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정 형사사법체계에서 검찰수사관의 역할 제고방안

        조광훈(Cho, Gwang-hoon)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1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3 No.1

        검찰수사관은 검찰직, 마약수사직(4~9급)으로서 검사실에서 검사의 수사업무를 보조하거나 일반사법경찰관리로서 직접 수사를 하거나 검찰사무를 행하는 검찰공무원을 말한다. 검찰수사관의 수사권에 관한 법적근거는 형사소송법 제245조의 9, 제243조, 검찰청법 제46~47조에 두고 있다. 검찰수사관의 연혁은 1949. 12. 20. 제정 검찰청법에서 ‘수사관’으로 규정해 오다가 2020. 2. 개정 형사소송법 제197조 제1항에서 삭제되고, 같은 법 제245조의 9에서 검찰수사관의 수사권에 관한 법적근거를 일률적으로 규정하게 되었다. 검찰수사관의 구체적인 직무범위는 검찰청법 제46~47조에 근거를 두고 있다. 따라서 검찰청 소속의 일반사법경찰관은 여전히 존치되고 있다. 이렇게 검찰수사관들은 새로운 형사사법체계에서도 검찰청 소속의 일반사법경찰관리로서 검사의 지휘를 받아 수사를 행하거나 참여수사관으로서 검사의 수사를 보조하며 대부분의 검찰사무를 담당한다. 개정 형사소송법에 검찰수사관의 수사권에 관한 법적근거가 마련되었지만 검찰수사관의 수사개시 · 진행권과 송치규정의 미비, 검찰수사관의 직접수사 범위의 모호, 검찰청법상 참여수사관 조항과 일반사법경찰관리의 수사권 조항의 혼재로 인하여 해석상 혼란이 있다. 새로운 형사사법체계에서 검찰수사관의 역할 제고방안으로는 수사과와 조사과 소속의 일반사법경찰관의 역할강화, 검사직무대리의 직무범위확대 및 역할강화, 참여수사관의 역할변화와 강화, 자유형 및 재산형 집행률의 향상을 위한 역할강화를 들 수 있다. 또한 검찰청법에 일반사법경찰관의 직무를 수행하는 수사관들의 수사개시 · 진행권과 송치규정을 조속히 마련하여야 한다. Prosecution investigation officers refer to the officers in prosecution service and narcotic investigation service (Grade 4~9) who assist investigative work of prosecutors or investigate directly and perform prosecutory affairs as a general judicial police officer at the office of prosecutors. Investigation power of prosecution investigation officers is based on the Article 245-9 and 243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Article 46 and 47 of the Prosecutors Office Act. The history of prosecution investigation officer had been regulated as ‘investigator’ in the Prosecutors Office Act enacted on December 20, 1949, and was deleted from the Clause 1, Article 197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revised in February 2020, and legal basis on the investigation power of prosecution investigation officers started to be regulated uniformly by the Article 245-9 of the same act. Detailed scope of duties of prosecution investigation officers are based on the Article 46 and 47 of the Prosecutors Office Act. Therefore, general judicial police officers belonging to Public Prosecutors Office still remain. This way, prosecution investigation officers perform investigation under command of prosecutors as general judicial police officers belonging to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in the new criminal justice system or in charge of the most prosecutory affairs helping investigation of prosecutors as a participating investigator. Although legal basis on the investigation power of prosecution investigation officers was prepared in the revised Criminal Procedure Act, there is still a confusion in interpretation due to lack of regulations on the right of prosecution investigation officer to commence · proceed with investigation and send a case, ambiguity of the scope of direct investigation by prosecution investigation officers, mixture of regulations on the participating investigators and investigation power of general judicial police officer in the Prosecutors Office Act. Enhancement of the role of general judicial police officers belonging to investigation division and inquiry division, expansion of the scope of duties and enhancement of role of probational prosecutors, change and enhancement of the role of participating investigators and enhancement of role for improvement of enforcement ratio of imprisonment and pecuniary punishment are considered a plan for improvement of the role of prosecution investigation officers in the new criminal justice system. And regulations on the right of investigator performing duties as general judicial police officers to commence · proceed with investigation and send a case must be created in the Prosecutors Office Act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전문수사관 인증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문지식적 요소를 중심으로 -

        현세준 한국치안행정학회 2016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3 No.3

        전문수사관 인증제란 일선현장에서 수사기술을 수행·습득한 자를 대상으로 일정자격을 심사하 여 수사경과를 부여하며, 5년 이상 보직관리를 통해 경찰청 산하 경찰수사연수원에서 수사경과자 를 대상으로 전문수사교육을 받아 수료한 자로 하여금 전문수사관 인증이라는 자격을 부여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제도는 현재 형사절차상 공판중심주의 제도 아래에서 수사기관이 증거재판주 의와 법관의 자유심증주의에 따른 범죄사실인정의 합리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방식을 중심으로 5대범죄의 검거 등 공식통계를 분석하여 관련 법률과 경찰, 검찰, 국내의 형사소송법상 이론 등을 접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범위 는 전문수사관인증을 위한 전문지식적 요소에 한정하며, 치안환경적·교육환경적 영향 요소의 개 선 방안에 관하여는 한정된 지면관계상 차후에 언급하기로 함을 미리 밝힌다. 더욱이「국민의 형사재판참여에관한법률」에 따른 배심재판의 시행은 전문수사관 인증제의 필 요성이 더욱 배가된다. 이유는 개별적인 배심원도 형사재판의 평의에 참여하여 수사기관이 제시 한 증명력 판단의 주체가 되기도 하고, 법관이 아닌 배심원들에게 유죄의 확증을 가지게 하기 위 해서 과학수사를 통한 과학적인 입증의 중요성은 더해가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형사 절차에서 전문성을 갖춘 수사관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전문수사관의 질적 향상을 필요로 하며 이 러한 의미에서 이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연구에서는 전문수사관 인증제의 활성화를 위하여 전문지식적 요소의 세부적 개선 방안으로 수사절차상 사실인정의 과학적 접근에 따른 전문화 유도 방안, 공판중심주의에 대비한 과학적 전문 성 인증에 의한 법관의 자유심증의 형성 방안, 과학적 수사 기법 활용에 따른 전문수사관 인증제의 활성화 방안, 디지털 증거에 대한 전문성 확보 방안, 마약과 혈흔분석 대상으로 체액(혈액)수집의 특 수성을 감안한 수집과 분석에 대한 전문성 함양 방안을 들었다. 부수적으로 선진 외국처럼 수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관련 있는 유관기관의 종사자들과 상호 협력하여 과학적 연대시스템도 필요 하며, 범죄학 또는 의학 등 유관 교육기관과의 긴밀한 상호 교류와 협력도 필요로 함을 언급하였다. 끝으로 현대사회에서 증거는 간접증거 비율이 높아 수사과정상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전문성이 절 대적으로 요구되는 만큼 이에 걸 맞는 수사전문가의 양성이 요구되며, 선진기법의 수사방식도 필요 로 함을 소개하며 연구를 마친다. A professional investigator certification system is a system that requires the execution of professional investigator certification courses provided by the Korea Police Investigation Academy. This system refers to a series of courses where investigation progress is given by evaluating certain qualities for subjects who went through the selection process of investigation polices and the investigator training course and advanced to actual front sites and acquired techniques from practice while the acquisition of a qualification namely a professional investigator is given to those who completed professional investigation training performed on subjects that have progressed with investigation at the Korea Police Investigation Academy through their position management of at least five years(Police White Paper, 2012: 299). The purpose of a professional investigator certification system carried out by the Korea Police Investigation Academy is to establish the reasonableness of acknowledging commitment of crime following the principle of free evaluation of evidence by the judiciary and the principle of adjudication based on evidence by the investigative agencyunder the current system placing significance on trials in terms of the procedure of criminal cases. Also, with the execution of laws onparticipation of citizens in criminal cases, jury trials where citizens participate in are being held, and individual juries are allowed to participate in discussions. They have become to stand as the principal agents of determining the probative power submitted by the investigative agency, which in other words,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scientifically prove through scientific investigation the definite proof of guilt, as they need to be provided to the ordinary people that are not judges(Noh, Myeongsun, 2009: 152). Therefore, it is required the quality improvement of professional investigators or the cultivation of investigators for professionalism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In this paper, for the plans to invigorate the professional investigator certification system currently progressed by the Korea Police Investigation Academy, detailed improvement plans are recommended for influential elements where the elements are classified into: security environment element; professional knowledge elem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element. Finally, the study finishes by also recommending the plan to improve the issue of exclusive evidence submission by professional institutions such as the current National Forensic Service.

      • KCI등재

        전문수사관 제도에 관한 몇 가지 쟁점연구

        노명선 대검찰청 2009 형사법의 신동향 Vol.23 No.-

        수사절차에도 정통하면서 특정 분야에 고도의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는 자가 수사현장에서 투입되어 초동수사에서부터 법정의 증언에 이르기까지 관여하는 전문수사관 제도를 유지・확장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문수사관 제도를 통해 특별한 지식을 갖는 전문가의 수사과정에서의 참여는 자백이나 수사관의 직감에 의존하는 사실인정으로부터 물증을 중시하는 분석적 객관적인 사실인정에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해 준다. 전문수사관이 필요한 영역으로서는 흔히 forensic science로 총칭되는 과학 수사 분야로서, forensic accounting(회계포렌직), environmental forensics(환경포렌직), forensic toxicology(독극물 포렌직), digital forensic(컴퓨터포렌직), forensic biology(법생물학 포렌직)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전문수사관이 수사에 관여함에 따라 갖게 되는 예단이나 부당한 영향으로부터 중립성을 유지하고, 전문가로서의 법정증언의 증명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1) 통용되는 과학기술과 프로그램 등의 사용, 2) 수사과정의 가시화와 참고 자료에 대한 기록열람・등사의 허용, 3) 중요한 감정시료의 보존과 사후 피고인 측의 검증기회의 확보, 4) 관리 지침이나 절차에 관한 업무 매뉴얼 작성과 시행, 조사과정의 투명화가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청된다. 나아가 전문수사관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서는 대학이나 연구기관과의 연계활동이 강조되고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과학수사전문교육 센타의 설립이 기대된다. It is highly necessary to keep and expand this ‘investigation specialists’system, in which these specialists, with broad and deep knowledge both in criminal investigation procedures and their specific major fields, are properly inserted to crime scene at initial investigation level and are continuously ensured to testify in the courts. Fields requiring investigation specialists can be roughly classified as‘forensic science’, which includes: forensic accounting, environmental forensics, forensic toxicology, digital forensic, forensic biology, etc. With such a system, it becomes possible to shift from the old behavior of relying heavily on confessions or perceptions, to new paradigm of investigation and finding of facts based on physical evidences. However, to increase the weight of evidences/testimony, the following would be required: 1) Identified materials will be open for access and authorized to be duplicated 2) Identified materials will be preserved and able to be verified afterwards 3)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will be established and clarified. Additionally, it is emphasized that active interoperation will be required to ensure consistent supplement of investigation specialist personnel.

      • 수사 절차상 訊問과정의 영상녹화 필요성과 영상녹화에 대한 경찰수사관들의 태도

        이윤(Yi Roon) 한림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한림법학 FORUM Vol.20 No.-

        수사절차상 신문과정에 대한 영상녹화의 필요성은 수사절차의 투명화를 통한 인권침해 예방, 조사시간 단축, 수사관의 진술청취 기법 향상, 진술 내용과 의미의 정확한 전달 등이다. 한국경찰은 2007년에 전국적으로 영상녹화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거의 3년 정도 운영하고 있으나, 한국의 수사관들은 영국이나 미국의 수사관들과 달리 영상녹화 하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 수사관들을 상대로 설문조사하여 영상녹화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수사관들은 영상녹화에 대해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그러나 행동분석을 학습한 수사관들은 그렇지 않는 수사관들보다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그리고 높은 선호도를 보인 수사관들은 실적에 의한 강요가 없어도 영상녹화를 하겠다고 응답하였고, 영상녹화를 할 경우 조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면 더 많은 영상녹화를 하겠다고 응답했다. '영상녹화가 수사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해서는 강력팀과 여성청소년계가 경제팀과 지능팀보다 더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이런 태도들을 통해 영상녹화를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다음의 사항들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영상녹화의 목적과 유용성에 대한 교육을 확대할 것이 요구된다. 둘째, 경찰의 실적평가 시스템을 개선하여 영상녹화가 형식적으로 수행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셋째, 영상녹화를 할 경우에는 조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도록 형사소송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녹화조사실을 증설할 경우에는 강력팀과 여성청소년계에 우선적으로 설치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수사관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고, 종속변인에 대한 새로운 측정방법을 개발하여 수사관의 태도를 더욱 정확히 측정할 것이 요망된다. The necessity of the video recording of investigative interviewing is the preven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 through the transparency of the investigative procedure, reduction of the investigation time, improvement in the techniques on the investigators' hearing of the statements, exact communication of the statement's contents and meaning, etc.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started video recording in 2007. But unlike the detectives in UK and US, Korean detectives have low preference for video recording though they have experienced for about 3 years. The attitudes of police detectives toward video recording was surveyed in this study. Detectives showed low preference for the video recording. But the detectives who have learned the behavior analysis showed higher preference than those who haven't. And the detectives who showed higher preference answered that they would conduct video recording regardless of evaluative pressure, and they would conduct video recording more if the written document of statements could be dropped in the case of video recording. The degree of perception that the video recording is useful to the investigation is higher from the felony crime team and women & juvenile team than the two kinds of white-collar crime teams. As a result of these attitudes, we can come up with following demands for the vitalization of the video recording. More education is needed regarding the purpose and usefulness of video recording of investigative interviewing. The evaluative system in the police needs to be changed so that video recordings are not superficially carried out. Revision of criminal procedure law is needed so that when video recording itself could be submitted without written statements. And if the video recording room will be established more, it should be built in the felony crime team and women & juvenile team first. In the future study data should be collected from more detectives, and the better measurement for the depending variables needs to be developed.

      • KCI등재

        회복적 경찰활동에 대한 수사관의 인식 :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임형진,김선일 한국경찰연구학회 2023 한국경찰연구 Vol.22 No.4

        이 연구는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을경험한 수사관들의시각에서‘회복적대화’ 프로 그램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0명의 수사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이중 실제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으로 사건을 연계한 경험이 있는 수사관 188명의 응답에 대해 설문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경우, 수사관이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으로 연계한 이유는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에 적합하다는 수사관 자신의 판단 또는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 담당자 의 요구 때문이었다. 둘째, ‘회복적 대화’ 이후 사건 처리 결과는 불기소 의견으로 사건 송치 또는 기소 의견으로 사건 송치가 많았다. 셋째, 수사관들은 ‘회복적 대화’ 프로그 램에 대해 사건 당사자들이 약간 만족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수사관들은 기존 의 경찰활동(범인검거중심)을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이약간 보완할수 있다고 인식 하고 있었다. 다섯째, 수사관들은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이 자신의 업무에 약간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여섯째, 수사관들은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으로 다 시 연계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수사관들은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이 피해회복이나 재범방지에 약간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여덟째, 수사관들은 ‘회 복적 대화’ 프로그램이 경찰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제고하는 데 조금 기여할 것으로 생 각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정책적 함의를 가진다. 첫째, 수사관들이 ‘회복적 대화’ 프 로그램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에 대한 법제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국민을 대상으로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를 더 알차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valuated the ‘Restorative Conversation’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investigators who experienced the ‘Restorative Conversation’ program.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00 investigators, and a surve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sponses of 188 investigators who had experience linking cases through the actual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most cases, the reason investigators connected to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was because of their own judgment that the case was suitable for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or due to the request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Second, the outcomes of case processing after ‘restorative dialogue’ mostly involved cases being forwarded with the opinion of non-indictment or cases being forwarded with the opinion of indictment. Third, investigators recognized that the involved parties were somewhat satisfied with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Fourth, investigators acknowledged that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could slightly supplement existing police activities (focused on apprehending criminals). Fifth, investigators felt that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somewhat interfered with their work. Sixth, investigators seemed willing to reconnect with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Seventh, investigators acknowledged that the ‘restorative conversation’ program was somewhat effective in recovering from damage or preventing recidivism. Eighth, investigators believed that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would make some contribution to improving public trust in the pol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irst, efforts are needed to help investigators better understand and support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Second, there is a need to legislate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Lastly, there is a need to promote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more effectively among the public.

      • KCI등재

        수사경찰의 역량 강화 방안

        이성기 한국경찰연구학회 2021 한국경찰연구 Vol.20 No.4

        현시점에서 수사경찰의 역량강화를 위한 가장 큰 과제는 수사 인력의 보강이다. 그 러나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지는 의문이다. 수사경찰에 대한 국민의 신뢰 부족 이 부족한 인력현상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은 아닌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경찰수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수사전문성과 수사의 공 정성이 지향점이 되어야 하며, 그 평가는 국민의 관점에서 검토될 필요가 있다. 수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서 가장 시급한 것은 전문 수사 인력의 확충인데 그 과정에서 개방 성,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수사의 공정성 확보는 수사관 개인의 업무태도 측면 과 수사절차에 대한 제도적 통제 관점에서 검토할 수 있다. 전자와 관련하여 수사관의 적성, 업무 및 성격태도가 중요한데, 상대방의 이야기를 충분히 경청하며 공감할 줄 아 는 태도를 필요로 하므로 수사관 선발 및 교육에 있어서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결조건으로 업무 부담이 해결되어야 하므로 수사 인력 확보도 수사의 공정성 확보측면에서 중요하다. 수사관 채용에 대한 구체적 개선방안으로서, 시보 순경 중 예비 수사 경과자를 선발하는 방안, 순경으로 수사관을 별도 선발하는 방안, 경력경쟁채용을 통해 경사 계급을 선발하는 방안으로 나누어 장・단점을 검토하였다. 이 중 경사급 수사관을 별도 선발하 는 방식이 우수 수사관 확보라는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존 경 찰관 중 부서장 추천을 통해 일정 수의 수사경과자를 선발하는 부서장 추천제도를 확 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 및 평가에 있어서 집단교육과 OJT교육을 병행하 고, 수사공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제도마련이 필요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법경찰관 리의 구분을 폐지하고 수사관 등급제를 도입하여 수사성과에 있어서 역할 중심의 평가와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Currently, competency of a police criminal investigator is hotly debated right after the prosecution reform which was temporarily ended in 2020. The current prosecution reform allows the police to investigate criminal case independently and finish without prosecutor’s instruction, which means that the police is in full responsibility of criminal investigation with a few exceptional cases which belong to prosecutor’s exclusive power. This current change generated a new concern on the competency of police investigation in terms of effectiveness, efficacy of criminal investigation, and human rights issues. In this vein, a few issues worth in-depth discussion. The first question is the meaning of investigation competency in current Korea settings. This paper argues that competency of investigation in current situation must be reviewed from two perspectives. Foremost, the competency of a criminal investigator must be evaluated in terms of not only cognitive ability but investigator’s personality. Second, the competency of police investigation must be considered in terms of procedural justice from the people’s point of view. The former suggests that the selective examination changed in a way to test candidates’ personality. However, it is not easy to determine ‘pass or fail’ based on the aptitude test. Thus, the aptitude test must be used in the process whether a current police officer applying for a detective is suitable as a criminal investigator as it is not a proper test to determine eliminate applicants for a new police officer. Regarding the second procedural justice issue, this paper argues that police recruits must be more diversified allowing direct entry of middle rank investigators in order to ensure people’s trust on the fairness of police investigation in additions to internal systematic change in the organization of police investigation.

      • KCI등재

        수사관의 수사요소 중요도 인식이 프로파일링 활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신상화,윤상연 한국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13 No.1

        Profiling i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application area of ​​domestic criminal psychology,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profiler is firmly established as a profession. However, compared to the social awareness,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within the police is not high. In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profiling by identifying the perception of investigators who request and use profiling from a profiler when a violent incident occurs.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factors considered by investigators in the criminal investigation process and the attitude toward profiling on the intention to use profiling was verified through the path model. As a result of a survey of 340 police investigators, the investigato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on elements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the importance of normative investigative elements (evidence collection and legal judgment, etc.) and factual investigative elements (criminal analysis, criminal information system analysis, etc.). Among them, the importance of factual investigative element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it by mediating the attitude toward profil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mportance of normative investigative elements,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profil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ception that investigators have about investigation, which is their main work area, plays a role in determining whether to request profiling as well as attitude towards profil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trategies necessary to activate the use of profiling were discussed. 프로파일링은 국내 범죄심리학의 대표적인 활용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경찰청 프로파일러는 확고한 직업군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인지도와 비교하면 정작 경찰 내부에서의 인식이나 활용도는 높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력사건 발생 시 프로파일러에게 프로파일링을 요청하고 활용하는 수사관의 인식을 파악하여 프로파일링 활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사관들이 범죄 수사과정에서 고려하는 요소들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가 프로파일링 활용 의도에 미치는 관계를 경로모형을 통해 검증했다. 경찰 수사관 3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수사관의 수사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규범적 수사(증거수집과 법적 판단 등)와 사실적 수사(범죄자 분석, 범죄정보 시스템 분석 등) 중요도의 2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중 사실적 수사 중요도가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를 매개하여 활용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규범적 수사 중요도의 경우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사관이 자신의 주 업무 영역인 수사에 대해 가지는 인식이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뿐 아니라 프로파일링 요청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프로파일링 이용 활성화에 필요한 전략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용의자 수사면담유형 평가척도의 개발

        이윤(Roon Yi)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6 경찰학연구 Vol.16 No.1

        수사관들의 용의자 면담유형은 목적과 태도 차원을 기준으로 4개(탐색형, 책략형, 사무형, 투우형)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사관들이 4개의 면담유형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자기 보고식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척도 개발을 위해 이전 연구들에 의한 용의자 면담 전략을 상황에 맞게 변경하였고, 수사관들로 하여금 자신의 행태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응답하게 하였다. 수사관 204명의 응답에 대해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요인에 포함된 문항들을 수사면담유형 평가척도(SIIS)로 명명하였다. 이 척도의 구성타당도는 부분적으로 확보되었다. 이 척도는 수사관이 바람직한 면담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Investigators’ suspect-interview styles were classified into 4 styles by cross-linking with 2 dimensions. One dimension was ‘goal of interview’(confession obtaining vs. information gathering), the other was ‘manner of investigator’(humanitarian vs. dominant). 4 styles were exploration(information gathering + humanitarian), artifice(confession obtaining + humanitarian), business(information gathering + dominant), bullfight(confession obtaining + dominant).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development of self-report scale with which each investigators could be assessed where they were belong to among 4 suspect-interview styles. This scale was transformed from the tactics in previous studies in order that investigators could respond how much those were correspond with their behaviors in suspect-interviews. 204 investigators responded survey. After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4 factors were extracted and verified. The scale was named SIIS(Scale of Investigative Interviewing Style). SIIS was made so that it could be used for inducing investigators to do desirable suspect-interview by training and management. And the CHID model and SIIS can help further studies on suspect-interview methods and tactics as ways of preliminary data collection.

      • KCI등재

        디지털 성착취물 수사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실태 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안재열,이상진 한국경찰학회 2022 한국경찰학회보 Vol.24 No.3

        최근 정보통신기술과 디지털기기의 발전을 악용한 디지털 성범죄가 지능화되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0년 발생한 디지털 성범죄사건인 “N번방”, “박사방” 사건이 대표적인 사건이다. 이후에도 디지털 성범죄는 더욱 다양화된 플랫폼에서 한층 음성화되고 진화된 형태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반면 수사관들은 수많은 디지털 성착취물 관련 범죄를 수사하면서 비정상적이고 자극적인 디지털 성착취물에 장시간 노출되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고통받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관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사이버업무 분야 3개 부서(65명)를 대상으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사이버성폭력 전담수사팀 수사관 25명 중 22명(88%)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고통받고 있는 디지털 성착취물 수사관들의 심리상담 치료 의무화 필요성 및 스트레스 최소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변호인의 피의자 신문 참여에 대한 경찰 수사관의 경험과 인식 - 최근의 변화를 중심으로 -

        김면기 ( Kim Myeonki ),강소영 ( Kang Soyoung ) 한국형사정책학회 2021 刑事政策 Vol.33 No.1

        이제 피의자 신문 과정에서의 변호인 참여권은 확고히 보장받고 있지만, 변호인 참여권도 결코 ‘절대적’으로 보장받는 ‘무제한적’인 권리는 아니다. 변호인 참여권이 피의자 신문 과정을 부당하게 저해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고, 형사사법제도의 목적 달성과도 조화롭게 운영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변호인 참여제도의 운영 실태를 평가하고, 수사관의 변호인 참여권에 대한 인식은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변호인 참여권에 대한 경찰 수사관들의 경험과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다수의 수사관들은 2017년 이후 변호인 참여권과 관련된 변화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최근의 변화가 수사에 일부 제약을 가져오기는 하지만, 결코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고,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이 더 크다고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감안하면 최근의 변호인 참여권 변화는 우리나라의 수사현실 속에서 나름 조화롭게 정착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동안 지적되어 왔던 변호인의 역할들을 보다 폭넓게 보장함과 동시에 수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최소화한 것으로 확인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변화의 방향이 합리적이라면, 상위 법령 등의 개정을 통해 변화의 토대를 보다 탄탄히 하는 것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Now, the right to counsel during the interrogation is firmly guaranteed, but the right to counsel is by no means a ‘unlimited’ or ‘absolute’ right. This is because the right to counsel is not allowed to unfairly impede the process of interrogating the suspect, and it must be operated in harmony with the achievement of the purpose of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o this end,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right to counsel during the interrogation and explore the investigator's awarenes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olice investigators about the right to counsel during the interrogation. Most investigators have been fully aware of the recent changes related to the right to counsel during the interrogation since 2017. And although the recent changes brought some restrictions on the investigation, it does not seriously impede the function of police interrogation, and it also accompanies greater positive effect. Given thes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recent change of the right to counsel during interrogation has been harmoniously settled. This is because it is confirmed that the roles of lawyers, which have been pointed out so far, are guaranteed more broadly and at the same time, the negative impact on the investigation has been minimized. If the direction of such change is reasonabl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trengthening the basis of the change through revision of higher-level laws and regu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