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기부 소비자 참여동기 특성과 기업 친숙도의 조절역할

        고역심,박만석,조성도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6 마케팅논집 Vol.24 No.2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기업 주도형 소셜기부 참여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소셜미디어에서 소셜기부 참여 동기요인을 내적동기(자기향상감, 즐거움)와 외적동기(SNS친구의 권유, 사회적 보상, 물질적 보상)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소비자가 기업 주도형 사회적 책임활동에 참여하는 동기와 참여의향의 관계에서 기업 친숙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내적동기는 소셜기부 참여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외적동기 중 SNS친구의 권유와 사회적 보상은 소셜기부 참여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에 대한 친숙도가 소비자 참여 동기와 소셜기부 참여의향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았다. 또한 소셜기부 참여의향이 높을수록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는 기업과 연결감이 높아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소셜미디어에서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 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consumers’ donation motives that influence consumers’ donation intentions toward corporate-leading social donations on social media. Specifically this research analyzes consumers’ donation motives on socal media in terms of internal and external motives. Additionally the moderating roles of corporate familiarity are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donation motives and social dona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whereas internal motives don’t significantly affect social donation intention on social media external motives such as SNS friends’ recommendation and social reward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ocial donation intention. Furthermore, corporate familiarity does not play a moderating role between donation motives and social donation intention. Also social donation intention enhances the consumer-company connection on social media.

      • KCI등재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소셜기부의 사례분석을 통한 유형 분류 연구

        이혜준,임유명,성열홍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2 No.-

        The donation, which is a measure of developed countries, is gradually increasing in wholly society along with Korea’s economic growth. The awareness and consciousness of the donation culture are also insufficient compared to this external expansion, the opacity of the donation fund and the unidirectional donation cause further lowering rate of participation for donation. However, the change in the media environment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changes the perception of the existing donation culture, and it is spread of “social donation” using social media, then the donation is newly emerged with donation form as a transparent and interactive. Additionally, social donation is a very attractive form of donation for MZ generations who value good influence like fairness and justice etc and have altruistic values more than any other generation. However, there are very few basic data for empirical research on social donation. Hence, analyzing the case of 'social donation', which is trend of donation culture, it is classified as 3 types are major categories and 9 is sub-attributes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of social donation, and we took DI(Depth Interview) of experts to test the validity. This study will be the cornerstone of active research on social donation, such as the academic establishment of social donation and empirical effect verification study etc. through type classification and designed the type of social donation as a new donation paradigm. In practice, it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more efficient social contribution business strategies in terms of effectiveness versus implementation rather than external social contributions within a company. Finally,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the donation culture socially and culturally as well as responding to the newly emerging desire for donation following social change. 선진국의 척도라 할 수 있는 기부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사회 전반적으로 그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 한 외연 확장에 비해 기부문화에 대한 인식이나 의식 또한 부족한 실정이며, 기부 기금에 대한 불투명성과 일방향적인 형 태의 기부로 인해 기부 참여율을 더욱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발전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등장으로 미디어 환경이 변화되면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소셜기부’가 확산되기 시작했다. 투명하고 양방향적인 기부 형 태가 새롭게 대두되면서 기존 기부문화의 인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또 어느 세대보다 공정성과 공평성 등의 선한 영향력을 중요시하고 이타주의적 가치관을 가진 MZ세대들에게도 소셜기부는 매우 매력적인 기부 형태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소 셜기부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기부문화의 흐름이라 할 수 있는 ‘소셜기부’ 의 사례분석을 통해 소셜기부의 참여 유형에 따라 3가지 유형을 대분류로 9가지 하위 속성으로 분류하였고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DI(Depth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새로운 기부 패러다임으로써 ‘소셜기부’의 유형을 설계했다는 점과 유형 분류를 통해 소셜기부의 학문적 정립 및 실증적 효과검증 논문 등 소셜기부의 활발한 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다. 실무적으로 기업 내에서의 외면적인 사회 전체 기부보다는 실행 대비 효과 차원에서 보다 효율적인 사회공헌 사업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사회변화에 따른 새롭게 등장 한 기부 욕구에 부응하고 사회·문화적으로 기부문화가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게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 기반의 참여형 CSR전략으로서 소셜 기부의 참여 동기 요인이 CSR신뢰성과 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

        서상희 한국소통학회 2017 한국소통학보 Vol.16 No.4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서 참여형 CSR전략으로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소셜 기부활동의 참여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검증 결과, 소셜 기부 콘텐츠 만족도와 CSR진정성, 사회적 연결감은 CSR신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소셜 기부 평가 요인으로 설정한 콘텐츠 만족도와 CSR진정성, 사회적 연결감은 모두 CSR신뢰성을 매개로 소셜 기부 참여 의향에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 중 콘텐츠 만족도의 경우, CSR 참여의향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CSR진정성과 사회적 연결감은 CSR참여의향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셜 기부에 대한 인식 요인들과 CSR신뢰성 간 영향 관계에 있어서 SNS친구 추천(권유)의 조절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함께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mpirically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fluence factors on participation intention to social donation in participative CSR Strategy using by social media. It was examined that contents satisfaction of social donation, CSR truth, and social connectedness had positive influence on CSR confidence. Also, results showed that contents satisfaction of social donation, CSR truth, and social connectedness had positive influence on participation intention to mediating CSR confidence. And it was confirmed that contents satisfaction of social donation has direct influence on CSR participation intention. On the contrary, it was examined that direct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on CSR participation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Meanwhile, results showed that moderating effect of friends' recommendation in sns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influence of perceptive factors of social donation on CSR truth. Finally, it is provide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and the future conduct of research.

      • KCI등재

        소셜기부에 참여하는 소비자들의 사회적 참여동기에 관한 연구 : 공익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문식(Suh, Munshik),허소람(Heo, Soram),박예진(Park, Yejin) 한국소비문화학회 2021 소비문화연구 Vol.24 No.2

        소비자들의 소비과정에서 소셜미디어의 적극적인 활용은 기업의 공익연계마케팅의 수행에 있어서도 큰 전환점을 제공해주었다. 최근 몇 년간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공익연계마케팅(cause related marketing)의 적극적인 접목을 시도하면서 기업과 소비자들 간의 쌍방향 소통이 용이해졌고, 신속한 정보의 확산을 통해 일반 사람들에게 기업의 공익연계마케팅 활동이 자연스럽게 노출되어 많은 관심과 공감을 얻게 되었다. SNS와 같은 소셜미디어 상에서 소비자들은 큰 거부감이나 부담감 없이 기부와 관련된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하면서 더욱 의미 있고 진정성 있는 기업과 소비자가 함께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소셜기부’는 기업이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일반인의 참여를 유도하는 기부 형태로써 일반적인 기부행위와는 다른 소비자들의 사회적 참여 동기가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유성, 상호호혜성, 화제성, 자기표현 동기를 사회적 동기의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여 이러한 소셜기부 사회적 참여동기가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 동기가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의 공익 관여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SPSS Ver.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중다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효과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의 소셜기부 화제성 참여동기가 기업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 라는 가설 1-3을 제외한 나머지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공익에 대한 소비자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표현 참여동기가 기업태도에 미치는 경로에서 소비자의 공익 관여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고, 공유성 참여 동기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의 반대인 부정적 방향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소비자의 관점에서 모든 변수들을 선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소비자와 공익의 모든 차원을 고려한 소비자 집단의 특성에 맞는 공익 컨텐츠를 마련하여 진정성 있는 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자 하는 실무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active application of social media in the consumer s consumption process has provided a major turning point in cause-related marketing. As a result of the active adoption of corporate cause-related marketing into social media platforms, firms have naturally exposed to the general public, resulting in a lot of interest and sympathy. ‘Social donation’, a form of donation which is based on social media, will have strong social participation motive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onation motives. Therefore, in this study, ‘sharing’, ‘mutual reciprocity’, ‘topicality’, and ‘self-expression’ motives were composed as sub-factors of social participation motives, and the effect of these social motives on corporate attitude was to be confirmed. In addition, it was attempted to confirm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participation motives on corporate attitudes can vary according to consumer involvement in caus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in effects of this study, all the other hypotheses were supported except for the hypothesis 1-3 that consumers topicality motive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attitudes. Also, Hypotheses 2-1 and 2-4 about the moderating effect were rej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of practical help to firms seeking to implement social donation as a strategic marketing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커뮤니티기반 기부 콘텐츠 개발

        박수진(Park, Sooji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9 No.1

        경제와 교육 수준의 향상은 사람들로 하여금 사회 참여활동에 관심을 갖게 한다. 그 중 기부활동은 초기 오프라인에서의 모금행사나 TV, 라디오, 신문 등의 대중매체에서 온라인으로 빠르게 그 세력이 확장되고 있다. 기존의 온라인 기부 프로그램들은 보편적으로 기부 홍보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웹 배너나 이벤트 창을 통한 기부 유도, 기부 커뮤니티를 통한 관심 그룹의 형성에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잠재기부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고 한국적인 기부성향에 부합되는 콘텐츠 전략의 수립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온라인 기부문화의 정착과 확산을 위한 커뮤니티 기반의 기부 콘텐츠 개발을 목표로 한다. 대표적인 한국형 인맥 기반 커뮤니티인 싸이월드를 중심으로 미니홈피가 갖는 독특한 네트워킹 구조를 활용하여 일촌들에 의해 스스로 확산되는 기부 콘텐츠를 제안해 보았다. 제안된 싸이월드의 기부 아이템 ‘Wish Bottle’은 아이템의 구매와 함께 기부 활동이 시작되고, 홈피 주인은 물론 일촌들의 적극적인 관여 즉, 기부칭찬, 기부동참 등의 활동으로 마치 육성게임과 같이 지속적인 기부 유도가 가능해 진다. 본 연구는 온라인 네트워크의 사회적 활용에 관한 일련의 연구 중 하나로, 기부 콘텐츠 개발이 필요한 사회단체의 디자인 제안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The economic growth and higher education make people concerned about social activities. An act of donation as a social activity is made rapid progress from off-line donation campaign and the mass media such as TV, radio, newspaper to on-line environment. Usually the existing on-line donation programs are devoted to persuade people to donate through web banners and event windows and form the group of people with donation community. However we need more various researches to induce potential donators to active participation and work out of strategy which is coincide with Korean propensity to donation. This paper is for developing a community based donation content to establish and spread on-line donation culture in Korea. There is a proposal of donation content which is spread itself by ‘Ilchone,’ the closest members, using the unique network structure of ‘Minihompi’ on Cyworld that is typical Korean personal networking community. ‘Wish Bottle’, the donation item of Cyworld, starts to work for donation activity as people purchase the item. Not only the activities of Minihompi owner but also participation of Ilchones such as applause, joining donation can make this donation item grow continuously like an upbringing game. This study is a part of a series of researches about social availability of on-line networking. And It will be proposed as a content design for a social work organization which needs to develop a donation content.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 분야 크라우드 펀딩의 쟁점과 활성화 방향

        김휘정 한국예술경영학회 2012 예술경영연구 Vol.0 No.23

        본 연구는 개인기부 문화의 진작이라는 문화정책의 기조에 맞추어 최근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온라인 소액 기부 프로그램인 크라우드 펀딩과 문화예술 분야에서의 적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크라우드 펀딩은 현재 다양한 의미로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대안적 재원조성 도구로서의 운영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선행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검토를 바탕으로 크라우드 펀딩의 광의와 협의의 정의를 내리고, 창업 투자로부터 프로젝트 후원, P2P 금융, 저금리 대출, 단순 기부에 이르는 크라우드 펀딩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운영 방식의 측면에서, 국내 공공 기관과 민간 기업의 소셜 펀딩 플랫폼, 그리고 투자 수익 분배를 목적으로 하는 소셜 금융투자 플랫폼의 문화예술 부문에 대한 후원/투자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 분야의 크라우드 펀딩 활성화를 위한 방향으로 크라우드 펀딩법의 도입, 후원/투자자를 위한 보호장치 마련, 문화예술 크라우드 펀딩의 건전한 생태계 구축, 사회적 캠페인 마련, 홍보 지원 방안으로서의 재능 기부와 컨설팅 제공, 후불결제 시스템 개발에 대한 규제 완화 등과 같은 입법·정책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exploratory study is concerned with the crowd funding program and its applicability to the culture and arts sector. Currently, crowd funding is used for diverse meanings in practi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its operating mechanism as an alternative fundraising tool for the culture and arts sector.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study defines the crowd funding in a broad as well as a narrow sense. Then, the categories of the crowd funding were driven from creative support, project support, peer to peer financing, microcrediting, to donation. Secondly, the study attempt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unding cases among social funding platforms by ARKO, private business firms, and the P2P social financing platform. Finally, the study suggests legislative and policy alternatives to boost the crowd funding for the culture and arts sector as follows: the legislation of the Crowd Funding Act, developing the protective system for investors/supporters, building the sound ecological system of the crowd funding in the culture and arts sector, social campaign, providing volunteering and consulting as supplements of promoting the funding projects, and the deregulation of the current payment options.

      • KCI등재
      • KCI등재

        인터넷 집단주의의 이해

        박창호(Chang Ho Park) 한국사회이론학회 2016 사회이론 Vol.- No.49

        이 글은 인터넷의 집단성을 연구하는 것으로 집단지성, 소셜기부행위, 그리고 집단극화에 초점을 둔다. 우선 집단지성은 인터넷의 이용자들이 협동적 참여와 의사소통을 통해 만들어내는 일종의 새로운 지적 활동이다. 인터넷 미디어는 산발적으로 흩어진 정보를 하나의 유용한 지식으로 만들기 위한 플랫폼으로 최적이다. 인터넷 이용자들은 정보를 모우고, 공유하고, 수정하면서 반복적으로 그들의 지식을 정보로서 업데이트한다. 그러나 이들의 지식이 사실 전문가의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어서 불균형, 불평등한 지식으로 왜곡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호혜성을 바탕으로 하긴 하지만, 개인의 주관적 지식은 객관적 진리와는 거리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사회친화적 소셜기부의 경우, 인터넷 집단행동 가운데 친사회적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협동적 활동이다. 특정 행동이나 이벤트를 통해 인터넷 머니를 기부하거나 사회적 펀드를 조성해서 특정 목적에 맞게 특수 환경에 속한 이웃을 돕는 게 목적이다. 이는 감정적 자기만족의 연속적 행동으로 일종의 문화적 퍼포먼스를 동원한 이벤트적 성격을 보인다. 상호 호혜성을 바탕으로 한 사전 약속된 교환과는 다른 일상화된 이벤트의 모습이다. 미리 준비한 국가적 사건, 의례, 또는 기념과는 다른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집단극화의 경우, 일시적이고 단순한 집단행동이 극단의 이념적 편향을 보이며, 자신들의 의견을 다양한 수단으로 발전시켜 드러낸다. 때로는 소수의 의견이 지배적 의견으로 자리 잡아 전체를 통제하고, 과격한 표현으로 집단의 극단성을 보인다. 따라서 인터넷에서의 집단주의가 드러내는 다양한 집단성의 형태를 이 글을 통해 탐색하고, 이러한 집단성이 인터넷이라는 미디어의 일상화된 이벤트로 하나의 문화 퍼포먼스일 수 있을지 보고자한다. 집단성을 통해 개인의 자유로운 감정의 구현과 욕망의 실현을 이루는 것이라면, 인터넷 집단주의는 미디어 이벤트처럼 사회적 힘을 다양하게 분출하여 해방을 꿈꾸는 개인적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원리일 수 있다.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haracters and activities of groups in Internet that have impact on the collective intelligences, friendly social donations and group polarization. First of all, the collective intelligences are the product that results from cooperative participations and communications among computer users. The Internet as a media could make scattered informations useful knowledges called as collective intelligence which is a new kind of intellectual activity. Computer users collect, share and modify user-generated content, which is stored and can be iteratively updated through internet. However, we have doubt that the collective intelligence becomes reliable and trustworthy knowledge, because it was made by computer users not by professionals. So, the problems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internet could happen whether they are true discourses or not. Secondly, the social donations of internet is a cooperation to help the others through Internet money or to raise social fund collect. It could be a kind of media event, which refers to not-promised exchanges on the basis of social reciprocity. In a word, those are cultural performances for self-satisfaction to appeal to the others on the ground of positive emotion and economic benefits. Finally, group polarization in Internet develops the extreme conservative ideology due to the closeness of computer sites. A few opinion controls and manipulates the total contents of sites, so counter-opinion could not appear and normal discourses could be distorted in it. Consequently, the group’s activities and products in Internet like collective intelligence, social donation and ideological polarization could turn out to be routinized media events unlike national events, rituals and ceremonies, because the users make an attempt to get the feelings of emancipation and accomplishments of wishes though the group’s activities in Internet.

      • KCI등재

        온라인 모금 캠페인 특성이 온라인 구전과 모금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중원(Lee, JungWon),박 철(Park, Cheol) 한국소비문화학회 2019 소비문화연구 Vol.22 No.2

        온라인 구전은 일반기업 뿐만 아니라 비영리기관의 마케팅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는 온라인 모금캠페인 맥락에서 온라인 구전의 효과와 구전 선행요인에 대해 충분히 연구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모금 캠페인의 특성과 콘텐츠 특성 요인이 구전과 모금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데이터는 국내의 대표적인 온라인 모금 캠페인 사이트인 ‘같이가치’에 등록된 캠페인 347개를 수집하여 경로분석 방법 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금캠페인 특성과 콘텐츠 특성은 대체로 구전과 모금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일부 변수들은 성과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전은 모금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Electronic Word-of-mouth(eWO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arketing of non-profit organizations as well as profit companies.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not been fully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effect of eWOM and its antecedents in the context of online fundraising campaign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fundraising campaign on eWOM and fundraising performance. Data collected 347 campaigns registered in ‘Together Kakao’,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online campaign sites in Korea, and analyzed by path analysis method. As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ndraising campaig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were mainly positively influencing both the eWOM and the fundraising performance. However, some variables were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performance variables. In addition, eWOM perform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fundraising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