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corporating Social Relationship discovered from User’s Behavior into Collaborative Filtering

        Setha Thay(타이쎄타),Inay Ha(하이니애),Geun-Sik Jo(조근식)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3 지능정보연구 Vol.19 No.2

        소셜 네트워크는 사용자들의 공통된 관심사, 경험 그리고 일상생활들을 함께 공유하기 위해 소셜 네트워크 상 사람들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거대한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이다. 소셜 네트워크상의 사용자들은 포스팅, 댓글, 인스턴스 메시지, 게임 소셜 이벤트 외에도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소통하고 개인 정보 관리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소셜 네트워크상의 풍부한 사용자 정보는 추천시스템이 추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큰 잠재력이 되었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어떤 상품을 구매하기 전 가까운 관계이거나 같은 성향을 가진 사람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의사 결정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관계는 추천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선호도 예측을 효율적으로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들 사이의 상호작용 즉, 소셜 관계(social relationship)와 같은 소셜 데이터가 추천시스템에서 추천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고 있다. 추천시스템은 아마존, 이베이, Last.fm과 같은 큰 규모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또한 채택하여 사용되는 시스템으로, 추천시스템을 위한 방법으로는 협업적 여과 방법과 내용 기반 여과 방법이 있다. 협업적 여과방법은 사용자들의 선호도 학습에 의해 사용자가 아직 평가하지 않은 아이템 중 선호할 수 있는 아이템을 정확하게 제안하기 위한 추천시스템 방법 중 하나이다. 협업적 여과는 사용자들의 데이터에 초점을 맞춘 방법으로 유사한 배경과 선호도를 가지는 사용자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들의 선호도 예측을 자동으로 발생시킨다. 특히 협업적 여과는 근접한 이웃 사용자들에 의해서 목적 사용자가 선호할 수 있는 아이템을 제시하는 것으로 유사한 이웃 사용자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좋은 이웃 사용자 발견은 사용자와 아이템을 고려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각 사용자는 아이템 즉, 영화, 상품, 책 등에 자신의 선호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평가 값을 입력하고, 시스템은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평가 행렬을 구축한다. 이 사용자-평가 행렬은 목적 사용자와 유사하게 아이템을 평가한 사용자 그룹을 찾기 위한 것으로, 목적 사용자가 아직 평가하지 않은 아이템에 대하여 사용자-평가 매트릭스를 통해 그 평가 값을 예측한다. 현재 이 협업적 여과 방법은 전자상거래와 정보 검색에서 적용되어 개인화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초기 사용자 문제, 데이터 희박성 문제와 확장성 그리고 예측 정확도 향상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은 하이브리드, 신뢰기반, 소셜 네트워크 기반 협업적 여과와 같은 다양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협업적 여과 방식의 예측 정확도와 추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소셜 관계를 이용한 협업적 여과 시스템을 제안한다. 소셜 관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 하나인 페이스북 사용자들이 남긴 포스팅과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친구와 의견 교류 중 남긴 코멘트와 같은 사용자 행동을 기반으로 정의된다. 소셜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의 포스팅과 댓글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에 불용어 및 특수 기호 제거와 스테밍 등 전처리를 수행하였다. 특징 벡터는 TF-IDF를 이용하여 전처리된 텍스트에 나타난 각 단어에 대한 특징 점수를 계산함으로써 구축된다. 본 논문에서 이웃 사용자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간 유사도는 특징 벡터를 이용한 사용자 행동 유사도와 사용자의 영화 평가를 기반으로 한 전통적 방법의 유사도를 결합하여 계산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목표 사용자와 제안한 방법을 통해 결정된 이웃 사용자 집단을 기반으로 목표 사용자가 평가하지 않은 아이템에 대한 선호도를 예측하고 Top-N 아이템을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아이템을 추천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확인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IMDB에서 제공하는 영화 정보 기반으로 영화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MAE 값을 이용하여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얼마나 정확한 추천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정확도 재현율 및 F1값 등을 활용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시스템의 추천 품질은 커버리지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실험 결과로부터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이 보다 더 정확하고 좋은 성능으로 사용자에게 아이템을 추천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소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행동을 기반으로 한 소셜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추천 정확도를 6% 향상시킴을 보였다. 또한 벤치마크 알고리즘과의 성능비교 실험을 통해 7% 향상된 추천 성능의 결과를 보여준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행동으로부터 관찰된 소셜 관계를 CF방법과 결합한 제안한 방법이 정확한 추천시스템을 위해 유용하며, 추천시스템의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활용이 브랜드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현명 쇼핑감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이태민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논집 Vol.22 No.2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가 확산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한 기존 연구는 주로 온라인 환경에 서의 소셜 네트워크에 초점을 두어왔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과 브랜드 성과 간 관련성을 고찰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와 차별화되는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이용 동기를 고찰하고, 스마 트폰을 통한 모바일 쇼핑환경에서 소비자들의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활용이 어떻게 브랜드 성과에 연결되는지를 분석하 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이용 동기-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쇼핑 활용도-브랜드 성과로 연결되는 구조적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쇼핑 활용도와 브랜드 성과를 이어주는 주요 개념으로 지각 된 현명 쇼핑감을 제시하고 이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의 정황적 동기, 심리적 동기, 사회적 동기, 정보공유 동기가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쇼핑 활용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의 차별적 이용 동기인 정황적 동기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모바일 쇼핑환경에서 의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활용도는 지각된 현명 쇼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들의 지각 된 현명 쇼핑감은 브랜드 감정과 브랜드 구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지각된 현명 쇼핑감과 브랜드 성과의 연관성이 확인되었다. 브랜드 감정이 브랜드 구전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력도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 탕으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모바일 쇼핑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브랜드 관리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the smartphone-based mobile social network(MSN) usage. Previous research on social network service focuses on online enviro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service usage and brand performance was not investigated. In the study, MSN-specific usage motive and the effect of mobile social network(MSN) usage in mobile shopping environment on brand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SN usage motive,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and brand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Smart shopper feeling was suggested as the key mediating variable between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and brand performance. According to empirical results, MSN usage motives such as contextual motive, psychological motive, social motive and information sharing motiv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MSN-specific contextual motive has the strongest effect on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mart shopper feelings. Smart shopper feelings triggered by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brand affect and brand word of mouth.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brand management strategy in MSN-based mobile shopping environments.

      • KCI등재후보

        动机与社交网站过度使用的关系研究

        李婷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9 문화와예술연구 Vol.14 No.-

        정보기술이 발전하면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능은 계속 풍부해지고 있으며 사람들의 다양한 수요를 만족시켜줄 뿐만 아니라 갈수록 사람들의 관심과 환영을 받고있다. 관련 조사 수치에 따르면 현재 우리 나라에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활용도가 90% 이상에 이른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20대 젊은이들은 전체 사용량의 30%에 이른다. <2015년 중국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응용 사용자 행위 연구 보고>에 따르면 미성년자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는 비율이 거의 총수의 3분의 1을 차지했으며 수중 대상은 보편적으로 청소년들이 다는 것을 알게 된다.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는 양날의 칼처럼 사람들은 그것을 사용하여 관심이 있는 내용, 뉴스 메이커를 알아보는 것, 지식을 얻으면서 공유하는 것, 사진 올림, 상태 업데이트, 동영상, 음악 등 다양한 면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런데 그 중에 빠지게 되면 개인의 직장, 학습, 건강, 인간관계 등 일련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중국 강서성 이춘대학교에서 온 대학생 909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과도 사용량 표>' 의 득점에 따라 159명을 추려냈다. 연구 도구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과도 사용 계량기>,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 동기 계량기>, <생활 만족도 계량기>, <자존심 계량기>, <스트레스 지각 계량기> 등이다. 필자는 대학생들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선택에 대한 비교 연구를 하여 심리 건강, 사용 동기 등에 대해 살펴봤다. 본 논문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과도한 사용 현황, 동기와 심리적 건강의 상관관계를 주요 논술로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동기, 심리적 건강, 과도한 사용의 상관관계를 논술했다. 관련 분야 연구에 사실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에 따르면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현황에서 일반사용자는 80% 이상을 차지했으며 나머지20%는 과도사용자수였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동기와 심리 건강 변수에는 일정한 차이가 있었다. 이 밖에 과도사용자는 시간 몰이 동기, 정보 입수 동기, 오락 동기, 자기 표현 동기, 회피 동기 그리고 스트레스감 지력이 다른 조보다 높았지만 생활 만족도와 자존심 항목에서는 낮은 점수를 받았다. (2) 연구과정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존재한 소일 시간, 정보수집, 오락, 자기표현, 현실 탈출 등 동기가 과도한 사용과 현저한 정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3) 생활만족도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과도 사용이 뚜렷한 마이너스관계가 나타난다. 자존심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과도 사용의 관련이 미약하다. 스트레스지각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과도 사용은 뚜렷한 정관계가 있다. (4) 생활만족도가 시간 몰이 동기, 자기표현 동기, 탈출 동기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과도사용의 조절 효과가 현저하지만 정보 획득 동기, 오락 동기에 대한 조절 효과가 뚜렷하지 않다. (5) 자존심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 동기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과도 사용의 조절 효과가 뚜렷하지 않다. (6) 스트레스 지각은 오락 동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과도 사용의 조절 효과가 뚜렷하지만 시간 물이 동기, 정보 입수 동기, 자기표현 동기, 탈출 동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과도 사용 의 조절 효과가 현저하지 않다.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과도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특히 대학생 과도사용자들은 소셜 네트워크사이트서비스의 과도 사용에 대한 관심도를 한층 더 강화하고 자아방호의식을 강화하며 더 절제하게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한다. 또한 교육자가 학생들의 심리적 행복감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 동기에 근거하여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과도사용자에게 효과적인 간섭 조치와 교정 조치를 제공한다는 것에도 도움이 된다. 社交网站是时代发展的产物,社交网站具有多种多样的功能, 能够贴合各种用户的需求。根据相关调查数据显示目前我国社交网 站使用率已经达到了九成以上,受众人群占据最大比例的是20 到 29岁的年轻人,占了总使用率的三成多,《研究报告》的数据表 明,未成年人使用社交网站的比例几乎占据了总数的三分之一,可 见受众群体普遍为青少年。社交网站的使用效果可谓是喜忧参半, 网民可以通过这一渠道了解到更多的新鲜热点问题,实现资源共 享,参与社交、状态更新、欣赏视频音频等,但是倘若不加以节制 利用,也会导致网络成瘾,导致学习成绩与工作效率的下降,对身 心发展也有负面影响。 在这项研究中,对来自中国江西省某大学的909名大学生进行 了调查。本次调查依据社交网络过度使用量表的得分,筛选出159 名网络用户定为本次的研究对象。拟采用社交网络过度使用量表, 动机量表,生活满意度量表,自尊量表和压力感知量表为本次调查 研究的基础工具。笔者对这些大学生对社交网站的选择做了对比研 究,涉及到了心理健康、动机等方面。本篇论文将以社交网站过度 使用情况与动机和心理健康的关系,作为主要论述内容。最后,论 述了社交网站动机、心理健康、过度使用之间的关系,目的是为相 关领域的研究提供事实依据。做出以下总结: (1)根据调查发现,在社交网站使用情况现状中,普遍用户 占据了八成多比例,剩下的接近两成为过度使用人数。常规使用组 和过度使用组在人口学变量上没有明显区别,相反在使用社交网站 的动机与心理健康变量上具有较大的差别。此外,过度使用群体的 消耗时间动机、信息获得动机、娱乐放松动机、自我表达动机、逃 避动机和感知压力都要高于常规组,但是在生活满意度和自尊得分 比常规组要低。 (2)在研究中发现,存在于社交网站的消遣时间、信息获 取、娱乐放松、自我表达、逃离现实等动机,与过度使用呈现出显 著正相关的关系。 (3)生活满意度和过度使用社交网站呈现出明显的负相关, 自尊和过度使用社交网络则不存在显著关联,压力感知和过度使用 社交网站存在显著正相关的关系。 (4)个体对生活的满意程度会影响到消耗时间、自我表达、 逃避现实等动机,同时生活满意度对社交网站的消耗时间动机,自 我表达动机,逃避现实动机和过度使用的影响很大,但对信息获取 动机,娱乐放松动机和社交网站过度使用的调节作用不明显。 (5)自尊对社交网站动机和过度使用社交网站的影响不显 著; (6)社交网站娱乐放松与过度使用的重要调节方式之一是压 力感知,消耗时间、信息获取、自我表达、逃避等动机则几乎对社 交网站过度使用不构成影响。 本篇论文将通过分析影响大学生过度使用社交网站的因素研 究,希望能够唤起大学生对过度使用社交网站的关注。使教育工作 者根据社交网络用户的心理健康状况和使用社交网站的动机为过度 使用社交网站群体提供有效的干预措施和纠正措施。

      •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동기가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

        정연수(Jeong, Yeonsu),성행남(Sung, Haeng-Nam),이승엽(Lee, Tommy Seung Yeup),정대율(Jeong, Dae-Yul) 한국경영학회 2015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08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더 이상 사회적 관계망으로의 역할을 초월했다. 2000년대 후반 모바일서비스의 상용화와 함께 발달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하여 자신의 프로파일을 게시하고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여 의사소통을 하는 채널의 역할을해 왔다(Boyd and Ellison, 2007). 그러나 정보통신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달은 이러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사용자와의 생활을 밀접하게 연결시켜놓았다. 사용자들은 그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공유하였으며 다른 사용자들은 그를 통해 그 사람에 대해 알게되고 평판하기도 한다. 또한 특정인물의 행적과 신상이 인터넷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쉽게 검색될 수 있게됨으로서 자신의 평판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생기기도 하였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생성 초기부터 기업들은 브랜드와 평판관리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업을 홍보하고 그 가치를 높여왔고 따라서 그와 관련된 연구도 다수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의 평판과 그 관리에 관련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개인의 평판도 인지와 관련하여 사용자들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이용동기가 평판도인지와 몰입을 매개로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이용동기를 그 이용목적에 따라 정보추구동기, 자기공유동기, 자기표현동기, 유희추구동기, 커뮤니케이션 동기의 다섯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자기공유동기, 유희추구동기, 커뮤니케이션 동기가 평판도인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추구동기와 유희추구동기가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판도인지가 높을수록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에 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판도인지와 몰입이 높을수록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의 활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정보미학적 해석을 통한 소셜네트워크 시각화의 예술적 활용

        방승애(Seungae Bang),윤준성(Joonsung Yoon)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7

        본 논문은 소셜네트워크 시각화의 정보미학적 해석을 통해 소셜네트워크 시각화의 예술적 활용을 분석한다. 초창기 소셜네트워크 시각화는 개인과 집단의 상호관계를 규명하는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의 한 방법인 ‘소시오그램(sociogram)’의 형태로 등장했다. 이후 소셜네트워크가 점차 복잡해지면서 다양한 인간 관계망을 분석하는 기술이 등장했다. 초창기 소셜네트워크 시각화는 사회 구조를 측정하기 위한 실용적 목적을 지향했다. 그러나 현재 소셜네트워크 시각화는 정보 기반의 예술적 표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분화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소셜네트워크 시각화의 최근 예술적 활용에 주목하여 정보미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예술적 활용 사례를 두 가지 범주로 나눈다. 먼저, 아날로그기반의 정적인 그래프 시각화 유형을 분석한다. 두 번째는 소셜네트워크 웹 사이트와 텍스트 분석 기술을 연동하여 실시간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하는 상호작용성 기반의 시각화 유형을 분석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예술과 공학의 융합적 패러다임을 제시하여 기존 예술 연구 영역의 한계를 벗어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artistic practical use of social network visualization through the aesthetic information interpretation. The first social network visualization has emerged as ‘Sociogram’ in the form of social network analysis(SNA). Since social network has complex, the analyzing technology of social network has emerged. Early social network visualization has a practical purpose to measure the social structure, but current social network visualization divided into various forms from artistic expressions through information. This paper divide into two categories based on the artistic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visualization. Firs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static graph based on analog. Second, this research analyze the category of interacted visualization to generate a real-time digital image. This paper presents the fusion of paradigm between engineering and art through this way.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 골프 커뮤니티 참여유형이 사회자본 및 사회관계 망에 미치는 영향

        박순문 한국골프학회 2021 골프연구 Vol.15 No.4

        [목적] 이 연구는 소셜네트워크 골프 커뮤니티 참여유형이 사회자본과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소셜네트워크 골프 커뮤니티를 선정한 후 서울, 광주광역시, 전남지역에서 활동하는 성인 남·여 400명을 집락무선 표집법을 이용하여 표집하였다. 최종 선정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20.0 버 전을 이용하여 분석목적에 맞게 통계처리 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소셜네트워크 골프 커뮤니 티 참여유형은 사회자본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소셜네트워크 골프 커뮤니티 참여유형은 사회관계망 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셜네트워크 골프 커뮤니티 참여자의 사회자본은 사회관계망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결론] 이는 골프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을 이용한 전략 수립, 또는,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수준 을 높이는 전략과 같은 소셜네트워크 커뮤니티 이용전략의 중요성을 주지시키고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 용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golf community participation type on social capital and social network. [Method] After selecting the social network golf community, 400 adult males and females active in Seoul, Gwangju, and Jeollanam-do were sampled using the cluster wireless sampling method. The final se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statistic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0.0 version,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Result] First, social capital was partially affected by social network golf community participation type. Second, social network was partially affected by social network golf community participation type. Third, the social capital of the social network golf community participants partially affected the social network. [Conclusion]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nform and utilize the importance of social network community use strategies, such as establishing a strategy using online for revitalizing golf or a strategy to increase the level of offline communication.

      • KCI등재

        게임화(Gamification)된 광고 플랫폼으로서 모바일 소셜네트워크게임(SNG)의 활용

        신지호(Jiho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논문은 게임화된 광고 플랫폼으로서 소셜 네트워크 게임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진행되었다. 아이폰이 세상에 소개된 후 스마트폰 시장은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고, 스마트 폰 시장의 성장은 모바일을 통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시장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게임을 게임화된 광고의 플랫폼으로 이용하여 효율적인 광고매체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띠 배너 형태의 모바일 광고 형태가 아닌 게임의 형식안에 자연스럽게 광고를 결합시킨 새로운 개념의 모바일 광고 모델을 위해 설계된 모바일 소셜네트워크 게임인 <레스토랑스타>의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광고 플랫폼으로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This study is about utilizing social game as a gamification advertising platform. Since iPhone released to the world, the smart phone industry has rapidly increased. And the development of the smart phone industry has rapidly increased its rate of users in which it has led to leaping growths of new kind of service such as SNS(Social Network Service), and SNG(Social Network Ga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advertising industry in smart phone paradigm shift.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network game as a gamification advertising platform, and studied on case of <Restaurant Star> which is social network game used as a gamification advertising platform. Finally, this study has developed suggestions for new way of advertising by utilizing Mobile social network game as a gamification advertising platform.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생보사와 손보사의 대면/비대면 채널의 적합성 비교

        전희주,임병학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1) 보험전문가인 보험회사에 근무하는 임직원들이 가지고 있는 채널의 유형, 채널평가 항목, 보험 상품과 보험판매 시 요구되는 채널특성들간의 적합성에 대한 의견을 가지고 생명보험업계와 손해보험업계 각각 2-mode 소셜네트워크 데이터를 구성하고 2) 생명보험업계와 손해보험업계 2-mode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를 1-mode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생명보험업계와 손해보험업계 두 소셜 네트워크의 구조와 네트워크 특성 변수들을 찾아 비교·분석하고, 소셜 네트워크 기반 측면에서의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의 판매채널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보험 판매채널의 평가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를 비교한 결과, 생명보험업계 소셜 네트워크가 손해보험업계 소셜 네트워크보다 더욱 강한 연결을 보였다. 즉 생명보험업계의 소셜 네트워크의 중심성 변수들이 손해보험업계의 것 들 보다 모두 높게 나타나 생명보험회사들은 채널전략 운영 측면에서 한 방향으로 움직이기가 수월함을 보이는 반면, 손해보험사들은 회사의 규모나 처한 환경에 따라 판매채널 전략이 다를 수 있어 각사의 개별적인 보험 판매 채널전략을 운영해야 함을 의미한다. In this study, 1) we compare face channel and non-face channel of life insurance company and non-life insurance company with insurance employs’ suitability opinion about channel type, channel property, channel evaluation items requiring when selling insurance products, 2) we construct two social networks for life insurance companies and non-life insurance companies and find/compare two networks’properties, and then want to suggest any direction about sale channel strategy. As the result of comparing social networks of life insurance company and non-life insurance company created by insurance selling channel fit evaluation, employs of life insurance companies have more common opinion than those of non-life insurance companies and so can have more same directional channel strategy. However, property insurance companies need to manage their own channel strategy based on their own circumstance.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중독에서 우울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의 지지감의 영향 및 그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전신현,김원경 한국보건사회학회 2014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5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causes of addiction in social network servicethrough suggesting several explanatory factors and hypotheses and testing them. Those factors include strains in family, school, and peer relations, depression,self-control, and smart phone use. This study focuses on depression as a main factorand its interaction effect with the perceived support in social network service onaddiction. Using data from surveying 486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I find that theeffects of strains on addiction are mediated by depression and depression has astrong effect on it. It is found that as predicted, depression has a larger significanteffect than self-control on addiction in social network service. In addition, smartphone us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it. Results also show that the interactioneffect between depression and the perceived support in social network service issignificant, which means that those who are depressed are more likely to engage inaddict when they are experienced social support in social network service. 이 연구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증독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들에 제시되었던 주요요인들 중 개인심리요인인 우울과 자기통제력, 사회환경요인인 사회생활(가정, 학교, 친구)에서의 긴장, 그리고 매체특성요인인 스마트폰이용을 중심으로 그 영향력을 살펴본다. 이 연구는 그 중 우울의영향에 주목하며 무엇보다 우울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지지감과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다. 서울시 대학생 조사에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 486명을 분석한 결과 사회생활에서의 긴장, 그중에서도 친구와의 긴장의 영향력이 컸는데, 이것이 우울을 통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중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예측한대로 자기통제력의 영향력은 우울보다는 작았고,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스마트폰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더 중독에 빠지게 될 것이라는 스마트폰 매체특성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우울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중독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지만 우울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지지감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우울한 학생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중에 지지감을 높게 경험할 때 더 중독 경향성이 높다는 것을 제시했다.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종기,김진성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정보화정책 Vol.18 No.3

        소셜 네트워크는 사람들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여러가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로로써 맹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오늘날 소셜 네트워크는 인터넷의 확산,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의 발전, 소셜 네트워크에 대한 중요성 인식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가고 있다.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참여 ( Participation) 와 개방(Openness) 을 모토로 하는 웹 2.0 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발전해 왔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웹 2.0을 수용함으로 사용자들은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새로운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들은 자신의 생각과 경험 등을 공유하고 여러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존재를 인삭하고 삶의 만족을 느끼며 사회 구성원으로써의 영향력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고차요인분석(higher order factor analysis) 을 실시하였다. 연구 모형은 인지된 사회적 실재감, 인지된 개인적 만족, 인지된 사회적 영향력을 포함한 2차 요인으로 개발되었다. 1차 요인들은 기술적, 개인적, 사회적 요인들로 그룹화 하였다. 이를 평가하고자 SmartPLS 2.0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영향력이 개인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