracolumbar fracture patient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Few studies have evaluated the validity of the TLICS in consecutively treated patients, although many have evaluated the application of the TLICS to thoracolumbar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among the 230 patients who were treated from 2003 to 2015 in our hospital for thoracolumbar injuries. Evaluations were made of clinical outcomes and radiologic results, and each case was analysed and scored according to the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scale, the Magerl/AO classification, and the TLICS classification by 2 spinal surgeons. Results: Of the 230 patients, 116 (50.4%) received conservative treatment and 114 (49.6%) received surgical treatment. Of the 116 patients who received conservative treatment, 112 (96.6%) were treated according to the TLICS guidelines. Conservative treatment failed for 2 of the 4 patients (1.7%) whose treatment did not correspond with TLICS, and they required surgical treatment. Of the 114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in 87 (76.3%) the treatment corresponded to the TLICS guidelines. Conclusions: The TLICS classification showed high validity for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thoracolumbar injuries.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흉요추부 손상 환자들의 치료방법의 선정에 있어서 TLICS 분류법의 유효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흉요추부 손상에 대하여 TLICS 분류법 적용에 대한 연구들은 있으나 치료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유효성에 대한 대규모 연구는 많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003년부터 2015년까지 본원에서 흉요추부 손상으로 치료를 받았던 총 2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임상 결과및 영상의학적 자료를 연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ASIA 척도, Magerl/AO 분류법, TLICS 분류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총 230명의 환자들 중 116명(50.4%)의 환자들이 보존적 치료를 받았으며 114명(49.6%)의 환자가 수술적 치료를 받았다.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총116명의 환자들 중에서 112명(96.6%)의 환자에서 TLICS에서 추천하는 치료법과 일치함을 보이고 있었다. 2명(1.7%)의 환자들은 보존적 치료에 실패하고 수술적 치료를 요하였다. 반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총 114명의 환자들 중에서 87명(76.3%)의 환자에서 TLICS에서 추천하는 치료법과 일치함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 TLICS 분류법은 흉요추 이행부의 손상에 대한 보존적 치료에 있어서 높은 유효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유효성을 보이고 있다. 색인 단어: 흉요추부, 골절, TLICS,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약칭 제목: TLICS 분류법의 유효성 연구

      • 전이성 척추 종양의 수술적 치료

        한정수,김기택,소재호,이정희,신동준,Han, Chung-Soo,Kim, Ki-Tack,Soh, Jae-Ho,Lee, Jung-Hee,Shin, Dong-J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1

        목적 : 전이성 척추 종양은 가장 흔한 전이성 종양 중의 하나로 치료에 있어 보통 보존적 요법이 선호되어 왔으나 신경학적 증상과 삶의 질의 개선이 극히 불량하였다. 수술적 치료 후에 신경학적 증상의 변화와 임상증상의 개선정도, 생존 기간의 증가 등에 대해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8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본원에서 경험하였던 전이성 척추 종양 중 수술적 치료 후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14례를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과 방사선학적 검사 등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연령별, 성별, 해부학적 발생 부위별 분포와 각각의 원발 종양에 따른 골 전이의 양상에 대해 조사하였고, 방사선 치료로 도움이 안될 때, 신경학적 증상이 악화될 때, 척추 불안정성이 있을 때, 원발 종양을 알지 못할 때, 병적 골절이 있을 때, 기대여명이 6주 이상일 때, 만성적인 통증이 있을 때 시행하였던 수술적 치료 전후의 증상의 개선 정도를 평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분석하였다. 결과 : 전이성 척추 종양은 여자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고 30대에서 70대까지 연령이 다양하였으며 원발 종양으로 여자는 유방암, 남자는 폐암이 가장 많았고 가장 흔한 전이 부위는 흉추부였다. 수술 전 마비의 정도가 수술 후 임상 증상의 호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술 후 전이성 척추 종양의 평균 여명은 사망한 11례에서 8.9개월, 살아있는 3례에서 14.7개월이었다. 결론 : 전이성 종양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전이성 척수 종양이 의심될 때, 치료와 동시에 조기 진단이 가능하며 그 방법과 관계없이 동통과 신경학적 증상의 회복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고, 초기의 적극적 치료로 삶의 질과 생존 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후 원발 종양의 종류에 따른 전이성 척수 종양의 분류와 이에 따른 수술적 치료의 역할에 대한 평가가 더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Spine is one of the most common sites of the metastatic bone tumors. Conservative management such as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has been preferred in most cases. However, the neurologic deficit has not been usually improved, and the quality of life was po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efficacy of the surgical treatments for metastatic spinal tumors in terms of postoperative improvements of neurologic deficit and survival time. Materials and Methods : Authors have reviewed the literatures and analyzed 14 patients of metastatic spinal tumors who were received operative treatments between August 1991 and June 1999 at the our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Results : The most frequent primary tumor was breast cancer in women and lung cancer in men. The thoracic region was the most common site. There was a preponderance of females over males, and the age ranged between 4th and 8th decade. The indications of surgical treatment comprised instability, progressive neurologic findings, resistance to radiotherapy, pathological fracture, long life expectancy( >6weeks), isolated metastasis and need for pathological diagnosis. The degree of preoperative neurological deficit might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clinical symptoms after surgery. Conclusion : The surgical treatment reduced the neurological deficit and pain regardless of the operative methods. In the early stage of neurological deficit, the surgical treatment was important for better prognosis. Recently early active operative treatment was performed for metastatic spinal tumor to minimize the intractable pain and to prevent the progression of the neurologic deficit. Early intervention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long term survival.

      • KCI등재후보

        비구 골절의 수술적 치료와 보존적 치료

        김종관,안병우,이상국,정재익,진진우,김권호,김강훈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3

        목적: 비구 골절은 아직 치료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전위된 복합 골절에 있어서 수술적 치료가 선호되지만 적절하게 정복되지 못한 골절과 관절면의 부정상합은 조기에 골관절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 등을 유발한다. 이에 저자들은 비국 골절에 대한 수술적 치료와 보존적 치료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1년 3월까지 55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Letournel의 분류상 후벽 골절 (13례)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양주 골절 (10례)이 많았다. 수상 원인은 교통사고가 가장 많았다. 저자들을 수술적 치료군과 보존적 치료군으로 분류 후 그 결과를 Matta 등의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평가 기준에 따라 우수, 양호, 보통, 불량으로 분류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적 치료군 28례 중 22례에서 해부학적 또는 만족할 만한 정복을 얻었으며, 이 중 7례에서 우수, 13례에서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고, 보존적 치료군 27례 중 15례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전위된 복합 비구 골절, 관절의 불안정성을 동반한 후벽 골절, 체중 부하면의 전위 골절, 유리 골편이 있는 경우 등은 수술 전 정확한 골절양상을 평가한 후에 관혈적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을 시행함이 조기 관절운동을 허용하고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보다 더 s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Fractures of the acetabulum remain a major challenge to the orthopedic surgeons. Although the operative treatment for the complex fractures is preferred, inaccurate reduction and then incongruity of the hip joint lead to serious complication such as premature osteoarthritis. We evaluated the result of surgical and conservation treatment for acetabular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6 to March 2001, we reviewed 55 cases retrospectively. Posterior wall fracture (13 cases) was the most common by Letournel's classification and followed by both column fracture (10 cases). Causes of injuries included 41 cases of traffic accident and 8 cases of falling down. We divide the cases into an operation group (28 cases) and conservative group (27 cases) and evaluated the result as excellent, good, fair of poor according to Matta's clinical and radiological grade critieria. Results: Anatomical or satisfactory reduction was obtained in 22 cases of operative group and clinical results were excellent in 7 cases, good in 13 cases. Conservative group revealed excellent and good clinical result in 15 of 27 cases. Conclusion: In cases of the displaced complex fractures, posterior wall fracture with instability and displaced fracture involving the weight bearing dome of the acetabulum,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after accurate evaluation of the fracture pattern could allow earlier ROM exercise and have the result in better prognosis.

      • KCI등재

        화농성 척추염에 대한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 결과의 비교

        홍창화(Chang-Hwa Hong),이상우(Sangwoo Lee),김우종(Woo-Jong Kim),소재완(Jaewan S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4

        목적: 최근에 항생제 발전과 더불어 화농성 척추염에 관하여 내과적 치료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저자들은 화농성 척추염 환자에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경우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경우의 각각의 결과를 비교하여 보고자 였하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2월부터 2016년 6월까지 화농성 척추염 진단하에 입원 치료를 받은 60명(남자 28명, 여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 대하여 수술 시행 여부, 수술 방법, 영상의학적 검사 결과, 이환 부위에 따른 재원 기간, 정맥 항생제 사용 기간, 혈액 검사상 정상화에 소요되는 기간과 추시 과정에서 잔여 증상의 유무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관련성은 독립표본 t 검정과 Mann-Whitney U-검정, Pearson 카이제곱 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Spearman 상관계수를 통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비교에 있어서는 재원 기간과 정맥 항생제 사용 기간, 혈액 검사상 정상화에 소요되는 기간, 잔여 증상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화농성 척추염에 있어 보존적 치료를 우선적 치료 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으며 이에 반응이 없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ith advancements in antibiotics, the ability to treat pyogenic spondylitis is increasing.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outcomes between conservative and operative treatments. Materials and Methods: Sixty patients (28 males and 32 females) with pyogenic spondylitis, who were hospitalized and treated between February 2008 and June 2016, were enrolled. Pati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type of treatment – conservative or operative treatment, method of surgery, radiographic parameters, location of the affected spine. Clinical parameters as durations of hospital stay, intravenous antibiotics use, normalization in laboratory findings, and residual symptoms were analyzed. For statistical evaluation, independent-sample t-test, Mann-Whitney U-test, Pearson’s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intravenous antibiotics use, normalization in laboratory findings, and residual symptoms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operative treatment groups. Conclusion: In treating pyogenic spondylitis, conservative treatment can be considered as the first choice, and operative treatment can be chosen in refractory cases.

      • KCI등재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 임상 양상과 수술적 치료 결과 -

        신동은,안창수,조덕연,윤형구,김태형,방진영,차윤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2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9 No.3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본원 정형외과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환자 41례에 대해 그 임상 양상 및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은 전체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중 발생율은 낮지만 예측 가능한 임상적 양상과 자기공명영상 검사 방법의 개발 및 발전으로 인해 진단이 더 빨라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수술적 치료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9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요추 제1-2, 요추 제2-3, 요추 제3-4번)으로 진단받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환자 중 병력 조사와 외래 추시가 가능하였던 41례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추시 관찰은 외래 방문, 전화 인터뷰와 진료 기록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통증 등의 임상 양상의 변화, 기능적 결과, 일상 업무에의 복귀 등을 조사하여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조사된 전체 추간판 탈출증 환자 중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의 발생률은 약 8.8%이었다. 술전 임상 양상으로 하요부 통증(85.4%),전방 대퇴부 방사통(80.5%), 감각 저하(53.7%) 근력 약화(53.7%), 슬개건 반사 저하(65.9%) 등이 나타났으며, 진찰 소견 상 대퇴 신경 긴장도 검사는78.0%에서 양성으로 관찰되어 하지 직거상 검사의 양성률(39.0%)보다 높게 나타났다. VAS score는 술전 9.0±0.8에서 최종추시 시 1.4±1.3로 호전되었다. 수술적 치료 결과는 우수 24례, 양호 10례, 보통 5례, 불량 2례로 34례(82.9%)에서 양호 이상의 판정을 받아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추시상 원래의 직업 또는 약간의 변형된 상황에서 일을 계속 할 수 있는 경우가 90.2%로 조사되었다. 결론: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의 임상 양상은 하부 요통을 동반한 전방 대퇴부 방사통, 탈출된 추간판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은 감각 및 운동 저하, 감소된 슬개건 반사, 그리고 대퇴 신경 긴장도 검사상의 양성 반응이 대표적이며, 특히 자세한 진찰과 MRI에 의한 객관화 된 진단 이후 시행된 수술적 치료는 좋은 기능적 결과와 함께 환자의 만족도도 높게 평가되어 효과적인 방법으로 여겨진다.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attempted to establish an efficient diagnosis and treatment modality by analyzing clinical manifestations and operative results of upper lumbar disc herniation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Upper lumbar disc herniations represented a lower incidence but have become easier to diagnose by predictable clinical aspects and an MRI scan. The operative results have been satisfactory.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41 cases, which were operated with posterior laminectomy and discectomy from September,1996 to November, 2009. We analyzed pre-operative history, clinical and MRI findings, and then assessed operative results by Kim’s criteria and functional change in the follow up. Results: The prevalence of upper lumbar disc herniations in all disc herniations was 8.8%. Pre-operative manifestations were lower back pain (85.4%), radiating pain (80.5%), sensory deficit (53.7%), motor deficit (53.7%), and depressed knee jerk (65.9%). The positive rate of the femoral stretching test (78.0%) was higher than the straight leg raising test (39.0%). The VAS score changed from preoperative 9.0±0.8into postoperative 1.4±1.3 points. The operative results were excellent or good in 82.9%. The rate of resuming previous work, including slight modification was 90.2%. Conclusions: Predictable clinical aspects of the upper lumbar disc herniations are anterior thigh pain with lower back pain, variable motor deficit, sensory deficit, depressed knee jerk and the positive femoral nerve stretching test. Through careful examination and radiological evaluations such as MRI, operative treatment can obtain a symptomatic improvement and satisfactory results.

      • KCI등재

        전이성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와 예후 인자

        김정일(Jeung-Il Kim),유총일(Chong-Il Yoo),서정탁(Jeung-Tak Suh),서근택(Kuen-Tak Suh),김휘택(Hui-Taek Kim),문남훈(Nam-Hoon M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4

        목적: 저자들은 수술적 치료를 한 전이성 골종양 환자의 후향적 연구를 통하여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여 병적 골절이나 경막 외 침범들이 있는 환자와 같이 수술적 적응이 필요한 환자들을 선택할 수 있는 기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예후인자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1월부터 2003년 12월 사이에 걸쳐 수술적 치료를 받은 78예의 전이성 골종양 환자에 대해서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후 인자를 찾기 위해 Cox 비례위험모형과 Kaplan-Meier 생존곡선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결과: 생존에 의미 있는 4가지 예후 인자로는 원발암의 종류, 내장기 또는 뇌로의 전이 유무, 다발성 전이 유무, 이전 항암치료의 유무이었다. 4가지 예후 인자 중 2가지 이상을 만족시킬 경우를 좋은 예후군으로 분류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를 나뿐 예후군으로 분류하였다. 좋은 예후군의 6개월 평균 생존율은 95%, 1년 생존율은 87%이었고 나쁜 예후군의 6개월 평균 생존율은 28%, 1년 평균 생존율은 13%였다. 결론: 골 전이 환자의 수술적 치료의 결정에 있어서 생존 가능기간이 짧은 환자에게는 보다 덜 침습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생존 기간이 길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에게는 적극적인 수술이 필요하다. 사지의 골 전이에서는 생존 가능 예상 기간이 최소한 2개월 이상, 척추의 전이의 경우는 3내지 6개월이라면 적극적인 수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골 전이 환자의 치료의 결정에 있어서 본 연구의 예후 예측인자를 고려하면 더욱 유용한 수술적 치료의 선택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tried to find out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treatment for some conditions that are indicated for surgery like pathological fractures or epidural compress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85 and 2003 we treated 78 patients with skeletal metastases. A multivariab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rates of survival were calculated by the Kaplan-Meier method. Results: We identified four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the site of the primary lesion, the presence of visceral or cerebral metastases, any previous chemotherapy and multiple skeletal metastases. With these factors, we could divide the patients into two prognostic groups: the good prognostic group satisfies more than two of the four significant factors and the poor prognostic group doesn't. For the good prognostic group, the average rates of survival at 6 months and a year were 95% and 28%, respectively, and those for the poor prognostic group were 28% (6 mo) and 13% (1 yr), respectively. Conclusion: Each patient's life expectancy should be considered when we decide the surgical method for treating metastatic bone tumor. Patients with a very short life expectancy should probably be treated with a less invasive method but patients with a long life expectancy require aggressive surgery. If the life expectancy is estimated to be at least more than 2 month and 3-6 months for bony metastases to the extremity and spine respectively, then an aggressive surgical method should be chosen. With these practical prognostic factors, the life expectancy may be predicted more accurately and so the optimal surgical treatment can be selected more appropriately.

      • KCI우수등재

        아동 대상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성충동약물치료의 실효성과 합헌성, 그리고 그 한계

        설민수 ( Min Soo Seul ) 법조협회 2010 法曹 Vol.59 No.10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이하 ``성충동약물치료법``이라 한다)은 미국의 성폭력 범죄에 대한 대책을 수입한 가장 최신 입법이다. 미국의 성충동약물치료법은 실험적 연구를 통해 발전된 자발적 동의 하에 이루어지던 치료를 강제적 치료로 바꾼 형식의 입법이다. 남성호르몬인 Testosterone의 잔류량을 억제하는 약물을 통한 위 치료는 현재까지 사용 약물 모두가 신체적 부작용을 수반하며 장기적으로 실행된 바도 없고, 치료효과도 성도착증 증세를 보이는 성폭력범에만 있다. 위 법률은 성폭력 범죄자의 처벌강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그 결정과정에 의료적 판단의 최소화, 치료요법에 따른 부작용 대책의 부재, 심리치료의 무시, 치료결정 시점과 실제 치료시점의 차이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고, 위 문제가 준비 부족과 결합되면서 실제 집행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실패의 원인은 종전에 처벌의 방법으로 인식되었던 수술적 거세를 치료방법인 약물치료로 대체하려 한 것에 있다. 한국의 성충동약물치료법은 미국의 유사 법률보다는 보다 치료에 가까운 형태로 입법되었고, 실제 집행을 위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실제적 치료시점이 아닌 형의 선고시점에 치료결정이 이루어지고, 치료감호와 중복되는 점, 부작용이 발생할 때 중단에 관한 규정이 없는 점 등 다수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 그 위에 약물치료 대상인 성도착증 환자에 대한 진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과 스스로 참여하지 않는 성도착증 환자에 대한 치료효과가 의심되는 점에 비추어 실제 실효성이 있을 지는 의문이다. 헌법적으로 보면 이중처벌 금지의 원칙 위반에는 해당되지 않겠지만 그 구체적인 집행에 있어 치료에 초점을 두고 적용하지 않는다면 과잉금지 원칙에 위반한 할 것으로 보이며, 마지막으로 기존의 수형자에 대한 동의를 통한 치료명령은 그 동의의 적절성에 위헌의 소지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