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遼寧省 朝陽 北塔 出土 塑造像 硏究

        양은경(Yang Eungyeng) 한국미술사학회 2007 美術史學硏究 Vol.256 No.256

        요녕성 조양시 북탑 출토 소조상에 대해 조사 현황과 출토 유물, 소조상의 조성연대, 봉안 장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북탑의 복원과정에서 현재까지 이루어진 발굴과 조사를 통한 유물들을 정리하였고 그 과정에서 건립 내력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현재의 북탑 탑심체는 唐代 건립된 것이며 외관상의 벽돌들과 조각들은 遼代에 중수되었다. 내부의 주춧돌은 北燕 궁궐터에서 가지고 온 것이며 북탑은 북위 풍태후의 발원에 의해 思燕佛圖로 창건되었다. 북탑 남쪽의 퇴적층에서 출토된 소조상의 조성연대와 양식 연원에 대해 살펴보았다. 북탑 출토 소조상과 보살상을 중심으로 요녕지역, 평성지역, 내몽고, 낙양지역의 소조상과 비교작업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북탑 출토 소조상은 북위 太和年間 조각양식을 충실히 보여주고 있으며 요영지역 三燕 조각양식과는 직접적인 연원관계를 찾기 어려웠다. 북탑 출토 소조상은 당시 수도였던 平城 불상 양식과 영향관계가 보이는데, 특히 方山 思遠佛寺 목탑지 출토 소조상과 아주 유사하다. 조각수법, 조각양식, 채색 등 두 지역 소조상은 거의 동일하다. 이렇듯 북탑 출토 소조상의 연원이 평성 사원불사 소조상에 있었던 배경으로는 두 곳의 공양 발원자의 통일성을 지적하였다. 당시 북위 정권을 장악했던 풍태후가 자신의 무덤 부근과 자신의 고향에 각각 목탑을 건립하였던 것이다. 그녀는 당시 최고의 장인집단을 고용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두 곳에 참여한 공인이 동일하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북탑 출토 소조상의 봉안 장소와 그 原形에 대해 추정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현재까지 발굴이 이루어진 남북조시대 불교 사원 유적지로는 산서성 사원불사 내몽고 사원 유적지, 하남성 영녕사, 하북성 업성 사원 유적지가 있다. 이 사원 유적지들의 발굴은 대부분 사원 중심부에 위치한 대형 목탑에 치중되어 이루어졌다. 다시 말해 남북조시대에는 목탑이 가장 중요한 예배대상이었기 때문에 사원 건축물 중 규모가 가장 컸다. 당시 공양자들이 예배한 목탑의 대상은 목탑 외관이 아닌 목탑 내부에 봉안된 소조상이 었다. 북탑 출토 소조상은 목탑 내부에 설치된 항토 탑심체의 동, 서, 남쪽 불감 속에 봉안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항토 탑심체는 1층에서부터 꼭대기 층까지 설치되었으며 그 곳에 봉안된 소조상 역시 1층부터 꼭대기 층까지 부착되었을 것이다. 현재 북탑에서 출토된 소조상의 전체높이는 30㎝가 되지 않는 작은 크기의 예들이기 때문에 목탑 내부의 1층이 아닌 상부 층에 봉안되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추정하였다. I studied about the present condition of research, formation date and arrangement of clay figures from the Northern Tower in Chaoyang in Liaoning Province, I arranged artifacts from excavation and research throughout restoration process, and I also examined about erection history shortly, The square column forming the core of the northern tower was established in Tang dynasty and bricks and sculptures in apperance were repaired in Liao dynasty, Foundation stones inside were brought from royal place site in Northern Yan and the northern tower was founded as Pagoda of Missing Yan by Empress Feng's prayer in Northern Wei, I looked into the foundation date and the origin of form of clay figures which was excavated in sedimentary layers at northern tower of south, I drew a conclusion through comparing Statues of Buddha and Statues of Bodhisattva from the northern tower and clay figures of Liaoning Province, Pengcheng area, Neimenggu province, Luoyang area. In conclusion, clay figures from the northern tower were fairly appeared that those were similar to sculpture form of the time of Taihe in the North Wei, and it was very difficult to find direct origin relationship with Three yeon in Liaoning Province. Clay figures from the northern tower had relationship with Buddha form of Pengcheng which was the capital in those day, especially they were quire similar to day figures from Fangshan Siyuan Temple Woodern Pagoda. Clay figures from both provinces are almost equal in sculpture method, sculpture form and clothing. Like this, the reason that the origin of Clay figures from the northern tower had connection with Siyuan Temple of Pencheng area was equality of memorial service prayer in both places. At that time, Empress Feng who assumed power established two wooden towers near her tomb and hometown. She probably hired the best craftsman group. and we couldn't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the same group took part in those two works. I tried to presume about the enshrinement position of clay figure from the northern tower and the original form. The temple sites of m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which were excavated till nowadays were Shanxi Province Siyuan Temple, Neimenggu Province Temple Site, Henan Province Yongning Temple, Hebei Province Ye City Temple Site. The excavation of these temple sites were given undue value to a large size wooden pagoda which was located at the center of temple. In other words, the wooden pagoda was the most important worship subject during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so it was the biggest thing for all the temple building. At that time, prayers worshipped clay figures in me wooden pagoda, not the outward of wooden pagoda. It was presumed that the clay figures from the northern tower were enshrined in eastern, western and southern buddhist niches of the square column forming the core which were established inside the wooden pagoda. The square column forming the core was established from 1st floor to the last floor, and clay figures were also attached Ist floor to the last one. The total height of excavated clay figure from the northern tower was not even 30㎝ at all, so it was presumed that clay figure was enshrined upside, not in the 1st floor.

      • KCI등재

        발해 상경성의 불상 - 동아시아 불교조각과의 비교연구 -

        최성은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7

        This paper investigates Buddhist sculpture at Sanggyong Yongchunbu(上京龍泉府), the last capital of Balhae(渤海) period from 794 A.D. to 926 A.D. when Balhae dynasty was collapsed. Sanggyong is located in present-day Bohaizhen(渤海鎭), south of Yongan City of Heirongjiang(黑龍江省). Hundreds of small Buddhist images, discovered at temple-sites of Sangyong since 1930's on, are now in the collec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Tokyo National University Museum, Heirongjang Province Museum and Bohai Sancheng Museum at Bohaizhen. These images are made with clay, gilt-bronze, gold and iron, and no stone image was found except the large stone Seated Buddha image at Xingrongsi, a temple of Qing Dynasty erected on the temple-site of Balhae period. Close examination of this stone image shows that it was made with basalt, which is too hard and rough for exquisite carving of Buddhist image. Among small terrcotta images, seated Buddha images, unearthed at the inner section of temple-sites, have been presumed to be 'Thousand Buddhas' decorated walls of a temple hall. In addition to this assumption, it is also assumed that some smallest seated Buddha images are likely to have been incarnated Buddha images attached on the halo of the Vairocana Buddha, just as those at the halo of the Seated dry-lacquer Vairocana Buddha image of Toshodaiji temple at Nara. A male-figure image in Seoul National Museum, showing facial feature of black race, indicates that he might be the attendant figure(崑崙奴) to Manjusri Bodhisattva(文殊菩薩), impounding his lion-pedestal. Since a standing Meditating Bodhisattve image in the collection of Tokyo National University shows a similarity to seated meditating Bodhisattva images found in some scenes of West Paradaise sutra of Amitabha Buddha of early and middle Tang period at Donhuang, it is quite probable that temple wall at Sanggyong was also been decorated with West Paradise Scence as we can see at the niche 245 of Beishan(北山), Dazu(大足) Caves in Sichuan Province. There are some iconography of esoteric Buddhism. The gilt-bronze image of one-head and six-armed Avalokitesvara, having no exact precedent of Tang sculpture, seems to have much to do with eleven-headed Avalokitesvara of middle Tang period or with Amoghapasa(不空羂索觀音) image of Nara period at Todaiji temple, and could be one of transformations of Avalokitesvara. Seated Amitabha Buddha image shows Amitabha mudra(阿彌陀定印), which was prevalent in Tang from ninth century and also appeared in Japanese and Korean sculptures of the later half of ninth century. Buddhist sculptures at Sangyong demonstrate that Buddhist culture of Balhae period was quite international and unique. They reveal a variety of iconography and style, which were on the par with Tang sculpture in their variety and creativity. 본 연구는 흑룡강성 영안시 발해진에 위치한 발해 최후의 수도 상경성의 불교조각에 대한 고찰이다. 이미 1930년대에 발굴이 시작되어 다량의 소조불상을 비롯한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1960년대에 다시 조사가 이루어져 금동상등, 다수의 불상들이 수습되었다. 이 유물들은 현재 서울대학교박물관, 동경대학교박물관, 흑룡강성박물관, 발해상경유지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 불상들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전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국내에서의 연구는 1930년대 출토품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각 소장처의 불상들을 조사하여 그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였다. 그 동안 서울대학교와 동경대학에 소장되어 있는 소조불상들과 동일한 틀(范)로 제작된 불상들이 중국측의 조사로 발굴되어 현재 흑룡강성박물관과 발해상경유지박물관에 소장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밖에 새로 발견된 불상들 가운데는 여러 구의 금동상들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그 가운데 일부는 발해시기로 편년되기 어려운 표현요소를 보이고 있어, 발해의 사원이 遼金代에 이르러서도 계속 존립해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상경출토의 불상들은 거의 대부분 소형이며 재료면에서 소조불상이 가장 숫적으로 많다. 이에 반해서 석조불상은 드물어 현재 흥륭사에 봉안된 석불좌상이 유일한데, 석불상이 소조나 금속제 불상처럼 활발하게 조성되지 못한 것은 필시 상경의 석재가 섬세한 조각에 적합하지 않은 화산암계 현무암인데도 원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소형의 소조불상들은 기본적으로 불당 내부를 장엄하는 용도로 제작되었다고 추정되어왔는데, 사원지 내진에서 발견된 최소형의 소조불상들의 경우는 노사나불(비로자나불) 광배에 달려있던 化佛일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밖에 서울대학교박물관의 소조인물상은 흑인종의 외모를 한 모습에서 문수보살의 사자를 모는 곤륜노일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문수보살도가 불전의 벽면을 장식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찬가지로 소조사유보살상은 상체 1구와 하체 1구만이 출토되었는데, 당대의 관무량수경변상도나 서방정토변상도에 사유보살이 표현된 점으로 미루어 상경의 사찰 벽면에 소조상들로 이루어진 정토계 변상이 장식되어 있었을 것으로 보았으며, 이는 마치 사천성 대족 북산 제 245감에서 서방정토의 변상을 석감내의 부조로 새긴 것과 유사한 경우일 것으로 생각한다. 상경의 불상들은 기본적으로 팔련성의 불상들에서 보이는 고식의 표현을 계승하고 여기에 당대의 새로운 요소가 가미된 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이점은 상경출토의 소조관음보살입상을 비롯해서 몇 구의 금동보살상에서 잘 드러나고 있는데, 중당기 조각에 보이는 인간적이고 사실적이면서도 세속화된 특징이 잘 보이고 있다. 또한 일면육비보살입상과 아미타정인을 결한 소조아미타불좌상은 밀교적인 도상을 보여준다. 일면육비보살입상은 발해조각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우수한 보살상으로 사실적인 조각기법이 잘 나타나는 상인데, 이 보살상의 일면육비의 도상은 정확하게 일치하는 예를 당이나 일본조각에서 찾을 수 없다. 다만, 당시 유행하였던 십일면육비 관음보살입상이나 일면팔비의 불공견삭관음입상과 같이 하나의 변화관음으로 발해에서 형성된 독특한 도상이라고 해석된다. 한편...

      • KCI등재

        보물 제1312호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소조층 보수 충전제에 관한 연구

        이수예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5 보존과학회지 Vol.31 No.1

        보물 제1312호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기존에 목조불로 알려졌으나 2009년에 실시한 정밀안전진단을 통해 본존불인 아미타여래좌상은 흙으로 조성된 소조불로 밝혀졌다. 그런데 아미타여래좌상의 소조층은 손상이 심각 하여 보수가 불가피하였고, 이에 보수재료로서 보다 안전하고 적합한 충전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무위사 아미타여래좌상의 소조층 보수에 가장 적합한 충전제를 제작하기 위한 실험으로 다양한 비율로 배합한 조합토 샘플을 제작한 후 건조 시 표면의 경화상태, 균열 및 색상변화, 수축률 결과를 측정하였다. 충전제 제작에 사용된 조합토 재료는 황토와 세사, 면 솜을 적용하였으며 6가지의 배합비율로 조합토 시료를 만들고 여기에 찹쌀풀, 도박풀, 아교로 만든 12가지 농도의 접착제를 혼합하여 총72가지 조건의 시료를 제작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실험결과 조합토는 황토와 세사의 질량비에 대하여 2.5%의 면 솜을 함유하고, 황토와 세사의 비율이 15:1일 때 수축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판명되었 으며, 천연접착제 중 색상의 변화가 적고, 물성변화량과 수축률이 가장 낮은 아교가 사용 가능한 접착제로 판단되었다. 즉, 조합토(황토:세사=15:1)와 아교15ml 첨가 시 가장 낮은 수축률을 나타내어 무위사 아미타여래좌상 보존처리 시 소조층의 충전제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Seated Amitabha Triad at Muwisa Temple (Treasure No. 1312) had been known as wooden Buddha statue, but a precise safety inspection revealed that the statue is terracotta Buddha statue made with clay. The clay layer of Amitabha Triad was conserved due to its severe damage.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produce the most appropriate filler for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seated Amitabha Triad. Mixed clay samples with various ratios were produced and surface hardening state, crack, color change, and shrinkage of the samples during dry process were measured. Loess, fine sand powder, and cotton were used to produce the mixed clay for the filler with six different ratios and then 12 different concentration glues made with glutinous rice glue, Pachymeniopsis Elliptica glue, and animal glue were added as adhesives. Total 72 types of samples were prepared and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As a result, when the mixed clay contains 2.5% cotton compared to the weight per cent of loess and fine sand powder and also loess and fine sand in the mixed clay have a 15:1 ratio, the mixed clay had the lowest shrinkage. Animal glue is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glue since it had small color change, low physical property change and shringkage. Therefore, mixed clay (loess:fine sand=15:1) mixed with 15ml animal glue is likely to be a suitable filler for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seated amitabha triad at the Muwisa Temple.

      • KCI등재

        渤海 上京城 佛敎寺院址의 建立年代와 佛像 奉安의 復原

        양은경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7

        지금까지 조사된 상경성 寺院址에 대해 소재지, 발굴과 시굴 년대, 조사기관, 조사대상, 구체적인 조사내용, 출토유물에 대해 종합정리하였다. 특히 1933ㆍ1934년 발굴된 제4, 5, 6사지와 1964년 발굴조사된 제1, 9사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조사내용을 언급하였다. 기존 학계에서 혼란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寺院址名, 소재지, 건물지 크기, 출토유물의 출토지점, 출토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종합정리하였다. 상경성 제5, 6사지에서처럼 방형의 불단이 불전 중앙에 설치된 것은 중국의 7세기 말∼8세기대 사찰 건축물, 석굴과 관련이 보이며 제1, 9사지의 ⩎형 불단이 설치된 예는 당나라 7세기대 궁전 건축물과 유사성이 확인된다. 더욱이 8세기 후반∼11세기 사찰 건축물, 석굴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보였다. 상경성 제4, 5사지에서 출토된 소형 소조상(전불)의 양식은 下代 新羅 혹은 唐末五代시기로 편년될 뿐만 아니라, 기타 상경성 사원지에서 발견된 금동불, 석불상의 조각양식 역시 羅末麗初나 唐末五代로 비정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보면 상경성 발해 사원지는 상경성이 발해의 수도로 사용된 755∼785년, 794∼926년의 기간 중 마지막 수도로서 사용된 794∼926년에 건립되었을 가능성이 더욱 높음을 시사한다. 상경성 사원지 금당에서 불상의 봉안원형과 공간조성에 대해 동시기 중국과의 비교를 통해 복원안을 추정해 보았다. 제1, 9사지의 불단(안칸)에 마련된 벽면은 보조기둥과 외, 진흙을 바르고 회칠로 미장하여 벽체를 완성하였다. 이러한 안칸(불단) 벽체의 제작기법은 삼국시대 백제에서 예가 확인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도 한대∼당대, 동시기 일본 사찰 건축물의 벽체에서도 보인다. 상경성 제1, 4, 5, 6, 9사지 불전에서 안칸, 바깥칸으로 구별되고 바깥칸을 비롯한 안칸에도 벽체가 설치된 것은 당대 불교사찰에서 유사한 예를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제1, 9사지에서처럼 보조기둥, 외, 진흙으로 조성된 안칸 벽체는 동시기 기타 예에서 쉽게 찾기 힘들었고 더욱이 제4, 5, 9사지에서처럼 불단과 벽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마련된 점 혹은 제9사지와 같이 보조기둥ㆍ외ㆍ진흙의 벽체가 안칸의 네 면을 모두 둘러싼 예는 지금까지 비교대상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제1, 4, 5, 6, 9사지 불단 주위에서 출토된 대형, 중형의 소조상편들을 통해 불대석에 봉안된 주불상과 협시상은 소조상이라고 추정하였다. 또한 제4, 5사지에서 출토된 소형의 소조상(전불)들의 원래 봉안처에 대해서는 주불상 광배에 부착된 화불, 안칸 벽면에 꽂혀졌을 가능성, 안칸과 바깥칸 사이 혹은 안칸의 벽면과 불단 사이의 공간에 안치되었다는 세가지 추정안을 제시하였다. 중국과의 비교를 통해 두 번째, 세 번째 추정안이 설득력 있었고 세 번째 추정안, 즉 따로이 마련된 불단에 전불이 안치되었다는 내용이 더욱 原狀에 가깝다고 추론하였다. The mainstream of scholarly discussion on the investigation of the buddhist temples and restoration of Buddhist images enshrinement on Sanggyeongcheng City of Balhae was carried out. In Chapter Ⅱ, I arrange synthetically about the location of the Sanggyeongcheng City buddhist temples that were excavated up to the present, the year of excavation and trial pits, research institutions, research objects, definite contents and excavated materials. Especially, I mention the specific substances about the 4ㆍ5ㆍ6 temple sites which were excavated in 1993ㆍ1994 and the 1ㆍ9 temple sites which were excavated in 1964. I also arrange collectively the names of the temple site, locations, the size of the buildings, the spots of excavated materials and the excavated circumstances to colligate things which were mixed through the academic world. In Chapter Ⅲ, I observe the Building history of Sanggyeongcheng City buddhist temples through Buddhist altars and shrines. Like the 5․6 temple sites, the Buddhist altar of square on the middle of the Buddhist shrine is similar to temple structures and stone caves of the late of 7C~8C in China. The Buddhist alter of ⩎style in the 1․9 temple sites is similar to palace structures of the 7C in Tang Dynasty, but they ar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temple sites and stone caves of the late of 8C ~ 11C. Furthermore in the 4․5 temple sites, the style of small modeling is in the latter period of Silla or the latter period of Dang and Five dynasty, and also the gilt bronze statue of the Buddha and the style of the stone statue of the Buddha which were excavated in other Sanggyeongcheng City temples are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the late Silla and the early Goryeo period. Namely, the temple site of Sanggyeongcheng City in Balhae was possiblly established during 794~926 during the period of the last capital. In Chapter Ⅳ, I present assumption proposals for the buddhist temples and restoration of Buddhist images enshrinement, and I assume some restoration proposals about prototype enshrinement and space form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China for the same period. The wall inside the Buddhist altar of the 1․9 temple sites is made with plaster composed of mud and lime, and supportive poles. Those techniques for plastering wall were confirmed in Baekje of the Three period kingdom, in Han and Dang dynasty of China, and also in Japanese temple sites. The ㆍ․4ㆍ5ㆍ6ㆍ9 temple sites are separated into interior and exterior partitions, and the structural walls are established in the both partitions, those are similar to the temple sites in Tang Dynasty. However it is hard to find similarities with the 1․9 temple sites which have structural walls that are composed with supportive pole, structural walls which were made by mud, furthermore it is also hard to find the comparative objects. Like the 4ㆍ5ㆍ9 temple sites, empty space between the buddhist altar and structural walls, and the 9 temple sites has specific composition of the interior partition which are covered on 4 sides with supportive pole․ structural walls which were made by mud. I assume that the main buddhist images and assistant buddhist images that were enshrined on pedestals are molded statues, this is confirmed by the pieces of large and middle size molded statues which were excavated in the buddhist altar around the 1ㆍ4ㆍ5ㆍ6ㆍ9 temple sites. Also I indicate three assumption proposals about the original enshrinement spots of small molding statues in the 4ㆍ5 temple sites - a Buddhist image which was sticking on halo of main buddhist images, the possibility to stick interior partition walls, and between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partition or between wall of the interior partition and the buddhist altar. In comparison with chinese examples, the second and the third assumption proposals are persuasive, especially I inference the third one, namely the molding statues were enshrined on independent buddhis...

      • KCI등재후보

        귀신사(歸信寺)의 불교조각과 조선의 리얼리즘

        주수완 ( Joo Soo-wan ) 한국불교사연구소 2020 한국불교사연구 Vol.17 No.-

        본고에서는 귀신사의 불상조각을 통하여 그간 관념적이고 추상적이라고만 평가되어온 조선시대 불상양식을 새롭게 리얼리즘의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억불숭유의 시대였던 조선시대의 불교예술의 기량은 불교가 사회적으로 중요시되었던 통일신라나 고려시대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물론 겉으로 드러나는 부분은 의도적으로 사실성을 배제한 요소들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성의 배제, 혹은 억제가 결코 기량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귀신사의 불상조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통일신라시대 석굴암 조각상에 보이는 섬세한 근육묘사나 투명한 듯 얇게 처리된 천의 자락 아래로 보이는 감각적인 인체의 표현 등은 조선시대 조각에서 잘 찾아볼 수 없지만, 귀신사의 불교조각상들은 마치 특정인을 모델로 삼아 조각한 것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각 인물들의 개성이 잘 드러나며, 그 표현은 생동감이 넘친다. 더불어 각 존상들의 움직임을 묘사하는 방식이나 그 움직임에 따라 옷자락이 유기적으로 움직이는 모습도 잘 훈련된 작가가 아니면 표현하기 어려운 기량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리얼리즘은 17세기 전반이 지나면 다시금 정적이고 획일화된 성향을 띄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두 차례의 전쟁을 통해 직시한 새로운 세계관과 미래에 대한 희망 등이 어우러져 17세기 전반기에 이와 같은 독특한 예술적 특징이 형성되었던 것이 아닌가 추정해보았다. 더불어 귀신사를 포함한 몇몇 사찰에서 이와 같은 대형의 소조불상을 조성한 배경에 대해서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전후 복구의 의지를 이와 같은 대형불상 조성으로 표출한 것으로 보았지만, 본고에서는 그러한 측면 외에도 기본적으로 해당 사찰들마다 임란 이전부터 장육상 이상의 대형불상들을 모셔온 전통이 있었기 때문에 이를 복원했을 가능성을 추정해 보았다. 특히 비로자나 삼불상의 도상구성에 대해서는 화엄10찰에 봉안된 아미타+석가(또는 비로자나)의 불상조합에 약사여래가 결합된 것으로 풀어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대형소조불상들이 주로 전북·충청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이들 사찰 주변의 토양이 소조불 조성에 유리했을 가능성을 고려해 보았으며, 특히 분청사기 가마터와 같은 도자공방이 존재한다는 점을 통해 양질의 흙과 이를 가공할 인력과 시설의 확보가 수월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추정해 보았다. This study intended to focus on the 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s contained in the Buddhist statues of the Joseon Dynasty by the analysis of Buddhist statues in Gwisinsa(歸信寺) temple. In general, Buddhist art during the Joseon Dynasty is considered to be inferior to that of Unified Silla or Goryeo, when Buddhism was socially important. Of course, it can't be denied that elements that intentionally exclude realism account for a greater proportion in this period. However,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statues of Gwisinsa that the exclusion or suppression of such realism was never a matter of skill. Although delicate muscle descriptions and sensual human body expressions that appear below the edge of a transparent cloth such as the Seokguram Sculptures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are hard to find in Joseon Dynasty sculptures, but Buddhist statues of Gwisinsa reveal their individuality to the extent that they may have been modeled after a specific person, and their expressions are full of life. In addition, the way in which each statue's movements are depicted and the organic movement of the hem of the gar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shows skills that are difficult to express without a well-trained technician. Such realism seems to have become static and uniform again after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Perhaps a new worldview and hope for the future, acquired from experiencing two wars, led to this unique artistic tendency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background of this large-scale clay Buddha statue. Until now, it was regarded as expressing the will to recover from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but in addition to this aspect, this article estimated the possibility that each temple in question might have been restored because it had a tradition of having large statues of Buddha before the war. In particular, about the statues composition of the Vairocana triad, it can be assumed that the association of Amitabha and Seokga (or Vairocana) enshrined in the 10 Avatamska temples were combined with the Medicinal buddha later. Furthermore, attention is being paid to the fact that these large-scale Sojo Buddha statues are mainly distributed in North Jeolla and Chungcheong provinces. The reason for this possibly be that the soil around the temple in this area may have been advantageous for the creation of the clay Buddha statue, and it is assumed that the existence of ceramic workshops such as buncheong kilns made it easier to secure quality soil and manpower and facilities to process them.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신라 왕경 사찰 불상의 재료 변화

        김동하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1 新羅文化 Vol.59 No.-

        The majority of the Buddhist statues in the capital of Silla are left in the mountains as stone Buddhist figures and Buddhist images carved on a cliff including Namsan Mountain in Gyeongju. For this reason,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 main Buddhist statues of Silla were normally made in stone Buddhist figures or Buddhist images carved on a cliff. However, various materials of Buddhist statues, which do not exist anymore, were enshrined in the important temples of the capital of Silla. This paper attempts to classify Buddhist statues recorded in the ‘Samguk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by materials firstly. Moreover, this will seek changes in the materials of Buddhist sculptures in the Silla temples through recently excavated archaeological data. It is identified that seven of the most important eleven temples in Silla including Chilcheogaram (seven temples that existed before Buddha appeared) and Seongjeonsawo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Royal Memorial Monasteries), enshrined clay Buddhist sculpture and gilt-bronze Buddhist figures. Among those eleven temples, there was no case of enshrining stone Buddha statues as the leading Buddha figure of a temple when they were established. However, the Silla royal family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stone Buddhist sculptures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eokbulsa Temple (circa 751). The state-led stone cave temple was named ‘Seokbulsa (石佛) Temple’ could be meant to emphasize the name ‘Seokbul (stone Buddha figure).’ Since the Seokbulsa Temple was built, a stone Buddha statue was enshrined as the central Buddha in the Silla temples. In particular, it is believed that stone Buddhist statues were enshrined in royal temples and important temples. Despite this movement, it is hard to say that the Buddhist figures in the Silla temples were completely converted from clay or gilt-bronze Buddhist statues to stone Buddhist figures. Even after the Unified Silla era, gilt-bronze or clay Buddhist figures were still created in the temples of Silla. Into this circumstance, the stone sculptures became one of the main types of Buddhist statues since the late 8th century and were popular in the capital and the provinces. However, iron Buddhist sculptures were not produced anywhere in the capital of Silla. Although iron Buddhist figures were quite famous in the provinces, such as Gangwon-do and Jeonla-do in the late Unified Silla era, they were not popular in the capital of Sil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