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해 상경성의 불상 - 동아시아 불교조각과의 비교연구 -

        최성은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7

        This paper investigates Buddhist sculpture at Sanggyong Yongchunbu(上京龍泉府), the last capital of Balhae(渤海) period from 794 A.D. to 926 A.D. when Balhae dynasty was collapsed. Sanggyong is located in present-day Bohaizhen(渤海鎭), south of Yongan City of Heirongjiang(黑龍江省). Hundreds of small Buddhist images, discovered at temple-sites of Sangyong since 1930's on, are now in the collec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Tokyo National University Museum, Heirongjang Province Museum and Bohai Sancheng Museum at Bohaizhen. These images are made with clay, gilt-bronze, gold and iron, and no stone image was found except the large stone Seated Buddha image at Xingrongsi, a temple of Qing Dynasty erected on the temple-site of Balhae period. Close examination of this stone image shows that it was made with basalt, which is too hard and rough for exquisite carving of Buddhist image. Among small terrcotta images, seated Buddha images, unearthed at the inner section of temple-sites, have been presumed to be 'Thousand Buddhas' decorated walls of a temple hall. In addition to this assumption, it is also assumed that some smallest seated Buddha images are likely to have been incarnated Buddha images attached on the halo of the Vairocana Buddha, just as those at the halo of the Seated dry-lacquer Vairocana Buddha image of Toshodaiji temple at Nara. A male-figure image in Seoul National Museum, showing facial feature of black race, indicates that he might be the attendant figure(崑崙奴) to Manjusri Bodhisattva(文殊菩薩), impounding his lion-pedestal. Since a standing Meditating Bodhisattve image in the collection of Tokyo National University shows a similarity to seated meditating Bodhisattva images found in some scenes of West Paradaise sutra of Amitabha Buddha of early and middle Tang period at Donhuang, it is quite probable that temple wall at Sanggyong was also been decorated with West Paradise Scence as we can see at the niche 245 of Beishan(北山), Dazu(大足) Caves in Sichuan Province. There are some iconography of esoteric Buddhism. The gilt-bronze image of one-head and six-armed Avalokitesvara, having no exact precedent of Tang sculpture, seems to have much to do with eleven-headed Avalokitesvara of middle Tang period or with Amoghapasa(不空羂索觀音) image of Nara period at Todaiji temple, and could be one of transformations of Avalokitesvara. Seated Amitabha Buddha image shows Amitabha mudra(阿彌陀定印), which was prevalent in Tang from ninth century and also appeared in Japanese and Korean sculptures of the later half of ninth century. Buddhist sculptures at Sangyong demonstrate that Buddhist culture of Balhae period was quite international and unique. They reveal a variety of iconography and style, which were on the par with Tang sculpture in their variety and creativity. 본 연구는 흑룡강성 영안시 발해진에 위치한 발해 최후의 수도 상경성의 불교조각에 대한 고찰이다. 이미 1930년대에 발굴이 시작되어 다량의 소조불상을 비롯한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1960년대에 다시 조사가 이루어져 금동상등, 다수의 불상들이 수습되었다. 이 유물들은 현재 서울대학교박물관, 동경대학교박물관, 흑룡강성박물관, 발해상경유지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 불상들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전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국내에서의 연구는 1930년대 출토품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각 소장처의 불상들을 조사하여 그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였다. 그 동안 서울대학교와 동경대학에 소장되어 있는 소조불상들과 동일한 틀(范)로 제작된 불상들이 중국측의 조사로 발굴되어 현재 흑룡강성박물관과 발해상경유지박물관에 소장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밖에 새로 발견된 불상들 가운데는 여러 구의 금동상들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그 가운데 일부는 발해시기로 편년되기 어려운 표현요소를 보이고 있어, 발해의 사원이 遼金代에 이르러서도 계속 존립해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상경출토의 불상들은 거의 대부분 소형이며 재료면에서 소조불상이 가장 숫적으로 많다. 이에 반해서 석조불상은 드물어 현재 흥륭사에 봉안된 석불좌상이 유일한데, 석불상이 소조나 금속제 불상처럼 활발하게 조성되지 못한 것은 필시 상경의 석재가 섬세한 조각에 적합하지 않은 화산암계 현무암인데도 원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소형의 소조불상들은 기본적으로 불당 내부를 장엄하는 용도로 제작되었다고 추정되어왔는데, 사원지 내진에서 발견된 최소형의 소조불상들의 경우는 노사나불(비로자나불) 광배에 달려있던 化佛일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밖에 서울대학교박물관의 소조인물상은 흑인종의 외모를 한 모습에서 문수보살의 사자를 모는 곤륜노일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문수보살도가 불전의 벽면을 장식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찬가지로 소조사유보살상은 상체 1구와 하체 1구만이 출토되었는데, 당대의 관무량수경변상도나 서방정토변상도에 사유보살이 표현된 점으로 미루어 상경의 사찰 벽면에 소조상들로 이루어진 정토계 변상이 장식되어 있었을 것으로 보았으며, 이는 마치 사천성 대족 북산 제 245감에서 서방정토의 변상을 석감내의 부조로 새긴 것과 유사한 경우일 것으로 생각한다. 상경의 불상들은 기본적으로 팔련성의 불상들에서 보이는 고식의 표현을 계승하고 여기에 당대의 새로운 요소가 가미된 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이점은 상경출토의 소조관음보살입상을 비롯해서 몇 구의 금동보살상에서 잘 드러나고 있는데, 중당기 조각에 보이는 인간적이고 사실적이면서도 세속화된 특징이 잘 보이고 있다. 또한 일면육비보살입상과 아미타정인을 결한 소조아미타불좌상은 밀교적인 도상을 보여준다. 일면육비보살입상은 발해조각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우수한 보살상으로 사실적인 조각기법이 잘 나타나는 상인데, 이 보살상의 일면육비의 도상은 정확하게 일치하는 예를 당이나 일본조각에서 찾을 수 없다. 다만, 당시 유행하였던 십일면육비 관음보살입상이나 일면팔비의 불공견삭관음입상과 같이 하나의 변화관음으로 발해에서 형성된 독특한 도상이라고 해석된다. 한편...

      • KCI등재

        보응문성 작 정읍 약수암 소조관음보살좌상 연구

        최선일 불교미술사학회 2020 불교미술사학 Vol.30 No.-

        본 논문은 전라북도 정읍 약수암 대웅전에 봉안된 소조관음보살좌상을 제작한 보응문성에 관한 내용이다. 약수암 소조관음보살좌상의 문화재 지정신청을 위해 복장 조사 중에 조성발원문 등이 발견되었다. 발원문에 의하면 약수암 보살상은 전북 익산 숭림사에서 시왕상 중수와 나한상 개채 시에 임실 성조암에 봉안하기 위해 1928년 5월 10일에 제작되었다. 이후 한국전쟁 중에 성조암이 소각되면서 읍내로 이운되어 약수사에 봉안되었다가 2006년에 현 위치인 정읍 약수암으로 다시 옮겨졌다. 소조관음보살좌상은 높이가 49㎝, 무릎 폭이 35㎝의 중소형으로, 내부에 머리 부터 바닥까지 사각형의 긴 나무로 뼈대를 만들고, 어깨와 무릎 등에 얇은 나무 조각으로 형태를 잡아 그 위에 흙을 붙여 모양을 만든 후에 금박을 붙인 소조불이 다. 보살상의 머리와 가슴 내부에는 사각형의 공간이 있어 복장을 위한 공간일 것으로 추정된다. 보살상은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상반신에 결가부좌한 자세를 하고 있다. 계란 형의 얼굴은 턱선이 둥글고, 눈꼬리가 올라간 작은 눈, 콧등이 둥근 긴 코, 살짝 올라간 작은 입술을 표현하여 자비로운 인상이다. 머리부터 다리까지 숄을 걸치 고, 어깨에 보발(寶髮)이 길게 늘어져 있다. 양 어깨를 감싼 숄은 배 부분에서 꽃무늬 장식으로 여미고, 가슴 부분에 상단을 평평하게 접은 승각기를 입고 있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자연스럽게 촉지인을 결하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하여 배앞에 올려놓았다. 왼손 바닥에 작은 구멍이 있는 것을 보면 원래 지물인 정병이 꽂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양 무릎을 덮은 대의 자락은 자연스럽게 높낮이가 있는 옷주름이 펼쳐져 있다. 보응문성과 관련된 활동 중에서 불상 관련 기록은 19건이다. 이 가운데 불상의 개금과 중수는 12건이고, 불상의 조성은 10건이다. 대부분 불화의 조성과 불상의 중수․조성이 동시에 이루어졌다. 보응 스님은 1899년에 태안사 성기암 관음원불 조성에 참여하고, 1903년 11월에 관하종인과 나주 다보사 지장보살을 개금하였 다. 그 후 1926년 8월 19일부터 9월 7일까지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을 보수한 후개채하고, 1927년 5월에 수화승으로 대구 은해사 운부암 관음상을 개금(改金)하 였다. 또한 스님은 1928년 4월 5일부터 6월 2일까지 익산 숭림사 시왕을 보결하면서 나한상을 개채하고, 임실 성조암에 봉안할 소조관음보살좌상을 조성하였으 며, 1930년 11월에 충남 공주 계룡산 갑사 대성암 불사를 하면서 신흥암 16나한상 중 10구를 새로 만들었다. 그리고 12월에 익산 숭림사 지장보살을 개금하면서 여래입상과 독성상을 조성하였다. 또한 스님은 1934년 2월 갑사 신흥암(나한토 굴)의 16나한상 중 11구를 새로 조성한 후, 1935년 7월에 김제 금산사 미륵불입상 모형 제작에 작품을 출품했지만,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스님은 1936년 4 월에 서울 종로 안양암 삼존상을 조성하고, 약사여래를 중수하고 도분(塗粉)하였 으며, 8월 9일부터 12월 4일까지 평북 영변 묘향산 보현사 사천왕을 조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님은 1951년에 충남 부여 해광사 소조관음보살좌상을 제작하였다. 스님의 불상 제작 관련 내용은 주로 1920년대 후반부터 남아 있다. 이와 같이 보응문성은 근・현대 불상의 조성과 중수 등에 많이 참여한 스님으 로, 불상을 조성할 때는 전통적인 양식의 불상을 만들었지만, 전신에 장포를 두른 정읍 약수암 소조보살좌상 ... This paper is about the BoneungMunseong, who produced the Clay seated Avalokitesvara enshrined in Daeungjeon Hall of Yaksuam in Jeongeup, Jeollabukdo province. The votive inscription was revealed during survey Bokjang for the application of cultural assets designation. According to the votive inscription, the Clay seated Avalokitesvara of Yaksuam was made for enshrining Seongjoam at Imsil on May 10. 1928 during the repairing Ten kings of hell and repainting Arhats. Later, as the temple was burned during the Korean War, the Avalokitesvara was enshrined in Yaksusa Temple in downtown and moved back to its current location, Yaksuam, in 2006. The Clay seated Avalokitesvara is a small and medium-sized statue with a height of 49cm and a width of 35cm. It is made of a rectangular long wooden frame from head to floor, and is shaped by thin pieces of wood on its shoulders and knees, and then attached clay on wooden frame, and then finished by applying gold foil. Inside the head and chest of the Bodhisattva statue, there is a square space, which is presumed to be a space for Bokjang. The Bodhisattva has a well-balanced upper body and a lotus position. The Bodhisattva statue is a benevolent impression by expressing an egg-shaped face and jawline, a small eye with a raised eye, a long nose with a rounded ridge, and a slightly raised lip. A shawl from head to leg, with long hair hanging over the shoulder. The shawl, wrapped around both shoulders, is adorned with flower-patterned decorations on the belly, and is worn with the top folded flat on the chest. The right hand with Bhumisparsa-mudra(touching the earth gesture) on the knees, and the left hand placed the palm on the upper hand, in front of the belly. Given that there is a small hole in the bottom of the left hand, it is highly likely that a sacred bottle was inserted. The hem of the garment covered with both knees naturally stretches. Among the activities related to BodeungMunseong, there are 20 records related to Buddha statues. Among them, 9 records are about repairing and re-gilding, rest of eleven records are about producing Buddha statues. Most of the Buddhist paintings were created simultaneously with the re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of Buddhist statues. Monk Boeung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Seonggiam Gwaneumwonbul in Taean Temple in 1899, and in November 1903, he re-gilded the Ksitigarbha Bodhisattva with Gwanhajongin in Dabosa temple at Naju. From August 19 to September 7, 1926, he repaired and reconstructed the Four Buddhist Guardian Kings of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in May 1927, and re-gilded the Buddhist Guardian King of Unbuam in Eunhaesa Temple in Daegu as a chief monk sculptor. In addition, he repaired the Ten Kings of hell at Soongrimsa temple of Iksan from April 5 to June 2, 1928, and rebuilt the arhats, which was enshrined in Imsil's Seongjoam, and created 10 of the 16 Arhats statues of Sinheungam, in November 1930, during the Daesungam Temple in Gyeryongsan, Gongju, Chungcheongnam-do. In December, he re-gilded the Ksitigarbha Bodhisattva of Sungnimsa Temple in Iksan and created statues of Buddha and Dokseong statue. In February 1934, he constructed 11 of the 16 arhats of Sinheungam (Nahan Cave) in Gapsa Temple. In July 1935, he submitted his work to create a model for the Maitreya Buddha statue at Geumsansa Temple in Gimje, but it has not been found until now. In April 1936, he created the triad statue of Anyangam in Jongno, Seoul, reconstructed and repainted Bhaisajyaguru Buddha, and built the Four Heavenly Kings of Bohyeonsa Temple at Myohyangsan Mountain in Yongbyon, Pyeongbuk-do, from August 9 to December 4. Finally, in 1951, he produced the clay Avalokitesvara at Haegwangsa Temple in Buyeo,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redords of Buddhist statues produced by BoneungMunseong have remained mostly since the late 1920s. As such, BodeungMunseong was a monk sculptor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and reconstruction of modern and con...

      • 정읍 약수암 소조관음보살좌상 목재의 수종과 원산지 분석 및 연대측정

        김요정(Kim Yo Jung) 사)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2020 불교문화재연구 Vol.1 No.

        본 논문은 전라북도 정읍 약수암에 봉안된 소조관음보살좌상 제작에 사용된 목재의 수종과 비파괴 연륜연대분석을 이용한 제작 연도 및 사용 목재 원산지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소조관음보살좌상은 발원문을 통해 근대 불교미술의 거장인 보응문성이 1928년에 조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대 작품인 소조관음보살좌상을 구성하고 있는 목재 틀(심주와 밑판)에 사용된 목재의 수종과 연대를 과학적 방법인 목재해부 및 연륜연대법으로 분석하였다. 소조관음보살좌상 목재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의 특징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가문비나무로 식별되었다. 또한, 비파괴 분석을 위해 밑판재에서 획득된 연륜 이미지를 이용하여 작성된 130년간의 연륜연대기는 일본 홋카이도 가문비나무 대표연륜연대기와의 크로스데이팅을 통해 성공적으로 마지막 연륜에 1842년을 부여하였다. 사용된 목재는 수(髓 : 나무의 중심)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수피부위는 치목된 상태이었다. 따라서 목판재의 형태를 통해서는 단지 1842년 이후에 벌채된 일본산 가문비나무로 소조관음보살좌상이 조성되었다는 사실만 알 수 있었다. 발원문을 통해 약수암 소조관음보살좌상의 조성연도는 1928년이므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마지막 연도와 발원문에서 제시한 연도와의 차이를 근거로 소조관음보살좌상 제작에 사용된 목재의 수령은 약 220년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정읍 약수암 소조관음보살좌상은 수령 220년인 일본산 가문비나무를 목재 틀로 사용하여 1928년에 조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paper aimed at identifying the wood species used for <Clay seated Avalokitesvara> enshrined at Yaksuam, Jeongeup, Jeollabuk-do and investigating the production year and origin using non-destructive tree ring analysis. It is known by a document, called Balwonmun, that <Clay seated Avalokitesvara> was founded in 1928 by Boeungmunseong, known as the master of modern Buddhist art. As a result of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in the experimental woods used to make <Clay seated Avalokitesvara>, the wood species was identified as a spruce(Picea spp.). In addition, by comparison of 130-year ring-width chronology, which is established using tree-ring images of wooden board of <Clay seated Avalokitesvara>, with the Hokkaido spruce master chronology in Japan, the last tree ring was dated 1842. The experimental wood has a pith, however, it has no bark. Therefore, only the fact that the wooden board of <Clay seated Avalokitesvara> was created using a spruce from Japanese felled after 1842. From a document, <Clay seated Avalokitesvara> was created in 1928.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year of the last tree ring dated through this study and the year in the document, the tree age used to make the wooden board is estimated approximately 220 years old. Based on the results, it was determined that <Clay seated Avalokitesvara> at Yaksuam in Jeongeup was created in 1928 using a wooden frame made by an approximately 220-year old spruce from Japan.

      • KCI등재

        CT 조사를 통한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소조보살상의 제작 기법과 재료적 특성 연구

        신연홍, 노지현, 김지호, 박학수 국립중앙박물관 2023 박물관보존과학 Vol.29 No.-

        Clay figure of Baekje, produced by forming and molding various shapes using clay, are mainly excavated from temple sites and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for studying the Buddhist art of Baekje. Research on clay figures of Baekje primaril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Baekje-era temples in which such figures are excavated, as well as the role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clay figures, by comparing region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research 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clay figures is mainly carried out by visual observation, whereas precise scientific analysis is required to understand product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in greater detail. In this study, to confirm such production techniques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were conducted on the Clay Bodhisattva excavated from the Neungsan-ri Temple site in Buyeo.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lay Bodhisattva was made using a cylindrical core of fine clay, tied together with several thin branches or reeds with straws. The clay used in the figure bore traces indicating the presence of herbaceous plants, which increase adhesion between clay and prevent cracks in the contract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density of the fine clay differs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lay figure. Based on this, it is presumed that the clay was applied around the cylindrical core to shape the Clay Bodhisattva. The clay was reapplied on top of the figure to express the detailed shape and pattern 소조상은 흙을 이용해 형상을 새기거나 빚어서 만든 것으로 특히 백제의 소조상은 주로 사찰과 관련된 유적에서 확인되고 있어, 백제의 불교미술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백제 소조상과 관련한 연구는 출토 위치에 따른 백제 사찰의 성격과 소조상의 역할, 지역별·형태적 특징 비교를 통한 제작 기법 연구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소조상의 제작 기법에 관한 연구는 육안 관찰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보다 상세한 제작 기법과 사용 재료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과학적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여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소조보살상을 대상으로 컴퓨터 단층촬영을 진행하고, 소조상의 제작 기법과 재료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조보살상은 얇은 나뭇가지 또는 갈대류 여러 개를 지푸라기 등으로 묶어 원통형으로 만든 심을 사용하여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비 과정을 거친 매우 고운 태토를 사용하였고, 태토의 내부에는 태토 간의 접착성을 높이고 수축 과정에서의 균열과 갈라짐을 방지하는 초본류가 존재했었던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입자가 고운 태토는 소조상의 내부와 외부의 밀도가 다르게 관찰되었는데, 이를 통해 소조보살상은 원통형의 심을 중심으로 태토를 접합하여 형태를 만들고 그 위에 다시 태토를 덧바른 다음, 세부 형태와 문양을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양양 낙산사 금당 전단토(栴檀土) 소조 관음보살상의 연구

        문명대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3 강좌미술사 Vol.61 No.-

        낙산사 금당에 봉안된 관음보살상은 원래 전단토라는 소조로 된 보살상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 관음보살상은 의상대사가 낙산사 관음굴에서 관음보살을 친견(親見)한 기념으로 낙산사 금당에 조성 봉안했던 유명한 관음보살상이다. 이 관음보살상은 여러 가지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조성배경이다. 낙산사 금당 관음보살상은 의상대사가 관음보살을 친견한 후 관음보살의 인도로 관음굴 위의 성지에 금당을 짓고 본존 관음보살상을 조성 봉안했고 관음보살과 용왕에게 받은 두 보주도 이곳에 비장했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둘째, 이 관음보살상과 두 보주는 몽고 난 때까지 잘 보존되고 신앙되어 왔는데 몽고 침략으로 관음상은 훼손되고 두 보주는 전쟁 통에 양주성과 명주성을 전전하다가 왕궁에 비장하게 되었으며, 관음보살상은 1260-70년 경 몽고 난 때 결국 들불(野火) 때문에 거의 훼손되어 새로 조성하다시피 중창했다는 것이다. 이 상은 여러 번의 중수 후 거쳐 내려오다가 6.25때 없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셋째, 현 원통보전에 봉안된 건칠관음보살상은 여말선초에 조성된 고려 후반기식 관음보살상으로 13세기 후반에 새로 조성된 낙산관음보살상을 모델로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원래의 관음보살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넷째, 조선시대의 관음보살상은 성종 20년(1489. 2. 24) 관음전 화재 때 대대적인 보수가 이루어졌던 조선초 양식의 관음보살로 판단된다. 다섯째, 고려 때 1230년 경 관음보살상에 새로 넣은 복장품은 1260-70년 경 새로 중창된 관음보살상과 조선 성종 20년(1489)의 중수 관음보살상에도 넣어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의상대사의 두 보주는 몽고 난 때 유전하다가 왕궁에 비장되었으며, 조선 초 세조 때 석탑 안에 안장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여섯째, 이 낙산사 관음보살상은 신라 통일기의 중생사 등 최고로 영험했던 소조관음보살상과 함께 가장 오래되고 제일 유명했던 관음보살상이 계승된 고려 후반기 내지 조선 초기(1489)의 최고의 걸작 관음보살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e moldeling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enshrined in the Geumdang Hall of Naksansa-temple is confirmed to be a bodhisattva statue originally made of molded clay. This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is the famous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that was created and enshrined in the Geumdang Hall of Naksansa-temple by Master Uisang to commemorate his personal encounter (親見) with Avalokitesvara Bodhisattva at the Avalokitesvara-cave of Naksansa-temple. So far, we have looked at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t the Geumdang Hall of Naksansa-temple from various angles. First is the composition background. the moldeling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t the Geumdang Hall of Naksansa-temple was created after Master Uisang saw Avalokitesvara Bodhisattva in person, under the guidanc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e Geumdang Hall was built in the sacred place above the Avalokitesvara-cave, and the main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was created and enshrined. The two Boju received from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the Dragon King of the sea were also stored here. Second, this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nd the two Boju have been well preserved and believed to have been preserved until the Mongol invasion. Due to the Mongol invasion, the Avalokitevara statue was damaged, and the two Boju were moved around Yangju fortress and Myeongju fortress during the war and were stored in the royal palace.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was almost damaged by a wildfire (野火) during the Mongol invasion around 1260-70, so it was rebuilt as if it were a new one. It is known that this statue went through several renovations and disappeared during the 6/25 Korean War. Third, the dry-pain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currently enshrined in the Wontongbojeon is a late Goryeo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create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ies.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as modeled after the newly created Naksan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in the late 13th century, and so it can be seen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original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Fourth,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from the Joseon Dynasty is believed to be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hich underwent extensive repairs during the fire in the Avalokitevara Hall in the 20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February 24, 1489). Fifth, it is possible that the new costume added to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round 1230 during the Goryeo dynasty was also added to the newly rebuilt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round 1260-70 and the rebuilt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in the 20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1489) in the Joseon dynasty. Master Uisang's two Boju were inherited during the Mongol invasion and were stored in the royal palace, and they were found to be buried in a stone pagoda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ixth, it can be seen that this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t Naksansa-temple is the greatest masterpiece of the late Goryeo or early Joseon dynasties (1489), a successor to the oldest and most famous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long with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which had the greatest spiritual power, including the history of rebirth during the unification of Shilla.

      • KCI등재

        남원 선원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소조시왕상의 채색안료 분석과 색상 다양성 해석

        정동희,한두루,최일규,이찬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4 보존과학회지 Vol.40 No.2

        남원 선원사 명부전의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소조시왕상은 제작자가 명확한 존상들로, 1610년에 처음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는 조선 후기 왕성하게 조성되었던 명부전 존상 들의 형태적 변천과정을 지시하는 중요한 학술적 자료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존상에서 안료층 박락과 균열 및 파손 등 다양한 손상이 발생하였으며, 안료들은 복합적인 화학조성을 보였다. 특히 백색의 바탕층에서는 전반적으로 Ca과 P이 다량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제작 당시 회칠이 있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소조시왕상의 청색 안료는 발색성 금속산화물과 유리질 분말을 배합한 신암채의 특성이 나타난다. 이 연구대상 존상들은 중창한 기록이 있고, 유사한 색의 안료에서는 다양한 발색원소가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조색이 있었으며, 덧칠과 보채 등 채색기 법으로 볼 때 당시의 시대적 및 사회적 상황을 반영한 재료의 수급과 활용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 결과는 향후 선원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소조시왕상의 보존을 위한 자료로 활 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and Clay Statues of Ten Underworld Kings within the Myeongbujeon Hall of Namwon Seonwonsa Temple are known to have clear creators, and documented to be in 1610. The Statues serve as significant academic resources for examining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statues that were actively produced in the late Joseon period. However, various damages such as exfoliation of pigment layer, cracks and breakages occurred in the studied Statues, and the pigments showed complex chemical composition. In particular, large amounts of Ca and P were detected in the white basement layer, which suggesting the existence of a whitewashed at the time of creation. The blue pigments on the Clay Statues of Ten Underworld Kings general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Sinamchae, a mixture of colored metal oxides and glassy powder. The studied Statues have been recorded in multiple repairing, and various coloration components were detected even in pigments of similar colors, indicating that were toned. Based on the coloring techniques such as over and filler paintings, it is interpreted that there was a supply and demand of materials reflected the period and social situation of the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future conservations on the Statues in Seonwonsa Temple.

      • KCI등재

        충남 청양지역 불교문화재 연구 현황과 과제

        서지민 한국고대학회 2023 先史와 古代 Vol.- No.73

        The small amount of literature materials alone is inadequate to understand the cultural history of Cheongyang-gun. Buddhist cultural asset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 as such. Although the number of Buddhist cultural assets in Cheongyang-gun is not large, there are many works that are highly significant in terms of cultural history.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lay Buddhist statue pedestal excavated at Bonui-ri, the gilt-bronze seated Bhaisajyaguru statue at Janggoksa Temple, and the gilt-bronze seated Bodhisattva statue at Unjangam, but studies from a new perspective are necessary and active discussions are necessary for the Stone Buddha Triad in Cheongyang, the Upper Daeungjeon Hall at Janggoksa Temple, and the iron Buddha statues, stone pedestals, and wooden mandoras enshrined in it. If such studies are conducted, important achievements reveal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Cheongyang-gun will be made and furthermore, th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Buddhist art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systematic academic research, such as excavation and literature research intended to conduct research from the new perspective as such will be conducted in combination with scientific research methods that can reveal the original form or production date of Buddhist cultural assets so tha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Cheongyang-gun will be identified and various projects utilizing it will be implemented. 영세한 문헌자료만으로 청양군의 문화사를 온전하게 이해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런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되는 것이 불교문화재이다. 청양군의 불교문화재는 수량이 많지는 않으나 문화사적인 측면에서 의의가 큰 작품들이 많다. 본의리 출토 소조불상대좌나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운장암 금동보살좌상은 선행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새로운 측면의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지금까지 본격적으로 연구되지 못한 청양 석조삼존불상이나 장곡사 상대웅전과 그 내부에 봉안된 철조불상들, 석조대좌, 목조광배 등에 대해서도 활발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런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청양군의 역사문화적 의의를 밝히는 중요한 성과가 될 것임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 불교미술사를 이해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이런 새로운 관점의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발굴조사와 문헌자료 조사 등의 체계적인 학술조사가 이루어지고, 불교문화재의 원형이나 제작연대를 밝힐 수 있는 과학적인 조사방법도 병행되어 청양군을 역사문화사적 의의가 규명되고 그를 활용하는 다양한 사업이 시행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