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증재산에 대한 소득과세 우선의 원칙의 문제점

        김완석 한국공법학회 2011 공법연구 Vol.39 No.3

        Under the current legal tax framework, more often than not, gift property is subject to taxable income and also falls into the category of the gift tax. In this case, there is a conflict over the interpretation of it: whether the income tax should be imposed on gift property, to levy the gift tax, or to levy both the income tax and the gift tax. According to Article 2, Item 2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when a recipient of gift property is levied with the income tax, it specifies that the gift tax will not be imposed, indicating the priority principle of income taxation on gift property. It is correct to adopt the gift tax priority principle for gift property, if we are to select a taxation scheme that imposes taxes under the tax category of the gift tax, which is separate from the income tax. If we select a taxation scheme to impose taxes on gift property under the discrete category of the gift tax and adopt the priority principle of income taxation of gift property, it deviates from the original intention to implement the gift tax scheme. There is no need to keep the gift tax only to maintain the current priority principle of income taxation of gift proper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lete Article 2, Item 2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that specifies the priority principle of income taxation of gift property. If one has a specific property that is fitting to be subjected, not to the gift tax, but to the income tax, however, it can be imposed by the income tax with additional regulation covering specific cases. 현행 세법상 증여로 인하여 얻은 수증재산은 소득세법상 과세소득을 구성하면서 증여세의 과세대상인 증여재산에 해당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 경우에 수증재산에 대하여 소득세를 과세할 것인지, 증여세를 과세할 것인지 또는 소득세와 증여세를 함께 과세할 것인지에 관하여 해석상 다툼이 제기되고 있다. 상증세법 제2조 제2항에서 증여재산에 대하여 수증자에게 소득세나 법인세가 부과되는 때에는 증여세를 부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수증재산에 대한 소득과세 우선의 원칙을 명시하고 있다. 수증재산에 대하여 소득세와는 별도의 증여세라는 세목에 의하여 과세하는 조세체계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수증재산에 대하여 증여세 우선의 원칙을 채택하는 것이 당연하다. 수증재산에 대하여 소득세와는 별도의 증여세라는 세목에 의하여 과세하는 조세체계를 선택하면서 수증재산에 대하여 소득과세 우선의 원칙을 채택하는 것은 증여세를 설치한 취지에 벗어난다. 수증재산에 대하여 현행과 같이 소득과세 우선의 원칙을 유지할 경우에는 증여세를 존치할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수증재산에 대하여 소득과세 우선의 원칙을 정하고 있는 상증세법 제2조 제2항을 삭제하여야 한다. 다만, 수증재산 중 증여세로 과세하지 않고 소득세로 과세하는 것이 보다 적합한 특정한 재산이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특례규정을 두어 소득세로 과세하도록 하면 된다.

      • KCI등재

        소득세 및 법인세와 증여세의 경합과 조정에 관한 연구

        윤석남(Yun, Seok-Nam) 한국조세법학회 2017 조세논총 Vol.2 No.1

        National Assembly, the legislative, must legislate taxation with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actualities and legalities of various types of gift income. Otherwise, unfair regulations or double taxation may occur; failure to tax where tax is due may also result in the loss of state revenue. This paper addresses the issues of competition among Income Tax Act, Corporate Tax Act and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over gift income as well as double taxation. Legislative recommendations are also proffered in order to improve upon the current situation. First, the Paragraph 2 of Article 4-2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stipulates that, when income tax or corporate tax is levied on those who receive a gift, gift tax shall not be imposed; this sets out a principle of ‘income tax superiority over gift tax on gift property’. However, under a tax system which includes a separate item of gift tax, it would be only natural to adopt a principle of ‘gift tax superiority on gift property.’ Thus the Paragraph 2 of Article 4-2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should be amended to incorporate ‘gift tax superiority on gift property’ as is the case with the inheritance tax code of Japan. Second, as in the Article 41-2 (Donation of profit from Excess Dividend), when the largest shareholder foregoes the whole or part of dividend due, or when the largest shareholder receives dividend not in proportion to shares held, thus resulting in the largest shareholder’s affiliated person receiving excess dividend, gift tax is levied on the amount of gift property; but much of income tax on excess dividend is to be deducted from gift tax amount due. Such excess dividend is unfair if one were to consider the amount of tax due when the largest shareholder receives normal amount of equal dividends, pays income tax on it, and then donates or inherits the said dividend to affiliated persons; there is a large discrepancy between two cases. This becomes yet clearer when the large shareholder shares a large sum of dividend to a number of children. Thus when the largest shareholder foregoes his dividend, it is fairer, both in legal principle and the notion of fair taxation, to levy an income tax on the foregone dividend and levy a gift tax on the affiliated persons who receive excess dividend as a result. The abovementioned rule should either be repealed or amended. This article should therefore be repealed or amended. Third, in the Article 45-5 of Gift Tax and Inheritance Tax Act (Donation of Profits from Transactions with Specified Corporations), for affiliated profit-making corporations other than corporations in deficit, business suspension or closure, corporate tax is levied on gift income. At the same time, the shareholders of the specified corporation are charged a gift tax. This is double taxation. What’s more, when the surplus (gift income) is paid out in dividend, income tax is levied again through double taxation. While the dividend income of shareholders is subject to dividend tax deduction in order to avoid double taxation, as this is considered donation to the shareholders of the specified corporation, tax deduction does not apply. It’s also unfair that corporation shareholders receive tax exemption. This should be either repealed or amended. Fourth, when a profit is shared from an individual’s transaction with corporation, most often a corporate tax is levied when the corporation’s income is determined; for the one receiving any such income, an income tax is levied as Corporate Tax Act sees it as incentive/dividend/other income/other outflow from corporation. However, even when the income is in fact a gift, it is still considered an income under Corporate Tax Act; this results in the misclassification of income type or inappropriate determination of income timing. 입법자인 국회는 여러 유형의 소득에 대해 사실관계와 법률관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추어 조세입법을 하여야 한다.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불공평한 조항 및 이중과세 조항이 되기도 하며 그 반대로 과세할 곳에 과세를 하지 못하여 국가적 손실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증여이익에 대해 소득세법 및 법인세법과 상증세법상 경합과 이중과세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그 조정방안에 대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행 상증세법 제4조의2 제2항에서는 증여로 얻은 ‘수증재산에 대한 소득세과세 우선원칙’을 명시하고 있다. 증여세라는 세목의 조세체계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수증재산에 대한 증여세과세 우선의 원칙’을 채택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동 조항을 일본의 상속세법과 같이 ‘수증재산에 대한 증여세과세 우선원칙’으로 개정하여야 한다. 둘째, 상증세법 제41조의2(초과배당에 따른 이익의 증여)에서 최대주주가 지급받을 배당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기함에 따라 특수관계인이 초과배당을 받은 경우에는 특수관계인의 증여재산가액으로 하여 증여세를 부과하되, 초과배당금액에 대한 소득세 상당액을 증여세 산출세액에서 공제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초과차등배당이 불공평하다는 사실은 최대주주가 지분대로 원칙적인 균등배당을 받아 소득세를 납부한 후 그 배당금이 나중에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에게 증여 상속되었을 때의 세부담을 비교하여 보면 큰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최대주주의 고액배당을 자녀들에게 분할 배당하는 경우 더 현저해진다. 따라서 최대 주주가 포기하는 배당금에 대해서는 소득세를 과세하고 초과배당을 받은 특수관계인에게 증여세를 과세하는 것이 조세법원리나 공평과세에 보다 충실하므로 동규정을 폐지하거나 개정하여야 한다. 셋째, 상증세법 제45조의5(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에서의 결손금이 있는 법인, 휴업 또는 폐업 상태인 법인 외의 특수관계 있는 흑자법인은 그 수증이익에 대하여 법인세를 과세하고 동시에 특정법인의 주주들에게는 증여세를 과세함으로써 이중과세를 하고 잉여금이 배당될 때 다시 소득세가 과세되는바, 이는 이중과세에 해당되며 주주들의 배당소득은 이중과세를 배제하기 위하여 배당세액공제를 하고 있으나, 특정법인의 주주들에 대한 증여로 간주함으로써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어 불합리하고, 법인주주들은 과세제외 되는 등 불평등한 조항이므로 이를 폐지하거나 개정하여야 한다. 넷째, 개인이 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분여행위는 대개는 법인의 소득을 결정 또는 경정하면서 법인세를 과세하고 귀속자에게 소득처분에 의한 상여·배당·기타소득·기타사외유출로 처분하여 소득세를 과세한다. 그러나 소득이 실질적인 증여임에도 소득처분을 함으로써 소득의 종류와 귀속시기가 달라지는 등 불공평이 야기된다. 따라서 법인세법시행령 제106조의 소득처분의 종류에 ‘증여’를 신설함으로써 증여세가 과세될 수 있도록 예측가능성과 법적안정성이 갖춰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고가양도의 판단기준인 시가와 소득과세 우선원칙

        유철형(Yu, Cheol Hyeong) 한국조세연구포럼 2014 조세연구 Vol.14 No.1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2006. 12. 30. 법률 제813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상증법”이라 함) 제35조는 자산을 시가보다 고가 또는 저가양도하는 경우를 증여세 과세대상으로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60조는 증여재산의 평가와 관련하여 ‘시가’의 의미를 규정하는 한편, 시가를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에 대한 보충적 평가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구 상증법 제60조 제3항에 의한 가액, 즉, 보충적 평가액을 구 상증법 제35조의 ‘시가’에 해당된다고 해석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또한 구 상증법 제2조 제2항은 증여 재산에 대하여 소득세법에 의한 소득세가 부과되는 때에는 증여세를 부과하지 아니한다고 하여 소득과세 우선원칙을 규정하고 있는데, 자산의 고저가양도시 구 상증법 제2조 제2항에도 불구하고 시가를 초과하는 양도차익에 대해 증여세를 과세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대상판결은 구 상증법 제60조 제3항의 보충적 평가액이 구 상증법 제35조의 시가에 해당된다고 해석하였고, 구 상증법 제2조 제2항은 양도소득세와 증여세의 중복적용을 배제하는 특별한 규정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자산의 고가양도시 시가 초과분에 대해서는 증여세를 과세할 수 있으며, 이는 소득세와 증여세의 이중과세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대상판결의 해석은 구 상증법 제60조 제3항과 같은 법 제2조 제2항의 명문 규정에 반하는 해석으로서 조세법률주의에 위반된다. 한편, 구 상증법 시행령 제26조 제1항의 시가에 관한 괄호부분과 특수관계 여부에 따라 증여세 과세여부를 달리 규정하고 있는 구 상증법 제35조는 입법론적으로 재검토가 필요하다. Article 35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IGTA”) prior to its amendment (prior to amendment by Act No. 8139, December 30, 200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amended IGTA”) stipulates that assets transferred at prices that are excessively higher or lower than the fair market value are subject to gift tax. Although Article 60 of the pre-amended IGTA provides guidance on the meaning of “fair market value” in relation to the valuation of gift property, it also provides a supplementary valuation method where the fair market value is difficult to compute. The issue that arises in this context is whether the supplementary appraised value under Article 60(3) of the pre-amended IGTA may be interpreted as a “fair market value” for purposes of Article 35 of the pre-amended IGTA. In addition, Article 2(2) of the pre-amended IGTA adopts the priority principle of income taxation by stipulating that to the extent income tax is levied on gift property in accordance with the Income Tax Act, no gift tax liability should incur. In this context, an issue arises as to whether it is possible to levy gift tax, irrespective of Article 2(2) of the pre-amended IGTA, on capital gains that incur in excess of fair market value if property is transferred at excessively high or low prices. In the decision that is discussed in this commentary, the Supreme Court issued an interpretation that the supplementary appraised value under Article 60(3) of the pre-amended IGTA is within the scope of the fair market value under Article 35 of the pre-amended IGTA. The Supreme Court held that since Article 2(2) of the pre-amended IGTA is not the special provision which excludes duplicative application of capital gains tax and gift tax, gift tax may be levied on the excess over the fair market value upon the transfer of property at excessively high prices. The Supreme Court further held that this would not amount to a double taxation of income tax and gift tax. However, the interpretation by the Supreme Court in the above decision contradicts with the express provision of Article 60(3) and Article 2(2) of the pre-amended IGTA and is in violation of tax law principles. Furthermore, the portion under parenthesis in relation to the fair market value in Article 26(1) of the pre-amended IGTA and the provision distinguishing the taxability of gift tax depending on related party status in Article 35 of the pre-amended IGTA should be subject to reassessment from a legislative theory perspective.

      • 초과배당에 대한 현행 과세제도의 문제점

        서윤식 한국조세법학회 2017 조세논총 Vol.2 No.4

        Excessive dividend means that, when a corporation distributes profits, on the condition some shareholders, such as major shareholders, do not receive dividends they are eligible to receive or receive dividend less than even dividend, the amount of the dividend they do not receive is paid to the specific shareholders they appoint, such as their children. Its legal nature is similar to a contract for a third party. In case of excessive dividend, major shareholder who has not received dividend or less than equal dividend has acquired the right to claim profit dividend, and then transfers the dividend right to shareholder who received excess dividend. Therefore, the obligation to pay income tax on excess dividends belongs to the majority shareholder who does not receive dividends or receives dividends less than equal dividend. In the case of excess dividends, where a shareholder who does not receive a dividend they are eligible to receive or receive a dividend less than equal dividend allocates the dividend they are eligible to receive to be paid to another shareholder at no cost, the shareholder who receives excess dividends is obliged to pay the gift tax on the excess dividend amount since the excess dividend amount is granted. Article 41-2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ITGTA) stipulates that where a shareholder specially related to the largest shareholder receives an excess dividend, on condition that the largest shareholder does not receive a dividend he is eligible to receive or receives a dividend less than the even dividend,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paragraph 2 of Article 4-2 of the ITGTA, a gift tax shall be imposed on shareholder who receives excess dividends, regarding the excess dividend amount as the value of the gift, and the amount equivalent to income tax on the excess dividend amount shall be subtracted from the amount of gift tax on the excess dividend amount, and that where the amount of gift tax on excessive dividends is less than an amount equivalent to the income tax on the excessive dividends, the excessive dividends shall be the value of property donated to the person specially related to the largest shareholder. The provisions of Article 41-2 of the ITGTA have the serious problems as follows. First, Section 41 (2) of the is an error in the legislation resulting from the misunderstanding that the excess dividend is also subject to the income tax of the shareholder who receives the excessive dividend and also subject to taxation of the gift tax. According to the legal logic that prescribes the provision, it is impossible to make proper taxation in the case of a contract for a third party. Second, according to Article 41-2 of the ITGTA, even if a large amount of property is donated to a child by using excess dividend, the gift tax may not be borne at all. Article 41-2 of the ITGTA makes it possible to avoid taxation legally, which encourages tax avoidance, reduces tax revenue and hampers fair taxation. Accordingly, the provisions of Article 41-2 of the ITGTA shall be deleted as soon as possible, and the correct taxation standard should be legislated so that the taxation is in line with the legal relationship of excess dividends. 초과배당은 법인이 이익을 배당함에 있어 대주주 등 일부 주주가 자신이 받을 배당을 받지 않거나 균등배당에 미달하는 배당을 받는 대신 그가 받지 않은 배당금액을 그의 자녀 등 그가 지정하는 특정 주주에게 지급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법적 성격은 제3자를 위한 계약과 유사하다. 초과배당의 경우 배당을 받지 않거나 균등배당에 미달하는 배당을 받은 대주주 등은 이익배당청구권을 취득한 후 그 이익배당청구권을 초과배당을 받은 주주에게 양도한 것이다. 따라서 초과배당금액에 대한 소득세 납세의무는 배당을 받지 않거나 균등배당에 미달하는 배당을 받은 대주주 등에게 있는 것이다. 초과배당에 있어 배당을 받지 않거나 균등배당에 미달하는 배당을 받은 주주가 그가 받아야 할 배당금액을 아무런 대가없이 다른 주주에게 배당하도록 한 것이라면, 초과배당을 받은 주주는 그 초과배당금액을 증여받은 것이므로 그 초과배당금액에 대하여 증여세 납세의무를 진다. 상증세법 제41조의2는 법인이 이익을 배당함에 있어 최대주주 등이 배당을 받지 않거나 균등배당에 미달하는 배당을 받는 대신 그 최대주주 등이 배당받지 않은 배당금액을 최대주주 등의 특수관계인에게 배당을 하는 경우에는, 상증세법 제4조의2 제2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초과배당금액을 초과배당을 받은 주주의 증여재산가액으로 보아 증여세를 부과하되, 초과배당금액에 대한 소득세 상당액을 초과배당금액에 대한 증여세 산출세액에서 공제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초과배당금액에 대한 증여세가 초과배당금액에 대한 소득세 상당액보다 많은 경우에는 초과배당금액을 초과배당을 받은 주주의 증여재산가액으로 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위 상증세법 제41조의2의 규정에는 다음과 같은 심각한 문제가 있다. 첫째, 상증세법 제41조의2는 초과배당금액이 초과배당을 받은 주주의 소득세 과세대상에도 해당하고 증여세 과세대상에도 해당하는 것으로 잘못 이해한 데서 비롯된 입법의 오류로서, 그 규정의 법리에 의하면 제3자를 위한 계약의 경우에 적정한(올바른) 과세를 할 수 없게 된다. 둘째, 상증세법 제41조의2에 의하면, 초과배당을 이용하여 거액의 재산을 자녀 등에게 증여하여도 증여세를 전혀 부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증세법 제41조의2는 조세회피를 합법적으로 할 수 있게 하므로, 그 규정은 조세회피를 조장하여 조세수입을 감소시키고 공평과세를 저해한다. 따라서 상증세법 제41조의2의 규정은 하루빨리 삭제하고 초과배당의 법률관계에 부합하는 과세가 되도록 올바른 과세기준이 입법되어야 한다.

      • KCI등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0조 제1항의 해석론에 관한 몇 가지 쟁점

        황남석 ( Hwang Nam Seok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法學硏究 Vol.28 No.3

        In this article, among the issues related to the comprehensive gift taxation, the interpretive issues of Article 40, paragraph 1, subparagraph 1, 2 of the previous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of Korea(herein after “IGTK”) was contemplated. First, in the case of convertible bonds etc. being transferred from an issuing corporation through an underwriter to a special related person of an issuing corporation in connection with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40, paragraph 1, item na of the IGTK, the criteria for the determining the scope of the underwriter are now contested at the stage of lower courts. The underwriter has the position of a substantive agent (or indirect agent) as a person who handles the issuing business of securities instead as an insurance that functionally accepts risks when issuing securitie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nderwriter can not be regarded as having the same economic interest as the general trading parties, the above provision reflects its specialty. Therefore, the underwriter under the above provision is reasonably interpreted broadly to include those who act as underwriters from a functional point of view. Secondly, the possibility of reorganizing the transaction by applying Article 14, Paragraph 3 of the Basic Tax Law to the transaction involving the underwriter in relation to Article 40, Paragraph 1, Item na of IGTK is contested in the lower courts. Paragraph 3 of Article 14 of the National Taxation Basic Law has room for business purposes other than for tax avoidance to be permitted in transactions involving underwriters. It can be doubted whether the above provision can be applied to such a situations. Also in this case, the tax avoidance objective is judged based on objective facts, but as long as the business purpose is not overwhelming the purpose of tax avoidance so that the substance over form doctrine has retain its meaning. Thir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income tax priority principle can become a problem in connection with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40, paragraph 1, item 2, na of the IGTK. I think that the principle of income tax priority is to be applied only to the situation when the same income is subject to income tax and gift tax. Therefore, the principle of priority of income tax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above provision which stipulates that gift tax is imposed on capital gains at the stage before income tax is imposed can not be appl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