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 여성의 취향 소비에 관한 연구: 텍스트 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이훈지,최혜경 한국소비문화학회 2020 소비문화연구 Vol.23 No.4

        This study remarked the taste consumption of parents' generation focusing on that the desire for cultural resource transfer toward their children appeared based on their affluent economic and cultural resource. It was willing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middle-aged women's taste consumption behavior. For that,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arried out step by step. Person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October 2018 to February 2019 of 14 middle-aged women who are actively experiencing taste consumption.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consumption appeared in the fields of beauty, culture, leisure and experience and there were large scale of consuming high-priced products and high-end trend. Through the analysis of topic modeling, the desire for self-realization, the desire for self-recovery, the desire to improve the status of the family, the desire to express the status of family, and the desire of transferring family status were revealed. Three types of taste consumption were drawn finally by cluster analysis method. ‘Modeling consumption’, ‘Heritage consumption’, and ‘projection consumption’ were confirmed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us, it was recognized that the taste consumption of middle-aged women was for their children in network analysis and it was used to transfer the resource. This study is of importance because it seeks to find the meaning of taste consumption with a deep interest in the life of middle-aged women. In addition,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the desire to transfer cultural resources in consumption was confirmed through network analysis. This research result also provides marketing implications. 과거 부모 세대가 물질적 자원의 이전에 집중했다면 지금의 부모 세대는 보다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폭 넓은 문화 자원의 이전에 관한 욕구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취향 소비’에 주목하여 중년 여성의 취향소비의 행태를 파악하고 관련 소비 행동이 문화적 자원 이전 욕구와 연관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중년 여성의 취향 소비의 유형과 그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중년 여성 소비자를 개인 심층 인터뷰를 시행한 후, 토픽모델링과 의미네트워크 분석 등 다양한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였다. 문화적 취향을 반영한 소비 경험을 활발히 하고 있는 중년 여성 14인을 연구 참여자로 확정하였고 2018년 10월부터 2019년 2월까지 개인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년 여성의 취향 소비 행태는 뷰티/패션, 문화 활동, 레저 활동, 배움/경험 네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서는 자기 실현의 욕구, 자기 회복의 욕구, 가족 지위 향상의 욕구, 가족 지위 표현의 욕구 그리고 가족 지위 이전의 욕구로 다섯가지의 욕구를 도출하였고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서 중년 여성이 자녀에게 문화적 자원을 이전하고자 하는 욕구와 관련된 취향 소비의 유형 세 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년 여성은 취향 소비를 통해서 ‘구분 짓기’를 하고 자녀에게 ‘아비투스’를 전달함으로써 사회적 문화적 지위를 확고히 하고자 하는 자원 이전의 욕구를 드러내고 있었다.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삶에 깊은 관심을 두고 취향 소비를 통해 소비 속 문화적 자원 이전의 욕구를 확인하여 사회적 연구적 차원의 의의를 지닌다. 또한, 취향 소비의 의미를 파악하여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영화 소비 결정 요인

        전범수(Bum Soo Chon)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0

        본 연구는 영화 소비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영화 취향 및 영화 정보 이용 요인들, 인구사회 요인들을 투입해 영화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 소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영화 취향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영화 취향 정도가 증가할수록 영화소비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화 취향은 영화 정보를 인터넷으로 검색하거나 영화 블로그를 이용하는 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 취향 정도가 높을수록 인터넷으로 영화 정보를 검색하거나 영화 블로그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영화 블로그를 이용하는 응답자들은 영화 소비가 늘어났던 반면 영화 인터넷 검색 여부는 영화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성별이나 소득과 같은 인구사회 요인들 중에서 성별 요인만 영화 소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응답자일수록 영화 소비 정도가 증가했다. 반면, 소득 요인은 영화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s determinants of film consump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is study explores some factors that explained film consumption based on film tastes and information seeking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major factor for explaining film consumption was individual tastes for films. The higher the degree of tastes for films, the greater the degree of film consumption.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astes for films and film related information seeking such as internet search behavior and the use of film blogs. More specifically, the use of film blogs partially explained the degree of film consumption. Thirdly, a demographic factor like gender was highly correlated to film consumption. However, an income factor was not correlated to fim consumption. In conclusion, the degree of film consumption was determined by tastes for flims, the use of film blogs and gender factors.

      • KCI등재

        영화 취향과 소비 연구의 비판적 성찰 : 2000년 이후 국내 연구 경향을 중심으로

        이상길 한국소통학회 2017 한국소통학보 Vol.16 No.3

        문화연구와 문화사회학에서 계급별 취향과 소비에 대한 비판적 분석은 1980년대 이래 하나의 중요한 조류로 자리 잡은 것처럼 보인다. 국내의 경우, 취향과 소비에 대한사회과학적 연구의 흐름은 200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었다. 음악 장르가 중심을 이루고 있기는 하지만, 영화 장르와 관련된 논문들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 논문에서는 지난 15년간 국내에서 수행된 영화 취향과 소비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후, 그 문제점들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 전망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아래 먼저 기존 연구 경향을 전체적으로 개관하고 주요 특징들을 정리할 것이다. 다음으로 영화문화의 한국적 특수성을 포착하는 데 적합할 것으로 여겨지는 대안적연구 관점으로서 문화적 부조화 모델을 제시하고 질적 방법론 이용의 필요성을 강조할것이다. 취향의 사회적 기능을 구별짓기와 문화적 배제의 차원에서만 바라보는 비판적패러다임의 한계 역시 논의할 것이다. 향후 영화 취향과 소비 연구는 기존의 문화자본론과 옴니보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기초로 다양한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한국사회 영화문화의 고유한 특성들을 분석에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Critical analysis of class taste and consumption in cultural studies and cultural sociology seems to have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trend since the 1980s. In Korea, social scientific researches on cultural taste and consumption have been vitalized in 2000s. In this paper, after reviewing the film taste and consumption studies in Korea for the last 15 years, I present a new research prospect based on the discussion of som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roblems. First of all, I summarize the main features and findings of film taste and consumption studies after 2000. Next, I emphasize the necessity of using cultural dissonance theory and qualitative methodology as a new research perspective that is probably suitable for capturing the specificity of Korean film culture. I also discuss the limitations of the critical paradigm which tends to reduce social function of artistic taste to cultural distinction and exclusion. In the future, it will be important for the film taste and consumption studies to elaborate an alternative problematics which effectively integrate thes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to its research framework.

      • KCI등재

        소비의 감성 혹은 감성의 소비 ― 1930년대 소비문화에 대한 일 고찰

        이수형 상허학회 2014 상허학보 Vol.41 No.-

        1930년대 소비문화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소비의 젠더적 성격과 탈민족적・탈국가적 성격에 주목한다. 이처럼 가정과 민족의 경계를 횡단하는 소비는 민족주의적 입장에서도 문제적이지만, 식민지의 사회경제적 조건이라는 물적 토대에 주목할 경우에도 왜곡된 성격을 드러낸다. 생산력의 확충 없이는 구매력의 성장도 없으므로 식민지의 소비 생활은 극소수의 인구에 국한된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제적 측면이 아닌 문화적 측면에서 접근할 때, 소비는 단지 구매력의 문제만이 아니라 감성, 곧 상상적 쾌락주의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근대적 소비자가 자신의 구매력 이상의 소비를 상상하면서 즐거움을 얻는 일반적 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 빈곤층에 속해 충분한 구매력을 갖지 못한 조선인의 삶에서도 이러한 양상은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거니와, 이는 농촌 출신 여공이나 서울 빈곤층 가정의 소비 생활을 묘사한 채만식과 박태원의 소설에서 확인된다. 소비문화의 확산과 함께 이에 대한 비판도 동시에 증가하는데, 소비에 대한 비판은 쾌락 추구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는 도덕적 경향과 물신숭배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마르크스주의적 경향으로 나눌 수 있다. 반면 소비는 취향을 통해 자아를 표현하는 감성 문화의 핵심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무엇을 할 것인가’의 문제를 ‘무엇을 살 것인가’의 문제로 전적으로 환원할 수는 없겠지만, 우리가 근대적 소비 행위를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 역시 부정할 수 없다. The studies of consumer culture in the 1930s deal mainly with the gender and transnational character of consumption. Consumption reveals a distorted character with regard to colonial socio-economic conditions. No increase in spending power without expansion of production, so only a very small minority of Korean is be generally considered to be living in a consumer culture in 1930s. However, modern consumption is not only just a matter of spending power in economics, but also the problem of sensibility(sentiment) or imaginative hedonism. The kernel activity of consumption is thus not the actual purchase of products, but also the imaginative pleasure-seeking to the image of product. As a result of imaginative hedonism, the poor who do not have enough spending power tend to conform with modern consumer’s pattern. The negative estimation of consumption consists of two parts, dissipation at the moral basis and commodity fetishism in Marxist tendency. On the other hand consumption is estimated the core of sentimental cultural in which one would express oneself in the way of taste.

      • KCI등재

        수집소비의 동기와 의의

        김해인 ( Kim Hae In ),이준영 ( Lee June Yo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현대 소비사회에서 다양하게 등장하는 소비자 유형 중에서 수집소비를 하는 소비자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현재 수집을 하고 있는 20~30대 소비자들 13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 전 행동, 수집 과정, 수집 후 행동으로 구분하였고, 수집소비의 의미를 분석, 도출하여 연구 결과를 범주화하여 정리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로서 첫째, 수집 전 행동에 있어서 수집품 정보 탐색이 내·외적으로 이루어지며 수집행위 시 비의도적 동기로 시작했으나 점차 의도적 구매로 전환되고, 수집품 구매 시 적절하게 구매예산의 상한선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집과정에서는 수집을 하는 소비자들이 과거, 현재, 미래에 모두 수집을 했거나 또는 할 것이라는 수집의 관성적인 특성을 보였고, 수집품 구매 시 긍정적인 감정과 태도를 표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수집 이후 행동에서는 보유효과 등의 심리 때문에 수집품을 버리는 등의 처분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수집에 의미에 있어서 수집물들은 기억과 추억을 기록하는 대상물인 동시에 나를 위한 가치소비로서 여겨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수집소비는 다양한 소비욕구가 다층적으로 나타나는 행위임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소비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취미와 취향이 보다 세분화되어 가고 있는 소비문화의 변화 속에서 수집소비자에 관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ehavior of consumers who purchase items specifically for personal collections among the various types of consumers emerging in the modern consumer societ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consumers in their 20s or 30s who were carrying out collection activities. Based on the output of the interviews, consumer behavior was divided into pre-collection behavior, the process of collection, and post-collection behavior. The meanings of collection-oriented consumption were analyzed and obtained,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outlined through categoriz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pre-collection behavior, the subjects unintentionally started collection activities along with their internal and external searches for information on items for collection, but they gradually moved towards intentional purchases and set appropriate upper limits for their consumption budgets. Second, in the process of collection, the consumers who were collecting showed the inertial characteristic of collection that they had collected in the past and were collecting currently and would continue to collect in the future, and they also expressed positive emotions and attitudes during the purchase of items. Third, in terms of the post-collection behavior, they did not dispose of their collections due to psychological reasons, such as the endowment effect. Fourth, regarding the meaning of collection, the consumers perceived their collections as objects recording their memories and reminiscences, as well as valuable consumption for themselves. Moreover, collection-oriented consumption was found to be a multilayered act that reflected various consumption needs. This study helps understand both the universal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oriented consumption and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collection-oriented consumers, amid changes in consumption culture in the form of further segmentation in consumer hobbies and tastes.

      • KCI등재

        거래비용관점에서 본 영화 소비행위 분석

        박혜윤,김재범,이창진 한국문화경제학회 2017 문화경제연구 Vol.20 No.3

        The present study analyzed movie consumption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action cost, taking into account the possible incurrence of additional costs in the process of consumers obtaining movie information to choose movies. Regression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in the analysis by taking movie information and the individuals’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number and frequency of movies watched as dependent variables, using information from the “2015 movie consumer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considering elements such as “directors” and “online reviews” were found to be more active in movie consumption. The analysis of movie-watching frequency showed that the information considered when choosing a movie was different for high- and low-frequency movie viewers. Putting these factors together suggests that movie consumption can vary according to an individual’s cultural capital, preferences, and their degree of movie information awareness. While existing studies have mostl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box office performance,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is its empirical analysis of individual movie information in terms of transaction cost.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yclical structure of trading expenses influences movie consumption and, once preferences are formed through a certain level of consumption, the trading cost expenses decrease, which results in increasing consumption. Therefore, film makers need to establish and execute marketing strategies that appropriately use movie information so that consumers can reduce the trading costs necessary for movie watching. 영화 관객들은 영화를 선택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는 등의 과정에서 추가적인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비용을 거래비용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영화 소비행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5 영화소비자조사’를 사용하여 영화 정보와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관람편수와 관람빈도를 종속변수로 삼아 회귀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감독’, ‘온라인 평가’ 등의 요소를 고려하는 소비자일수록 영화 소비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고, 관람 빈도별 분석에서는 저·고 관람자별로 영화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유의미한 정보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개인이 보유한 문화자본과 취향 그리고 영화 정보를 인식하는 정도에 따라 영화 소비가 달라질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영화의 흥행 결정 요인을 분석했다면 본 연구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개별 영화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거래비용 관점에서 개인의 취향의 유무, 형성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상기의 결과를 바탕으로 거래비용이 영화소비에 영향을 미치고 일정 정도의 소비를 통해 취향이 형성되면 거래비용이 낮아져 소비가 늘어나는 순환적 구조라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작사는 소비자가 영화 관람에 필요한 거래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영화 정보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집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문화예술공연 관람 시 평가되는 서비스 품질의 상대적 영향력에 대한 다각적 연구

        서문식(Suh Mun Shik),신미숙(Seen Mee sook),하승범(Ha Seung Bum),이샛별(Lee Sat Byul) 한국소비문화학회 2015 소비문화연구 Vol.18 No.1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was considered a complex and high-end culture for those with high income, high education background, and artistic acumen. However, the consumption of cultural art performance has become universal among the public amidst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ving, changes in consumption value, i.e., the highlighted importance of symbolic value obtainable through consumption behavior itself and experiential satisfaction. This study validated the relative influence of quality of interaction, quality of results, and quality of physical environment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service quality evaluated by consumers in the service field called 'cultural art performance'. Study1 validated how the relative influence at the service quality dimension might change for each genre of cultural art performance. By classifying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largely based on classic performance and contemporary music performance, this study looked into the service quality dimension considered important in attending each performance. Study2 validated how the relativ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dimension might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attending each performance.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evalua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the consumer group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subgroups based on the specialization of music and cultural preference to verify the control effect among the groups. Finally, Study3 investigated into how the relativ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dimension might vary, depending on the aspects of motivation for consumers to attend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Regarding the differentiation of the motivation for attending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the benefits pursued through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were divided into 4 pursued benefits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The groups were differentiated based on the extent by which they perceived each benefit that was pursued in order to verify how the relativ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dimension might vary among the groups. 과거에 문화예술공연은 고소득, 고학력의 예술적 소양을 갖춘 사람들을 위한 복잡하고 어려운 고급문화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삶의 질 향상 및 소비 가치의 변화, 즉 경험적 만족 및 소비 행위 자체로 가질 수 있는 상징적 가치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문화예술공연에 대한 소비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문화예술공연이라는 서비스 분야에서 소비자들이 평가하는 서비스 품질의 하위차원 요소인 상호작용 품질, 결과 품질, 물리적환경 품질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고 있다. Study 1에서는 문화예술공연의 장르별로 서비스 품질 차원의 상대적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검증하고 있다. 문화예술공연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크게 클래식 공연과 현대음악 공연으로 구분하여 각 공연을 관람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평가되는 서비스 품질 차원이 무엇인지 밝히고 있다. Study 2에서는 관람하는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 품질차원의 상대적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 질 수 있는지 검증하고 있다. 서비스 품질의 상대적 중요성을 평가하는 소비자의 특성으로 음악에 대한 전문성과 문화적 취향에 의해 소비자 집단을 구분하여 집단 간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Study 3에서는 소비자들이 문화예술공연을 관람하는 동기적 측면에 따라 서비스 품질 차원의 상대적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관람동기에 대한 구분은 문화예술공연을 통해 추구하는 혜택을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4가지 추구혜택으로 구분하여 각 추구혜택을 지각하는 정도에 의해 집단을 구분하여 집단 간 서비스 품질차원의 상대적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 KCI등재

        패션 관심도와 취향에 따른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태도 및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20~30대 큐레이션 서비스 경험자를 중심으로-

        박유나,김칠순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Recognizing that a curation service is very necessary for the field of fash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ituation of the use of Fashion Curation Service (FCS) towards 20s to 30s aged active SNS users, and examines a difference in consumers' attitude toward FCS by clusters according to fashion interest and taste as well as aims to draw implications for marketing through an analysis of an impact of on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products. As subjects of the study,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and data on 176 persons were analyzed. With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ronbach's α), cluste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of a survey on the situa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use of FCS, it was noted that they preferred "SNS type" the mos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s' attitude toward FCS according to the fashion interest. Those who were interested in the fashion more responded that they come to have an intention to purchase fashion products or know them better through FC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s' attitude toward FCS according to the taste. Finally, we found significant important variables to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products which can be accounted for by the four different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FCS, "social commerce open market type", "SNS type", and "expert recommendation". Considering that each group's attitude toward FCS differs depending on fashion interest and taste, we can draw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fessional fashion contents to fit consumer's taste and interest because consumers' attitude toward FCS has an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We also suggest that we should educate more professionals fashion curation that may affect the consumers' selection of fashion products and qualitatively substantiate that. It is judged that the curation marketing according to these various curation contents and professional workforce development would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enterprise SNS marketing. 본 논문에서는 패션 분야에서도 큐레이션 서비스가 매우 필요한 실정임을 인지하고, SNS를 가장 활발히 사용하고 있는 20-30대의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에 관한 이용 상황을 알아보고, 패션 관심도와 취향에 따른 군집별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의 소비자 태도 차이 및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20~30대 남녀를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여 선정하였으며, 176명의 자료를 설문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Cronbach’s α), 군집분석, 독립표본 t-검정,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의 이용 상황에 관해 조사한 결과 “SNS형”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패션 관심도에 따라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의 소비자 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패션에 관심이 많을수록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를 통해 패션제품을 구매할 의향이 생기거나 패션제품을 더 잘 알게 된다고 응답하였다. 취향에 따라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의 소비자 태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의 소비자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서브스크립션형", “소셜커머스오픈마켓형”, “SNS형”, 그리고 “전문가 추천형”의 4가지의 독립변수가 패션상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하고 의미 있는 독립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패션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태도가 패션관심도와 취향에 따른 군집별 차이가 있는 만큼 그에 맞는 전문적인 패션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며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의 소비자태도가 구매의도에 영향력이 있는 만큼 소비자들의 패션 제품 선택 시 영향을 줄 수 있는 패션 큐레이션 전문 인력 양성의 양적 확대 및 질적 내실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다양한 큐레이션 콘텐츠 및 전문 인력 개발에 따른 큐레이션 마케팅은 기업 SNS 마케팅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여 진다.

      • KCI등재

        우리는 항상 무엇인가의 팬이다: 팬덤의 확산, 덕질의 일상화, 취향의 은폐

        이응철 ( Lee Eungchel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6 韓國文化人類學 Vol.49 No.3

        이 글은 한국 젊은이들의 팬덤과 덕질에 대해 다루고 있다. 특정 장르에 주목하지 않고 팬덤 일반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경향성을 언급하였다. 지금까지 팬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아이돌 팬덤에 대해 이루어졌다. 아이돌 팬덤의 규모가 크고 조직화도 잘 되어 있으며 산업적으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 청년들의 팬덤과 덕질은 그보다 훨씬 큰 범위에서 이루어지고 팬들이 관심을 갖는 영역도 다양하다. 만화, 영화, 인디음악, 소설, 역사, 스포츠, 게임 등의 장르뿐 아니라 어떤 그룹의 특정 멤버에 대해서만 팬인 경우도 있다. 한국 사회에서 인터넷과 미디어의 성장과 함께 어린 시절을 보낸 한국의 청년들은 미디어에 자연스럽게 접하면서 팬덤이라는 현상에 대해서도 익숙해졌다. 성장하면서 선호의 대상이 바뀌는 경우가 있는데 그렇더라도 팬덤은 이들에게 일상적인 활동이 되었다. 팬덤의 장르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문화상품의 소비는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이다. 공식적으로 생산되는 음반이나 음원 스트리밍 등의 서비스 외에 팬들이 직접 생산한 2차 창작물 소비도 팬으로서의 성원권을 보여주는 소비의 일환이다. 또한 팬들은 정보와 자료를 구하기 위해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이용하는데 최근에는 트위터를 많이 이용한다. 팬덤은 무엇인가를 좋아하는 취향의 문제이다. 그런데 어떤 경우 자신의 팬덤을 숨기고 일반인인 척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아이돌 팬덤은 하찮은 것으로 취급받거나 일본 애니메이션 팬덤은 적대시된다. 또한 여성 스포츠팬은 스타의 외모만 보는 팬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은 취향의 위계화 속에서 자신의 취향 때문에 자신이 평가되는 것을 바라지 않는 팬들은 자신의 취향을 드러내지 않으려 한다. The fandom of Korean youth is discussed in this article. Fandom studies usually focus on “K-Pop Idol” fandom, because idol fandom is well known, big-sized and well-organized, and it holds a large consumer market in the culture industries. However, the fandom of Korean youth cannot be confined to idol fandom. The areas of interest of fans are various, including comics, movies, indie music, novels, history (and historical dramas), sports, internet games, and more. As the informants of this study grew up alongside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information media, and they are used to popular culture and its fandom. We can say that fandom is their conventional activity. There are some characteristics in Korean youth fandom. Although cultural details are different from one genre to another, consuming “cultural goods” is very important in the fan`s world. Cultural goods in fandom includes more than only the official products like music CDs, T-shirts or listening to music repeatedly via internet streaming service, but also secondary products produced by fan themselves which include fan-fic (fan fiction), illustrations, photos taken by themselves, key-rings, self-made figures, and more. To consume these goods means to show one`s own identity as a fan, and they think they can have true membership through consuming the goods. To get some information about their favorites an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ans are using various media platforms. One of the most useful communicating platforms is Twitter. Fandom means some kind of taste. However, sometimes some fans try to hide their own taste for fandom. For example, idol fandom is treated as vulgar or shallow-brained. In addition, some women who are fans of sports like baseball, football and e-sports are viewed as if they are merely looking for handsome guys. Another such case is that it is not considered appropriate in Korea to prefer Japanese animations or comics. Hence, there is a“hierarchy of taste.” In this hierarchy, some fans who do not want to be evaluated through their own taste try to conceal the fact that they are fans of a specific genre.

      • KCI우수등재

        고소설 독서 주체로서의 사대부가(家) 여성 독자층에 대한 통시적 이해 - 계층적 소설 독서 문화 취향을 중심으로

        이민희(Lee, Min-heui)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5

        고소설사에서 독자층의 실재(實在)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사대부가(士大夫家) 여성’을 고유한 독서 문화 취향을 지닌 독자층으로 보고, 그들이 보인 고소설 독서 실태를 여러 시대의 문헌 기록을 토대로 통시적으로 고찰해 그 문학 사회학적 의미를 고구(考究)하고자 했다. 16∼18세기에 사대부가 여성들의 소설 독서에 대한 파편적 기록들을 통시적으로 살필 때 사대부가 여성 독자층의 고유한 소설 독서 문화 취향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16세기 이후 사대부가 여성들은 사대부 남성들이 중국 전기소설과 중국 통속연의소설을 한글로 번역한 소설책을 다수 접하고, 국내 창작 한문소설의 한글 번역본을 읽게 되었다.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본 소설 독서는 ‘1) 사대부 남성의 중국소설번역 -〉2)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 번역본 소설의 독서, 필사, 보관 -〉3) 가문 내 한글본 소설의 전승’이란 과정을 통해 통시적으로 이어졌다. 18세기에는 상층 남성들의 세책본 소설 독서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한글소설을 사대부가 여성들이 직접 선택해 읽고, 이를 소비하는 독서 주체로 성장했다. 18세기 후반에는 사대부가 여성들이 직접 한글소설을 창작하기에 이르렀다. 사대부가 여성 독자들이 여러 대에 걸쳐 한글소설을 필사, 향유, 보관, 전승하는 독서 문화 취향을 마련하고, 자기검열과 ‘일탈적 긴장감’을 통한 소설 독서 욕구를 충족해 나갔으며, 소설 독서를 소비 행위로 인식하고 화폐 경제사회의 소비 주체로 성장한 것 등에서 소설 독서에 관한 사대부가 여성 독자층의 계층적 문화 취향 형성과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How can we understand the reality of class in classical fiction history? To solve this question, this study uses the ‘upper-class female[士大夫家 女性]’ readership as an example of the reality of reading their classic novels and their literary and sociological meanings. The upper-class female readership was viewed as a social class, and the novel reading patterns and real images of aristocratic female were viewed collectively based on literature records from different ages in terms of classes, not individuals. Since the 16th century, upper-class females have enjoyed reading Korean-language translations of Chinese popular novels, Korean-language translations of Korean-made chinese novels, and Korean-language novels. Reading Korean novels by upper-class females were continuously passed down through the process of 1) translating Chinese novels by upper-class men-〉2) reading, transcribing, and storing Korean novels by upper-class females-〉3) transcribing Korean novels in the family. This clearly shows that reading Korean novels by upper-class female readers has become a hierarchical cultural taste. In the 18th century, upper-class females chose and consumed Korean novels handled by book rental shops, and in the late 18th century, upper-class females even created Korean novels themselves. By examining fragmentary records of upper-class female’s novel reading diachronically in the 16th and 18th centuries, it is possible for us to understand the unique hierarchical taste of upper-class females’ culture of reading novels. The taste in novel reading culture, in which upper-class female readers copy, enjoy, store, and transmit Korean novels,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satisfying the desire to read novels through self-censorship and ‘deviating tension’, and reading novels as an act of consumption. It can be characterized as the preference for reading novels of upper-class females readership, such as the fact that it has been recognized and established as a consumer in the monetary economy and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