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세기 연행록에 표현된 연행활동 -춤을 중심으로-

        최성애 한국무용사학회 2010 한국무용사학 Vol.0 No.6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 후기 문학 중 19세기 연행록(燕行錄)에 표현된 공연양상을 살펴보고, 춤 종목의 분류와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19세기 연행록에는 사신들을 위로하는 연향(宴饗)을 베풀 때 행해진 다양한 연희(宴戱)를 보고 느낀 것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작가들이 당시 사행노정에서의 예인들의 공연 활동을 특히 사실적이면서 생동감 있게 묘사하고 있다. 또한 연행록에는 사행원이 연희 종목들을 감상하고 느낀 감흥과 흥취를 자유로운 글쓰기 형태로 다양하게 기록하고 있는데, 이 글들을 통해 사행의 길목에서 연희된 공연활동과 춤 종목과 목적 및 성격을 살펴볼 수 있다. 19세기는 많은 연행록 있지만, 이 중 각 지방의 연행활동과 춤 종목을 자세히 기록한 이해응(李海應, 1775-1825)의 『계산기정(薊山紀程)』(1803), 박사호(朴思浩, 1784 -1854)의 『심전고(心田稿)』(1837) 「연계기정(燕薊紀程)」(1828), 김경선(金景善, 1788-?)의 『연원직지(燕轅直指)』(1832), 이우준(李遇駿, 1801-1867)의 『몽유연행록(夢遊燕行錄)』(1848), 홍순학(洪淳學, 1842-1892)의 『연행가(燕行歌)』(1866), 유인목(柳寅睦, 1839-1900)의 『북행가(北行歌)』(1866), 저자미상의 『연원일록(燕轅日錄)』(1889)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세기의 연행록에 표현된 춤 종목에는 궁중에서 유입된 춤 및 지방에서 연희된 춤 그리고 연행자인 기녀들이 스스로 창작한 춤이거나 기녀 자신만이 배워 전승되고 있는 춤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춤 종목은 사행원을 위한 유희적․무사귀환을 목적으로 흥취적(興趣的)이고 풍류놀이의 성격과 송축(頌祝)․축수(祝壽), 그리고 태평성대의 성격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검무>는 사행에서 빠지지 않고 연행된 춤 종목으로 사행원의 사기를 고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공연되어 애국심과 상무정신(尙武精神)을 고양시키는 성격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고는 관찰기록에서는 느낄 수 없는 공연 현장의 생동감을 상세히 전달하고 있는 문예적 표현을 기록한 연행록을 살펴본 것으로서, 19세기 춤의 다양한 공연양상을 파악하는 데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에 추어졌던 춤을 복원하는 데 앞으로도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문학적 측면에서 무용에 관한 사료를 연구하여 미흡하나마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는 점도 가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Envoys’ visits to Peking expressed in records on envoys’ visits to Peking in the 19th century -centering on a dance- Sengae Choi*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aspect of performance expressed in records on envoys’ visits to Peking in the 19th century among the literary work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un dynasty, and understand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 of dancing items. The records include impressions on the various performances at a banquet for comforting envoys. The authors described particularly realistically and vividly the performances of artistes on envoys’ visits at that time. Also, the records include envoys’ inspirations and interests after appreciating performing items which were variously recorded in the form of free writing. The texts reflect the purposes and characters of the performances and dances performed on envoys’ visits. Among many records on envoys’ visits to Peking in the 19th century I have explored Haeeung Lee(李海應, 1775-1825)’s Gyesangijung(薊山紀程, 1803), Saho Bak(朴思浩, 1784-1854)’s Simjungo(心田稿, 1837) and Yungyegijung(燕薊紀程, 1828), Gyungsun Gim(金景善, 1788-?)’s Yunwonjikji(燕轅直指, 1832), Woojun Lee(李遇駿, 801-1867)’s Mongyuyunhaengnok(夢遊燕行錄, 1848), Sunhak Hong(洪淳學, 1842-1892)’s Yunhaengga(燕行歌, 1866), Inmok Yu(柳寅睦, 1839-1900)’s Bukhaengga (北行歌, 1866) and anonymous “Yunwonillok”(燕轅日錄, 1889), which recorded in detail the visits to Peking and dancing items in each area. As a result, I could confirm that the items of dance expressed in records on envoys’ visits to Peking in the 19th century involved a dance flowing in from court, a dance performed in local areas and dances created personally by prostitutes as performers or dances which prostitutes themselves learnt and handed down. I could understand such items of dance as playful for envoys, tasteful for the purpose of their safe return, a play of writing a poem, singing a song, drinking and dancing, blessing, wishing a long life and wishing a peaceful reign. Also, I could understand that Sword Dance as an item of dance performed necessarily on envoys’ visit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ir morale played an important role with the character of promoting patriotism and militarism. This thesis explored records on envoys’ visits to Peking including the literary expressions conveying in detail the vividness of a performing scene which cannot be felt at a record of my observations. I think that also in the future it will greatly contribute not only to understanding the various performing aspects of the dances of the 19th century but also restoring the dances performed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un dynasty. Also, it can be said to be valuable that I could obtain insufficient but good results by studying historical material about dancing at a literary a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