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 웹소설에 관한 일고찰 - 웹소설 플랫폼을 중심으로 -

        남유민 한국일본학회 2019 日本學報 Vol.0 No.118

        A popular genre of novel in South Korea and Japan is web novels. The term “Web novels” refers to novels that are produced, consumed, and distributed on the Internet. In the past, novels were created online on the Internet without a platform for web novels, which are characteristics the two countries have in common. Web novels have research value in the sense that they are attracting much attention from these countries with a huge growth potential. In addition, popular novels were moved from offline to online, which could change existing popular novels. Considering these, we should complexly explore research methods on existing literature and the relevant environment. Based on this thought, we examined the environment of web novels in Korea and Japan, especially focusing on platforms. In short, web novels are a most appropriately transformed genre, embracing different genre novels in ways readers of each platform want. Furthermore, the platforms are the result of the evolution of genre novels and online novels in the countries. A more active review and discussion about web novels requires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platforms. 2010년대 들어서 한국과 일본 이야기 시장에서 주목을 받은 소설군이라고 한다면 웹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웹소설이란 웹 공간 안에서 생산・소비・유통되는 소설을 총칭한다. 이전에도 인터넷에서 창작・소비되는 소설이 존재했지만, 웹소설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플랫폼의 등장과 부흥이 웹소설의 기점이 된 것은 양국의 공통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웹소설은 한일 양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이야기 콘텐츠이면서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연구가치가 있다. 단순히 기존의 대중소설이 웹으로 공간을 옮긴 것이 아니라 웹이라는 매체를 통해 기존의 대중소설이 변형된다는 점에서 웹소설은 기존의 문학작품 연구 방법이 아니라 그를 둘러싼 환경까지 복합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부터 양국의 웹소설을 둘러싼 환경, 특히 웹소설 플랫폼을 중심으로 고찰해보았다. 요컨대 웹소설은 기존의 다양한 장르소설을 수용하면서도 각각 웹소설 플랫폼의 독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가장 적절하게 변형된 소설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플랫폼은 양국의 장르소설과 인터넷을 둘러싼 역사 속에서 구축된 결과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에 특화된 ‘에브리스타’에서는 휴대폰에 최적화된 오락소설이 유행하고, 독자와 작가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한 ‘소설가가 되자’에서는 작가와 독자의 소통을 바탕으로 새로운 유행과 템플릿을 만들어낸다. 또, 문피아처럼 인터넷 소설 시대의 문화의 여파가 유료 연재시 최소 글자수를 제시하는 등 각 플랫폼의 특성에 맞춰 웹소설의 서사나 형태가 바뀔 수 있다. 또 네이버 웹소설처럼 편집자가 작품의 인상을 좌우하는 표지와 삽화를 결정하여 작품에 영향을 미치는 등, 플랫폼 특징에 따라 웹소설이 상품화의 결과도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웹소설을 연구할 때 웹소설 플랫폼에 대한 연구가 포함되어야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애정소설에 나타난 사랑과 성

        김지영(Kim Jee yo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0

        이 논문은 조선시대 애정소설의 문학적 관습을 분석함으로써 당시의 애정관과 애정소설의 문화적 기능에 대해 추론하고 있다. '사랑'이라는 것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발견되는 방식과 절차가 다르고 그 안에 담긴 연인들의 이상과 좌절 역시 독특한 특징을 가질 만큼 문화적이고 역사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조선시대의 애정소설은 애정전기류에서 파생되어 전기적이면서 환상적인 요소를 보여주고 있지만, 점차 현실의 문제를 반영하며 남녀들의 사랑이 성장하기 어려웠던 조건을 보여주기에 이른다. 이 논문에서는 사랑에 대한 당대의 감각적, 문화적 맥락을 복원하고 비유적 표현과 애정시라는 담화 양식의 활용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조선시대 애정소설에서 발견되는 고급한 문학으로서의 관습적 빗장을 풀고 조선시대 애정 이야기의 특징을 좀더 쉽게 풀어내보고자 했다. 조선시대 애정소설에서 남녀의 첫 만남부터 성애가 이루어지기까지 걸리는 시간, 만남의 장소, 연애과정과 시련, 이루어지지 않은 사랑의 비극적인 결과 등, 사랑의 세부 장면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리는 거기에서 일정한 사랑의 시나리오를 읽을 수 있다. 거리에서 만난 한 여인에게 반하여 한 달간 여인의 방밖에서 밤을 지새우는 서생, 양가집 담을 넘어 들어가 깊은 규방에 감춰져 있는 처녀를 멋들어진 시 한 수로 유혹하는 남성, 귀신이 되어서도 배필을 만나 운우지락을 이룰 것을 부처님께 탄원하는 여귀, 이웃집 선비에게 연정을 품다가 못 참고 한밤중에 그의 처소에 뛰어든 처녀 등의 생동하는 인물들, 이들이 주고받는 시속에 나오는 인물들과 관련된 고사가 압축하고 있는 장면들, 남녀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자주 사용된 사물이나 배경들, 애인들이 마음속에 품고 있는 이상적인 커플과 그들의 사랑이 규정되는 방식과 인용 상황들, 애정소설에서 사라진 혹은 억압되어 감추어진 관습과 그 의미 등이 이 논문에서 분석하고자 한 구체적인 대상이다. 여기서 우리는 사랑에 얽힌 당대의 여러 관습들을 추론해 볼 수 있다. 여기에는 실제적인 관습도 있겠지만 문학적인 관습이라 해야 할 것들이 더 많다. 조선시대 애정소설은 남녀의 사랑이나 성역할을 다르게 규정함으로써 일정한 패턴의 사랑 이야기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특수한 사랑이야기에는 사랑에 대한 당대의 관습이 반영되어 있기 마련이다. 첫눈에 사랑에 빠진 남녀가 현실의 제약 조건들을 극복해가는 과정은 남녀 모두에게 결코 쉽지 않은 과정이었다. 애정소설에 동원된 여러 가지 고사와 비유적 표현들은 그러한 그들의 고민과 원망을 담은 채 낭만적 사랑의 관습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그 위에서도 현실과 문학의 상관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남녀의 사랑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후사 잇기'라는 서사적 패턴을 과감히 생략하고 성애에 대해 이야기할 자리를 마련할 수 있었지만 사랑의 육체적 측면보다는 정신적 측면을 먼저 강조함으로써 사랑을 고상한 것으로 표현했다. 그 이유는 당대의 독서 관습에서 찾아볼 수 있다. 교훈적인 독법을 강조하는 조선시대 유교적 관습은 애정소설의 독법 역시 일정 정도 제한하고 있었다. 흔히 애정소설은 '음란'한 것으로 치부되면서도 교훈적인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고 생각되었는데, 이러한 이중적인 독서 태도는 애정소설을 교훈적으로 읽는 독특한 방식을 마련하게 된다. 애정 소설에 흔히 표현된 '기이'라든가 '허망함', '망연자실' 등의 감상은 애정소설에 표현된 사랑이 현실에서는 이루기 어려운 것임을 깨달을 수밖에 없었던 당대의 독서 관습이 작품 속에 그대로 반영됨을 보여주고 있다. 말하자면 조선시대 애정소설은 사랑의 실패로 인한 허망함과 인생의 씁쓸함을 느끼게 해주는 특수한 '감정교육'의 역할을 했다고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일종의 상징적 차원에서 제안한 것이지만 애정소설이 씌어지고 읽혀졌던 나름의 특수한 문학적 맥락을 추정해 보는 노력의 일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cultural function and literary convention of romance in Chosŭn. There were many pieces of romance which were written by men literati; they were of noble extraction and highly educated, but most of them couldn't have a chance to go into politics. Those romances were in general considered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their writers' class and desire. The theme of love that is pointed up in romances is, however, not able to be appropriated only by men or women, and I think that the given interpretations are resulted from somewhat a male-oriented perspective. Romances of Chosŭn offer diverse sources for past ways of loving and enable us to see lovers in years past and to shape the ways of love in their time. The way of representation for love and sexuality in a romance is fraught with several kinds of interferences of main discourse at those days. In this sense, love and sexuality of romances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appropriate historical contexts and signified to retrieve the relationship and sexual politics between men and women. Although when those romances were at first written by men literati, they might be high quality literature. In fact, however, they were actually marginal texts in the Confucius tradition and incorporated with other novels in many narrative aspects. Those romances had been influenced and generated by Liu-chao(六朝)'s Zhi-guai(志怪) and Tang(唐)'s Chuan-qi(傳奇), which were characterized by weird and uncanny things, but they were getting close to reality, and in turn rendered the social world and historical context of the relationship. Love and sexuality represented in romances, however, isn't equivalent to the reality and we should be careful to the literary convention of romance developed in correlation with reality. In most of romances, we can see the discrimination, of the character of women's love from men's love. Love of women is a romantic love; when the spring comes and the autumn ripens, heroine of romance laments her own lot and indulges in reverie. Her love comes from the incorporation of reality and fantasy. Love of men, on the contrary, is a passionate love; hero of romance is fascinated by attraction and beauty of women, and steals into her abode to make a sexual relationship with her. However, love of men is more obscure than women's because romance is rendered not by the view of women but by the perspective of men. Love in romance, as a rule, can be said a romantic love in the sense that it makes compromise with the society in the problem of system of wedding. The resources of passionate love are concealed by metaphors accompanying clichés consisted of historical and canonical events. While this means that romances of Chosŭn have structural weaknesses and fragilities, instead, we can find through them some of the desire, the anxiety and ideal couples which people of Chosŭn had cherished. Following this axis, love stories have their own typical love scenario from beginning to end of love. When we speculate on the modes of love in romances, we can find which is received and which is rejected in romances. It is wedding and chastity of women that they receive, but it is the obligation of descending that they reject. In a patriarchal and Confucian society, love and sexuality are separate from each other, wedding and sexuality are directly combined. In this cultural background, it is difficult to find any erotic view in the relation of men and women. Romances of Chosŭn, therefore, obliterate the cliché of 'descending' that is the introductory part in other different kinds of novels and, are able to make enough room to narrate love and sexuality. However, it is not easy to grasp the way of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ve and sexuality in Chosŭn romances. Romances represent love and sexuality as lofty one by poem of love and in tradition of instructive reading since negative evaluat

      • KCI등재후보

        談才子佳人小說對『玉麟夢』等朝鮮漢文小說的影響

        조동매 한국중국소설학회 2002 中國小說論叢 Vol.16 No.-

        이 글은 주로 중국 재자가인 소설이 한국의 한문소설인『玉麟夢』,『六美堂記』,『九雲記』,『紅白花傳』등의 작품에 미친 영향을 탐구하였다. 필자가 판단하기에 위에서 든 한국 한문소설의 작품 구조 모델, 줄거리내용, 인물형상의 배치 및 묘사수법 등 여러 측면에서 중국의 재자가인 소설의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특히『九雲記』는 직접적으로 여러 권의 중국 재자가인 소설의 내용을 베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에서 필자는 한중 양국의 고전문학의 밀접한 관계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한중 양국의 전통문화 심리상의 여러 가지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글에서는 중국의 재자가인 소설이 한국 한문소설에 미친 영향을 논의하는 동시에 위에서 예로 든 한국 한문소설 작품의 고유한 특징을 함께 논의하였다.

      • KCI등재

        韓日學者硏究中國小說的一些優勢

        오순방 한국중국소설학회 2001 中國小說論叢 Vol.14 No.-

        중한 양국의 소설교류는 이미 高麗末부터 시작되어 수많은 중국소설작품이 한반도에 전래되었으며 조선시대의 문인들은 중국소설을 애독하는 동시에 筆記體 · 傳奇體의 文言小說을 편집하고 창작되었는데, 金時習의 《金鰲新話》 · 朴趾源의 《虎叱》 등의 작품이 창작되었고, 《刪補文苑사橘》 · 《啖蔗》 · 《訓世評話》 등의 작품집이 편집 · 간행되었다. 한편, 한글로 쓰여진 김만중의 《九雲夢》과 《謝氏南征記》는 한문으로 번역되어 중국에 전래되어 중국독자들에게 읽혀졌는데, 중국학자 중에서는 도리어 이들 소설의 漢文本을 두고 중국소설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을 정도이다. 중한 양국의 상호 소설교류를 통해 현재 한국에는 중국에서 이미 오래 전에 失傳된 《型世言》 · 《刪補文苑사橘》 · 《啖蔗》 등의 작품이 소장되어 있으며, 중국에서 실전되었고 소설서목에 著錄만 되어 있는 《聘聘傳》과 《太原志》의 한글 번역본이 현존하고 있어 原書의 전모를 살펴볼 수 있다. 일본의 중국소설연구는 이미 근현대소설 분야에 있어서는 중국보다도 앞서 있어 일찍부터 전문가들의 주목을 받아왔고 게다가 일본 본토에서 전쟁을 겪지 않고서 임진왜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에서 가져간 전적이 많기 때문에 일본에서 발견된 한국과 관련된 중국소설자료들도 적지 않은 편이다. 예를 들면 《訓世評話》나 《刪補文苑사橘》은 조선시대에 한국에서 간행된 中國小說選集인데, 《刪補文苑사橘》은 지금 한국과 일본에 현존해 있으며, 《訓世評話》 한국에서 유실되었으나 최근 일본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신각치파자전과 같은 중국문언소설이 일본에서 판각되어 다시 한국에 소장되는 경우처럼 일본에서 한국으로 유입된 경우도 있으며, 《九雲夢》 · 《謝氏南征記》 · 《紅白花傳》과 같은 작품은 현재 일본에 소장되어 일본인에게 읽혀졌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작품들은 모두 中韓日 삼국의 소설교류와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데, 특히 《訓世評話》나 《刪補文苑사橘》은 중국소설선집이지만 중국에는 現存하지 않으며 중국소설이 다른 지역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발전되었는지를 연구하는데 빼놓을 수 없는 자료들로써, 한일 양국은 소설연구의 자료면에서 중국보다 훨씬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게다가 한일양국의 학자들은 연구관점에 있어서 중국학자들과는 다른 외국인의 시각과 조건을 가지고 비교적 객관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동시에 2개 국어 이상을 구사하는 언어측면의 장점을 이용하여 중국과 자국을 포함한 보다 많은 지역의 자료를 이용하고 폭넓은 연구시야를 가질 수 있겠다. 하지만 여태까지 중국 이외의 지역에 있는 학자들은 서로 활발한 교류를 하지 못하였으며 주로 중국과의 교류에 치중하여 왔는데, 이번 2001년 한일학자들이 공동으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여 학술교류를 정례화하고 해당지역의 소설자료를 조사 · 교환하기 시작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 하겠다. 《訓世評話》의 경우처럼 일본에 소장된 자료를 프랑스와 노르웨이에 있는 陳慶浩교수나 艾皓得교수를 통해 입수한 것과 같이, 여태까지 한국학자들은 일본에 있는 관련자료들을 직접 입수하지 못하고 제삼국에 거주하는 전문가를 통해 수집하곤 하였는데, 이번 학술교류를 계기로 한일학자들은 인접한 지역적 환경을 십분 활용하여 상호 직접적인 교류와 공동조사와 집체연구를 진행한다면 중국소설연구는 금후 21세기에 한일학자들의 손에 의해 또 다른 연구성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문순태의 노년소설에 나타난 '노인상'과 소통의 방식

        전흥남(Jeon Heungnam) 국어문학회 2012 국어문학 Vol.52 No.-

        이 글은 문순태의 소설집 『울타리』에 수록된 노년소설들의 분석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문순태의 소설은 노년소설로서의 성격과 조건을 두루 구비하고 있을 뿐 아니라 노년의 삶에 얽힌 여러 측면을 다양하고 심도 있게 접근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된다. 노년소설의 가능성을 가늠하고 그 지향점을 추출하는 데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노년소설의 범주 및 그 대상과 관련해서는 연구자들마다 조금씩 관점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노년소설은 노인들이 주요 인물로 등장하고 작품의 소재 역시 노년의 삶에 초점을 두고, 화자도 노인들이 설정된 경우가 많다는 점에 대해서는 대체로 이견이 없다. 이 글에서는 문순태의 노년소설의 분석을 통해 소설에 나타난 노인상과 소통의 방식을 추출하는데 주안점을 두어 접근해 보았다. 노년기에 접어든 작가들이 노년의 삶을 소재로 작품화 한 경우 작품의 문학성은 물론이거니와 작품의 수준이 비교적 높은 점도 주목할 만한 문학현상으로 보았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노인의 경우 유년시절에 한국전쟁을 겪거나 더 거슬러 올라가면 일제 강점기를 겪으면서 정신적으로 많은 시련을 겪은 세대다. 따라서 노년기에 접어든 작가들이 자신의 경험과 삶을 올올이 창작품으로 형상화 했을 경우 그것이 갖는 문학적 의미와 자산을 소홀히 할 수 없는 측면을 지닌다. 동시에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로의 진전 속도가 가파르게 진전되면서 노인문제가 주요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추세다. 이 글에서 문순태의 노년소설에 주목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다. 문순태의 소설은 노년소설로서의 성격을 두루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무엇보다도 작품 속의 노인들은 대체로 건강성과 검질긴 생명력을 갖고 있다. 격동의 현대사를 거쳐 오는 동안 여러 형태의 트라우마(trauma)를 안고 있건만 서로의 상처를 들춰내 덧내는 것이 아니라용서와 화해의 인간성을 복원하려는 건강성을 지닌다. 그렇다고 문순태의 작품 속에 나타난 노인상은 노년의 삶을 과장하거나 미화한 것과는 거리가 멀다. 노년의 삶을 소재로 하면서 때로는 진솔하게 노년의 삶이 안고 있는 여러 형태의 소외와 밀려남, 무력감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다양한 노년상을 설정한다는 점에서 시사적이다. 노년의 삶이 안고 있는 다양성과 다층성을 제대로 아우르고 있는 셈이다. 이것은 노년소설의 한 유형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거니와 노년소설의 가능성을 가늠해 보는 데에도 유익한 점을 지닌다. 과거 노년소설의 모습과는 일정한 차별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순태의 소설은 근래 들어 노년의 삶을 소재로 한 작품들을 비교적 활발하게 창작해 왔을 뿐 아니라 노년소설의 지향점을 제대로 짚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성을 지닌다. This study focused on Mun Sun-tae's novels to find out the value and the prospect of the old age novel. While it might be open to dispute where to draw the line of old age novel, it can be narrowed down to novels wherein an old man is the leading character and which deal with the lives of the old. A writer himself gets old as a natural person. Some aging writers who have reached their senescence, have released noticeable novels about the everyday lives of the old. In this case, the novels wherein the writers themselves aging as natural persons wrote about the lives of the old, proved to be high-quality. As an old age is the time for arranging one's life, the old age novel broaches death and arouses the fundamental nature of our lives. In this sense, it is worth researching on literary implications and meanings of literary history of the old age novel. Novels of Mun Sun-tae are especially noteworthy. Although ther is a limitation that this study is focused only on novels of Mun Sun-tae, it is because his novels clearly connect with the possibility and the aim of old age novels. It seems that further study on works of the old age novel such as works of Lee Chung-jun, Kim Won-il, Oh Jeong-hui, Park Wan-seo, would give some implications about the problem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old age novel.

      • KCI등재

        "고소설(古小說)" 용어(用語)에 대한 고찰(考察)

        김광순 ( Kwang Soon Kim ) 택민국학연구원 2010 국학연구론총 Vol.0 No.6

        본론에서 논의한 것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古代小說’이라는 용어는 시대적으로 보아 대부분의 작품들이 고대에 쓴 소설이 아니기에 잘못된 용어이다. 이 용어는 상행위를 목적으로 딱지본 고소설을 편집할 때 전공학자들의 검토 없이 수백 종의 딱지본 소설 표지에 ‘古代小說’이라 명명하여 편집 간행한 데서 오류를 범한 것이니 이는 마땅히 지양되어야 함을 밝혔다. 둘째, ‘조선조소설’, ‘조선시대소설’, ‘조선소설’, ‘이조소설’, ‘이조시대소설’, ‘조선왕조소설’이라는 명칭의 문제이다. 대부분의 고소설이 조선시대에 창작되기는 했지만, 고소설의 효시를 9~10세기 羅末麗初의 傳奇小說로 보고 있으니 이를 아우르는 명칭으로서는 부당하다. 또한 ‘조선조소설’, ‘조선시대소설’, ‘조선소설’, ‘이조소설’, ‘이조시대소설’, ‘조선왕조소설’이라는 명칭은 조선 시대에 신소설의 중요 작품들도 함께 창작되었기 때문에 정확한 용어가 될 수 없음을 밝혔다. 셋째, ‘傳奇小說’은 조선 영·정조 이전에 출현한 소설에 대해서는 적당한 용어로 볼 수 있지만, 그 이후에 나온 대부분의 소설은 ‘傳奇小說’이라 할 수 없으므로 적당한 용어가 될 수 없다고 하였다. 넷째, ‘고전소설’은 우리문학을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으로 양분할 때에 고전문학에 속하는 소설이라고 하여 나온 용어이다. 그러나 소설은 발달과정으로 보아 고소설, 신소설, 현대소설의 3단계로 발달했기 때문에 고전과 현대의 2분법으로 양분해서는 안 된다. 또한 ‘고전’이라는 용어는 가치 있는 것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중립적으로 쓰이기 어려움을 밝혔다. 다섯째, ‘구소설’은 ‘고소설’과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옛 소설은 대체로 ‘古談’이라 불려 왔지 ‘舊談’이라 불린 적은 없다. 근거 없이신조어를 만들면 혼란만 야기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배제되어야 한다. 여섯째, ‘전대소설’은 처음부터 신소설 이전 시대의 소설을 일컬어 만들어진 말로, 처음부터 독립된 용어로 쓰인 것이 아니기에 여기서는 논외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신소설 이전의 소설은 ‘古小說’로 통일돼야 한다. ‘古小說’에는 ‘고대’라는 시대적인 뉘앙스가 없고 ‘고전’이라는 가치판단의 의미도 없다. 그뿐 아니라 옛날의 이야기를 대체로 ‘古談’이라 하였는데 ‘古談’에서 ‘談’이 곧 ‘소설’, ‘이야기’이니, ‘談’자 대신‘小說’을 대입시켜 ‘古小說’로 명명하는 것이 학술용어로는 가장 적합하다. 그러므로 하루빨리 ‘古小說’이라는 용어로 통일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Below is the summary of what I have examined in this paper. First, a term of "kodae sosol" is inappropriate in terms of its connotation of certain "the ancient" period. As noted, almost no works of fiction belong to the ancient time. Second, the terms such as "Chosonjo sosol," "Choson sidae sosol," "Choson sosol," "Yijo sosol," "Yijo sidae sosol," "Choson wangjo sosol," have been used to describe works of fiction written in the Choson period. As far as sin sosol (New fiction) was also written during the same period, these terms are not accurate to use for academic term. Third, the term of "Chongi sosol" indicates the fiction emerging during the reigns of king Chongjo and Yongjo, but it is not applicable to the works which have been written afterwards. Fourth, a term of "kojon sosol" literally means classical fiction that were available before the modern period. There has been a scholarly tendency to divide Korean literature into classical (pre-modern) period and modern period. In terms of Korean fiction, this genre has been shaped out through three developmental stages of Ko sosol (traditional fiction), Sin sosol (new fiction), Hyondae sosol (modern fiction). In this sense, "kojon sosol"(classical fiction), implying two developmental periods of Korean literature, can be an inappropriate reference for fictional genre. Fifth, "Ku sosol" has the same meaning with "Ko sosol." Yet, old stories were conventionally referred to as "Kodam" rather than "Kudam." The use of "Kudam" can be potentially confusing and imprecise. Sixth, the term of "Chondae sosol" means the works of fiction before the arrival of Sin sosol. This term gives the impression of premodern fiction as is more associated with sin sosol than being viewed as independent fictional genre. Conclusively, I argue that "Ko sosol" is the appropriate term to refer to works of fiction written before the birth of new fiction. As noted, the fiction is not a genre of the ancient time. Also, literary tradition has been using the term of "kodam." so to use "Ko sosol" is not only an appropriate but also familiar term which combines the words of ko (old) and sosol (fiction). Given these reasons, the unitary use of "Ko sosol" is strongly encouraged for the academic paper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역사소설의 세 양상

        박종홍(Park Jong-hong) 우리말글학회 2012 우리말 글 Vol.56 No.-

        본고에서는 발생 동인에 의거하여 일제강점기 한국 역사소설의 세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각 양상 내에서 개별 작가 간의 차이점도 아울러 살펴보았다. 이런 작업은 당시 역사소설의 전체적인 면모를 충실히 파악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균형 잡힌 시야로 개별 작품의 의미를 충실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도 기여할 것이다. 먼저 연의적 동인의 역사소설이라 할 수 있는 이광수와 박종화의 작품은 공통적으로 왕실과 조정의 역사적 유명인물을 주인공으로 삼아 관찬사료에 의거해 주류적인 사건을 전개하면서 민족의식을 고취하고자 하였다. 그러면서도 이광수의 역사소설이 역사의 윤리화를 통해 허무의식에 빠져들고 있다면, 박종화의 역사소설은 역사의 심리화를 통해 역사의 진실성을 훼손시키고 있었다. 그리고 상업적 동인의 역사소설이라 할 수 있는 김동인과 윤백남의 작품은 왕실과 조정의 역사적 유명인물뿐만 아니라 허구적 무명인물이 주도적 역할을 함으로써 관찬의 역사를 비판적으로 재해석하거나 야담에 의거하여 허구적 사건을 전개하여 독자의 관심을 끌고자 하였다. 이것들은 민족주의 이념에 무관심하다는 점에서 연의적 동인의 역사소설과 뚜렷이 변별된다. 그렇지만 김동인의 역사소설이 역사를 개성화하여 상업화의 한계를 어느 정도 벗어나고 있다면, 윤백남의 역사소설은 역사를 대중화하여 봉건 체제의 부당성을 소박하게 고발하는데 머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민중자각적 동인의 역사소설이라 할 수 있는 현진건과 홍명희의 작품은 민중이나 민중적인 영웅을 주인공으로 삼아 관찬 사료의 구속에서 벗어난 허구적 사건이나 시정의 생활상을 주로 보여주면서 모순된 현실을 적극적으로 극복하려 하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현진건의 역사소설이 낭만적 초월 속에서 역사를 현재화하고 있다면, 홍명희의 역사소설은 현재의 전사로서 역사를 풍속화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발생 동인에 의거한 일제강점기 한국 역사소설의 세 양상속에서 개별 작가에 따라 다르게 역사가 소설화되는 여섯 가지 경우를 확인할 수 있었다. On this paper, Korean historical novel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apperances. They were carefully looked into through the novels of Lee Kwang-Soo, Park Jong-Hwa, Kim Dong-In, Yoon Baek-Nam, Hyun Jin-Gun, and Hong Myeong-Hee. At the same time, the differences of each authors were also compared. First of all, Lee Kwang-Soo and Park Jong-Hwa, under the category of popular history, both chose a historical figure as the protagonist and unfolded events according to historical facts, and through this tried to arouse national consciousness. However, although Lee Kwang-Soo shows a nihilistic attitude by historical moralization, Park Jong-Hwa was damaging the truthfulness of history by psychologically analyzing it. As of Kim Dong-In and Yoon Baek-Nam, under commercial novels, their works are led by not only historical figures but also low-class unknowns, and history is critically reinterpreted or sometimes fabricated events are unfolded, thus did not pay interest to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time. Whereas Kim Dong-In personalizes history and exceeds the limitations of commercialization, Yoon Baek-Nam"s works stayed at the democratizational level. Finally, enlightening historical novels such as the works of Hyun Jin-Gun and Hong Myeong-Hee has the people as protagonists, unfolds events and lives that are made up, and actively tried to overcome the contradictory reality. As Hyun Jin-Gun"s works tried to make present of the history through romantic transcendency, Hong Myung-Hee tried to concretely depict the customs.

      • KCI등재

        한국과 스페인 추리소설의 서사화의 가능성: 『최후의 증인』 vs 『남쪽바다』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김선이 ( Kim Seonyi ) 한국비교문학회 2017 比較文學 Vol.0 No.72

        한국과 스페인은 지리적으로는 먼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문화·역사적으로 살펴보면 공통점이 많은 나라이다. 특히 현대사는 놀라울 정도로 비슷한데, 물론 그 구체적인 시기의 차이는 있다고 할지라도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두 나라는 동족상잔의 비극인 내전을 겪었고, 내전이 끝나고 1인 독재시대를 경험하였으며, 독재시대가 끝나면서 민주화 과정으로 인한 사회적 진통을 겪게 된다. 이 두 나라의 70년대는 `성장 통`을 겪는 시기였으며, 특히 이 시기에 두 나라에서 `추리소설`이 성행하게 되는데, 이 시기의 추리소설들은 그 구조적 특성을 잘 이용하며 이러한 두 나라의 변화하고 있는 사회를 잘 반영해주고 있다. 흔히 추리소설은 명쾌한 탐정의 논리로 살인사건이 해결되며 독자의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카타르시스를 제공해주면서 그 대중성을 확보해 왔지만, 이러한 추리소설은 `탐정-살인사건-문제해결`이라는 장르적 특징으로 인해 곧 한계에 부딪치게 되었고, 똑같은 패턴이 반복되면서 서사적인 발전이 불가능한 흥미위주의 하위문학으로 치부되어 왔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두 나라의 70년대에 폭발적으로 등장한 추리소설은 사회소설의 경향을 보여주며 추리소설의 장르적 한계를 뛰어넘어 추리소설의 서사화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추리소설을 한국에서는 `변용추리소설`, 스페인에서는 `흑색소설`이라 칭하며 구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리소설의 장르적 특성을 잘 살려 사회를 반영하고 있는 한국의 `변용추리소설`의 대표작인 김성종의 『최후의 증인』(1979) 과 스페인의 `흑색소설`의 대표작으로 마누엘 바스케스 몬탈반의 『남쪽바다』(1979)를 중심으로 두 나라의 추리소설 형식의 탄생 배경과 사회 반영 양상을 살펴볼 것이며, 이 두 소설이 어떻게 추리소설을 서사화 시키고 있는지에 대해서 연구해 본다. 두 작품 모두 기본적인 추리소설의 장르적 특징에 주인공인 형사 혹은 탐정의 서사화를 통한 인간적인 고민과 번뇌, 그들이 직접 대면하는 사회의 민낯과 정치·사회적 이데올로기의 충돌 양상, 추리소설의 중심이 되는 사건의 해결 그러나 상황 개선의 여지가 없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 회의, 반성 등이 작품의 골자를 이루며 기존의 추리소설과는 차별화 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추리소설과는 다르게 인물의 서사화와 작품의 사회성을 담아내며 모순적 현대사에 대한 사유를 접합시켜 놓았다는 점에서 닮아있는 두 작품에 대한 연구는 추리소설의 또 다른 형태의 본격 소설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 먼 나라인 한국과 스페인이라는 두 나라에서 비슷한 사회적 배경을 가지고 탄생하였다는 점에서 문학적·문화적 비교연구 또한 가능하게 할 것이다. Korea and Spain are countries that are geographically distant but have a lot in common in terms of culture and history. In particular, the contemporary history of the two countries is remarkably similar. Of course, even though the specific period is different, the two countries have experienced civil war, a big tragedy in the 20th century, and a dictatorship period after the civil war, resulting in a common social pain. These two countries in the 1970s were undergoing a period of “growing pain”, and in particular, the detective stories became popular in the two countries during this period, reflecting well the society of that moment utilizing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detective stories have secured their popularity providing a catharsis that comes from solving the murder case that provokes the reader`s curiosity. Usually the case is solved with the logic of a clever detective. This type of stories i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genre like “detective - murder case - solution of case”. It soon became confronted with limitations, and as the same patterns were repeated, it was regarded as an interest-oriented subordinate literature that could not be developed as a narrative. However, unexpectedly, the detective stories which appeared explosively in the 70s in both countries show the tendency of social novel and the possibility of the narrative beyond the limit of the genre. These are called “metamorphic detective novel” in Korea and “black novel” in Spain respectively. Therefore, in this study, I will look at the backgrounds of the birth of the detective stories from both countries and the reflection of the society focusing on Kim Sung-jong`s The Last Witness(1979), representative work of the Korean metamorphic detective novel, and Manuel Vazquez Mortalban`s Southern Seas(1979), representative work of the Spanish black novel. And I`ll also examine how these two novels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the narrative. Both of these works are based o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mystery genre. In addition to that, they show the problems of human anxiety and agony, the confrontation of the political and social ideology and the society they meet face to face, the critical point of view and reflect the reality that there is no room for improvement of the situation. These are the main features that distinguish them from the conventional mystery novels. Unlike the conventional mystery novels, this comparative study of the two novels, containing the narrative of the characters, the sociality and the reason for the contradictory contemporary history,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the narrative as an another type of mystery novel. By extension, cultural and comparative studies will also be possible in that they are born with similar social backgrounds in two countries, Korea and Spain, which are geographically distant countries.

      • KCI등재

        논문 : 김유정의 고백소설 연구

        김종호 ( Jong Ho Kim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인문학연구 Vol.0 No.18

        이 글은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고백소설의 양상을 살펴보고 고백소설의 전개양상을 통해 김유정 소설의 창작배경과 작품의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김유정의 소설이 고백적 양상으로 쓰여진 배경엔 김유정의 성장과정과 관련된지리적인 여건문제, 그리고 도시 생활을 통해 체험한 환경적 요인이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김유정의 도시 생활은 그가 적응하기 힘든 대상으로 인식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도시에서의 학교 생활과, 그 생활 속에서 찾은 여성을 통해서도 만족을 얻지 못했다. 도시에서 그가 겪은 삶은 병마와 얽혀 가난으로 점철되는 가운데 인생의 질곡을 경험한 생활이었다. 김유정의 고백소설은 어린 시절 경험한 실레마을의 추억과 가족관계의 불화, 삶의 영역 대부분을 차지한 도시 생활에서 경험한 가난과 질병의 고통 및 실연의 상실감 등에 대한 대타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가족관계를 통한 고백소설의 양상은 어머니를 일찍 잃은 상실감과 아버지와 형의 대립 속에 상처받은 마음의 토로로 구성된다. 또한 누이와의 도시 생활에서 상처받은 누이의 분풀이 대상으로 김유정이 놓여있는데, 그 핵심엔 가난한 도시 생활이 배경을 이룬다. 실연을 통한 고백소설의 양상은 어렸을 때 여읜 어머니에 대한 모성 상실감을 도시 생활에서 우연히 만난 여인에게 일방적으로 투영되고 이에 대한 끊임없는 동경이 고백의 내용을 구성한다. 김유정의 사랑 고백은 고질적인 병마와 겹치면서그에 대한 이해를 얻지 못하고 죽음으로 생을 마감하게 된다. 질병을 통한 고백소설의 양상은 김유정이 죽기 전 4년 여 동안 형언하기 어려운가난과 질병에 관계된다. 김유정을 괴롭힌 폐질환과 치루는 육체적 생명의 위기를 느끼는 말년으로 갈수록 더욱 악화된다. 질병을 통한 고백 양상은 소설에 비해 수필과 서간을 통해 잘 드러난다. 이는 현실적으로 질병의 고통 자체가 너무 컸고 질병을 극복하지 못한 채 폐결핵으로 사망에 이르렀기 때문으로 보인다. 김유정은 자신의 건강 상태가 회복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다수의 작품을 썼는데, 이는 작가로서의 사명감과 작품을 이루어내기 위한 삶의 욕망이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소설 <생의 반려>는 밀폐된 방에서 폐구된 김유정 자신의 생각이 주요한 모티프로 작용하여 작품 생성의 내적 원리로 작용하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고백소설을 통해 본 김유정 소설의 위상은 김유정 자신의 개인적 체험을 가공의 과정을 거쳐 고백소설화 한 경향과 연결된다. 그런 배경의 중심엔 그의 가족사와 관련한 성장과정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조실부모한 상태에서 도시 생활을 통해 느낀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이 강하게 자리하고 있으며 그와 더불어 실연의 문제와 병마가 위치하고 있다. 죽음과의 싸움을 하는 과정 속에서도 계속하여 작품을 써냈던 김유정의 내면엔 정서적인 온기를 전해오는 고향 실레 마을이 있고 인간미 가득한 그 마을 사람들이 자리하고 있다. 이런 문제와의 관련성을 통해 김유정의 고백소설이 가진 위상은 온전하게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confessional novel`` found in Kim, You-Jeong`s novels and thereby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his novels. His confessional novels were influenced directly by some geographical factors related with his growing-up and his municipal experiences,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been more than what he could overcome, because his life in cities was full of illness and poverty. His confessional novels can be said to reflect his memories in ``shille village,`` his hometown, his conflicts with his family, and his consciousness of the illness and povery experienced in cities.

      • KCI등재

        일제 강점기 고소설의 ‘고전’ 형성 맥락

        이지영 한국고소설학회 2014 古小說 硏究 Vol.38 No.-

        This study starts from the doubt on the value of the korean traditional novel. So I examined how its value had been format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1910s, korean traditional novel changed to the modern culture products as serial stories in newspapers and printed books. Although Choinasun, the editer of Sinmungwan publishing printed korean traditional novels for the didactic purpose, the printed korean classical novels was regarded as vulgar popular fictions. But in the 1920s, the popular traditional fiction was re-evaluated as the national literature and interpreted as people's literature. The viewpoint on the traditional novel was changed, and the academic study of Kimtaejun and Choyunje in late 1920s and 1930s did a important role in re-evaluating traditional novel. The academic studies produced the press's attention on the traditional literature. But the press's special feature aricle on the traditional novel originate in the sense of crisis that the flood of imported Japanese books would overwhelm korean books and culture. Since the literary magazine, Munjan(Writing), serialized Korean traditional novels with annotation, the traditional novels was accepted as the classical literature which is deciphered and studied. The value of traditional novel as the classical national literature had an effect on the textbooks written after independence of Korea. 이 글은 고소설의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해서 일제 강점기 고소설이 고전으로 인정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1910년대 고소설은 신문에 연재되고 활자본으로 간행되면서 근대적인 문화상품으로 유통되었다. 최남선은 고소설의 활자본 간행을 통해서 소설의 교훈적이고 계몽적 가치를 부각시키고자 하였지만, 이 시기 고소설의 활자본 간행은 고소설이 통속물로 자리잡는 계기가 되었다. 1920년대에 고소설은 민족주의와 결부되면서 ‘국민문학’으로 재평가되는 한편, 통속성이 민중성으로 재해석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고소설에 대한 긍정적 시각의 단초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김태준과 조윤제의 고소설 연구는 고소설이 ‘고전’과 ‘전통’으로 재인식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30년대 중반 언론의 고전관련 기획기사에서 고소설이 ‘고전’으로 조명된 데는 이들의 연구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 고소설에 대한 관심은 일본어 서적이 증가하는 당대 문화적 상황에 대한 위기의식의 일단이기도 하다. 이후 『문장』지는 고소설의 주해본과 새로 발굴한 이본을 수록함으로써 ‘고전문헌’으로서 고소설의 의미를 강화하였다. 이러한 고소설의 가치와 의미는 해방 이후 교과서를 통해서 확산되고 고정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