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문화 가정 주부의 적응을 돕는 (Multicultual) 소시오드라마 의 유용성 (Sociodrama) : 대구 경북지역 다문화 가정주부와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진혜전 ( Hye Jeon Chin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09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여러 나라에서 온 다문화 가정주부들과 이들의 정착 및 적응을 돕는 자원봉사자들로 구성된 다문화적 접근의 소시오드라마 사례이다. 본 소시오드라마에 참여한 대상은 총 22명이며 일본·중국·필리핀·베트남 등에서 온 이주여성 11명과 자원봉사자 11명이다. 소시오드라마는 2회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첫 회는 2008냔 7월 31일에 실시하였고 2회는 8월 5일에 실시하였다. 본 소시오드라마 회기는 다문화 가정주부의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중에 포함된 것이다. 2회에 걸친 소시오드라마 참여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4점 척도의 만족수준을 묻는 설문지에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원봉사자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소시오드라마에서 확인된 갈등 요인으로서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우리사회가 갖고 있는 이주민에 대한 무조건적인 무시, 인종차별, 문화적 편견, 남녀 차별의식 등으로 나타났다. 소시오드라마를 통해 자원봉사자들은 그들의 역할이 이주여성을 무조건 한국사회에 동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각 개인의 문하적 차이를 이해하고 자존감을 지키며 서로 다른 문화를 존중하고 수용하도록 돕는 것임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사례연구를 통해 다문화 사회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문화적응 스트레스 해결을 위한 교육방법으로 소시오드라마의 유용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re two cases of sociodrama would be effective in promoting multi-cultural housewives`s adoption in Korea. Sociodrama was practiced by volunteering group through multi-cultural approach for enhancing their competence. The first Sociodrama case was 31th July in 2008 and second was 5th Augst in 2008. These sociodrama included the program of Multi-cultual housewives`s competence enrich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were 22 persons, 11 for foreign participants had come from Japan, Philippine, Vietnam, 11 for domestic volunteers. The instrument used test were sociodrama`s satisfaction scale. The results of sociodrama`s satisfaction were as follows,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creases in satisfaction of adoption and need-expression`s competence. Foreign participant`s intrinsic conflict`s factors by acculturative stress were unconditional disregard, discrimination, cultural preoccupation, sexual discrimination. In conclusion. We had recognised that all participants two cases of sciodrama were trying for understanding of each other cultural differences, respecting for each other cultural bases rather than for unconditionally adoption to Korean cultural and social trends.

      • KCI등재후보

        임파워먼트 실천방법으로서의 소시오드라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형진 ( Hyoung Jin Lee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13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실천방법으로서 임파워먼트 접근을 살펴보고 임파워먼트 실천방법으로서 소시오드라마(Sociodrama)의 기법이 활용 가능한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임파워먼트 개념과 실천의 특징, 임파워먼트 실천의 수준, 소시오드라마의 개념과 실천과정 및 목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소시오드라마의 임파워먼트 실천의 적용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 결과 소시오드라마는 임파워먼트 실천의 수준에 따른 다양한 요소와 그 목적을 같이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셀프임파워먼트와 개인임파워먼트의 특성이 잘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임파워먼트의 구성에서 중요한 전문가의 역할과 소시오드라마의 디렉터의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임파워먼트의 실천 가능성에 대해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소시오드라마가 사회복지 실천 영역에서 임파워먼트 실천방법으로서 활용가능성에 대한 논의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empowerment approach as a social work practice method and possibility to use of activating technique of sociodrama as a empowerment practice method. For purpose of this article we study concept and character of practice of empowerment in social work practice, level of empowerment practice, concept & way of practice & aim of sociodrama. applicability of empowerment practice of sociodrama is discuss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sociodrama is corresponded with the purpose of various factor depending on level of empowerment practice and especially self-empowerment and individual-empowerment is well presented. Possibility of empowerment practice is suggested by analysing role of specialist and sociodrama director which is important in empowerment construction. Finally, sociodrama propose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 about possibility of application as empowerment practice method in social work practice territory.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디지털 성범죄 예방을 위한 소시오드라마 제작 경험

        강희숙 ( Hee Sook Kang ),이혜윤 ( Hye Yun Lee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21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디지털 성범죄 예방을 위한 소시오드라마를 제작한 후 그 경험을 질적 연구로 분석함으로써 대학생들의 디지털 성범죄 예방의식을 높이며, 소시오드라마적 접근방법의 확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2020년 3월부터 4월까지 K지역 대학생 35명으로부터 디지털 성범죄 예방을 위한 소시오드라마 제작 경험에 대한 소감문을 받아 주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6개의 주제, 16개의 하위주제, 60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6개의 주제는 ‘참담한 현실에 대한 원망과 반성’, ‘공론화를 위한 노력’, ‘신중한 등장인물설정과 장면구성’, ‘인식전환을 위한 출발선’, ‘소시오드라마의 발전가능성 제기’, ‘사회적 책임의식 강화 ’등이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위한 디지털 성범죄 예방프로그램을 소시오드라마로 제작한 경험을 제시하였다는 점과 소시오드라마적인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preventing digital sex crimes by producing sociodrama to prevent digital sex crimes and analyzing their experienc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to suggest an expansion of sociodrama approaches. To this end,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subject of 35 college students in the K region from March to April 2020 about their experiences in producing sociodrama to prevent digital sex crim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6 topics, 16 sub-themes, and 60 meaning units were derived. The six themes were “resent and reflect on the terrible reality”, “efforts for public debate”, “careful character setting and scene composition”, “start line for perception change”, “raising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sociodrama” and “strengthening social responsi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experience of producing digital sex crime prevention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into sociodrama and the possibility of sociodrama.

      • KCI등재후보

        대학에서 공연을 위한 소시오드라마 준비 과정에 대한 경험적 연구

        양혜진 ( Hye Jin Yang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12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공연을 위한 소시오드라마 준비과정에서 겪게 되는 막막함과 두려 움을 해소하고 보다 체계적으로 소시오드라마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고자 계획되었 다. 이에 본 연구자는 2011년 9월부터 11월까지 대전에 위치한 D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소시오 드라마 동아리 팀에서 학과창립 20주년 기념행사로 ``소시오드라마`` 공연을 위한 준비과정에 참여하면서 함께 경험했던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공연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소시오드 라마는 다음과 같은 세 단계의 준비과정이 필요하다. 첫째, 4주간의 소시오드라마 공연을 위한 구성원 모집 단계, 둘째, 5주간의 공연을 위한 주제설정-시나리오 작성-역할 설정과 장면만들 기의 소시오드라마 진행 단계, 셋째, 2주간의 최종 점검과 소시오드라마 제목 설정 후 실제 공연을 올리는데 주력하는 공연 단계.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reduce hardness and fear be gotten from preparing for sociodrama as a performance in university, and to give a guidance for approach to sociodrama more systematically. For that, researcher organized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with sociodrama club in preparing ``sociodrama`` performance for 20th anniversary celebration of social-welfare department founding of ``D`` university in Dae- Jeon,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1. As a result, sociodrama for performance needed three steps of preparing as follows. Step 1, member recruitment stage for sociodrama performance during 4 weeks. Step 2, performance preparing stage for theme choice, scenario writing, role set-up and making scenes during 5 weeks. Step 3, performing stage for practical performance after final check and title set-up during 2 weeks.

      • KCI등재후보

        대학생들의 저출산 사회문제 인식을 위한 소시오드라마 활용 가능성에 대한 질적 연구 - "♀+♂〓I" 실연과정을 중심으로-

        강규희 ( Gyu Hee Kang ),심우찬 ( Woo Chan Shim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10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를 대학생들이 어떠한 관점으로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해 공유하고 해결방안을 함께 모색해 나가는 과정으로써 소시오드라마를 활용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이러한 소시오드라마의 활용 효과에 대해 논함으로써 소시오드라마가 대학생들이 여러 사회 문제에 대해 자유롭고 흥미로운 방법으로 토론하는 데 효과적인 교육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I`는 대전시 소재 대학교의 사회복지학과 사이코드라마 소모임 학생들과 인구보건복지협회 대전충남지회 봉사단 학생들이 합동으로 학술제 행사를 위해 준비한 소시오드라마의 제목으로써 `♀`은 여성, `♂`은 남성을 나타내며, 여성과 남성이 결혼(+)을 하면(=) 아이`(I)가 탄생된다는 것을 기호로 표시한 제목이다. 그러나 소시오드라마 실연 후 관객들은 제목이 가지고 있는 또 다른 의미를 이해하게 된다. 그것은 여성과 남성이 만나 아이를 낳아 건강한 가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각각의 `개인, 자아, 나=I`라는 존재가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래서 제목의 `I`가 가진 의미는 2세, 즉, 아이뿐만 아니라 나 자신을 포함하고 있다. `♀+♂〓I`의 실연과정은 총 7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크게 "저출산 문제를 다양한 각도와 관점으로 바라보기"와 "저출산 원인으로 성 불평등에 대한 인식"이라는 두 준비단계를 거쳐, "대학생들이 피부로 느끼는 저출산 문제를 소시오드라마로 실연"하고, 마지막으로 나눔의 단계에서는 학술제에 참석한 모든 학생들의 "남녀 대학생들이 실천 가능한 해결방안 모색"이라는 자유로운 토론으로 마무리되었다. 이러한 소시오드라마 실연과정을 통해 대학생들이 저출산이라는 사회문제를 인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그저 소극적으로 학습하고 인식하던 단계에서 벗어나 보다 적극적인 주체가 되는 경험을 해봄으로써 스스로의 삶에 보다 더 가까운 문제로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었고, 또 여러 다른 역할을 직접 연기해 봄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에서 다각도로 사회문제를 이해하는 통찰력을 키우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추후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과학적으로 검증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idea of utilizing sociodrama in increasing awareness and finding solutions regarding a low birthrate issue as a social problem in South Korea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 discussion on the effectiveness of utilizing sociodrama in teaching social problems to undergraduate students is includ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ociodrama titled `♀+♂〓I` reported that sociodrama helped them become an active agent in seeking for strategies and solutions to low birthrate issu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empirically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sociodrama in increasing undergraduate students awareness in a social problem and their desire to resolve a low birthrate issue.

      • KCI등재후보

        메타버스에서의 소시오드라마 시연 경험: 포커스 그룹 인터뷰 중심으로

        조성희,김국중,김진현,박수병,오혜성,이순섭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22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25 No.1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o find out what participants experienced from the course of demonstrating the sociodrama program in Metaverse by use of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did participants experience from demonstrating a metaverse sociodrama?’ Subjects were six psychodramatists, who had five intensive meetings online inside metaverse and on Zoom from December 2021 till January 2022, and after demonstration, they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 sessions. The result of the study derived 10 themes and 7 thematic clusters such as ‘feeling fear and refusal about something new to try’, ‘joy of play inside metaverse space’, ‘challenging to do a metaverse sociodrama’, ‘concerns about metaverse sociodrama’, ‘expansion of encounters’, ‘feeling of delight and achievement’, ‘new ideas from experiences.’ The study helped to see the possibility of doing sociodrama in metaverse, and see the need to continue to develop programs suitable to age, subject, and social issues. 본 연구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소시오드라마 시연을 하기까지 참여자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살펴보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소시오드라마 시연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가?’이다. 연구 참여자는 사이코드라마 전문가 6명이며, 2021년 12월부터 2022년 1월까지 메타버스 활용 소시오드라마 시연을 위해 다섯 차례 모임을 가졌고, 시연 후에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하였다. 본 연구 결과 20개의 주제와 7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주제군은 ‘처음 시도하는 데서 오는 두려움과 거부감’, ‘메타버스 공간에서 놀이의 즐거움’, ‘메타버스 소시오드라마 시도에 대한 도전의식’, ‘메타버스 소시오드라마에 대한 염려’, ‘만남의 확장’, ‘함께 목표에 도달한 것에 대한 기쁨’, ‘경험을 통해 얻은 새로운 아이디어’ 등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소시오드라마가 메타버스 공간에서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연령별, 대상별, 이슈별로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였다.

      • KCI등재후보

        소시오드라마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오혜성,변상해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22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odrama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From August to September 2019, the research procedure recruited 60 children in the 3rd to 5th grades of the A Community Children's Center in Gyeonggi-do and divided them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Sociodrama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2 sessions. For research analysis, SPSS 25 was used to verify the pre-pos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psychological well- being through Sociodrama. Second,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ositive emotions through Sociodrama. Third,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were significantly reduced negative emotions through Sociodrama.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suggested that Sociodrama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본 연구의 목적은 소시오드라마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절차는 2019년 8~9월까지 경기도 A 지역아동센터 3~5학년 아동 60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후 실험집단은 소시오드라마를 주 2회 총 12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SPSS 25를 활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은 소시오드라마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은 소시오드라마를 통해 긍정정서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은 소시오드라마를 통해 부정정서가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소시오드라마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아바타를 사용한 메타버스 소시오드라마 관객 참여 경험

        조성희,김국중,김진현,이순섭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22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25 No.2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audienc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Metaverse sociodrama using avatar. The participants were 10 psychodramatists who participated Metaverse sociodrama via zoom on January 22, 2022,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8 thematic clusters and 21themes were derived, and the thematic clusters were ‘doubt about unfamiliar metaverse sociodrama and the use of avatar’, ‘lighting up about a totally strange thing’, ‘avatar seeming insufficient as a replacement’, ‘welling up to participate’, ‘encounter with avatars delivering their mind’, ‘finding a secure base behind avatar’, ‘witnessing metaverse sociodrama as a new horizon’, and ‘hope for metaverse sociodrama to expand and progress.’ The result showed that audience became involved with role players who used avatar body and were able to share feeling and thoughts. Audience witnessed those role players behind avatar fully with safe expressing their feelings and thoughts, and discovered positive functions of metaverse sociodrama, which was found as the meaning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아바타를 사용한 메타버스 공간에서 진행된 소시오드라마에 Zoom으로 참여한 관객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2022년 1월 22일 메타버스를 이용한 소시오드라마에 참여한 사이코드라마 전문가 10명이며, Colaizzi의 기술적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8개의 주제군과 21개의 주제가 도출되었고, 주제군은 ‘생소한 메타버스 소시오드라마와 아바타 사용에 대한 의구심’, ‘한 번도 해보지 않은 것에 대한 설레임’, ‘아바타가 사람을 대신하기에는 미흡해 보임’, ‘해볼까 하는 마음이 솟아남’, ‘마음을 전하는 아바타와 만남’, ‘아바타 뒤에서 보호받을 수 있음을 발견함’, ‘메타버스 소시오드라마 참여로 새 지평이 열림’, ‘메타버스 소시오드라마의 확장과 발전을 희망함’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메타버스 소시오드라마에 참여한 관객은 아바타의 몸을 빌려서 역할 놀이를 하는 보조자들에게 몰입하면서 감정과 생각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바타 뒤에 있는 역할 놀이 보조자들이 안전하게 감정과 생각을 표출하는 것을 목격하면서 관객이 메타버스 소시오드라마의 긍정적 기능을 밝혔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교사집단의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을 위한소시오드라마 경험 연구-근거이론적 접근-

        진혜전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13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을 위한 소시오드라마가 교육에 참여한 교사의 역할과 개인적인 태도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와 둘째, 학생을 위한 자살예방 방법으로 활용 가능하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구지역 초등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8시간의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소시오드라마를 실시하였다. 실시 후에 개방형설문지에 의한 경험 보고서를 작성하고 회수하였다. 설문지를 회수 한 후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 Corbin 1990.)의 근거이론을 토대로 질적 분석한 결론은 소시오드라마를 활용한 자살예방 교육은 교사들의 학생에 대한 이해, 특히 자살하는 학생들의 심리를 이해하고 공감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며, 교사가 교육현장에서 자신의 모습을 직면하고 자기자녀에 대한 이해에 까지 경험이 확장 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는 모레노의 역할이론 근거에 의해 소시오드라마가 행위화를 통해 교사의 역할과 개인의 태도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교육현장인 학교에서 실시하는 인성교육으로 활용 가능함을 입증하였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odrama geared toward instructing how to educate adolescents not to commit suicide on the changes of the roles and personal attitude of participating teachers and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this kind of sociodrama as a way to prevent students from committing suicid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region of Daegu. They performed in sociodrama twice for eight hours, and then an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to let them report their experiences. After their answer sheets were collected, a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As a result,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by sociodrama was of great use for the teachers to understand and empathize the mentality of students, especially students who committed suicide. Furthermore, they looked back on themselves and even were able to understand their own children. The findings proved that based on Moreno‘s role theory, sociodrama brought about a change to the roles and personal attitude of the teachers through their own acting out, and that it can be used as a means of personality education.

      • KCI등재후보

        노인 여가활동으로서의 비블리오드라마 효과

        오수진 ( Soo Chin Oh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11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14 No.2

        본 논문은 문학적 텍스트와 소시오드라마와 같은 액션 메서드가 융합된 치료 및 교육양식이라 할 수 있는 비블리오드라마 프로그램을 여가활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 노년층의 여가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진행했을 때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탐색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결과 참여자들은 비블리오드라마 회기, 다시 말해 잉여현실 속에서의 놀이를 통해 점진적으로 신체적 기능이 향상되었고, 카타르시스를 경험하며 정서적 치유를 받게 되었다. 자신과 타인에 대한 통찰을 통해 삶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으며, 역할훈련을 통해 사회성이 향상되고 참여자간 정서적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더불어 우울감이 감소되고 자존감이 향상되어 삶을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영위하고자 하는 태도를 갖게 되었다. 이로써 여가치료 및 여가교육 분야에서 노인여가 활동으로서 비블리오드라마 프로그램을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bibliodrama program which fuses literary text with an action method like sociodrama may be useful as a leisure activity for the elderly or not, and how effective it is. In a result of verifying effectiveness of bibliodrama program, it helps the participants improve their physical functions gradually and be healed psychologically while having a catharsis through the play in bibliodrama session, that is to say, surplus reality. They can understand their lives more deeply through the insight to their selves and others, and promote their sociabilities through the role training. And they can have the emotional support from one another. In addition, their depression has been decreased, while their self-esteem has been improved. This causes them to have positive and energetic attitudes toward their lives. In conclusion, bibliodrama can be useful as a leisure activity for the elderly in the field of leisure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