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해안별신굿 손님풀이 무가 텍스트 이본비교와 서사구조

        이정훈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40 No.-

        본고는 국가무형문화재 남해안별신굿의 손님풀이 무가 텍스트를 분석한 것이다. 손님풀이는 천연두 질병에 관한 본풀이자, 역병에 대처하는 인간의 의례담이다. 현재 손님풀이는 전국적으로 전승확인이 되는 대표적인 무가텍스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채록된 남해안별신굿(이하 ‘남별’) 무가텍스트 이본을 비교분석하는 작업을 기반으로 그 서사구조와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손님풀이 사설은 ‘남해안필사본 무가’에 수록된 3종과 1982년 정모연이 거제 죽림마을에서 연행된 음원을 채록한 것이다. 그리고 총 4종의 손님풀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남별’의 손님풀이는 손님네 도래 시도와 좌절, 도술로 육지도래와 역경, 수명장자의 박대와 노기의 환대, 노기의 소원수행, 수명장자 징치와 공수라는 서사구조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다. 이는 동해안별신굿 손님풀이와 양상이 사뭇 다르다. 특히 동해안별신굿에서 수명장자의 아들 철룡이의 죽음은 처음부터 계획된 징벌이고 선한 노고할매(노구할미)의 이타정신이 드러나지만, 남해안별신굿은 수명장자와 옥동이, 노기댁의 쇠덕이는 부모의 업보를 철저히 수행하는 존재로 등장한다. 남해안별신굿은 마마신의 위력과 복종의 구조라는 종교적 측면은 약화되고 있고, 선악대립구조가 극명하게 전개된다. 이러한 선악구조의 핵심은 수명장자와 손님의 대립으로 환언되며 이것은 남해안별신굿 손님풀이가 지향하는 주제의식과도 밀접한 연관을 맺는다. 남해안별신굿의 서사구조는 동해안별신굿에 비해 마마신의 위력은 약화되며 가난하고 정성스러운 노기댁의 선행으로 구제되는 성격이 두드러진다. 수명장자는 시종일관 손님의 위협을 감지하지 못하는 오만함과 자기중심적 세계에 갇힌 인물이다. 수명장자의 독선은 외동아들의 죽음을 초래하며 패가망신의 결과를 얻게한다. 수명장자와 노기댁의 신세역전은 손님의 도래로 얻은 결과물이다. 이때 손님의 도래는 죽음이라는 불행을 의미하는데 수명장자는 손님이 오기 전까지는 절대적인 자아도취적 만족감으로 살았던 인물이다. 수명장자의 견고한 자기확신은 죽음도 이길만큼 강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노기댁은 하나밖에 없는 아들이 가난 때문에 종살이를 해야하는 상황에서 손님의 방문으로 신분해방의 기회를 얻게 된다. 손님의 도래가 가져온 결과는 기존의 질서를 역전시키고 세속적인 가치를 전복시키는 축제적 성격을 지닌 것이다. 이러한 남해안별신굿 손님풀이 성격은 굿판에서 더욱 더 호응을 얻는 오락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을 연행현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Sonnim Puri’ from Namhaean(meaning Southern Coast) Byeolsingut,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onnim (meaning guest) Puri(meaning origin story) is a main puri on smallpox diseases and a human ritual story about coping with plague. Currently, the Sonnim Puri is a representative shamanic text that its transmission is found nationwide.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narrative structure and meaning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corded Namhaean Byeolsing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Nambyeol') shamanic text. The Sonnim Puri editorials covered in this paper are the three types contained in the ‘Namhaean based copied version of Muga’ and the music performed by Jeong Mo-yeon in Jukrim Village, Geoje, in 1982. An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a total of four types of Sonnim Puri, Nambyeol's Sonnim Puri has not deviated from the narrative structure of attempting and frustration of guest arrival, land arrival by Taoist magic and adversity, inhospitality of Sumyeong-jangja and hospitality of Noki (meaning an old Kisaeng).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Donghaean (meaning East Coast) Byeolsingut Sonnim Puri. In particular, the death of Cheolryong, the son of Sumyeong-jangja, in Donghaean Byeolsingut, is a planned punishment from the beginning and reveals the altruism of Nogo-halmae(meaning old goddess of mountain), but Namhaean Byeolsingut shows Sumyeong-jangja, Okdong-i, and Noki-daek’s Soedeogi as a person who thoroughly performs parental karma. The religious aspect of the Namhaean Byeolsingut, showing the power of the Mamasin and people’s obedience is weaker and the confrontation or vice and virtue is clear. The core of this structure is said to be a confrontation between the Sumyeong-jangja and the gues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theme of the Namhaean Byeolsingut Sonnim Puri. The narrative structure of Namhaean Byeolsingut reflects weaker power of Mamasin and more saved by the poor and careful Noki-daek than Donghaean Byeolsingut. Sumyeong-jangja is a person trapped in an arrogant and egocentric world that can not detect the threat toward guest all the time. The self-righteousness of Sumyeong-jangja leads to the death of his only child and brings disgrace to the pedigree. The reversal of Sumyeong-jangja and Noki-daek is the result of the arrival of guest. At this time, the arrival of guest means death. Before the arrival of guest, Sumyeong-jangja was a person who lived with absolute narcissistic satisfaction. The strong self-confidence of Sumyeong-jangja was strong enough to beat death. On the other hand, Noki-daek, who is in the situation where the only son has to live as slave due to poverty, gets a chance to be emancipated as guest visits. The result of guest visiting has festive aspect, brings changeover of present order and overturns the secular values. This characteristic of the Namhaean Byeolsingut Sonnim Puri is in charge of an entertainment function and well-received, and it can be also found on the ground.

      • KCI등재

        동해안 〈손님굿〉 무가의 사설 확장 방식과 의미

        김혜정(Kim, Hae-Jyung) 한국민속학회 2017 韓國民俗學 Vol.66 No.-

        이 글은 동해안 〈손님굿〉 무가의 사설 확장 방식과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동해안 〈손님굿〉 무가는 다른 지역에 비해 등장인물이 많고, 후반부 사건이 복잡하고 내용도 긴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사 전개 과정에서 `노구할미`의 역할이 강조된 점, `장자, 철운이, 외손자`등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특히 같은 지역에 `천연두신`과 관련된 〈서구할미〉설화가 전승되는데 무가와 비슷하면서도 전혀 다른 주제 의식을 띠고 있어 비교와 필요성을 느꼈다. 분석 결과 동해안 〈손님굿〉무가는 다음과 같이 사설이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동해안 〈손님굿〉무가에는 `노구할미`의 역할이 강조되어 있다. `노구할미`는 손님네를 극진히 대접하는 동시에 신과 인간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며 다른 사람들도 천연두를 가볍게 앓고 지나가게 도와주는 무당이다. 이는 같은 지역에서 전승되는 〈서구할미〉설화와 극명한 대비를 이루는 것이다. 여기서 `서구할미`는 노구할미와 달리 중재인의 역할은커녕(천연두를 치료해주는 것은커녕) 돈이나 굿에만 집착하고 사람들을 괴롭히고 현혹시키는 무당으로 그려지기 때문이다. 즉 동해안에서는 굿을 미신으로 치부하는 사람들이 늘고 무당에 대한 부정적 시선이 확대되자, 무당들은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인식시킬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이 방면으로 무가 사설을 확장했던 것이다. 물론 선후 관계야 명확하게 확증할 수 없지만 분명한 것은 `굿, 무당, 신`에 대한 이중적인 시선이 동해안 지역에 존재했다는 것이며, 이는 신자와 불신자 사이의 거리만큼 다른 이야기판(굿판)에서 이 두 설화가 불리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동해안 〈손님굿〉무가는 신자와 불신자로 구분되는 사람들이 `손님신`을 어떻게 대하고 그로 인해 어떤 결말을 맞는지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이는 신자(노구할미, 외손자)와 불신자(장자, 철운이)의 삶이 얼마나 다른지 극명하게 대조해서 보여줌으로써 신앙민의 신앙심을 고취시키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동해안 〈손님굿〉 무가에서는 `손님신`의 역할이 `천연두 치료`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재물을 관장`하는 것도 추가되어 있다. 이는 백신 등 과학적 치료법 개발 등으로 굿에 대한 효용성이 계속해서 의심받는 상황에서, 신의 직능을 확대함으로써 `손님굿`에 대한 당위성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ow the Shamon`s song lyrics of 〈Sonnimgut〉 in Eastern Coast was expanded and its significance. There`re many people appeared in 〈Sonnimgut〉 the Shamon song in Eastern Coast and the complicate affaires take place in latter half, which is quite so long, compared to other regions. This paper focused on that the role of `Noguhalmi` was highlighted and the different characters such as `Jang-ja, Chul-woon and grandson` appeared as the narration unfolded. Especially, the 〈Seonguhalmi〉 folk tale related with `smallpox god` in the same region was handed down-it`s similar with Shamon song but has different thematic consciousness-and it led in acknowledging the need for comparison.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Sonnimgut〉the Shamon song in Eastern Coast was expanded in the way described below. First, the role of `Noguhalmi` was stressed in 〈Sonnimgut〉 the Shamon song in Eastern Coast. `Noguhalmi` is a shaman who treats guests very kindly, act as a referee between God and human and help others who suffered from smallpox to get well soon. It`s in stark contrast with 〈Seoguhalmi〉 folk tale that passed down in the same region. In this point, `Seoguhalmi` did not play a role as referee and treat smallpox and even worse, this shaman was obsessed with money or exorcism and mislead people. I.e., as the people who regarded exorcism as superstition increased and they tended to have negative perspective on the shaman in Eastern Coast, the shamans felt keenly the necessity to make people accept their role in a positive way as a countermeasure; thus, the Shamon song lyrics was expanded. Obviously, it`s hard to make clear the order of the history but what is clear is that dual perspective on `exorcism, shaman and god` had been around in Eastern Coast and these two folk tales were called in other ceremonies for exorcism at distant intervals between believer and non-believer. Second, 〈Sonnimgut〉 the Shamon song in Eastern Coast provided enough details on how the so –called believer and non-believer treated `Sonnimsin` and the way they ended up. With striking contrast between believer such as Noguhalmi and grandson and non-believer including Jang-ja and Chul-woon, it inspired believers to have stronger religious faith. Lastly, the role of `Sonnimsin` was not limited to `the smallpox treatment` but also included `administration of property` in Eastern Coast. As the exorcism has been suspected of its effectiveness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reatment including vaccine, it`s to secure the duty on `Sonnimgut` by expanding the function God.

      • KCI등재

        질병의 불안에 대한 서사적․극적 처방전 - ‘손님굿’의 신화와 놀이를 중심으로 -

        조현설(Cho, Hyun-soul) 국문학회 2021 국문학연구 Vol.- No.43

        정체를 알 수 없는 질병은 집단적 불안을 조성한다. 손님굿은 두창이라는 불안에 대응하기 위한 의례적 처방이었다. 손님굿에는 두 가지 처방전, 곧 서사적·극적 처방전이 제시되어 있다. 손님굿의 서사는 압록강을 건너온 전염병을 손님신으로 인식한다. 먼저 손님신을 문신·호반·각시, 3위로 설정한다. 이는 여신 각시손님이 두 남성신의 대립을 통합하는 형식이다. 그러나 실제로 대립하는 것은 각시손님을 대접하는 영접자들의 환대와 적대이다. 뱃사공과 김장자가 적대한다면 노고 할미는 환대한다. 손님신들의 화복을 결정하는 요인은 주체의 태도이다. 정성을 다하면 손님신을 피할 수 있다. 손님신은 동해안 굿에서 넷으로 변형되기도 한다. 이는 무당의 착각이나 관용적 변형이 아니라 전략적 선택의 결과이다. 네 번째 손님신 세존손님은 손님굿에 앞서 연행되었던 세존굿의 주신으로 가택신이자 조상신이다. 세존손님은 손님굿에 파견된 세존신이다. 네 손님신 구조는 세 손님신 구조가 변형된 것으로 각시손님의 중개적 위상이 세존손님으로 전이된 결과이다. 외부의 손님신들과 내부의 가신들의 대립 구도에서 가신이자 손님신인 세존손님은 중개자가 된다. 이런 서사적 처방전은 손님굿의 뒤풀이로 연행되는 굿놀이에서 극적 형태로 재현된다. 극을 주도하는 막둥이는 손님신을 박대한 김장자의 삼대독자이다. 두창으로 죽은 아이를 손님신을 모시는 마부로 배치함으로써 병사한 원혼과 아이 잃은 기주와 단골들을 위로하는 동시에 세존손님과 같은 중개자의 위상을 부여한 것이다. 천연두가 사라진 현재의 굿에서 막둥이는 별비를 얻기 위한 희극적 배역이지만 과거 별상굿에서 막둥이는 손님신을 달래는 구실을 수행했다. 손님굿의 서사적․극적 처방은 의학적 처방과 상동성을 가지고 있다. 의서들은 태독이라는 내인이 사기라는 외인을 만날 때 천연두가 발병한다고 해석하는데 이는 손님신을 주체가 어떻게 대접하느냐에 따라 질병의 발생과 경중이 달라진다는 굿의 해석과 흡사하다. 외부에서 씨앗을 배양한 뒤 아이의 신체에 주입하여 면역체계를 구축하는 종두법과 천연두로 죽은 막둥이, 또는 세존신을 손님신의 내부로 파견하여 백신의 기능을 수행토록 한 의례의 처방도 혹사하다. 이는 인간의 몸과 마음, 의술과 의례를 통합적으로 사유했던 굿의 전통, 또는 동아시아의 통합의학적 사유가 빚은 상동성이다. Unidentified diseases create collective anxiety in the name of mysterious disease. To get out of this, every society devised a way. Sonnymgut was a ceremonial prescription to counter smallpox. Two prescriptions, epic and dramatic, are presented in this ritual. The myth of Sonnymgut recognizes the disease who crossed the Yalu River as Sonnym that is a guest god. First, Moonsin, Hoban and Gakshi, these three gods are Sonnym. This is the form in which the goddess Gakshi integrate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male gods. However, in reality, the confrontation is between the hospitality and hostility of the receptionists who treat Gakshi. The boatman of the Yalu River and the rich man Kim were hostile, while the Nogohalmi was welcoming. The determinant of the Sonnym fortune and misfortune is their attitude. If you do your best for the Sonnym, you can avoid smallpox. Sonnym is also transformed into four gods in the East Sea Coast Gut. This is not a shaman s mistake or a conventional transformation, but a result of strategic choice. The fourth Sonnym, Sejon was the god of housekeeping and ancestor of Sejongut, which was performed prior to the Sonnymgut. Sejonsonnym is a god Sejon who was sent to Sonnymgut. The structure of the four Sonnym is a result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three Sonnym structure, which is the result of the transmission of Gaksi’ mediating status. Sejonsonnym, a housekeeping god and a Sonnym god,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outside guest gods and the inside housekeeping gods. These mythical prescriptions are represented in a dramatic form in Gutnori, which is performed to the after-party of Sonnymgut. The youngest child Makdungee, who leads the play, is the third-generation only son of rich man Kim, who treated the Sonnym poorly. By placing a child who died of smallpox as a horseman serving Sonnym gods, the Shaman comforted the deceased and the host who lost the child. Also, the youngest child Makdungee was given the status of a mediator like Sejonsonnym. In the present Gut where smallpox disappeared, the Makdungee is a comic role to earn the money, but in the past, the Makdungee performed a role to soothe Sonnym gods.

      • KCI등재

        동해안 지역 별상굿의 제의적 성격과 그 의미 -≪손님굿≫, ≪막동이≫를 중심으로-

        윤준섭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6 No.-

        본 논문은 동해안 지역에서 연행된 별상굿을 대상으로 제의적 기능과 그 의미를 살핀 글이다. 별상굿은 천연두신, 즉 두신(痘神)을 잘 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제차는 ① 부정굿, ② 골메기굿, ③ 처낭굿, ④ 조상굿, ⑤ 세존굿, ⑥ 손님굿, ⑦ 거리굿, ⑧ 막동이(馬夫-손님 마부) 순서로 전개된다. 별상굿은 일명 손님굿이라고 하는데 대표적인 제차가 ≪손님굿≫이기 때문이다. ≪손님굿≫의 서사는 손님신이 도래했을 때, 손님신을 잘 대접해서 보내라는 의미를 지닌다. 아울러 동해안 지역 ≪손님굿≫ 각편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면, 그 서사는 전형성이 아니라 다층성을 지닌다. 이처럼 ≪손님굿≫의 서사가 다층성을 지니는 이유는 ≪손님굿≫이 별상굿이 아닌 별신굿・단오굿에서 연행되는 과정에서 조금씩 변화를 겪었기 때문이다. 별상굿에서는 ≪손님굿≫뿐만 아니라 ≪막동이≫가 마지막 제차에서 연행된다. 이 제차의 주인공은 ≪손님굿≫에서 손님신에게 죽은 ‘철원’이다. 철원이는 자신의 행위와는 무관하게 억울하게 죽은 존재였다. 그렇기에 억울하게 죽은 존재를 위로하고자 뒷전의 한 형태로서 별상굿의 마지막 제차로 ≪막동이≫가 연행된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xplaining the ritual feature of Byeolsang gut(exocism) in the east coast in Korea. Byeolsang gut(exocism) is to send a Du-sin to fight off smallpox. The order of the Byeolsang gut(exocism) is as follows: ① Bujeong gut, ② Golmegi gut, ③ Cheonwang gut, ④ Josang gut, ⑤ Sechon gut, ⑥ Geori gut, ⑦Sonnim gut, ⑧ Makdongi’play. Byeolsang gut(exocism) is called Sonnim gut(exocism). That's because Sonnim gut(exocism) is a typical order of Byeolsang gut(exocism). The narrative of ≪Sonim gut≫ means that when the Sonnim-sin arrives, he or she should be treated well. In addition, Considering the version of ≪Sonim gut≫ in the East coast in Korea, the narrative is multilayered, not typical. The reason why the narrative of ≪Sonim gut≫ has multilayered meaning is that it underwent a slight change in the course of its play at the Byeolsin gut(exocism) and Dano gut(exocism). In Byeolsang gut(exocism), however, <Makdongi’play> is held at the last course. The main character of this course is ‘Cheolwon’, who died by the Sonnim-sin. Cheolwon was an under a false accusation dead person. Therefore, <Makdongi’play> was held to console the person who an unjustly dead.

      • KCI등재

        서사무가 <손님굿>의 이원구조와 제의적 성격 - 신화, 제의, 그리고 문화콘텐츠로의 확장 -

        정제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5 No.-

        본고는 서사무가 <손님굿>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 특성이 제의적으로 구현되는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손님굿>은 서사 전체에서 이항대립을 통해 주제를 구현한다. 다만 선악의 대립으로 표면화하고 있지만, 그 안에는 마마신에 대한 믿음을 구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마마신에 대한 믿음의 여부로 보상과 징치를 결정함으로써 신앙민들에게 신에 대한 의례에 많은 정성을 보일 수 있게 구조화되었다는 것이다. 이런 이원구조를 노고할미와 김장자의 대립을 통해 드러내고, 이 대립의 전후로 사공과 영웅선생을 통해 다시 한 번 제시함으로써 분명한 주제를 구현한다 하겠다. 그런데 이 완고한 구조에서 이탈하는 인물이 존재한다. 그 인물은 바로 김장자의 아들인 철룡이다. 단순히 철룡의 죽음으로 서사가 마무리되는 것이 아니라, 마마신들의 마부가 되어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기 때문이다. 이런 철룡이의 역할은 <손님굿> 무가에서 나타난 이항대립이 확장되어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서사 내에 한정되었던 대립적 요소가 서사 밖으로 나와 철룡이와 신앙민들 사이에 이항대립을 새롭게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철룡이가 불신의 결과로서의 항을 차지함으로써 굿에 참여한 사람들은 영원히 믿음이라는 항에 위치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의 마마신에 대한 믿음을 자연스럽게 끌어낼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런 철룡이의 역할은 <손님굿> 무가에 이어지는 ‘막동이말놀이’를 통해 다시 한 번 강조된다. 손님굿과 막동이말놀이를 연결하는 존재가 바로 철룡이이다. 철룡이는 이 두 제의를 매개하며, 굿에 참가한 사람들에게 마마신의 위력을 몸소 보이고, 그들이 마마신에 대한 믿음의 위치에 설 수 있게 하는 인물인 것이다. 신화 속에서, 그리고 제의 속에서 보조 인물로 등장하는 철룡이지만, 손님굿의 연행의 본질적 의미를 드러내는 인물이기도 하다. 즉, 철룡이를 통해 서사무가 <손님굿>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손님굿 제의의 성격과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nnimguk>'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ritual feature. The theme of <Sonnimguk> is revealed through dualistic structure. On the surface, it is revealed as a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In reality, however, the belief in God is more important. However, there are characters that deviate from this rigid structure. That person is Gimjangja’s son Cheolryongi. Cheolryongi does not end with death, but becomes the horseman of the gods. <Sonnimguk>'s dualistic structure is expanded by Cheolryongi. As Tom becomes the representative of distrust, people will have belief. Cheolryongi also plays a role in connecting Sonnimguk and Makdongimalloli. Makdongimalloli play a role in sending gods. Cheolryongi plays a big role in calling God, enjoying God and send God. This is because it shows people the power of God and makes them believe. Cheolryongi is an assistant figure in Sonnimguk, but he is also the person who implements the essential theme.

      • KCI등재후보

        서울굿에 나타난 천연두신에 대한 인식의 다양성과 의미

        홍태한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3 무형문화연구 Vol.0 No.9

        This article has taken a look at the perception on Cheonyeondu-sin (smallpox gods) appearing in Seoul-gut and depicts how it is performed in gut (exorcism or shaman dance). Cheonyeondu-sinis referred as Mama, visitor, hogu or byeolsang in shamanism. Cheonyeondu-sin is the only case of having so many diversified names for a deity as it presents in various types of gut. Cheonyeondu-sin was considered as a subject of fear in such a way. In Seoul-gut, there exists 1) Mama- baesong-gut with dramatic composition, 2) ordinary muga (dance and singing), and 3) Nojeonggi dance and singing. Among them, Mamabaesong-gut is a gut that no longer is practiced now and its presence is shown on the basis of the past studies conducted to the present time. In the guts of other regions, Cheonyeondu- sin is referred mostly as the ‘visitor’. The types are considered in the following four-fold. 1) Existing as ordinary dance and singing without a story line. 2) existing as an intermediary being between an ordinary dance and singing and narrative dance and singing. There exists only the statements that visitor(s) was appeared as the Joseon State. 3) There exists the narrative dance and singing with succinct form of case deployment. visitor(s) appeared as the Joseon State in Gangnam State, and it has the contents that it had a dispute with the boatman in the process of crossing a river and it was touring around to offer its dedication. 4)There are conflicts among the characters and the case deployment exists in complicated narrative dance and singing. And, Honam-gut and Donghaan-gut contents elements of Mamabaesong-gut. Various perceptions on Cheonyeondu- sin exists and it demonstrates that there were various types of gut conducted accordingly. The smallpox (Cheonyeondu) is a disease subdued by medicine but, for people, there exists a new disease emerging at all times. The recent COVID-19 crisis is a typical case to show that. Accordingly, the names referred to as the smallpox, such as, visitor, mama, hogu, byeolseong and others, sometimes expand with the meaning for all diseases beyond its meaning of smallpox. Smallpox was a fearsome disease in the past that it was referred to as the visitor, but the disease currently prevalent would be a new visitor now. In this perspective, various perception on Cheonyeondu-sin are shown to appear in a completely new appearance together with the changes of social environment. 이 글은 서울굿에 나타난 천연두신에 대한 인식을 살피고, 그것이 굿으로 어떻게연행되고 있는지를 살핀 글이다. 천연두신을 무속에서는 마마, 손님, 호구, 별상으로부른다. 동일한 신령을 이처럼 다양하게 부르고, 다양한 형식의 굿으로 존재하는 사례는 천연두신이 유일하다. 그만큼 천연두신을 두려움의 대상으로 본 것이다. 서울굿에는 1)극적 구성을 가진 마마배송굿, 2)일반무가, 3)노정기 무가로 존재하고 있다. 이 중 마마배송굿은 현재 전승이 단절된 굿으로 그동안의 조사 성과를 바탕으로전모를 살필 수 있다. 타 지역의 굿에는 천연두신을 대부분 ‘손님’으로 지칭한다. 그유형은 다음 네 가지이다. 1)줄거리 없이 일반무가로 존재한다. 2)일반무가와 서사무가의 중간 모습으로 존재한다. 손님네가 조선국으로 나온다는 진술만 있다. 3)사건 전개가 간략한 서사무가로 존재한다. 손님네가 강남국에서 조선국으로 나오다가 강을 건너는 과정에 사공과 다툼이 있고 각지를 다니며 정성덕을 베푼다는 내용이다. 4)등장 인물 간에 갈등이 있으며 사건 전개가 복잡한 서사무가로 존재한다. 그리고 호남굿과 동해안굿에 마마배송굿이 존재하고 있다. 이 글을 통해 천연두신에 대한 다채로운 인식이 존재하고 그를 다양한 형식의 굿으로 연행했음이 드러난다. 천연두가 의학으로 극복된 질병이지만, 사람들에게는 새로운 질병이 항상 나타난다. 최근의 코비드19 사태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에 따라 천연두를 지칭하는 손님, 마마, 호구, 별성 등이 천연두를 넘어서서 모든 질병을 지칭하는 의미로 확장되기도 한다. 천연두가 과거에 무서운 질병이어서 손님이라고 불렀다면 지금은 유행병이 새로운손님이 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천연두신에 대한 다양한 인식은 사회 환경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동해안 손님굿의 패러다임과 세계관 연구

        류정월 한국고전연구학회 2020 한국고전연구 Vol.0 No.51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paradigm maintained by Sonimgut to position it in relation to reality as well as narrative. To this end,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overall syntactic flow of Sonimgut, which is a cumulative structure that conveys and affirms the importance of welcome- hospitality-farewell to guest gods in stages. This structure has one paradigm, which can be called a kind of social(goodwill) paradigm, as it sees the guest god as an object of welcome, hospitality, and farewell. In order to examine the specificity of such a paradigm, we explore what this paradigm aims for in the society and culture in which the Gut is performed. Reinterpreting smallpox from a biological or medical point of view emphasizes that the social modeling of diseases built by this text is cultural and special rather than inherent and essential. These paradigms are repeated, reaffirmed, and rebuilt at every Sonimgut, driving some attitude toward the disease in its audience: a particular worldview. It is a human-made worldview that sees that human behavior and choice can lead to disease and recovery from disease. Finally, this paper recognizes that in the Pandemic-era, the source and result of Sonimgut can introduce recognizesmeaningful questions and answers to this worldview. 이 논문은 손님굿을 서사와 제의뿐 아니라 현실과의 관계에 위치시키기 위해 이 굿이 유지하는 패러다임을 살핀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에서는 손님굿의 전체 통사적 흐름을 살피는데, 손님굿은 누적적 구조로, 손님신에 대한 환영-환대-환송의 중요성을 단계별로 잘 전달하고 잘 각인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하나의 패러다임을 가지는데, 그것은 손님신을 환영, 환대, 환송의 대상으로 본다는 것으로 일종의 사회적 혹은 사교적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패러다임이 가지는 특수성을 살피기 위해 굿이 행해지던 사회와 문화에서 이 패러다임이 지향하는 바를 탐색한다. 생물학적 혹은 의학적 관점에서 손님굿을 재해석하면 이 텍스트가 구축해낸 질병의 사회적 모델화가 본연적이고 본질적인 것이라기보다는 문화적이고 특수한 것임을 강조한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손님굿을 할 때마다 반복되고, 재확인되고, 재구축되면서 그 관객들에게 질병에 대한 어떤 태도 즉, 특정한 세계관을 견인한다. 그것은 인간의 행위와 선택을 통해 질병에 걸리기도 하고 질병에서 낫기도 한다고 보는 조명론적 세계관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팬데믹의 시대에 손님굿이 유의미한 질문과 답을 던질 수 있는 근원이자 결과가 바로 이 조명론적 세계관이라고 본다.

      • KCI등재후보

        무가를 통해 본 서울굿 노들제 연구

        염원희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인문학연구 Vol.0 No.19

        Seoul-gut (shamanist ritual performed in Seoul region) has main- tained a variety of styles with court and urban cultural settings, and this can be said as the school of Seoul-gut. To understand Seoul-gut clearly, it is required to examine each style of Seoul-gut. One of them is ‘Nodeulje’ the ‘Gut’ performed in the western region of Han River, Gimpo, Siheung, Paju, Munsan, and Incheon’s interior. Since the festi- val has been performed across the border between Seoul and Gyeon- ggi Province, and the area is connected to the west coast through the water route of Han River, it is a Korean shamanic style where diffe- rent cultures of Gut have been mix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omething in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Nodeulje and Seoul-gut, having grasped its characteristics. To do this, the study investigated the compositions of Gutgeori (ritual cycle) and Muga (shaman song) used in <Mamageori> and <Andang Jeseokgeori>. Although the composition of such Gutgeori as ‘Cheon- singut’ (shamanic ritual for the heavenly gods) of Nodeulje doesn’t show great difference from that of Seoul-gut, however, the two are quite similar each other from the viewpoints that <Mamageo- ri> is performed independently, also Sonnim Nojeonggi, which denotes literally ‘record of the guest spirit’s journey’ is being recited. However, the performance style of Sonnim Nojeonggi during Nodeul- je where ‘Mama’ is appeared is common to the Seoul-gut where ‘Hogu Nojeonggi,’ which denotes ‘records of the goddess of small- pox’s journey. Besides, different from the fact that the goddess of smallpox is called “Byeolsang” (a different name of the goddess of smallpox called in the shamanistic folklore) in Gyeonggi-do gut, the goddess of smallpox in Nodeulje is being called “Mama,” or “Sonnim -sin or Guest Spirit.” “Byeolsang” in Nodeulje, as it is in Seoul-gut, is appeared as by ‘God of Army and Soldier Protector,’ ‘Envoy,’ and ‘Crown Prince Sado.’ From this point, the sameness between Nodeulje and Seoul-gut can be confirmed. Moreover, in Nodeulje, ‘Jeseok Bonpuri’-rite to Korea's supreme heaven-god; Jeseok, is not performed same as in <Andang Jeseokgeori> of Seoul-gut, instead, a long shaman song, called Sul Taryeong-general rhyth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n the theme of alcoholic drink-is recited. This corresponds to the fact in the past that Sul Taryeong was sung in Seoul region. If it is true that Seoul-gut reveals diversity of gut-culture on the ground of geographic and cultural background, more in-depth discussion about each style or school of Seoul-gut will be necessary to understand it further. 서울굿은 궁중문화와 도시문화를 배경으로 다양한 양태를 지녀왔으며, 이를 각각 서울굿의 유파라 할 수 있다. 서울굿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울굿의 각 유파에 주목해야 한다. 그 중 하나가 ‘노들제’로, 한강 서쪽과 김포, 시흥, 파주, 문산, 인천의 내륙에서 행하던 굿을 말한다. 노들제는 지역적으로 서울과 경기도의 경계면에 있고, 한강의 물길을 통해 서해안과 연결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굿문화가 복합되어 있는 유파이다. 본고에서는 노들제가 가진 특성을 파악하고, 서울굿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마마거리>와 <안당제석거리>의 굿거리 구성과 무가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노들제 천신굿의 굿거리 구성은 서울굿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지만, <마마거리>가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손님노정기가 구송된다는 점에서 경기도와 유사하다. 하지만 노들제에서 마마가 등장하는 손님노정기가 불리는 모습은 과거 서울굿에서 호구노정기가 불렸던 것과도 공통적이다. 게다가 경기도굿의 천연두신이 별상인 것과는 달리, 노들제에서는 천연두신은 마마 또는 손님신으로 부른다. 노들제의 별상은 서울굿과 마찬가지로 장군신, 사신(使臣), 사도세자와 관련되어 나타난다는 데서 서울굿과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노들제에서는 <안당제석거리>에서 서울굿과 동일하게 제석본풀이를 구송하지 않지만, 대신 술타령이라는 긴 무가를 구송한다. 이는 과거 서울 지역에서 술타령이 불렸던 것과 일치한다. 지리적,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다양성을 지닌 것이 서울굿이라면, 앞으로도 서울굿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각 유파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계속되길 희망한다.

      • KCI등재

        코로나 위기에 대한 신화적·인문학적 성찰 : 〈손님굿〉 신화 속 질병신의 속성과 인간의 대응을 중심으로

        신동흔(Shin, Dong H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통일인문학 Vol.83 No.-

        이 논문은 한국 구전신화 〈손님굿〉에 대한 의미해석을 바탕으로 코로나 위기에 대한 신화적이고 인문학적인 성찰을 진행한 것이다. 〈손님굿〉에 형상화된 질병신의 속성이 코로나 바이러스와 통하고, 질병신에 대한 인물들의 대응과 그에 따른 결과가 코로나 상황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준다는데 주목한 논의였다. 신화 특유의 원형적이고 철학적인 사유를 매개로하여 문명적 위기에 대한 거시적이고 본원적인 해법을 찾아보고자 했다. 〈손님굿〉은 오랜 세월 동안 인간을 괴롭힌 감염병 천연두에 대한 신화다. 신화는 질병을 일으키는 존재를 악귀가 아닌 영험한 손님 신으로 취급하며, 최대한의 정성과 존중으로써 질병 문제를 풀어내고자 한다. 질병의 발생을 거대한 생명적 체계의 일환으로 보는 가운데, 섭리에 순응함으로써 출구를 찾아내는 태도를 나타낸다. 인간 스스로를 세상의 미력한 존재로 인식하여 겸손을 유지하는 것은 질병신을 응대하는 기본 방식이 된다. 노고할미와 영순생 등은 그와 같은 대응을 통해 위기상황을 잘 감당하고 전화위복의 복락을 만들어낸다. 노고할미와 영순생의 맞은편에는 자기중심적 오만으로써 질병을 경시하고 함부로 대하는 인물들이 놓인다. 범람한 욕심으로 질병신을 범하려고한 뱃사공과 자만과 술수로 질병신을 냉대하고 농락하려 든 김장자가 그들이다. 그 결과는 참혹한 죽음이고 패가망신이었다. 세상의 정점에 있던 김장자는 하나뿐인 자식을 잃고 밑바닥으로 전락한다. 이들의 행태는 오늘날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일각의 대응과 놀라운 의미적 일치를 나타낸다. 뱃사공은 ‘코로나 파티’를 벌인 젊은이들의 모습과 통하며, 김장자는 섣부른 교만과 허튼 미봉책으로 상황을 악화시킨 세계의 여러 지도자와 정확히 일치한다. 신화에서 노고할미와 김장자의 자리가 역전되었듯이, 현실세계에서도 그러한 역전이 펼쳐지고 있는 중이라고 보았다. 〈손님굿〉 신화에서 특별히 주목할 것은 질병과 인간의 생명적 동질성과 순환적 공존에 대한 사유다. 천연두로 희생된 아이가 새로운 손님신이되는 내용은 인간과 질병의 생명적 연관성을 잘 보여준다. 질병신들은 인간처럼 움직이며, 사람들은 질병신을 또 다른 자기나 이웃으로 여기고서 긴밀히 교감하며 소통한다. 질병신을 위한 굿과 놀이에서 사람들이 다함께 즐기면서 하나가 되는 것은 질병과 인간의 상호적 교감과 치유 과정에 해당한다. 거시적인 생명적 존엄성과 공존성을 기본 가치로 삼는 그 행위는 현재의 코로나 위기에서 인류가 찾아서 발현해야 할 인문적 비전을 보여준다. 코로나 위기에서 우리가 완수해야 할 중대한 인문적 과제는 심리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초극의 힘을 발휘하는 일이다. 공격이 아닌 협력, 불신이 아닌 믿음, 배타적 욕망이 아닌 공생의 윤리로써 상황을 헤쳐내야 한다. 그 초극의 힘을 어떻게 발현할 것인가에 대해서 신화는 우리에게 소중한 깨우침을 전하고 있다. 문명 이전 시절로부터 이어져온 문학적·철학적 사유로부터 문명적 위기를 극복하는 길을 찾는 지혜가 필요하다. This Essay is a mythological and humanistic reflection on the COVID-19 crisis based on an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oral myth Sonnim-gut (ritual for the smallpox god). It was noted that the nature of the disease god in the myth is similar to COVID-19, and the responses of the characters of the disease scene give meaningful implications to the COVID-19 crisis. Through the philosophical thinking contained in the myth, I tried to find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crisis in our civilization. Sonnim-gut is a myth about smallpox, an infectious disease that has plagued humans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myth treats diseases as a spiritual guest god, not a demon. It then tries to solve the problem with the utmost sincerity and respect. While seeing the occurrence of diseases as a function of a huge life system, people try to comply with providence. They consider themselves to be weak and maintain humility as their basic attitude toward sickness. Some characters in the myth use such an attitude to create reversal success and happiness. Opposite the characters, there are people who neglect diseases with a self-centered attitude. They are the boatman who tried to invade a disease goddess with overflowing desire, and the rich man who tried to joke around the disease gods with pride and trickery. The result was a terrible death and disgrace. The rich man at the top of the world loses his child and falls to the bottom. Their behavior remarkably matches some of the responses to COVID-19 today. The boatman connects with the appearance of young people having a “corona party,” while the rich match with the world’s leaders who have exacerbated the situation with pride. If that method is not qualitatively changed, it can lead to decisive decline. Of particular note the Sonnim-gut is thought of as the vital cycle between diseases and humans. In the story, a child who is sacrificed by smallpox becomes a new disease god, which shows the vital link between humans and diseases. The disease gods act like humans, and people regard the disease gods as neighbors and communicate closely. In rituals and plays for the diseased gods, the gods and people mingle and enjoy, which is a mutual healing process between humans and diseases. The vital dignity and coexistence contained therein become the human values that humanity must realize in today’s COVID-19 crisis. Humanity’s task in the COVID-19 crisis is to demonstrate the power of overcoming without psychologically collapsing. We must overcome the situation with cooperation not an attack, faith not disbelief, and symbiotic ethics not exclusive desire. Mythology gives us valuable enlightenment on how to realize the power. We need wisdom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 crisis of civilization from the literary philosophical thinking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pre-civilization days.

      • KCI등재후보

        해남굿의 장단 구성과 무속문화권적 특징

        김혜정 국립국악원 2013 국악원논문집 Vol.28 No.-

        This article focuses on Haenamgut(shaman ritual), which has not been studied yet, and attempts to examine its musical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its cultural area through the comparison with sigimgut of other regions. Objects for comparison are limited to gut from regions close to Haenam such as Jindo, Shinan, Youngam, Goheung, Hwasun, and Sunchun.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discussion. Firstly, Haenam has its own distinctive features. The following facts are distinctive to Haenam gut: that Ogugut precedes Jesukgut; that it caters for all the house gods but Sonnimgut; that it uses the titles of Pansori rhythm and does not use irregular beat at all; and that it uses Jungtayrung of Jinyangjo in Jesukgut. The fact that Ogugut precedes Jesukgut gives the impression that the whole gut is performed for the deceased and reduces the impression of luck gut. In addition, Sangyeosori is not used at all in Ogugut and Gildakum, a common feature among Haenam shamans. Secondly, There are some features in Haenamgut which are related to the eastern regions such as Youngam, Goheung, and etc. The following facts are identical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n region such as Youngam and Goheung: that there are gutguri for house gods such as Sungjugut and Jiwanggut; that it uses the title Sunburi rather than Chogamangsuk; and that it uses 3 small beat Jungmori. Thirdly, There are some hints of characteristics of the western region in Hanam gut. It has Jinyangjo rhythmic structure, and it uses only 4+2 structure and not 3+3, and finally it uses Jungjungmori, making it very similar to the Southwestern part of Jeonnam. However, the fact that it has relatively less relation to the western region may be that gut of nearby Jindo is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and went through a lot of changes. Haenam has unique structure of gut. In a larger sense, it belongs to the same regional zone with Youngam and Wando and shares a lot of features with the eastern and the western region of Jeonnam. It is oriented toward more sophisticated and elegant style of music and recognizes the order of gut systematically. 이 글에서는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해남굿을 대상으로 타 지역 씻김굿과의 비교를 통해 음악적 특성과 문화권적 특징을 점검해 보려 한다. 해남굿의 세습무로는 함화자, 김춘심, 안애임의 세 사람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비교할 대상은 해남 주변 지역인 진도, 신안, 영암, 고흥, 화순, 순천 등의 굿에 한정하였다. 논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남의 독자적인 특성이 있다. 해남굿에서 오구굿이 제석굿보다 먼저 연행되는 점, 손님굿을 하지 않지만 다른 가택신은 모두 챙겨 연행하는 점, 판소리 장단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불규칙 박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점, 제석굿에서 진양조의 중타령을 부르는 점 등은 해남굿 만의 특성이다. 오구굿이 제석굿에 앞서 있는 점은 굿 전체를 망자를 위해 진행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는 장점이 있어 제석굿이 주는 재수굿적인 느낌을 감소시켜준다. 또 오구굿이나 길닦음에 상여소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는데, 이 역시 해남 무녀들의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해남굿에 영암, 고흥 등 동부 지역과의 연계되는 특성이 있다. 성주굿과 지왕굿 등의 가택신을 위한 굿거리가 있는 점, 초가망석보다 선부리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점, 3소박 중모리를 사용하는 점 등은 영암이나 고흥 등 동부 지역의 특성과 같다. 악곡 구성에 있어서도 영암굿과의 유사성이 더 두드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셋째, 해남굿에는 서부지역의 특성도 약간 드러난다. 진양조 장단에 3+3의 구조가 없고 4+2의 구조만 사용한다는 점, 중중모리를 사용하는 점은 전남 서남부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서부 지역과의 연계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은 인접한 진도의 굿이 문화재 지정으로 인해 이미 많은 변화를 겪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해남은 독자적인 굿의 구조를 갖고 있지만, 크게 보아서는 영암이나 완도와 같은 지역권으로서 전남 동부와 서부의 특성을 골고루 갖고 있는 지역이라 할 수 있다. 또 해남만의 특성에서는 대부분 좀 더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음악을 지향하고 굿의 질서를 정연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