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IS기반 수변구역의 토사유실 영향 분석

        이근상(Lee Geun Sang),황의호(Hwang Eui Ho)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2D

        임하호 유역은 지질 및 지형이 토사유실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강우발생시 많은 토사가 호소로 유입되어 고탁수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임하호유역의 농경지가 주로 하천주변에 분포하고 있어 강우시 토사유실로 인한 탁수발생이 큰 지역이다. 따라서, 탁수저감을 위한 수변구역의 체계적인 관리와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수변구역에서 발생하는 토사유실량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IS 기반 RUSLE 모형을 선정하여 수변구역에서의 토사유실 비율을 평가한 결과 약 12.23%로서 임하호 전체유역과의 면적비율(9.95%) 보다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변구역 주변의 농경지비율(27.24%)이 전체유역에 대한 농경지비율(14.96%) 보다 높은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소유역별 분석결과를 볼 때 수변구역중 대곡천 유역이 가장 높은 토사유실량 분포를 나타냈으며, 반변천_10 그리고 서시천 순서로 나타났다. Geology and terrain of Imha basin has a very weak characteristics to soil erosion, so much soil particles flow into Imha reservoir and bring about high density turbid water when it rains a lot. Especially, since the agricultural area of Imha basin is mainly located in river boundary, Imha reservoir has suffered from turbid water by soil eros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influence of soil erosion to establish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for the reduction of turbid water. By applying GIS-based RUSLE model, this study can acquire 12.23% that is the ratio of soil erosion in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and is higher than area-ratio (9.95%) of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This is why the area-ratio of agricultural district (27.24%) in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is higher than the area-ratio of agricultural district (14.96%) in Imha basin. Also as the result of soil erosion in sub-basin, Daegok basin shows highest soil erosion in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second is Banbyeon_10 basin and last is Seosi basin.

      • KCI등재

        도시 수변공간의 활용 실태와 입지적 특성을 반영한 친환경적 수변 도시개발 방안

        김항집(Hang-Jib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3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도시가 기능적으로 개발되면서, 도시내부의 강을 중심으로 하는 수변공간은 도로건설과 비선호성시설의 집적으로 도시민의 삶의 공간에서 소외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산업화시대인 1970~80년대에 폐수와 쓰레기로 오염된 강은 생태?친수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고 하수구의 기능으로 전락하였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서서 지속가능한 도시에 대한 요구와 도시의 쾌적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도시민은 도시 내에서 맑은 물과 쾌적한 수변공간을 갈구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도시재생의 중심적인 공간으로 수변공간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수변공간에 대한 이용현황과 계획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도시 수변공간이 갖는 입지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수변공간 활용방안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도시적 여건에 부합되는 친환경적이며 도시재생에 기여하는 지속가능한 수변공간의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Since 1970’s, the rivers in industrial cities and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have been severely contaminated and the riverfronts have been to garbage yard, warehouses and sanitary facilities that produce low efficiency in urban land-use. As a result, riverfront in most cities became lost space and artificial area which composed of asphalt road, concrete riverbank and parking lot. However, Sustainable management is the main concept of riverfront development in 21st century. Also, in contemporary riverfront space, it is the pivotal paradigm that the development of eco-space and mixture of cultural space. Citizen require greener, more ecological and water-friendly space in riverfront of city. So,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suggestion for build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management for riverfront in Korean cit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has reviewed the developmental trend of recent riverfront, has analyzed locational environment and land use of riverfront in city, has set policy and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riverfront.

      • KCI등재후보

        BMP 적용에 따른 용담호의 수질변화 모의

        김순택 ( Soon-tack Kim ),최경식 ( Kyoung-sik Choi ),김태근 ( Tae-geun Kim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1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과 WASP5 모형을 이용하여 용담댐 유역에 비점오염원 관리기법 중하나인 수변구역이 조성될 경우 용담호의 수질개선 효과를 알아보았다. SWAT 모형의 토지이용도를 변환시켜 수변구역 조성 전후의 오염물질 유출량을 모의하였고, 모의 결과를 WASP5 모형의 경계조건으로 사용하였다. SWAT 모형의 모의 결과 유역으로부터 오염물질 유출량은 강수량과 비례하였고, 수변구역 조성에 의한 오염물질 저감율을 산정하였는데 4년 평균 저감율은 SS 17.7%, BOD 11.0%, TP 10.8%, TN 4.7% 순이었다. WASP5 모형의 모의 결과 수변구역이 조성되면 용담호 유입부의 연평균 저감율은 BOD 5.1%, TN 3.9%, TP 6.2%였고, 유출부의 연평균 저감율은 BOD 1.0%, TN 1.8%, TP 2.1%였으며, 강우기의 저감율이 연평균 저감율보다 더 높게 산정되어 수변구역이 조성되면 강우시 토사유출을 억제하여 용담호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부하량을 저감시켜 호수의 수질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water quality in Yondam reservoir is simulated with SWAT and WASP5 models under the assumption of the construction of buffer strip. Landuse map changes of buffer strip along the reservoir create the reduction of water pollutants by using SWAT. The results of SWAT link to the boundary condition of WASP5 model. The water pollutants are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precipita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buffer strips, the average reductions of SS, BOD, TP and TN are 17.7%, 11.0%, 10.8%, and 4.7% during the four year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buffer strip construction in WASP5, the reductions of BOD, TN and TP are 5%, 4% and 6% at the inlet of Yongdam reservoir. Additionally, the reductions are 1% of BOD, 2% of TN and 2% of TP at outlet of Yongdam reservoir. Since the buffer strip in Yongdam reservoir reduce the inflow of SS, the water quality can be improved.

      • KCI등재

        4대강살리기사업과 수변공간에서의 레저스포츠활동

        김성배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1 스포츠와 법 Vol.14 No.2

        One of main agenda of President Lee is 4 rivers restoration project along with green growth strategy.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of South Korea is the multi-purpose green growth project on the Han River (Korea), Nakdong River,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The Four Major River Restoration Project has five key objectives: 1) securing abundant water resources against water scarcity; 2) implementing comprehensive flood control measures; 3) improving water quality and restoring ecosystems; 4) creation of multipurpose spaces for local residents; and 5) regional development centred on rivers. The main focus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water sports regulation and forseeable problems of 4 river projects boosting water leisure activities and cultural activities through to analysis green growth policy, the special bill for the development of waterfront and waterline area which is proposed by representatives from ruling party and is a hot issue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water leisure safety act. Water sports have several problems as an aspect of the legal system. After 4 river project, to promote safe and environment friendly water sports, there must be preparation of legal system for harmony of people and environment such as unification of regulation authority, preparation of adequate safety regulation, and categorizing water sports with environmental standard such as none motor sports (windsurf, sailing yacht, canoe) and water sports with motor engine (motor boat, water-ski, water motorcycling). 현 정부는 저탄소녹색성장을 표방하면서, 4대강 살리기 사업도 기후변화에 대처하고 수자원을 확보하고 홍수조절과 가뭄피해에 대비하면서 국가경제를 살리고 지방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는 그린뉴딜의 차원에서 재구성하였다. 즉 4대강사업도 녹색성장의 한 축이므로 4대강개발사업의 한계와 방향은 녹색성장의 개념안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 그러므로 지역균형방전과 소외된 존재에 대한 지원과 배려를 포함한 사회적 정의실현을 내재한 녹색성장을 바탕 방향을 설정해야 하며 녹색이라는 개념은 포장의 개념이 아니라 4대강개발사업을 함에 있어서 한계개념으로 작용해야 한다. 즉 4개강개발사업은 4대강살리기사업이어야 하며,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공존하며 단순히 환경보전이 아니라 인간에게 적합하고 이용가능하며 또한 쉽게 접근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고 보전하는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수변지구의 활용문제는 4대강개발사업의 핵심이 아니라, 핵심(물부족과 홍수조절)을 달성하려고 조성된 환경의 자연친화적 이용과 지역친화적 이용 그리고 국민에게 강을 돌려주고 여가의 활용이라는 문화적 접근의 문제이다. 수변지구와 수상레저활동의 활용에서 한계와 목적개념으로 녹색성장이 작용해야 한다. 즉 환경자체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환경과 인간의 조화 속에서 누구나 쉽게 이용가능하고, 쾌적하며 환경부담을 치유하고 완화시키는 방향으로서의 수변지구의 개발과 수상레저활동이 도모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녹색성장의 개념안에 지역균현발전과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를 적극반영하여 형평의 추구를 적극적으로 포섭하여 녹색성장의 개념을 발전시켜야 하기에, 4대강개발사업으로 인하여 조성된 수변지구와 수상레저활동계획의 마련에 있어서 지역균형과 소외계층에 대한 적극적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수변지구에 현실적으로 소수의 국민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들어서고 4대강 개발사업이 조성한 바람직한 뛰어난 자연경관과 쾌적함을 결국에는 다수의 국민이 누리는 것이 아니라면 친환경적 개발과 이용이라고 하더라도 녹색성장의 개념에 비치된다. 강의 모든 국민의 품속에 돌려주는 것은 접근의 용의성과 현실성을 마련하는 것에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4대강사업으로 조성된 관광자원과 연계된 특수시설에서 확보한 금원의 사용과 배분에서도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미국에서 강과 호수가 오염되어서 더 이상 사람들이 찾아가지 않게 되자, 낚시할 수 있고 수영하기 적합한 수질을 만들고자 했으며, 강과 호수를 다시 국민에게 돌려주어 국민들이 물과 함께 할 수 있도록 한 것에서도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4대강개발사업을 수행하면서 일각에서 제기되는 수질오염문제를 최소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4대강개발로 인해 조성된 자연공간과 수변공간은 공공재로서 모든 국민이 공정히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저렴한 비용에서 모든 사람이 원하면 수변공간에서 체육활동과 레저스포츠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지도를 활용한 홍수터 복원 구역 선정 및 홍수완충공간의 홍수 저류효과 분석

        이동진,지운,김상혁,안홍규,장은경 응용생태공학회 2023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10 No.2

        To reduce the damage of extreme flooding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to create flood mitigation sections in a nature-friendly riparian area,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floodplain area by referring to the past floodplain section of the current inland waterfront area before the levee was built.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of selecting a location for floodplain restoration using old maps of the Geum River study section and analyzed the effect of flood level reduction through unsteady flow numerical simulations using the floodplain as a flood mitigation space. As a result of analyzing changes in the river areas using old maps, the river section was estimated to gradually reduce by 27.8% (1,059,380 m2) in 2020 compared to 1919, and it was found to have an effective storage capacity of 2,200,868 m3 when restored to offline storage. The flood level and discharge control effects analyzed based on HEC-RAS unsteady flow simulation were 16 cm and 219.01 m3/s, respectively, in the downstream cross-section. In the numerical simulation in this paper, the flood mitigation space was applied as an offline reservoir. The effect of reducing the flood level may differ if levee retreat/relocation is applied.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홍수의 피해를 저감하면서 동시에 자연친화적 수변구역의 홍수완충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제방이건설되기 이전의 홍수범람 범위와 하천구역을 참조하여 홍수터 복원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강 대상구간에대해 고지도를 활용하여 홍수터 복원가능 공간의 입지 선정 방법을 제안하고 홍수터를 홍수완충공간으로 활용할 경우 홍수위 저감 효과를 부정류 수치모의를 통해 분석하였다. 고지도를 활용하여 하천구역 변화를 분석한 결과, 1919년에 비해 2020년 하천구역면적이 단계적으로 총 27.8% 감소 (1,059,380 m2)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과거 홍수범람 구역이었던 제내지를 offline 저류지로복원할 경우 2,200,868 m3의 유효 저류용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HEC-RAS 부정류 모의를 통해 분석한 홍수위와 홍수량조절 효과는 대상구간의 하류 단면에서 16 cm와 219.01 m3/s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수치모의에는 홍수완충공간이 offline 저류지 형식으로 적용되었으며, 제방 후퇴/이설을 통한 홍수터의 확대가 적용될 경우 홍수위 저감 효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있다.

      • KCI등재

        낙동강 수변 생태복원지 시공 후 4년간(2007∼2010년) 식생구조 변화 모니터링

        기경석 ( Kyong Seok Ki ),김종엽 ( Jong Yup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5

        본 연구는 낙동강수계 매수토지 생태복원지를 대상으로 2007년 복원 공사 직후부터 4년간의 식생구조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식생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낙동강 수계 생태복원지 중 총 15개소(208,342㎡)를 대상지로 하였고 조사는 2007년 11월, 2008년 9월, 2009년 10월, 2010년 9월에 각각 시행하였다. 식재종 및 개체수 변화 분석 결과 교목층은 당단풍나무, 상수리나무, 신나무, 갈참나무, 굴참나무 등은 비교적 개체수가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었고 떡갈나무, 말채나무, 뽕나무, 쪽동백나무, 팥배나무는 100% 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목은 초본과 덩굴성 식물에 의한 피압으로 대부분 고사하였다. 식재밀도는 4년간 평균 28주/100㎡ → 20주/100㎡ → 16주/100㎡ → 16주/100㎡로 감소하였다. 생장량은 복원 공사 직후 이식에 따른 스트레스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이후 활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안정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흉고단면적 변화는 2007년 복원직후에 507.1㎠/100㎡이던 것이 2008년에 301.8㎠/100㎡로 감소하였으며 이후에는 324.9㎠/100㎡(2009년), 372.7㎠/100㎡(2010년)으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변 생태복원지의 식재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토양습도를 고려한 수종의 선정과 대상지 여건을 고려한 적정 식재구조의 차별화가 필요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4 years of changes in the vegetation structure starting from 2007 when restoration began and propose vegetation management ideas for the riparian ecological restoration areas in the purchased land around Nakdonggang (River). The study was conducted in each of 15 locations (208,342㎡) in the riparian ecological restoration areas in November 2007, September 2008, October 2009 and September 2010.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hanges in planting species and population showed that, in the case of trees, Acer pseudo-sieboldianum, Quercus acutissima, Acer ginnala, Quercus aliena, Quercus variabilis indicated relatively little changes in their numbers and Quercus dentata, Cornus walteri, Morus alba, Styrax obassia, Sorbus alnifolia var, macrophylla indicated a 100% withering rate. Most shrubs withered due to the oppressive pressure of herbs and climbing plants. The planting density decreased over 4 years on average 28 plants/100㎡ to 20 plants/100㎡ to 16 plants/100㎡, Shortly after the restoration, The the amount of growth was reduced by restoration stress. however as time goes on after the restoration tended to stabilize, The changes in the basal area showed a decrease from 507.1㎠/100㎡ in 2007 right after restoration to 301.8㎠/100㎡ in 2008 and afterwards showed an increasing trend by going to 324.9㎠/100㎡ in 2009 and 372.7㎠/100㎡ in 2010. To improve the planting structure of the riparian ecological restoration area, the selection of tree species that have been considered for soil moisture and the differentiation of suitable planting structures that have been considered for local conditions were needed.

      • KCI등재

        연구논문 : 수변경관의 복원가치 산정을 통한 복원 우선순위 설정 ; 경안천을 대상으로

        배민기 ( Min Ki Bae ),박창석 ( Chang Sug Park ) 한국환경정책학회 2013 環境政策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was to estimate the restoration value of riparian landscape and evaluation of restoration priority in the gyeongan stream using a conjoint model. To do this, four attributes of riparian landscape were investigated considering distance fromwaterside, human interference, and facility and vegetation density. An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riparian landscape attribute, the levels of the four attributes of were selected. Surveys were carried out by targeting residents within 1km of both banks of the gyeongan stream.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respondents perceived a high need for restoration of landscape units in the gyeongan streamarea with a strongly artificial characters such as urbanization area, warehouse, and cattle shed. 2)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nearer waterside, the heavier human interference, the lower facility, and the higher vegetation density, landscape restoration priority was higher. 3) The estimate WTP per household/month for landscape restoration was 3,870 won, the owning property groupwas 3,990won and non-owning property groupwas 5,980won. The estimated total economic value of all per year was 46,440 w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conservation of the riparian area as an ecologically and aesthetically healthy and attractive area, as well as to the formation of a more natural and bio-diverse riparian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

        상수원보호 관련 주민지원사업의 효과 추정: 옥천군 수변구역을 중심으로

        이순배 ( Sun Bae Lee ) 한독경상학회 2008 經商論叢 Vol.26 No.2

        과거 대청호의 수질이 자주 악화되자 정부는 상류지역의 경제활동 및 행위 제한으로 대청호의 수질문제를 풀려고 했다. 그럴 때마다 상수원의 이용을 둘러싼 상?하류주민들 간의 이해갈등이 깊어졌다. 이런 상황 속에서 도입된 제도가 주민지원사업이다. 이 지원사업의 핵심은 하류주민이 물이용부담금을 내고, 상류주민들은 그 돈을 보상의 형태로 받고 그리고 보다 더 깨끗한 물을 흘려보내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보상적 효과가 매우 미약하여 수질보호정책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 이것을 진단해보고자 옥천군 수변구역 주민들이 주민지원사업에 대하여 혜택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화폐적 의사표시금액을 조건부가치측정법(CVM)으로 추정했다. 주민지원사업에 대한 의사표시금액은 1인당 연간 약 10만 2천원으로 추정되었다. 이 추정 금액은 1인당 연평균 지원금액은 55만 7천원보다 훨씬 적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지원금이 대부분 마을공동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주민지원사업의 실질효과는 지급되는 지원금에 비해서 개인에게 실제로 돌아가는 (의사표시)금액이 적으면 적을수록 그만큼 더 작아지게 된다. 적은 의사표시금액으로부터 우리는 대청호 상류주민의 적극적 참여에 의한 수질개선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When the water quality of the Daechung reservoir was getting worse,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roved the water quality by the control of business and activation in the Daechung upstream. As a result, it did lead to the conflict of residents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In oder to solve this conflict problem, upstream residents support program(URSP) was introduced in 2002. URSP implies that downstream residents pay for water-use charge, and upstream residents take partly it in term of compensation and they should be cooperative to make better the water quality. But it was known that the effect of URSP was very small. In oder to prognose the problem of this water quality policy, we did estimate the subjective appraised value of benefit of riverside Okchun-Gun using Tobit Model.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Tobit Model shows that the value of willingness-to-accept(WTA) are yearly 102,000 Won(A) per resident in the Okchun-Gun riverside. These estimates are far smaller than the average expenditure per resident in the Okchun-Gun riverside(557,000 Won(B)), for which was paid yearly in compensation for the damage in upstream. It proved that the actual expenditure of the Gum river agent was five times of the value of WTA. A ratio of the estimates of WTA to the actual expenditure(A/B) was still smaller than 0.2. It implies that the actual effect of URSP was very small. And it proves that it is difficult to ask uptsream residents for help of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