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 소설의 재미 찾기

        신재홍 ( Shin Jae-h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3 고전문학과 교육 Vol.26 No.-

        고전 문학의 연구와 교육에서 재미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오늘날 왜 고전을 읽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 중의 하나가 고전의 흥미성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관심, 이해, 해석 등을 통해 즐거움, 감동, 보람 등을 맛보는 전 과정에 걸쳐 재미의 요인이 들어 있을 것이다. 본고는 고전 소설이 지닌 재미의 영역과 편폭을 생각해 보고 그중 어느 지점에서 재미를 찾아 즐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연구와 교육의 장에서 고전 소설에 대한 관심과 해석, 교육 과정의 내용과 교수 학습 방법 등에 일정한 경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체로 여성, 환상, 생활ㆍ문화 등의 주제로써 작품을 감상, 분석하는 경향이 우세하고 재담이나 해학 문화의 면에서 고전 소설의 재미를 맛보도록 하는 학습활동이 위주가 되었다. 독자의 태도와 의식, 고전 소설의 내적 요소를 가지고 고전 소설이 지닌 재미의 편폭을 가늠해 보았다. 역사성에 대해 가깝게 느끼는 재미와 멀리 느끼는 재미, 형식에 대해 크게 보는 재미와 작게 보는 재미, 내용에 대해 현실 맥락의 재미와 현실을 뛰어넘는 재미 등 세 영역에서 재미의 편폭을 그려 보았다. 이 편폭은 단면적이지 않아서 여러 가지 요인의 상호 작용에 의해 얻게 되는 재미의 다양한 지점들을 지닌 채 펼쳐져 있다. 고전 소설연구와 교육은 이와 같은 재미의 영역을 새롭게 인식하고 확장하는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의 논의를 바탕으로 고전 소설에서 재미를 찾는 방법을 실례를 들어 제시해 보았다. 옛날의 신분 제도나 세시 풍속과 같이 현대에서 멀리 떨어진 역사적 배경을 접하며 시간적 거리감을 느끼는 중에 고전 소설의 재미를 맛볼 수 있다. 또한 고전 소설의 문학적 관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한층 더 깊이 있게 재미를 경험하는 길도 열려 있다. 이와 함께 시대를 뛰어넘어 과거와 오늘을 연결하는 보편적인 주제가 담긴 작품에서 인물, 사건, 배경이 어울려 형상화되는 주제의 보편성에 공감하는 방향에서 재미를 찾을 수도 있다. 고전에 대한 관심은 어느 시대나 있어 왔고 변화하는 시대에 대응하는 주체의 역량도 고전을 통해 더욱 신장되어 왔다. 우리 시대, 우리 사회의 문화적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도 고전 읽기는 필수적이다. 고전 소설 읽기는 인간다운 삶을 위한 기초 교양을 쌓기 위해 현대의 삶과 중첩되는 동시에 과거, 미래와도 연결되는 즐겁고 보람된 일이다. 우리의 삶에 밀착된 인문정신을 새롭게 고양하는 길에서 고전 소설과 재미있게 만나기를 기대한다. The problem of interest in the study and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very important. It may be one of answers to the question why we who live today should read the classics. The factor of interest lay on the whole process to experience of pleasure, impression, and worth through attention,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So this paper examine the categories and breadth of interest of Korean classical novels and the points of finding out interest of it. Through this paper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certain trends these ten years in the study and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s. Generally speaking,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classical works have been done with themes of female, fantasy, and daily life. And the education of the works in the curriculum of Korean middle school have been done to make students to experience the interest in the fun stories or humorous traditional language culture. We can measure the categories and breadth of interest of Korean classical novels with three levels. First, the interest from near to far encountering the historicity of works. Second, the interest from macroscopic to microscopic viewing the forms of works. Third, the interest from inner to over taking the contents of works. The interest of these levels could be took by interactions with various factors. We should study and educate to extend the range of interest of classical novels. In this paper the ways to find out interest from Korean classical novels are suggested with giving examples. We taste the interest by senses of distance between today and past with encounter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like ancient status systems or seasonal customs. And the way is opened to experience the interest of works in the basis of understanding of literary convent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Also there are the interest from the sympathy of common topics of the works with connection between today and past. The concern to classics have flowed ceaselessly all the times and the power to manage change of times could be gained by establishing self identity through reading classics. The reading of Korean classical novels is one of the pleased experiences to pile up the basic cultivations for human life.

      • KCI등재

        문학작품 독자의 주관적 재미 요소 연구

        장미영(Jang Mi-Yeong),이호준(Lee Ho-Jun)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콘텐츠의 재미 요소를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콘텐츠의 재미 생성 매커니즘을 이론화하는 작업을 통해 재미 이론의 기반을 마련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야기 위주로 창작되는 문학작품 중 소설을 중심으로 재미 요소를 추출하였다. 문학작품은 이야기가 중심이 되는 예술이다. 그 중 소설은 모티브가 되는 소재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엮어가는 형태의 콘텐츠이다. 문학작품의 이야기는 독자들에게 즐거움 속에서 상상력을 동원하여 정신생활의 범위를 넓히고 호기심, 탐구심, 경이감, 지적 욕구들을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감정을 키우는 재미를 선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학작품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인 호응을 얻고 있는 로맨스칙릿소설, 무협판타지소설, 역사소설의 세 장르를 연구 대상으로 선택했다. 연구의 진행은 다분히 주관적인 ‘재미’라는 개념을 최대한 객관화함으로써 타당성을 확보하는데 치중되었다. 재미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주로 Q방법론이 동원되었다. 이 논문의 의의는 창작지원시스템 개발이라는 아직 아무도 시도하지 않았던 새로운 기술적 진보의 첫 발을 내딛었다는 점에 있다. 문화산업 영역에서 점차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재미’가 문학작품의 주요 요소로 간주되었다는 것만으로도 재미 연구는 학문적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의 열악한 콘텐츠 창작현실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재미 이론이 일천한 학계에도 학문적 선도성의 의미를 가진다. Modern people wanting to enjoy the cultural emotion seeking for the serene mind in the midst of agitated surroundings are much interested in the culture contents industry. “Fun”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creative element in the culture contents industry. Fun is rising as an important method which can guarantee the success and profit. In the era of hardware, the diligence and devotion was a concern, but now, the era of contents-ware requires “fun” and even considers it as the spirit of times. “Fun” is now a core element for the spirit of times in the era of contents-ware giving priority to the creativeness. The “fun” is produced by the writer’s experience and intuition. The content creators monitor the consumers’ behaviors and accumulate the results and, by these, measure the social context on the “fun” and reflect it to the writing which is just the text level. There has been lack of inspected theory and material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fun theory’s basis through the theorizing work of the fun factor and fun creating mechanism. For this, the study will extract the fun factor from the written form such as a novel, cartoon and a nursery story. This study will be able to give a big help to the current reality which is lacking the contents creation. Further, this study is meaningful academically in that it can lead the academy which has not enough experience on the fun theory. Literature is an art focusing on the story telling. A novel among them is a book of story telling in a written form. The literature enlarges the scope of mental life using the imagination and provides the fun raising the emotion by the satisfaction of curiosity, surprise and intelligent desire. This paper takes the major literature genre, novel, as the first research object specially the romance chick-lit novel, heroism fantasy and the history novel which are popular regardless of sex and generation. The object novels are chosen by reference to the internet site popularity rank of the relatively new novels in each genre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0. The Q-fact analysis results and the types of the 3 genre research objects such as the romance chick-lit novel, heroism fantasy and the history novel have a meaning in detail to be mentioned below. The romance chick-lit novel can be classified into 4 types such as ‘the style seeker’, ‘story seeker’, ‘identification seeker’ and ‘character seeker’. The heroism fantasy has 4 types such as ‘the fantasy seeker’, ‘success story seeker’, ‘tragedy seeker’ and ‘episode seeker’. The history novel shows 4 types such as ‘the stress on the result’, ‘stress on the event’, ‘stress on the meaning’, and ‘the stress on the character’. The research was focused on attaining validity by objectifying the subjective ‘fun’. This paper is meaningful as it uses and mixes the methods of cultur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And also it is meaningful as it tries to develop the creation supporting system which is the new technical progress and which has not been tried before. No need to mention above, the study on ‘fun’ has a sufficient meaning in that ‘fun’ was treated as the major factor of the popular literature and the importance of the ‘fun’ has been increased in the area of culture industry.

      • KCI등재

        중국추리소설을 통해 본 국내독자들의 중국현대소설 수용규범 - 『13.67』을 중심으로 -

        최은정 ( Choi Eun-je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5 No.-

        본고는 최근 3년간 중국현대소설의 국내수용에서 나타나는 장르문학의 약진에 주목하고, 특별히 국내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중국추리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중국현대소설에 대한 국내독자들의 수용규범을 살펴본 것이다. 중국추리 소설에 대한 국내독자들의 반응을 살펴보면, 내가 경험하는 현실과의 등가성, 개인적인 경험과 연관된 동질성 내지 이질성, 이와 관련하여 내재된 어떤 인식이 작품 수용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물론 중국추리소설이라는 매우 한정된 대상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국내독자들이 중국현대소설을 수용하는 방식의 보편성 내지 일반성을 설명할 수는 없다. 지적하고자 하는 것은 중국추리소설의 약진이 내포하는 의미이다. 하나는 베스트셀러의 가장 중요한 요건이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추리소설이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중국어권 추리소설”이라는 한계를 극복한 데에는 이야기의 힘이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이는 텍스트 본연의 내적인 요소가 외적인 개입보다 우선함을 증명한다. 다른 하나는 대중서사로서 장르문학에 대한 편견을 깨고 있다는 점이다. 독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중국추리소설의 공통점은 추리소설이라는 장르적인 기법을 활용하여 그 사회가 안고 있는 아픈 지점을 드러내고 있다는데 있다. 이로부터 ‘추리’소설로서 ‘재미’와 추리‘소설’로서 ‘의미’를 성공적으로 구현해내고 있으며, 국내독자들은 이 부분에 대해 매우 공감을 표명한다. 이는 중국추리소설에 대한 국내독자들의 수용규범을 넘어서서, 문학이 보다 폭넓게 수용될 수 있는 지점이 어디인지를 설명하는 것이다. 중국추리소설의 국내 수용에서 나타나는 특징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This manuscript notes quick developments of literary genres shown in modern Chinese novels’ national acceptance in the last three years, and examines national readers’ acceptance norms on modern Chinese novels through Chinese mystery novels, receiving good responses throughout the nation. Common grounds of Chinese mystery novels receiving good responses from readers, are that such novels are fun to read as ‘mystery’ novels, and meaningful as mystery ‘novels’ which have resulted in the success of these novels. If there is only a fun element, novels don’t endure. If the meaning is excessively emphasized, it is difficult to attain popularity. Chinese mystery novels quietly gaining popularity throughout the nation, prove that these two key factors are what readers anticipate experiencing through reading such novels. Because this is about finite objects within Chinese mystery novels, national readers can’t explain the universal appeal of modern Chinese novels. However, readers’ responses on Chinese mystery novels imply that literary genre reading doesn’t seeks fun as well as the meaning of such literature. This also explains why the two key factors in such literature, can be more widely embraced, beyond national readers’ acceptance norms on modern Chinese novels. That’s why the two key factors noted, relative to national acceptance of such novels, should be noted.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재미진화모형

        권순재 ( Soon Jae Kwon ),고동우 ( Dong Woo Ko ) 한국지식경영학회 2013 지식경영연구 Vol.14 No.4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게임, 정보의 검색, 시간 보내기, 단순한 반복적인 습관 등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겠지만, 가장 공통적인 이유는 재미(fun)이다. 그렇다면 사용자들이 SNS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재미의 개념은 무엇이며 이러한 재미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라는 의문을 갖게 된다. 재미 현상을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SNS 현상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될 것이며, 향후 개발되는 SNS의 많은 부분을 보다 재미있게 만드는데 필요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SNS 사용자들이 어떤 종류의 재미를 느끼는지를 살펴보고, (2)재미를 구하기 위하여 어떤 행동을 하는지를 고찰하였다. 또한, (3)이러한 행동을 체계적인 설명을 위하여 SNS에서 재미를 구하는 가치 양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하나의 모형(재미진화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재미진화모형은 보기(seeing), 가지기(having), 하기(doing), 되기(being)4가지 단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로 진행되면서 몰입(commitment)는 커지게 된다. 보기단계에서는 사실 모든 SNS 행동에서 사람들은 가장 먼저 “보는 것”을 통해 재미를 느낀다. 가지기(having) 단계에서는 보는 것만으로 재미를 지속하기는 어려우며, 정상적인 경우 일정기간이 지나면 그 활동의 구성요소를 소유하고 싶어한다. 하기(doing) 단계에서는 가지기의 재미는 다시 발전하여 그 활동과 직접 관련된 행동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되기(being) 단계에서 동일시 과정이 발전하면 보다 성숙한 형태의 재미추구 양식이 나타난다.

      • KCI등재

        고전소설을 활용한 감성교육

        윤정안(Jeongahn Yo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한국고전연구 Vol.- No.59

        이 글은 대학의 교양수업에서 고전소설을 활용하여 ‘사랑’이라는 감성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고전소설은 고어, 한문 등의 진입장벽, ‘재미가 없다’는 고정관념, 시대의 차이로 인한 다른 문화적 관습 때문에 현대의 독자들이 향유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의 극복을 위해 이 글은 대학의 교양수업에서 고전소설을 도구적으로 다루는 것을 제안하였다. 고전소설을 도구적으로 다룬다는 것은 고전소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 목적을 두지 말고, 고전소설을 자유롭게 읽고 ‘오독’하여 어떤 사고의 장을 열어준다는 의미이다. 또한 이것은 고전소설을 재미의 차원에서 소비하도록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교양수업이 지식의 전달이라기보다는 비판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면, 이러한 방식으로 고전소설을 활용하는 것도 의미가 있으며, 학생들이 고전소설에 흥미를 가질 기회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고전소설을 도구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번역 등을 통해 접근성을 높여야 하며, 학생들에게 읽을 동기를 주어야 한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이 글은 학생들에게 교양수업에서 ‘사랑’이라는 주제를 통해 고전소설을 읽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수업은 고전소설을 ‘사랑’이라는 감정을 들여다보는 도구로 활용하였다. 이는 에리히 프롬이 말하는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에 기초한다. 즉, 사랑은 배우고 익히는 대상으로, 고전소설을 통해 20대 학생들에게 사랑을 간접 체험하는 도구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교수자는 ‘사랑이란 무엇인가?’, ‘사랑을 둘러싼 사건’, ‘사랑과 ‘일탈’’이라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강의를 하고, 학생들은 조를 이루어 발표를 하고 개인 과제를 내는 것으로 수업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교수자의 의도에 따라서 얼마든지 감성의 대상이나 대상 작품을 달리하여 진행할 수 있다. This article presents a method for how to educate the emotion of ‘love’ using classical novels in liberal arts classes at universities. Classical novels were difficult for modern readers to enjoy due to barriers to entry such as archaic words and Chinese characters, stereotypes of “no fun”, and other cultural customs due to differences in the times.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this article proposed to instrumentally deal with classical novels in liberal arts classes at universities. Instrumental handling of classical novels means that they are free to read classical novels and ‘misread’ them to open a place of thought. This also means that classical novels are consumed in terms of fun. If liberal arts classes are aimed at improving critical thinking rather than conveying knowledge, it is also meaningful to use classical novels in this way, and students may have an opportunity to be interested in classical novels. In order to handle classical novels instrumentally, accessibility must be improved through translation and students must be motivated to read.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ed to students how to read classical novels through the theme of ‘love’ in liberal arts classes. In the class, classical novels were used as a tool to look into the emotion of ‘love’. This is based on what Erich Fromm calls ‘The Art of Loving’. In other words, love is an object to study and learn, and it will be used as a tool to indirectly experience love for students in their 20s through classical novels. The class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What is love?” “The event surrounding love,” “Love and deviance,” and with the instructor’s lecture, students formed a group of presentations and personal assignments. This composition can be carried ou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structor’s intention.

      • KCI등재

        방정환 탐정소설의 지향점

        염형운 세계문학비교학회 2019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6 No.-

        Bang Jeong-hwan is one of the leading figures in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owever, he has been underestimated because his works are not up to the literary standard. He made public why he wrote, and he wrote the stories based on his intention. He should be restored although his works fall into the category of popular literature. To this end, this article studies the detective novels by Bang Jeong-hwan. Up to now there are only two articles that deal with the detective novels by Bang Jeong-hwan. According to Choi, Ae-soon, Bang Jeong-hwan wrote the detective novels for fun and enlightment. Cho Eun-sook concludes that Bang Jeong-hwan standardized the narrative styles of juvenile novels for boys. Their opinions have some meaning in the study of the detective novels by Bang Jeong-hwan. But they didn't consider that Bang Jeong-hwan wrote his novels based on the intention. This is the reason why this article is written. Comparing Bang's detective novels with those which were translated by him, it gets clear why he tried to write the detective novels. Analyzed through Todorov's narrative theory, the detective novels by Bang Jeong-hwan faithfully follows the types of the detective novel that Todorov expounds. Some features of the adventure novel are noticed in his detective novels. So it can be argued that the detective novels by Bang Jeong-hwan are not the detective novels in the strict sense of the genre. However, Bang Jeong-hwan translated and adapted the detective novels for adults at the same time that he wrote the detectives novels for children. It can be said that Bang Jeong-hwan had a clear purpose for writing the detective novels for children. Before he wrote 「The Boy Four Devas」, Bang Jeong-hwan revealed that he wanted to give adolescent readers fun and usefulness through the detective novels. This clearly shows that he unwaveringly tried to enlighten the adolescents through children's movement and write the detective novels in the hope that they will be the reliable adults. As time goes by, his detective novels changed into the genuine detective novels. What is more, female detectives also changed to be more active and independent. 방정환은 아동문학가로서 분명한 위치를 점하고 있음에도 그에 걸 맞는 평가를 받지 못한다. 그의 작품들이 문학적 완성도에서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해서다. 하지만 그가 창작하고자 하는 목표를 분명히 하고 그에 맞게 창작을 해 낸 작품이라면 그것이 비록 대중문학에 해당되는 작품이라 하더라도 그 의미는 인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방정환 탐정소설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그의 탐정소설을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는 논문은 두 편이다. 최애순은 방정환 탐정소설을 재미와 계몽의지를 드러낸 작품으로 평가한다. 조은숙은 방정환 탐정소설이 소년소설의 서사 문법을 정형화한다는 점을 평가한다. 이들의 평가는 방정환의 탐정소설 연구에 있어 나름의 의미를 지닌다. 다만 이 두 논문이 방정환이 창작의도에 맞춰 소설을 창작해내고 있는 점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 본고를 쓰게 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방정환 창작 탐정소설을 그가 번역했던 탐정소설과의 대비를 통해 비교해 보면 그가 왜 탐정소설을 쓰고자 했는가가 분명해진다. 토도로프의 서사이론을 통해 분석해 볼 때 그의 탐정소설 역시 토도로프가 말하는 탐정소설의 유형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물론 그의 창작 탐정소설이 모험소설적 요소를 상당히 많이 드러내고 있어 과연 이를 엄밀한 의미의 탐정소설이라고 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 하지만 방정환의 창작 탐정소설은 창작의도가 분명하고 목적의식이 뚜렷하다. 더구나 그가 번역하거나 번안한 성인 대상 탐정소설이 그 시기 같이 존재하고 있음을 놓고 볼 때 그가 왜 소년 대상 탐정소설을 창작하였고 그것을 통해 보여주고자 했던 것이 무엇인지 분명해진다. 방정환이 「소년 사천왕」 창작에 앞서 밝히고 있듯이 그는 탐정소설을 통해 당대 독차층인 청소년들에게 재미와 유익을 주고자 한다. 이는 그가 행동으로는 꾸준히 어린이운동 등을 통해 미래 세대를 이끌 청소년을 계몽하면서, 창작으로는 이들이 나아갈 바인 ‘믿을 만한 일꾼’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탐정소설에 담아내고자 했기 때문이다. 더불어 그의 창작 탐정소설이 점차 탐정소설적 요소에 좀 더 충실한 형태로 변화하고, 여성 탐정의 역할이 능동적이며 주체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 KCI등재

        고전소설의 현재적 가치 모색과 교양교육

        조현우 ( Hyun Woo Cho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0 한국고전연구 Vol.0 No.22

        이 논문에서는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문학, 특히 고전소설이 왜 필요하며,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를 살피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는 교양교육에서 고전소설을 왜 교육해야 하는가를 검토했다. 또 고전소설을 교양교육에서 다루면서 연구사적 ``지식``보다는 ``재미있는 이야기``라는 고전소설 본연의 가치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본고에서는 고전소설을 통한 교양교육에서 견지해야 할 세 가지 관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째, 고전소설을 읽고 감상하되, 철저하게 현재적 가치와 관심사에서 출발해야 한다. 둘째, 지식이 아니라 독자가 자신의 관심에 기반을 둔 질문을 던지고 그 답을 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셋째, 문학 분야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을 바탕으로 3장에서는 2장에서 논의한 내용을 구체적인 사례로 제시했다. 본고에서는 <방한림전>과 영화 <가족의 탄생>을 ``가족이란 무엇인가``, ``가족이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라는 통합적 주제로 함께 논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두 작품에는 각각 ``결핍``을 갖고 있지만 그 결핍을 관계를 통해 해소하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또 그러한 관계가 지속되면서 가부장적 혈통 이데올로기와 무관한 새로운 가족이 ``탄생``되고 있음을 살폈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고전 소설 작품을 현재적 가치와 관심사로 읽는 과정을 통해 현대 독자와 고전소설 사이에 화학적 접점을 형성하는 일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4장에서는 교양교육과 고전소설 교육이 상생하기 위해서는, ``古典文學``이나 ``古典小說``에 씌워져 있던 ``古``나 ``典``이라는 ``왕관``을 잠시 벗겨내고, 독자들이 ``문학``과 ``소설``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럴 때에야 비로소 옛 문학과 옛 소설이 우리 곁에 ``古典``으로 그리고 무엇보다 ``이야기``로 오래도록 남아 있을 수 있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view that the Korean classical novels have to be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resources in the general education program of university. The education of the classic has been covered by a university since the medieval of the West, and remained the core of general education in it. Cultivating a critical intellects, the effects of general education using the classics had been already proved for a long time. But there is as ever the problem which is emphasized on th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between the knowledge and the interest of the classics. In terms of contemporary valu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latter must be stressed more than the former. I assert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general education program should make students have interest in and be sure of the contemporary value of the classics. When the students in the courses of general education intend to get courage in the face of adversity by reading and learning the classics, the purpose of general education can be accomplish at last.

      • KCI등재

        해방 후 재미동포소설 연구 - 재미동포문단의 형성과 현황

        장영우 상허학회 2006 상허학보 Vol.18 No.-

        Korean-American Literature is greatly divided into English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however, that means Literature created in English mainly. In other words, Korean-American Literature might be considered ‘Diaspora Literature’ that is hardly referred in Korea as well a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being estranged. Korean immigrant 1st generation in America have not only had traditional culture and custom but kept close relationship with motherland economically and culturally since they emigrated after 1970s. They have mostly formed their own society, Korea-Town in the metropolis and use the Korean language, but got along to adapt and assimilate into American society and culture. In fact, it can be verified easily that Korean emigrant 1st generation keep the strong identity of motherland and nationality while Korean emigrant 2nd generation show duplex identity amalgamated with motherland’s culture and dwelling country’s culture or hybridity state. At this point, duplex identity is appeared the boundary or marginal man’s conscious wondered just as being cannot belonged to either society. And also it can be appeared a bridge role for connecting two societies or a creative leader who is beyond both of two societies. Korean-American writer’s novel in Korean has been the diaspora theme of gold mine relevant to Korean-American’s emigration, discrimination, adaptation, assimilation, hybridity, national culture, national identity and etc. since liberation. 재미동포문학은 크게 영어문학과 한국어문학으로 나뉜다. 그러나 현재 주로 논의되는 재미동포문학은 영어로 창작된 문학만을 뜻한다. 다시 말해 재미동포 한국어문학은 미국은 물론이거니와 한국에서도 소외된 채 거의 언급되지 않는 '디아스포라 문학'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재미동포 1세들은 1970년대 이후 이민을 간 사람들이어서 민족의 고유한 문화와 관습을 간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문화적으로 조국과 긴밀한 유대관계를 유지한다. 그들은 대부분 대도시에서 코리아타운을 형성하고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미국 사회와 문화에 적응하고 동화하게 된다. 이것은 이민1세대가 모국과 민족에 대한 강한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과 달리 이민 2세대 이후에는 모국과 거주국의 문화와 정체성이 융합된 이중정체성, 혹은 혼종 상태를 보이는 사실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중정체성은 어느 사회에서도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방황하는 경계인 의식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양쪽 사회를 매개하는 교량 역할을 하거나 양쪽 뛰어넘는 창조적 리더쉽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해방 후 재미동포 한국어 소설은 재미동포들의 이주, 차별, 적응, 동화, 혼종, 민족문화와 민족정체성 등과 관련한 '디아스포라'적 주제들의 금광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미주지역 이민1세대 소설 비교 연구

        이기인 한국언어문학회 2010 한국언어문학 Vol.72 No.-

        Recently we have witnessed an increasing publication of the first- generation Korean-American immigrant novelists. They belong to the first group of immigrants after the amendment of the American immigration law in 1965. At that time the environment in which immigrants found themselves was far worse than now, and this poor condition was reflected in their novels. The present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of the first-generation Korean-American novels, paying attention to their distinctive features compared to Korean-Canadian, and Korean-Argentinean novels. In Korean-American novels, white and black characters are few and far between, and Korean-American social and domestic problems barely show up as their main themes. Immigrant realities and human relationships are ignored and do not receive literary spotlight. Instead, these novels focus their attention on inner world of individual immigrants. In that world, the feelings of loss, sorrow, resentment, despair, and self-consolation reside. The fist-generation Korean-Canadian writers have an affinity with Korean-American novelists in that subject-matters like childhood memories and lost love are their favorite choice. Conflicts with the natives, inter- generational antagonism, and other mundane realities, however, are some of the relatively unique thematic features of Korean-Canadian novels.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se realities is largely negative, but characters often show the strength of will and long for the brighter futur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Korean-Argentinean novels, the life of immigrants are usually depicted in a tranquil mood. The first-generation immigrants are interwoven with natives and second-generation children more easily than their American and Canadian counterparts. Protagonists strive to make a smooth entry into local society, and often settle in it successfully. These differences are primarily a reflection of literary traits of the individual writers, but it is arguable that they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respective immigrant social milieu. The multi-level sources of these literary heterogeneities in immigrant novels in the Inter-American area should receive more serious attention from various theoretical viewpoints.

      • KCI등재

        미주지역 이민1세대 소설 비교 연구

        이기인(Lee Ki-in) 한국언어문학회 2010 한국언어문학 Vol.72 No.-

        Recently we have witnessed an increasing publication of the firstgeneration Korean-American immigrant novelists. They belong to the first group of immigrants after the amendment of the American immigration law in 1965. At that time the environment in which immigrants found themselves was far worse than now, and this poor condition was reflected in their novels. The present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of the first-generation Korean-American novels, paying attention to their distinctive features compared to Korean-Canadian, and Korean-Argentinean novels. In Korean-American novels, white and black characters are few and far between, and Korean-American social and domestic problems barely show up as their main themes. Immigrant realities and human relationships are ignored and do not receive literary spotlight. Instead, these novels focus their attention on inner world of individual immigrants. In that world, the feelings of loss, sorrow, resentment, despair, and self-consolation reside. The fist-generation Korean-Canadian writers have an affinity with Korean-American novelists in that subject-matters like childhood memories and lost love are their favorite choice. Conflicts with the natives, intergenerational antagonism, and other mundane realities, however, are some of the relatively unique thematic features of Korean-Canadian novels.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se realities is largely negative, but characters often show the strength of will and long for the brighter futur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Korean-Argentinean novels, the life of immigrants are usually depicted in a tranquil mood. The first-generation immigrants are interwoven with natives and second-generation children more easily than their American and Canadian counterparts. Protagonists strive to make a smooth entry into local society, and often settle in it successfully. These differences are primarily a reflection of literary traits of the individual writers, but it is arguable that they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respective immigrant social milieu. The multi-level sources of these literary heterogeneities in immigrant novels in the Inter-American area should receive more serious attention from various theoretical viewpo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