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짓소리의 개념과 음악적 실체 - 경제·완제·영제를 비교하여 -

        윤소희 한국음악사학회 2014 한국음악사학보 Vol.52 No.-

        Chissori 짓소리 is take long hours performing almost chanted in form of chorus, the way of vocalization is very strongly and grand in low pitch and have humming parts. But some time hossori 홋소리 also possess like that characteristics except the strong and grand vocalization in very low pitch. Then the vocalization is the peculiarity of kyŏngje 京制 style, it resemble to Tibetan Buddhist chant especially very low pitch and tough vocalization. This is because that Kyŏnggi province is near Kaesŏng where the capital of Koryŏ dynasty, that period Tibetan Buddhism came to Korea through the Western Xia Dynasty. While in Yŏngnam province Kyŏngju the capital of Silla dynasty located. So the chissori among of Yŏngnam pŏmp'ae 梵唄 is different from kyŏongje 京制. hey prolong the melody from hossori to chissori and kyŏpsori, the characteristics are almost same with kyŏngje but don’t have the vocalization like Tibetan vocalization style. I think it is caused by the regional, the people’s character in Yŏngnam conservative disposition. In the early days, Korean buddhist chants were Silla and Tang of china style. until now they would like to keep the original style. 선행연구에 의하면 짓소리는 선율이 길고, 반탁성으로 꿋꿋하고 장엄하게 발성하는 잣는소리와 자출이는 소리가 있고, 합창을 하고, 그 가운데 허덜품이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한국 범패의 전반적인 면모를 살펴보면, 홑소리에도 잣는소리와 자출이는 소리와 허덜품이 있는 경우가 있고, 짓소리 이상으로 선율이 긴 곡도 있고, 합창을 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짓소리만의 고유한 특징은 반탁성으로 꿋꿋하고 힘찬 발성으로 시김새의 폭이 깊고 우람하게 표현되는 잣는소리 혹은 자출이는 성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고려시대에 원나라를 통해 들어온 티베트 범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개성범패의 영향을 받은 경기 범패의 특징과 연결된다. 영남지역에는 홑소리, 짓소리, 겹소리로 늘려간다. 영남지역에서 쓰는 ‘겹성 음소리(허덜품)’이라는 말을 경기지역 어장 스님들도 써 왔던 것을 그들의 동음집에서 발견하였다. 이러한 점을 보면 예전에는 겹성· 겹소리· 음소리라는 용어가 승려들 사이에 두루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홋소리’라는 표기도 겹의 반대인 홑소리로 바뀌어야 한다. 이 외에도 서울과 영남 짓소리의 공통된 내용을 간추려 보면, 선율을 길게 늘이고, 저음의 구사가 홑소리 보다 폭이 깊고, 합창으로 노래하고, 허덜품이 있는 점이다. 반면 호남 지역의 짓소리는 높은 소리로 질러 내는 것이 독특한 점이었다. 결론적으로 각 지역의 말씨가 다르듯이 범패와 염불 또한 지역별 특징이 있었듯이 짓소리도 마찬가지였다. 그 중에 호남지역은 짓소리 전승이 끊긴 반면 영남지역은 짓소리와 겹소리까지 단계별로 있고, 경기지역은 15곡 정도가 전승되지만 실제로 재장에서 불리는 곡은 ‘인성’ 정도이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짓소리 중에 경제 범패는 개성 범패 즉 티베트의 영향을 받은 굵고 장식적 폭이 잣는소리(자출이는 소리 포함)를 지니고 있고, 영남지역은 당나라로부터 들어온 신라풍 전통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KCI등재후보

        무속인 출신 앞소리꾼의 특성과 능동적 시대 적응

        조정현(Cho, Jung-Hyu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4 民俗硏究 Vol.0 No.28

        이 글에서는 과거의 전통으로 일부 지역에 남아있던 무속인의 상여소리를 주목하여, 현재 안동시 임동면에서 전문 상여소리 앞소리꾼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용락을 사례로 그 연행적 특성과 시대적응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최근 안동지역에서는 전통적인 마을 앞소리꾼은 거의 맥이 끊긴 반면 상장례와 관련한 전문적인 앞소리꾼이 증가하는 추세가 나타난다. 연행성이 강한 민속 대부분이 인위적인 전승으로 변질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도 덜구소리 만큼은 살아있는 현장민속으로서 유지되고 있는 경향에 주목했다. 결국 이 글에서는 무속인 출신 앞소리꾼 김용락(달바우)의 삶과 노래를 살펴봄으로써 무속적 인식과 소리꾼의 생업이 만나 어떠한 민속현상을 드러내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앞소리꾼 달바우는 끊임없이 자신을 다른 앞소리꾼과 차별화하고자 노력한다. 윗대 앞소리꾼인 해바우의 계보를 이으면서 지역에서 사회적으로 생산된 상여소리 구성방식과 사설 등을 적극 활용하면서도, 자신의 특장점을 살려 무속적 성격의 드라마적 요소나 주술적 사설 등을 적극 차용하는 것에서 잘 드러난다. 이를 통해 경쟁력 있는 직업적 앞소리꾼으로서 위상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무속인 출신 앞소리꾼 ‘달바우’의 삶과 민요전승 활동을 살펴본 결과, 무속인이라는 배경이 앞소리꾼으로서 전승과 연행에 상당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는 점과, 전통적인 앞소리꾼보다 더욱 능동적인 시대 적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direction and performance and the aspects of temporal adaptation based on Kim Yong-Rak who has currently been active as a professional bier-sound leading singer in Imdong-myeon, Andong-si, Gyeongbuk, Korea, paying attention to shamans" bier sounds which are left in some areas as part of the past tradition. There is a recent trend that leading singers in traditional villages have almost disappeared, but professional leading singers related to bier funeral rites have increased in the Andong area.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trend that only Deolgu Sound has been maintained as a live folklore on the spot under conditions that most folklores required for strong direction and performance have been changed through artificial transmiss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the life and song of Kim Yong-Rak(Dalbau), a leading singer who was a shaman, to show what kinds of folklore phenomena appeared after shamanistic awareness and a singer’s profession met. Dalbau has continuously made an effort to differentiate himself from other leading singers. He has positively made use of the composition and stories, socially produced in the area, continuing the tradition of Haebau, a leading singer just above him. In addition, he has attempted to borrow drama elements or shamanistic stories actively, strengthening his strengths. He has secured his status as a professional leading singer through these effor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ife and the folk song transmission activity of “Dalbau”, a leading singer from a shaman, it was identified that his background as a former shaman considerably influenced the transmission, direction and performance as a leading singer and had successfully made more active temporal adaptation than traditional leading singers.

      • KCI등재후보

        고사소리패의 양상과 고사소리

        김현선(Kim Heon-Seon),신소연(Shin So-Yeo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7 民俗硏究 Vol.0 No.34

        이 논문은 한국의 고사소리에 대한 탐구를 담고 있다. 한국 고사소리는 마을의 농악대를 비롯한 특정한 유랑예인집단이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고사소리의 양상이 고사소리패와 일정한 관련을 가지면서 다양하게 발전한 것을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고사소리패의 양상을 정리하면서 이들의 고사소리를 집중적으로 조명한 것이 이 글의 결과로 정리되었다. 고사소리는 서울 지역의 경우에 크게 경토리로 하는 관악산조의 고사소리와 메나리토리로 하는 치악산조의 고사소리를 구분하여 말할 수 있다. 이 소리가 고사소리의 전부를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한양-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고사소리패의 고사소리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고장에서는 전혀 다른 고사소리가 있어서 여기에서 다루는 고사소리의 양상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고사소리는 고려시대부터 흔적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그 구체적인 기원은 조선후기를 중심으로 현재의 고사소리와 비슷해진 것으로 보인다. 역사적으로 조선후기의 고사소리는 오늘날의 고사소리와 근접하고 유랑예인집단의 고사소리와도 중요한 일치점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걸립패의 고사소리가 현재의 고사소리패와 근접한 것임을 분명하게 인지할 수가 있다. This paper contains an inquiry into the sound of Korean Mantic Song(Gosasori). It is supposed to be done by a group of specific entertainers incuding the village band of the village. It is worth noting that the aspect of the sound of Mantic Song(Gosasori) has variously developed with a certain relation with the sound of Mantic Song(Gosasori) and the group of the sound of Mantic Song(Gosasori). Especially, this paper summarizes the aspect of the sound of the loudspeakers around the Seoul area, and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se intensive lectures. In the case of the Seoul area, Mantic Song(Gosasori) sound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sound of the sound mode of Gwanaksanjo, which is largely a Gyeongtori, and the sound of Chiaksanjo sound mode, which is a Menaritori. This sound mode does not mean the whole of the sound of the Mantic Song(Gosasori), but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sound of the mode with the center of Hanyang - Seoul. In other faults, there are totally different sounds, so it is different from the aspect of the sound of Mantic Song(Gosasori). Historically, the sign of Mantic Song(Gosasori) began to appear from the Goryeo period, and its specific origin seems to be similar to that of the present Mantic Song(Gosasori)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Historically, it seems that the latter sound of the late Joseon dynasty is dose to the sound of the old dynasty and the sound of the dynasty of the dynastic group has an important point of coincidence. It can dearly be seen that the sound of the gardens is dose to the sound of the old gardens.

      • 아동의 소리곤충 인식도 및 선호도 설문조사 연구

        강인혜,김응경,박수호,신민영,유주현,홍민아,강원국,김옥진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2023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지 Vol.12 No.1

        농촌진흥청에서 진행한 ‘왕귀뚜라미 돌보기 프로그램’으로 노인들의 우울증과 인지 기 능 개선을 통한 정서적 안정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확인하고 이 를 관련 저명 학술지 제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전라북도 익산시에 거주하는 5세부터 10세까지 아동 50명을 대상으로 직접 만나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작성한 총 11 문항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소리 곤충에 대한 인식도는 높 았지만, 선호도와 사육 의향에서 부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또한 소리곤충 중 귀뚜라미의 소리에 대한 문항에서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온 반면 여치의 소리에 대한 문항에서는 부정 적인 결과가 나왔다. 본 논문에서는 소리 곤충에 대한 아동의 인식도 및 선호도를 파악하 기 위한 설문조사 연구를 통해 관련 연구와 활동에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강릉 학산리 민요에 수용된 사당패소리 연구

        손인애(In-Ea, Son)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09 아시아강원민속 Vol.23 No.-

        ??본고는 강릉 학산리에 수용된 사당패소리 중 변화가 많이 이루어진 소리들 (〈잡가〉, 〈담성가〉, 〈사리랑〉, 〈영산홍〉) 전승 과정에서 어떤 양상으로 지역화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지역의 사당패소리는 논매는소리와 길소리, 유희요 등 다양한 기능으로 수용이 되었으며, 지역 음악 문화의 영향 하에 나름대로 독특한 방식으로 변화된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먼저 논매는 소리로 전승된〈잡가〉를 살펴보면, 이 소리는 전승과정에서 변화가 많이 이루어져 현재까지 밝혀진 사당패소리와는 그 상관관계를 밝히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최대한 편린이나마 사설 및 음악 특징을 유추하여 그 연원을 찾아본 결과, 사당패소리 〈꺾음 염불〉과 후렴 일부 사설이 흡사하고, 산타령음악어법으로 된 점에서 상호 연계되는 측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러나 여느 산타령계통 사당패소리와 달리 짧게 한 악구만 독창으로 메기고 바로 제창이 들어가며 후렴도 이어 제창으로 불러 가창방식이 매우 독특하다. 또한 산타령계통 소리처럼 3소박 자유박자가 아니라 이 지역에 수용된 다른 사당패소리처럼 3소박 4박자를 기본 박자로 하여, 전승과정에서 이들 소리와 같은 음악적 맥락 하에 변화를 많이 겪은 것으로 보인다. 논매는소리로 전승된 〈담성가〉는 강릉 학산리에 수용된 사당패소리 가운데 전승과정에서 가장 변화가 덜 이루어진 소리 중 하나이다. 그러나 〈잡가〉와 가장방식이 거의 동일하며, 특이하게 3소박 5박자가 출현하고, 해당지역 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와 대표 지역농요인 〈오독떼기〉의 고음역 선율 진행 영향을 받으며 지역화된 양상을 엿볼 수 있다. 논매는소리로 전승된 〈사리랑〉도 〈잡가〉 및 〈담성가〉와 가창방식이 동일하다. 그리고 〈담성가〉처럼 3소박 5박자가 출현하며, 해당지역 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의 영향이 나타난다. 또한 6도 혹은 8도 간격의 도약진행이 많으며, 대표 지역농요인 〈오독떼기〉처럼 고음역 선율진행이 종종 나타나, 그 영향을 받으며 지역화된 양상을 엿볼 수 있다. 길소리로 전승된 〈영산홍〉도 〈사리랑〉과 〈담성가〉처럼 3소박 5박자가 출현하고, 해당지역 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의 영향이 나타나며, 〈사리랑〉처럼 도약진행이 많아, 같은 음악적 연계선상에서 변화가 이루어진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This study explains the localized feature of sadangpae sari transmitted into Gangneung Haksan folk songs, which are Zabga잡가, Damsung-ga담성가, Sarirang사리랑, Youngsanhong영산홍. These songs, which were sung as various functions in folk songs, have been transmitted in the unique musical ways as compared with sadangpae saris flewed into the other regional folk songs. First, the singing way is different from the one of general folk songs, which has a short solo and a long unison and a original refrain belongs to the long unison. This singing way is only found in sadangpae saris transmitted into Gangneung Haksan folk songs. Second, there are many upper range and leaping process Like the 6th and 8th interval in melody, which is assum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ocal folk song odoktt’aegi오독떼기 or sadangpae soris in this region, which are musically connected with. Third, the time is in part composed of triple five-beat, which is very rare in folk songs. The last, the musical style is uniquely combined with the Gyeong-tori, which is the typical musical style of Sadangpae sari and Maenari-tori, which is the regional musical style of Gangneung Haksan.

      • KCI등재후보

        노동요 상실에 따른 소리꾼의 역할 변화

        유명희(Yoo, Myeong-Heui)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4 民俗硏究 Vol.0 No.28

        민요의 기능 중 하나는 정서를 순화하는 것이다. 소리를 하면서 가슴에 응어리진 속상함이나 혹은 즐거운 신명을 모두 풀어낸다. 소리가 주는 미학이다. 어떤 소리꾼이 어떤 소리를 잘하는지는 그 소리꾼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이글에서는 소리꾼의 생애와 상관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여 소리꾼 유형에 대표적으로 두 제보자를 설정하여 그들의 삶을 비교·대조하였다. 한명은 어릴 때 들었던 소리가 좋아서 음반과 라디오를 들으며 연습하고 삶의 어려운 과정들을 이겨내기 위해 갈고 닦은 소리꾼이디. 다른 한 명은 집안대대로 소리를 잘하는 집안으로 어려서부터 농악대에서 무동을 하며 잘하는 소리를 농사를 지으며 연마한 소리꾼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집단노동요의 현장이 사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마을을 대표하는 공동노동의 현장에서 소리를 하는 공적소리꾼도 사라지고 있다. 그들이 소리를 할 현장은 이미 사라지고 없다. 다만 그 자리를 노동현장과 상관없이 소리 자체를 즐기는 소리꾼들이 지역소리의 대표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일을 하며 부르는 노동요가 사라지고 그 자리에 경기민요를 비롯한 외지 소리가 차지하고 있다. 외지에서 들어온 소리를 부르는 이들도 노동현장과는 거리가 먼 소리꾼들이다. 그들은 축제의 현장에서 지역을 대표하는 민요회 등으로 함께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노동요가 사라진 사회에서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소리꾼의 위상이 마을의 공동노동을 담당하는 사람에서 지역의 민속문화를 전달하는 사람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One of the functions of folk songs is to refine emotion. People release stress and they get excited through songs. This is the very role of songs. What songs a singer sings well depends on the life of the singer. This study deals with the interrelation between singers and their life by comparing the life of two singers. One is a singer who practiced singing after listening to records and radio when a child and tried to get over difficulties in his life through songs. The other one is a singer who was born into a singing family of pedigree, sang as a boy in nongak and has devoted his life to singing. Labor songs disappeared in the modern society. This results in losing of public singers in a collective field in a village. Therefore there is no open place for them to sing any more. Instead, the singers establish themselves as the representatives of local folk songs, enjoying the songs themselves regardless of working farm. Labor songs are replaced with Gyeonggi ballad sung by singers who are not related with working farm. They are working as members of the society of folk song. This is an expected phenomenon in the modern society. The role of singers has changed from a person in charge of farming to one who passes down the traditional folk culture.

      • 소리 개념 교수 학습을 위한 탐구 실험 개발 및 적용

        강은주,김지나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6 No.-

        일상생활에서 대면하게 되는 물리 현상의 대부분이 ‘파동’현상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소리는 파동의 일반적인 성질인 반사와 굴절 성질을 모두 나타낸다. 그러나 음파의 전달 과정에서 일어나는 반사와 굴절은 일상에서 흔히 일어나는 현상임에도 실제 학습 시 이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현직 과학교사와 예비교사의 경우에도 소리 파동의 전파와 파동 관련 개념에 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처럼 소리 파동에 대한 개념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어려워하는 것을 선행연구에서는 구체적인 경험과 탐구 활동의 부재로 심화된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의 기회를 갖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빛의 반사와 굴절 현상은 소리의 반사와 굴절 현상보다 학생들에게 더 친숙하므로 기존의 광학 실험 장치와 유사한 형태의 소리 실험은 소리의 반사와 굴절 개념 이해의 기회를 제공하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광학 실험 장치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한 소리의 반사와 굴절 실험 장치의 적용과 활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생들이 직접 간단한 방법으로 센서를 움직여 음압이 큰 곳을 찾을 수 있었다. 소리의 반사와 굴절각을 측정함으로써 소리의 반사와 굴절에 대한 현상을 실험을 통해 간단히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생활 속에서 소리와 관련된 현상이나 문제 상황을 생각해 보고, 소리의 반사와 굴절 실험 장치를 통해 문제 해결의 단서를 찾을 수 있었다. 소리 관련 교수 학습 시, 소리의 반사와 굴절에 대한 개념 이해와 ‘소음’과 같은 실생활 문제 해결 실험도구로서 실용성에 대한 잠정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서도소리의 문화재 지정과 전승의 문제점

        김인숙 한국민요학회 2012 한국민요학 Vol.36 No.-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issues of the Cultural Property designation and vulnerability of transmission of Seodo-Sori, in addition to suggesting new ways for its development. Seodo-Sori, recognized as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29, includes Susimga (folksong), Kwansan-yungma (singing poetry), and Baebaeng-yi-gut (dramatic song). First, I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we can find some irrational and intolerant aspects in the process of the Cultural Property designation of Seodo-Sori. Having three different styles of music to be designated as Seodo-Sori Cultural Properties is somewhat peripheral and parenthetic in the whole field of view. Furthermore, it shows that not enough preliminary research has been done. These are relevant in reviewing today’s reality. Seodo-Sori is the music of a part of Korea where almost all of its traditional music has been changed and assimilated after the division. Secondly, the main pieces of Seodo-Sori are Jwachang (long lyric song) and Ipchang (Santaryong) and their similarities to Kyeong-gi-Sori has been presented as fact. Even though several procedural problems may occur, Jwachang (Gongmyeongga, Chohanga, Baettaragi etc.) and Ipchang (Nolryang-Sageori) should be designated as separate cultural assets to make a desirable condition of transmission. Moreover, it would be helpful to expand the realm of Seodo-Sori to designate cultural properties individually by the musical branch, rather than bundling them all into a pronged Seodo-Sori. Third, I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eodo-Sori area research and would like to recognize that the passion and commitment of the Seodo-Sori Cultural asset arts holder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이 글은 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의 문화재 지정의 문제점과 전승의 취약함을 논의하고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에는 서도민요인 <수심가>와 시창인 <관산융마>, 그리고 판소리의 일종인 <배뱅이굿>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문화재 지정 실태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에 대하여 다음의 세 가지 내용이 중점적으로 논의되었다. 첫째, 서도소리의 문화재 지정이 서도소리에 대한 정확한 검토나 충분한 사전 조사가 부재한 상태에서 서도음악 가운데 부수적이거나 특정 악곡에 한정하여 이루어진 점이다. 이는 한반도 이북의 노래로서 서도소리가 오늘날 주변음악에 머무른 채 제대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둘째, 경기소리에 비추어보면 쉽게 드러나듯이 서도소리의 중심 악곡은 ‘좌창’과 ‘입창(산타령)’이다. 여러 가지 절차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겠으나, 서도소리의 바람직한 전승을 위해서는 좌창(공명가, 초한가, 배따라기 등)과 입창(놀량사거리)이 우선적으로 문화재로 지정되어야 한다. 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에 모든 갈래의 소리를 묶기보다는 ‘서도 좌창’, ‘서도 입창’, ‘배뱅이굿’, ‘송서’(추풍감별곡) 등과 같이 음악의 갈래별로 문화재를 지정하는 방안도 서도소리의 영역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서도소리의 바람직한 전승을 위해서는 서도소리에 대한 연구가 진전되어야 할 것이며 전승 주체의 열정과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 KCI등재

        소리의 불교 존재론적 해석

        이태영,신성현 한국선학회 2021 한국선학 Vol.- No.60

        소리는 인간의 삶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며 상상 그 이상의 다양한 모습으로 주변을 일깨우는 효능이 있다. 삼대(三大)의 관점에서 본 소리는 고정된 실체가 없는 허상(虛相)이다. 소리는 반드시 공기(O₂)라는 매질이 있어야만 그 모습을 드러내는 탄성파이기 때문이다. 또한 소리를 소리 있음과 없음으로 이분(二分)하여 인식하면 이는 오류(誤謬)를 범하는 것이다. 인간의 가청주파수(可聽周波數) 범위를 벗어난 정적(靜寂) 등은 흔히 무음(無音)의 상태일 지라도 세밀하게 측정해 보면 소리가 발생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제원융(三諦圓融)의 관점에서 파악한 소리의 실체는 허상이자 실상이고 공(空)이며 중도(中道)인 것이다. 공제(空諦)안에 가(假)·중(中)이 내재되어 있고, 가제(假諦)안에 공(空)·중(中)이 내재되어 있으며 중제(中諦)안에 공(空)과 가(假)가 내재된 것이다. 소리는 이근(耳根)을 통한 인식의 대상으로 깨달음의 중요한 동인(動因)이다. 특히 관세음보살의 이근원통(耳根圓通)은 소리수행의 독보적인 지위에 있다. 또한 소리는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소리요법 등 의학 분야는 물론이거니와 명상의 대중화를 위한 매개(媒介)로서 활용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그 효용을 드러낸다. 그러나 이러한 소리를 독(毒)이 되게도 약(藥)이 되게도 하는 것은 오로지 인간의 몫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전반적인 소리의 모습 및 그 활용을 살펴보고 소리의 근원이 무엇인지 그 존재에 대해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Sound has a wide impact on human life and has the effect of awakening the surroundings in a variety of shapes beyond imagin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hree generations, sound is an illusion without a fixed substance. This is because sound is an elastic wave that only appears when there is a medium called air (O₂). Also, if a sound is recognized by dividing it into sound presence and absence, it is an error. This is because silence, which is outside the range of human audible frequency(可聽周波數), often produces sound even when it is in a state of silence when measured closely. The reality of sound grasp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amje Won-yong (三諦圓融) is a virtual image and a real image, empty and the middle way. Ga ( 假) and the middle (中) are embedded in the empty (empty), the empty (empty) and the middle (中) are embedded in the false (假諦), and the empty and the middle (中諦) are embedded in the empty (假諦) Ga (假) is inherent. Sound is an object of recognition through the ear and is an important driver of enlightenment. In particular, Lee Geun-won-tong (耳根圓通) of Guanyin Bodhisattva is in a unique position in the practice of sound. In addition, by using the resonance phenomenon, sound is proving its utility in various ways, such as being used not only in the medical field, such as sound therapy, but also as a medium to popularize meditation. However, it is only the human responsibility to make these sounds poisonous or medicinal.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overall appearance of sound and its use, and to study the source of sound and its existence.

      • KCI등재

        김수영 시의 소리와 역동성

        장석원(Jang, Seok-won) 한국근대문학회 201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9 No.2

        김수영의 시에서는 시각만큼 청각도 중요하다. 청각을 지시하는 단어는 시각 다음으로 출현 빈도가 많다. 소리는 움직임이다. 소리는 듣는 주체‘나’에게 다가오는 파동, 즉 움직이는 공기이다. 소리와 움직임은 연결될 수밖에 없다. 소리가 역동성의 근거로 제시되는 이유이다. 기존의 연구성과는 김수영 시의 소리가 아니라 소음에 집중되었다. 소음은 소리의 특정한 양상이다. 이 논문은 소음보다 포괄적인 개념인 소리의 시적 기능과 의미에 집중한다. 우리는 김수영의 시에 나타나는, 소음을 포함한, 소리의 전체 양상을 정리한다. 소리의 시적인 의미와 기능을 파악한다. 소리의 양상에는 소리가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소리가 없는 상황인 ‘정적’ ‘침묵’도 포함된다. 단독으로 ‘소리’라는 어휘가 사용된 경우는 물론이고, 다른 말과 결합된 합성어 ‘~소리’까지 포괄하여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한다. 김수영 시에 나타나는 소리 양태는 다양하고, 그 횟수도 많다. 소리는 김수영 시의 초기부터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시에 출현하는 중요 소재이다. 청각의 주체이자 대상인 소리는 김수영 시에서 역동성의 핵심을 담당한다. 소리는 시간의 지속을 매개하는, 끊기지 않는 움직임이다. 김수영의 역동적인 인식이 구체적인 감각 대상으로 표현된 것이 소리이다. 움직이는 소리와 움직이지 않는 침묵이 결합하여 김수영 시의 역동성을 창출한다. In Kim Soo-young"s poem, hearing is just as important as vision. Words that indicate hearing are the second most common after sight. This is why Kim Soo-young"s poem should have sound as its subject. Sound is movement. Sound is a moving air, a wave that comes up to me. Sound and movement have to be connected. That is why sound is presented as a basis for dynamics. The previous dissertations were focused on noise, not the sound of Kim Soo-young’s sound. Noise is a particular aspect of sound. This paper focuses on the poetic function and meaning of sound, which is a more comprehensive concept than noise. We organize the entire aspect of sound, including noise, in Kim Soo-young"s poem. In this paper we identify the poetic meaning and function of sound. The aspects of sound include not only the presence of sound, but also the absence of sound, ‘stillness" ‘silence." This paper is selected as the subject of study not only when the word ‘sound’ is used alone, but also the compound word ‘~ sound’ combined with other words. The sounds used in Kim Soo-young"s poem are varied and frequently used. Sound is an important material that continues to appear from early to late Kim"s work. Sound, the subject and subject of hearing, plays a key role in Kim Soo-young"s poetry. Sound is an unbroken motion that controls time duration. The sound is expressed as a specific sensory target of Kim"s dynamic perception. Moving sound and static silence combine to create the dynamic of Kim Soo-young’s po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