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의 추심 - 채권의 공정한 추심에 관한 법률의 관점에서 -

        정소민(Chung, So-Min) 한국재산법학회 2017 재산법연구 Vol.33 No.4

        금융산업의 양적 팽창과 부실채권의 발생에 따라 불법적인 채권추심행위가 증가하고 사회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특히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의 추심은 법률 지식이 부족한 채무자를 상대로 추심업체가 기만적인 방법으로 채무자가 시효이익을 포기하도록 오도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를 입법적으로 규제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우리 민법상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을 추심하는 것 자체가 금지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 추심과정에서 기만적이거나 편법적인 행태가 만연하다면 이는 채무자 보호 및 금융산업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공정한 채권의 추심에 관한 법률의 개정을 통하여 발 빠른 규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가계대출채권 부실화의 문제는 이미 수 년 전부터 우리 경제의 골칫 거리로 대두하였고, 기업의 대출거래에서 이사 등을 보증인으로 세웠던 과거 금융관행에 따라 부실화된 개인의 보증채무도 다수 존재한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소멸시효 완성채 권에 대한 기만적이고 편법적인 추심에 대해서 강력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일각에서는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에 대한 양수도거래를 금지하고 추심행위를 규제 하려는 움직임에 대하여 도덕적 해이를 조장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존재한다. 그런데 소멸시효제도는 본래 정당한 권리관계에 따른 권리 행사가 오랜 기간 이루어지지 않았을때 그 정당한 권리보다 “권리의 불행사”라는 사실 상태를 존중하는 공익적 제도이다. 즉일정 기간이 지나면 그 권리관계가 소멸하는 것으로 확정하고 매듭지으려는 것이 소멸시 효제도의 취지임을 고려할 때 소멸시효 완성채권의 양도, 재양도를 통하여 장기간의 채권 행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소멸시효제도의 본래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 또한 개인의 보증채무의 경우 회사는 이미 파산하여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데, 그 당시 이사의 지위에서 보증채무를 부담한 개인을 쫓아 소멸시효가 완성된 보증채무를 추심하는 것은 금융기 관의 기업대출에 따른 리스크를 개인에게 전가하는 측면이 있다.이러한 관점에서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에 대한 추심행위를 효과적으로 규제하기 위하여 소멸시효 이익 포기에 관한 특칙, 소멸시효 완성 사실의 고지의무 부과,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의 양수도 금지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채권의 공정한 추심에 관한 법률의 개정안이 발의된 것은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조속히 입법되어 채권추심관행이 보다 건전화되기를 기대한다. Due to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financial industry and the occurrence of bad debts, the debt buying business has increased sharply. As a consequence, illegal debt collection increased and became a social problem. Especially, a debt collector often misleads the debtor in a deceptive manner to pay the debt whose extinctive prescription is completed. The collection of the debt with extinctive prescription completed is not prohibited under the Civil Code of Korea. However, if deceptive or illegal behavior is engaged in the process of collection, it should be regulated in a timely manner. Moreover, most of the debtor, who suffer from deceptive or illegal collection, is a debtor of a small money lending transaction.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trong countermeasure against collection of the debt with extinctive prescription completed in order to protect the debtor as well as ensure the soundness of the financial industry.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encouraging that the amendment bill of the Fair Debt Collection Act of Korea was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Under this amendment bill, collection or transfer of the debt with extinctive prescription completed is banned. Additionally, the debt collector has the duty to inform the debtor if extinctive prescription of the debt is completed. Moreover, abandonment, by the debtor, of benefits from completeness of extinctive prescription of the debt, will be void and null if the debtor is not aware that extinctive prescription of the debt is completed. This amendment bill should be passed at the National Assembly as soon as possible to protect the debtor from deceptive or illegal collection of the debt and help financial industry establish sound debt collection practices.

      • KCI등재

        (일명) 죽은 채권 부활 금지법에 관한 연구

        차상휘(Sangwhi Cha),송양호(Yangho Song)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49 No.-

        금융회사의 대출채권은 상사채권으로 분류되며, 권리를 행사하지 않은 때로부터 5년의 기간이 경과하면 소멸시효가 완성되고, 채무자는 소멸시효 완성채권에 대해서는 변제의무가 소멸하게 된다. 하지만, 소멸시효가 완성된 이후에도 채권추심자들은 소멸시효 완성채권을 매입한 후 채무자가 소멸시효가 완성되었음을 제대로 알지 못한 상태에서 소액 변제를 받아내거나 지급명령 신청 등을 통해 완성된 소멸시효를 다시 부활시켜 채권추심활동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추심행위를 금지하기 위해서는 채권추심법상 제11조 제1호의 ‘무효이거나 존재하지 아니한 채권을 추심하는 의사를 표시하는 행위’에 해당되어야 한다. 하지만, 소멸시효 완성 채권의 법적 효력에 대한 다양한 견해로 인해 ‘소멸시효 완성 채권’이 ‘무효이거나 존재하지 아니한 채권’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견해가 나뉘어지고 있어, 현행법 하에서는 시효로 소멸한 채권에 대하여도 채권추심이 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0대 국회에서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의 추심행위를 금지하는 (일명) 죽은 채권 부활 금지법(‘채권의 공정한 추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 발의되었다. 발의된 법률개정안은 소멸시효 완성된 채권의 추심행위를 금지하고, 채권추심자는 채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무자에게 소멸시효 완성 사실을 고지하여야 한다. 또한, 지급명령의 신청 등 소송행위를 할 수 없는 채권추심자의 범위에 대부업자, 상거래채권의 양수인 또는 재양수인을 포함시키고,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소비자 관련 단체 등의 단체소송제도의 도입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앞으로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으로 인한 채무자의 피해 발생 가능성이 갈수록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을 감안할 때, 현 20대 국회에서 발의되어 추진되고 있는 소멸시효 완성채권에 대한 추심금지는 적절한 대응으로 보여진다. 다만, 기존 법률적 해석의 틀을 유지하기 위하여 민법상 학설과 판례 등으로 이견이 있는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에 대한 별도의 특례조항을 신설하여 규율하기 보다는 채권추심자의 소멸시효 완성 사실에 대한 고지의무와 이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위반시 처벌조항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제11조 제1호의 ‘무효이거나 존재하지 아니하는 채권’에 ‘소멸시효 완성된 채권’을 법문상 정확하게 포함시켜 이에 대한 추심행위를 금지토록 하는 것이 보다 더 효율적인 규율방법인 것으로 보인다. Financial institutions’ loans are classified with commercial loans whose period of extinctive prescription is only five years and these commercial loans should be invalidated unless creditors exercise their rights within five years. So debtors don’t need to pay for these invalidated loans any more. However, loans collection company tries to buy and continue to collect these invalidated loans from debtors who don’t know that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loans is already completed. To prohibit these illegal collections, the ‘Fair Debt Collection Practices Act’ regulates the ban of collection from invalidated or inexistent loans. However, it is not cleared whether the loans whose extinctive prescription is already completed could be interpreted as invalidated or inexistent loans or not, because there are different theories about the effect of completion of an extinctive prescription. To solve this problem, the 20th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proposed revised the Fair Debt Collection Practices Act that banned the collection from debtors whose extinctive prescription of loans was already completed. This revised act regulates the ban of collection from debtors whose extinctive prescription of loans is already completed, the obligation of notice about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e introduction of punitive damages and class action suits.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 possibility of damages that are caused by an illegal collection of the loans whose extinctive prescription is already completed could be increased, I generally agree with this revised Fair Debt Collection Practices Act that is proposed by 20th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However, I would not like to agree with an exception article about the effect of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because there are inconsistent theories between scholars and there anticipates no effectiveness. Instead, I’d like to suggest the obligation of notice about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and a fine for default when it is not observed. Also, I’d like to suggest the revision of an article 11-1 that the loans whose extinctive prescription is already completed are literally included with invalidated or inexistent loans. These suggestions could be more effective to regulate an illegal collection of the loans whose extinctive prescription is already completed.

      • KCI등재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 -변론주의를 중심으로-

        여미숙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37 No.1

        Since there is no direct provision in the Civil Code regarding the effect of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ere has been a conflict of opinion between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and the relative extinction theory. The main legislations provide that a creditor’s right is not extinct but a debtor has the right to refuse the performance of debt when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completed. But a review of the Korean Civil Code shows that the legislator adopted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proposes that the right of the creditor is absolutely extinct when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completed, but since the Civil Procedure Law takes the principle of pleading the court does not consider the extinctive prescription as ex officio if the debtor who would benefit from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does not claim it. This is criticized by the relative extinction theory. According to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the extinctive prescription claim is ‘Einwendung’. Whether a right is extinct by extinctive prescription is a matter of fact, not a matter of law, so the principle of pleading is applied to it. Therefore, the court can decide only if the fact in issue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which is the start date and the elapse of the period, is asserted by the party. The claim of extinctive prescription is a statement on facts, so the rule that any party’s allegation is common to the other party is applied to it. Therefore, the court can decide even if the fact in issue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asserted by the plaintiff, not the defendant who would benefit from the extinctive prescription. However, even if the plaintiff, the creditor, asserts the date of payment as the cause of the claim it can not be regarded as the fact in issue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e defendant’s legal statement that the plaintiff’s right is extinct is not necessary, but since the extinctive prescription must be asserted concerning the extinction of the right it can not be said the plaintiff’s claim of the occurrence of the right is the claim of the extinction of the right. If the plaintiff’s claim of the date of payment is regarded as the claim of the start date of extinctive prescription as the relative extinction theory proposes, the judgment will be against the principle of pleading and not be justified in many cases in which the start date and period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matter. As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proposes, the party who would benefit from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must claim it at trial based on the principle of pleading. The effect of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taken by the Civil Code.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에 관하여 민법에 직접적인 규정이 없어 소멸시효의 완성으로 권리가 소멸한다는 절대적 소멸설과 소멸시효의 완성으로 당사자의 원용권이 생기고 원용권이 행사되어야 권리가 소멸한다는 상대적 소멸설이 대립되어 왔다. 주요 입법례는 소멸시효가 완성되면 권리가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채무자가 이행거절권을 갖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민법 제정과정을 보면 민법의 입법자는 절대적 소멸설을 취하였다고 할 수 있다. 절대적 소멸설은 소멸시효가 완성되면 권리는 당연히 소멸하나 민사소송법이 변론주의를 취하므로 소멸시효의 이익을 받을 자가 소멸시효의 완성으로 권리가 소멸하였음을 소송에서 주장하지 않으면 법원이 시효를 직권으로 고려하지 못한다는 것인데, 상대적 소멸설은 이를 비판한다. 절대적 소멸설에 의하면 소멸시효주장은 ‘Einwendung’에 해당한다. 소멸시효에 걸렸는지 여부는 법률문제가 아닌 사실문제로서 변론주의가 적용되므로 당사자의 주장을 통해 소멸시효의 주요사실, 즉 소멸시효의 기산점과 소멸시효기간 경과 사실이 소송에 현출되어야 법원이 이를 재판의 기초로 삼을 수 있다. 또한 소멸시효주장은 권리항변이 아닌 사실항변으로서 주장공통의 원칙이 적용되어 소멸시효의 주요사실이 어느 당사자에 의해서건 주장되기만 하면 되므로 소멸시효 이익을 받을 피고가 아니라 원고에 의해 주장되어도 법원이 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채권자인 원고가 청구원인사실로서 이행기의 도래를 주장하는 것이 소멸시효의 주요사실을 주장한 것으로 된다고는 볼 수 없다. 피고가 권리가 소멸하였다는 법률상 주장까지 할 필요는 없으나, 소멸시효는 권리의 소멸에 관하여 주장되어야 하므로 원고가 권리의 발생에 관하여 주장하였다고 하여 권리의 소멸에 관하여도 주장한 것이라고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상대적 소멸설의 주장처럼 원고의 권리의 발생에 관한 주장으로서 변론에 나타난 채권의 발생일 또는 이행기가 소멸시효의 주요사실로서 주장된 것으로 본다면 소멸시효의 기산점과 기간이 문제되는 다양한 소송에서 변론주의에 반하는 부당한 결론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절대적 소멸설이 소송에서 소멸시효 이익을 받을 자의 소멸시효주장이 필요하다고 하는 것은 변론주의에 근거한 것으로서 타당하고,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는 민법이 취하고 있는 절대적 소멸설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 KCI우수등재

        본래 채권의 시효소멸이 손해배상과 해제에 미치는 영향

        고유강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5

        민법 제167조는 소멸시효 완성은 그 기산일에 소급하여 효력이 생긴다고 규정한다. 종래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에 관한 논의는 절대적, 상대적 소멸설 간의 대립이 중심이었고, 소급효는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본고는 계약상 본래 급부의 이행을 구할 수 있는 채권이 시효로 소멸한 경우, 손해배상이나 해제 등 채무불이행 구제수단의 운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려 한다. 제167조의 소급효가 문제되는 주요한 국면은 원본채권이 시효소멸하면 그에 종속된 이자나 지연손해금을 처리하는 문제라고 설명해 왔다. 그런데 제183조에서 주된 권리의 시효소멸로 종된 권리도 함께 소멸함을 규정하니, 중복규율의 문제가 자연스레 제기된다. 시효완성의 소급효를 규율하는 제167조의 독자적 의미는, 본래 채권의 시효가 완성한 다음, 시효완성 전 생긴 채무불이행에 따른 구제수단을 행사할 수 있는지를 따지는 장면에서 찾을 수 있다. 먼저 손해배상청구권부터 보면, 채무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권의 기산점은 채무불이행시부터 소멸시효가 진행한다고 보는 것이 확립된 판례이다. 기산점을 본래 채권과 별도로 잡는 것이 의미 있으려면, 손해배상청구권 자체의 시효가 만료하기 전에는 본래 채권이 시효가 완성되더라도 소급효로 함께 소멸하지 않는다고 해석하여야 한다. 예외적으로 지연배상은 제183조의 명문규정이 있으니 본래 채권이 시효로 완성하면 일괄하여 소멸한다. 반면 해제권의 경우, 제척기간이 만료하기 전이라도 본래 채권이 시효로 소멸하면 해제권도 함께 소멸하고, 다만 본래 채권의 시효완성 전 해제권이 행사되었다면 원상회복청구권은 그때부터 독자적인 소멸시효에 걸린다고 보아야 한다. 이렇게 보면 채무불이행의 구제수단들 사이에 행사 가능 기간의 편차를 줄이면서도 개별 구제수단이 실효적인 구제역할을 담보하고, 채무불이행에 따른 후속 법률관계나 오랜 기간 불안정한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rticle 167 of the Korean Civil Code stipulates that upon the completion of an extinctive prescription, its effect shall retroactively extend to the date of its initiation. The retroactive implications of the extinction have been relatively underexplored. This article aims to scrutinize the repercussions of the prescription on default remedies, notably damages and rescission, in instances where the original claim for performance in kind has expired due to extinctive prescription. A salient feature of Article 167's retroactivity pertains to the handling of accrued interest or delay damages related to the extinction of the claim for performance. Since Article 183 of the Civil Code already delineates that ancillary rights dissolve upon the main right's extinction, questions naturally arise about the redundancy of the aforementioned provisions. Other legislations commonly reference either Article 167 or Article 183, not both. The distinct significance of Article 167 can emerge when assessing the viability of remedies for defaults predating the prescription's conclusion. In terms of damages, established legal precedent dictates that the initiation for the prescription commences upon default, not from the date when the original claim for performance was actionable. For this rule to hold value, in a scenario where the claim for performance expires prior to the damage claim’s separate expiration date, the damage claim should remain unaffected from the retroactive extinctive effect. An exception to this rule is delayed compensation, which, as per Article 183, is nullified once the claim for performance’s extinction term is fulfilled. Conversely, the right of rescission, is nullified if the original claim for performance expires expires prior to the exercise of the rescission right. Yet, if the rescission right is invoked before the claim for performance’s expiry, subsequent restitution claims retain their dedicated limitation period. This ensures a minimized variance in limitation periods among default remedies, guaranteeing each remedy's efficacy, and preserving legal stability.

      • KCI우수등재

        채권압류 후 피압류채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된 경우 시효중단사유의 종료 여부 - 대법원 2017. 4. 28. 선고 2016다239840 판결 -

        南冠牟 ( Nam Kwan Mo ) 법조협회 2019 法曹 Vol.68 No.5

        대상판결은 체납처분에 의한 채권압류 후 피압류채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되어 소멸하면 압류대상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압류가 실효되므로, 시효중단사유가 종료되어 그때부터 집행채권의 소멸시효가 새로이 진행한다고 판시하였다. 체납처분에 의한 채권압류로 집행채권의 소멸시효가 중단된 경우 피압류채권추심 등으로 집행절차가 종료되거나 압류가 해제된 때 시효중단사유가 종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상판결은 이에 더 나아가 피압류채권이 소멸시효 완성 등으로 소멸하여 압류가 실효된 경우에도 시효중단사유가 종료된다고 한 것이다. 압류 후 피압류채권이 소멸한 경우는 물론 피압류채권의 법률상 집행가능성이 압류 당시부터 부존재하거나 압류 후 없게 된 경우에는 시효중단사유가 종료되어 집행채권의 소멸시효가 새로 진행한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현행 민법의 해석으로는 소멸시효가 완성되면 의무자의 원용 없이도 권리가 당연히 절대적·대세적으로 소멸한다고 새기는 것이 타당하다(절대적 소멸설). 그리고 피압류채권이 소급적으로 소멸하더라도 시효중단사유까지 소급하여 종료되지는 않는다. 그 결과 채권압류 후 피압류채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되면 제3채무자의 원용 없이도 피압류채권이 소멸하고, 이로 인하여 피압류채권의 집행가능성이 없게 되어 피압류채권의 소멸시효 완성시점에 채권압류에 의한 시효중단사유가 종료된다. 따라서 피압류채권의 소멸시효 완성시점을 기산점으로 집행채권의 소멸시효가 새로이 진행하게 된다. 대상판결은 이와 결론을 같이하여 타당하다. Extinctive prescription shall be interrupted by an attachment, and the prescription which was interrupted begins to run anew from the time when the cause of such interruption has ceased to exist, based on article 168, article 178 of the Civil Act of Korea. The Supreme Court of Korea ruling shows that extinctive prescription shall begin to run anew from the time when extinctive prescription of claims being seized by disposition on default have become complete thereby the claims have lapsed after an attachment; the seizure turns invalid because of non-existing property subject to it. In matters of the interruption of prescription during the procedure of disposition on default, it is commonly said that the interruption has ceased to exist and the statute of limitations starts to run anew in case of the procedure has finished or has been discharged. The decision adds a case where an attachment becomes invalid caused by running out of extinctive prescription of the seized claims thereafter. For the reasons below, I agree with the decision of the subject case. Firstly, I argue that extinctive prescription which was interrupted by an attachment shall begin to run anew from the moment when it had been impossible to collect the seized claims from the first or when it became inexecutable to do so afterward, by issues of law not fact. Secondly, it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claims be extinguished by completion of the prescription, regardless of debtors' intent, following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not the Relative Extinction Theory. Thirdly, seized claims dissipate retroactively notwithstanding, extinctive prescription is considered not to have begun and lapsed from the past retrospectively. Consequently, extinctive prescription starts to run anew from the time when claims being seized by disposition on default have become inexecutable for the prescription period expired.

      • KCI등재

        消滅時效 完成의 效果

        강구욱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외법논집 Vol.39 No.3

        In Korean Civil Law, With the effect of extinctive prescription of rights, Article 162 (1)& (2), Article 163(1) and Article 164(1) prescribe “the extinctive prescription shall become complete.” With the retroactive effect of extinctive prescription, Article 167 prescribes “the effect of extinctive prescription shall be retroactive to the day on which it began to run.” With regard to the suspens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Article 179 and Article 180 (1)&(2) prescribe “prescription shall not become complete.” In Article 181 and Article 182, both of them also prescribe “extinctive prescription shall not become complete.” But, there is no direct regulation about the effect of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in Civil Law which roughly outlines extinctive prescription. Accordingly, the debate over how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e 'Extinguishment of right theory' and the 'Rights of invocation generation theory' has been continued for decades. The key point of the debate lies in whether the extinguishment of a right due to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shall vary with 'invocation' of parties which is specified in Article 145 of Japanese Civil Law. With respect to this debate, we geneally understand that the 'Extinguishment of right theory' is dominant wisdom and the Supreme Court is also prone to uphold it. However, this study reveals that the 'Rights of invocation generation theory' has been a general tendency of numerous theories and precedents. Based on this situation, the study, therefore, suggests we should take the 'Extinguishment of right theory' as interpretation of Korean Civil Law by examining regulations of Foreign law, especially Japanese Civil Law, and its related theories and precedents, by tracing legislator's intent through examining the process of legislation of Korean Civil law and by revealing a problem of 'Rights of invcation generation theory' through reviewing and criticizing its main logical basis. 民法 제162조 제1항, 제2항, 제163조 제1항, 제164조 제1항은 權利의 消滅時效의 效力에 관해 “消滅時效가 完成한다.”고 規定하고, 제167조는 消滅時效의 遡及效에 관해 “消滅時效는 그 起算日에 遡及하여 效力이 생긴다.”고 規定하며, 消滅時效의 停止에 관해, 民法 제179조, 제180조 제1항, 제2항은 “時效가 完成되지 아니한다.”고 規定하고, 제181조는 “消滅時效가 完成하지 아니한다.”고 規定하며, 제182조는 “時效가 完成하지 아니한다.”고 規定하고 있을 뿐 消滅時效에 관한 大綱을 정하고 있는 民法 總則編에는 消滅時效 完成의 效果에 관한 直接的 規定이 없다. 이에 消滅時效 完成의 效果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하는 점에 관해 權利消滅說과 援用權發生說의 論爭이 數十年間 持續되고 있는데, 그러한 論爭의 要諦는 消滅時效 完成으로 因한 權利의 消滅에 日本 民法 제145조에 規定되어 있는 바와 같이 當事者의 ‘援用’이 必要한지 與否에 있다. 이 論爭에 관해서는 權利消滅說이 通說 내지 多數說이고, 大法院 判例 역시 基本的으로 權利消滅說의 立場이라고 보는 것이 보통이다. 그렇지만 筆者는, 이 硏究를 통해, 援用權發生說이 學說⋅判例의 大勢를 이루고 있음을 糾明하고, 外國 특히 日本 民法의 規定과 그 規定에 관한 學說⋅判例를 檢討하고, 우리 民法의 立法 過程을 檢討함으로써 立法者의 意思를 追跡한 다음, 援用權發生說이 내세우는 主要 根據를 檢討⋅批判함으로써 援用權發生說의 問題點을 究明하여 우리 民法의 解釋論으로는 權利消滅說을 취해야 한다는 拙見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멸시효에 관한 민법개정논의에 대한 평가와 전망

        위계찬 대한변호사협회 2023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11

        본 논문은 소멸시효에 관한 민법개정 논의의 내용과 그에 대한 전망을 다루었다. 소멸시효에 관한 민법 규정의 개정논의 결과물은 2004년과 2014년에 나왔다. 따라서 본 논문도 이들, 특히 2014년 민법개정시안의 소멸시효에 관한 개정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014년 민법개정시안은 민법개정의 목표를 민법의 현대화와 국제화에 두고 성안되었다. 소멸시효에 관하여도 현대화와 국제화의 목표 하에 현실에 맞게 개선하고 외국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민법개정안을 마련하였다. 민법개정시안이 확정되어 발표된지 10년여의 세월이 흘렀지만 보다 좋은 입법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2014년 민법개정시안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소멸시효의 기간과 기산점에 관하여는 이중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즉 소멸시효의 기간과 기산점에 관하여 현행 객관적 체계에 따른 기간에 관한 규정을 그대로 두고, 채권의 소멸시효에 관하여는 주관적 기산점을 도입하면서 기간을 단축하는 규정을 제안하고 현행 단기소멸시효에 관한 규정을 삭제하였다. 그리고 현행 민법이 소멸시효의 중단과 정지를 소멸시효 장애사유로 규정함에 반하여 민법개정시안은 소멸시효의 장애사유로서 시효의 정지, 완성유예, 재개시와 이들이 결합된 유형을 도입하였다. 또한 민법개정시안은 소멸시효의 정지와 완성유예를 취득시효에 준용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이외에 소멸시효의 완성의 효과로서 상대적 효력설을 채택하였다. 민법개정위원회가 제시한 소멸시효에 관한 민법개정시안은 현실적합성을 갖추고 국제적 흐름을 반영한 것이다. 민법의 현대화와 국제화를 위한 중요한 성과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추가적인 논의를 통하여 수정과 보완이 필요한 부분도 많이 발견된다. 특히 소멸시효의 장애사유의 세분화와 체계화 과정에서 아쉬운 점이 발견된다. 가령 민법개정시안에 따른 시효의 정지와 재개시의 관계, 시효의 기산과 정지 등의 규율에 있어서 체계적인 규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민법 이외에 상법 등 특별법상의 소멸시효에 관한 규정에 관하여는 아무런 논의를 하지 못하였다는 점 또한 아쉽다. 민법개정위원회가 당초 민법전의 재산법 규정만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고 그에 따라 위원회의 인적 구성도 다수의 민법학 연구자들과 일부 실무가들로 이루어진 것도 그러한 한계의 이유가 되었던 것 같다. 향후 새로운 입법논의와 입법화의 과정에서는 민법뿐만 아니라 상법 등 특별법상의 규정들도 함께 고민하여 종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소멸시효완성채권의 불공정추심행위 규제에 관한 소고

        박지원 ( Park Ji Won ),정영수 ( Jung Young Soo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3

        현재 일부 금융회사들은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을 소각처리하지 않고, 대부업체 등 제3자에게 저가에 매각하고 있다. 헐값에 채권을 양수한 대부업체 등은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에 대해서 불공정한 추심행위를 하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다. 즉 대부업체 등은 일부만 변제하면 나머지 채무를 탕감해주겠다는 식으로 채무자가 임의변제하도록 함으로써 시효이익의 포기를 유도하거나, 법원의 전자독촉절차를 이용하여 지급명령을 발부받아 채무자의 재산에 강제집행을 실시하기도 하는 등 채무자를 회유하여 소멸시효 완성된 채권을 실질적으로 부활시키고 있다. 이에 대하여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의 불공정한 채권추심행위가 「채권의 공정한 추심에 관한 법률」 제11조에서 금지하는 거짓표시에 해당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도 소송을 통한 채권추심의 경우에 피고가 시효완성의 항변을 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인하여 채권이 부활하는 것과 같은 효과는 막을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하여 미국의 경우에도 유사한 사회현상을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법으로 다양한 입법적 해결을 도모하고 있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비교법적 연구결과 해결방안으로서 (1) 독촉절차에서 채권추심자에게 소멸시효완성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첨부하게 하거나, (2) 채권추심자에게 소멸시효완성에 대한 적극적 조사의무 및 채무자에 대한 고지의무를 부과하는 방안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일반적인 채권추심자와 그로부터 채권을 양수한 자를 구별하여 후자에게 더욱 엄격한 요건을 부과할 것인지 역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 Currently, some financial companies do not charge off some debts which are time barred under § 162 of the Korean Civil Code or § 64 of Korean Commercial Act, but rather sell them to third parties(hereinafter called as “debt buyer”), such as lenders or professional debt collectors. Then there are cases in which debt buyers buying such time-barred debts at a very low price are conducting unfair debt collection practices on those debts. In other words, the debt buyers induce the renunciation of the statutory profit of time-barred debt by allowing the debtor to make voluntary partial payment. They are also using common practice by saying “If you pay only a part, I will cancel the remaining debt”. They also using demanding procedure under § 462 of Code of Korean Civil Procedure to revive time-barred debt. In this regard,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at the unfair collection of the time-barred debt is a false indication prohibited by § 11 of the "Korean Unfair Debt Collection Practices Act". However, even in this case, in case of collection of the claim through the lawsuit, if the defendant has not made affirmative defense of time-barred debt, it can not prevent the effect like the revival of the time-barred deb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US is experiencing a similar social phenomenon, and accordingly, various statutory solutions are being pursued by state legislatures.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legal research, it is necessary (1) to make collectors to attach materials to decide whether the debt is time-barred or not, in the demanding procedure, (2) to oblige the debt collectors to actively investigate the completion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and to inform it to the debtors. It is also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a creditor and the debt buyer, and whether or not to impose more stringent requirements on the latter.

      • KCI우수등재

        시효소멸 인정과 원용의 관계

        석현수 한국민사법학회 2019 民事法學 Vol.88 No.-

        About the effect of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ere is a conflict of opinion between the theory of conditional extinction and the theory of unconditional extinction. But there is consensus between scholars and the supreme court that if the litigant receiving the benefit of extinctive prescription does not make any statement about extinctive prescription, the court can not recognize the extinction of right due to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On the contrary,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ough the litigants benefiting from extinctive prescription do not make any statement about extinctive prescription, the courts can recognize the extinction of right due to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ere are three kinds of the statements about extinctive prescription in litigation: ① the invoca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as exercising the right of formation, ② a factual statement that there was formative invocation, and ③ a legal statement that right have vanished due to prescription. This paper asserts that none of above ①, ② and ③ is the requirement for the court to recognize the extinction of right due to the completion of prescription. The fact that ① and ③ is not a requirement is related to the principal of pleading, and the fact that ② is not a requirement is relat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to choose theory of conditional extinction or theory of unconditional extinction. Taking the view of this paper based on the theory of unconditional extinction that ③ is not a requirement of the court's recognition of the extinction of right due to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it is possible to avoid the error of applying the principal of pleading to the legal statement, and there is an advantage to protect the litigant who lacks the legal knowledge. And unexpected trials that may arise from taking this view can be prevented by acknowledging the duty of the court to request elucidation. 소멸시효 완성의 효력에 관해 상대적 효력설과 절대적 소멸설이 대립하지만, 학설과 판례는 소송에서 시효의 이익을 받는 소송당사자가 소멸시효에 관한 진술을 전혀 하지 않는 경우 법원은 시효소멸의 법률효과를 인정할 수 없다는 결론 면에서는 일치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논문은, 시효의 이익을 받는 소송당사자가 소멸시효에 관한 진술을 전혀 하지 않아도 법원이 시효소멸의 법률효과를 인정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는 입장을 취한다. 소송에서의 소멸시효에 관한 진술에는 그 법적 성격 면에서 서로 구별되는 3가지가 있는데, ① 형성권 행사로서의 원용, ② 위 원용이 있었다는 내용의 사실상의 진술, 그리고 ③ 권리가 시효로 인해 소멸했다는 법률상의 진술이 그것이다. 본 논문은 위 ①, ②, ③의 진술은 모두 법원이 시효소멸을 인정하기 위한 요건이 아니라는 입장을 취하는데, 이 중 ①, ③이 요건이 아니라는 점은 절차법상의 변론주의와, ②가 요건이 아니라는 점은 실체법상 절대적 효력설과 상대적 효력설 중 어느 것을 택할 것인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변론주의는 법률상의 주장에는 적용되지 않으므로 ③은 소송상 시효소멸이 인정되기 위한 요건이 될 수 없다. ①은 절대적 소멸설에 의하면 그 개념조차 성립되지 않고, 상대적 소멸설에 의하더라도 법원이 법률효과를 인정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그 요건사실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요건사실이 존재한다는 사실상의 주장이므로, 소송상 시효소멸 인정의 요건이 될 수 없다. ②는 상대적 소멸설에 따르면 법원의 시효소멸 인정의 요건이지만 절대적 소멸설에 의하면 위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 그런데 구체적 타당성 측면에서나 이론적 간명성 측면에서나 절대적 소멸설을 택하는 것이 낫기 때문에 형성적 원용 사실의 진술은 소송상 시효소멸 인정의 요건이 아니다. 절대적 소멸설에 기초하되 ③은 소송상 시효소멸 인정의 요건이 아니라고 보는 본 논문의 견해는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법률상 주장에 변론주의를 적용하는 오류를 피할 수 있고 구체적 타당성의 측면에서는 법률적 지식이 부족한 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견해를 취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예상 밖의 재판은 법원의 석명의무를 인정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시효의 원용과 변론주의, 그리고 법원의 석명의무 - 실체법과 절차법의 교착 -

        徐鐘喜 ( Seo Jong-hee )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2

        소멸시효완성의 효과를 어떻게 볼 것인지(상대적 소멸설로 볼 것인지 아니면 절대적 소멸설로 볼 것인지)에 대한 실체법적인 논의는 변론주의 및 법원이 석명을 통해 채무자의 시효원용을 유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절차법적인 논의와 교착(交着)된다. 먼저 절대적 소멸설을 취하면서 권리항변으로서 시효소멸의 항변을 바라보는 경우(‘피고의 소멸시효에 관한 진술’을 요건사실로 보는 경우 포함)에는 상대적 소멸설과 절차법적 측면에서는 차이가 잘 드러나지 않으며, 권리소멸이라는 실체적 효과가 시효기간의 경과만으로 발생한다고 설명하는 절대적 소멸설은 급부거절로서의 항변권을 전제로 하는 권리항변과 어울리지 않는다. 한편 절대적 소멸설을 취하면서 시효원용을 권리항변으로 보지 않는 견해(‘피고의 소멸시효에 관한 진술’을 요건사실로 보지 않은 견해 포함)에 의하면, 주장공통의 원칙에 의해 원고의 청구가 기각되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원고에게 불의의 타격을 주게 되므로 법원은 적극적인 석명을 통해 원고 측의 이익을 배려하는 조치(시효의 중단, 기산점, 시효이익의 포기 등)를 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상대적 소멸설에 의하면 소송에서의 ‘원용’은 변론주의원칙상 당사자가 주장해야 할 요건사실에 해당하며, 시효의 원용은 시효소멸의 효과를 가져오는 형성권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그런데 법원이 석명을 통해 시효의 원용을 유도하는 것은 실체법적으로 아직 발생하지 않은 시효 완성에 의한 효과를 석명으로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즉 석명에 의해 사안의 실체법적 조건의 변경을 가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법원이 석명으로 시효원용을 유도하는 것은 위법하며 법관의 기피사유에 해당할 수 있다. Die materiell-rechtliche Frage nach der Wirkung des Ablaufs der Verjährung ist eng mit dem Verfahrensrecht verflochten. Die Verjährung berührt nach der Theorie, dass Rechte nicht verfallen(oder dass die Verjährung geltend gemacht werden sollte), den anspruchsbegründenden Tatbestand und mithin das Bestehen des Rechts des Gläubigers nicht. Ihr Eintritt verschafft dem Schuldner vielmehr ein Gegenrecht, nämlich die Befugnis, die Leistung zu verweigern. Die Geltendmachung des Gegenrechts, die Erhebung der Einrede der Verjährung, ist eine geschäftsähnliche Handlung des sachlichen Rechts. Für den Hinweis bietet § 136 ZPO keine Grundlage. Der KOGH(südkoreanische Oberste Gerichthof) hat zwar bisher die Frage, ob das Gericht nach dieser Vorschrift den Anspruchsgegner auf die Möglichkeit hinweisen darf, sich mit der Einrede der Verjährung zu verteidigen ausdrücklich negative entschieden(62Da466). Die Verneinung des Rechts, auf ein vorübergehendes Leistungsverweigerungsrecht (Zurückbehaltungsrecht) aufmerksam zu machen nimmt die Entscheidung aber im Grundsatz vorweg. Auf der anderen Seite, nach der Theorie, dass Rechte im Laufe der Zeit verschwinden, ohne Anspruch auf die Verjährung zu erheben, da es dem Kläger einen unerwarteten Schlag versetzen wird, wird das Gericht Maßnahmen treffen müssen, die die Interessen des Klägers durch eine aktive Aufklärung berücksichtigen(Verjährungsunterbrechung, Beginn, Verzicht auf verschreibungspflichtige Leistungen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