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로소득에 대한 중복 세제지원과 통합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정유석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2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tax supports on a earned income deduction, earned income tax credit and a plan of integration of two system. In addition, proposes a problem of double tax support on earned income of both EITC and tax credit, a improvements on this. For this, analysis uses a simulation model of tax support combined earned income deduction with earned income tax credit. After presents a resonable improvements of tax supports through the effects of income distribution and tax amount to pay. The simulation model of tax support used shows the result that earned income tax credit is more effect on income redistribution than earned income deduction. That is to say, earned income deduction may impede the equity according to making down pre-deduction tax base, gaining more tax benefit in higher level of tax rate. Therefore, this research insists that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replace tax expenditure with tax subsidy, tax credit or tax relief instead of earned income deduction and it would be more efficient to integrate two tax systems. 본 연구는 근로소득공제와 근로소득세액공제의 조세지원효과를 분석해보고 소득계층별 납부세액이 현행제도하에서의 납부세액과 유사하게 되는 수준에서 두 제도의 통폐합 방안을 살펴본다. 또한 근로소득에 대해 근로소득세액공제 이외에도 이와 유사하게 일정세액을 공제하여 환급해주고 있는 EITC(근로장려세제)의 중복 조세지원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근로소득공제와 세액공제제도의 몇 가지 가상 조세지원 모델을 이용하여 조세지원에 따른 납부세액계산 및 소득분배 효과의 비교를 통해 향후 바람직한 조세지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에서 설정된 가상 조세지원 모델은 동일한 목적을 위한 조세지출 중 근로소득공제보다는 오히려 세액공제가 소득분배에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즉 근로소득공제는 공제전 과세표준을 낮춤으로써 공제액이 동일하더라도 공제전 소득세율이 높은 구간일수록 더 많은 절세혜택을 보게 되므로 형평성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로소득공제보다는 세액공제나 감면 또는 보조금 지급 등의 형태로 조세지출을 전환하거나 두 조세지원 제도의 통합방안이 소득재분배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지방세법상 법인지방소득세의 외국납부세액공제시 과세표준 산정에 관한 연구

        조창준(Cho, Chang-Jun) 한국조세법학회 2020 조세논총 Vol.5 No.3

        지방세법은 2014.1.1. 법률 제12153호로 개정되면서 내국법인의 각 사업연도의 소득에 대한 법인지방소득세의 과세표준을 법인세법 제13조에 따라 계산한 금액으로 규정(구 지방세법 제103조의19)하였고, 구 지방세법 제103조의19는 지방세법이 2019.12.31. 법률 제16855호로 개정되면서 현행 지방세법 제103조의19는 법인지방소득세의 과세표준은 법인세의 과세표준과 동일한 금액으로 한다고 규정하였으나, 지방세특례제한법은 개인지방소득세에 대한 세액공제 감면 규정만 신설하고 법인지방소득세에 대한 세액공제 감면 규정을 별도로 두고 있지 않아 법인지방소득세에 외국납부세액공제가 적용되지 않게 됨으로써 이중과세 방지의 취지가 흔들리게 되었고 내국법인의 조세부담이 늘어나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최근 법인지방소득세와 관련하여 논란이 되는 사례(최근 대법원 2020.4.9. 선고 2020두30399 판결, 대법원 2020.3.12. 선고 2019두58698 판결 및 대법원 2018.10.25. 선고 2018두50000 판결)에서는 내국법인이 간접외국납부세액에 관하여 세액공제 방법을 선택하였으나 외국법인세액의 공제 규정 등이 없는 이상 이를 익금에 포함시킬 수 없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간접외국납부세액을 익금으로 불산입하여 법인지방소득세의 과세표준을 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세법상 외국납부세액공제와 관련하여 법인지방소득세에 발생하는 불합리성을 분석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법인지방소득세의 외국납부세액 공제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과 그 방안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외국납부세액공제 제도 전반을 살필 필요가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법인지방소득세 외국납부세액공제 제도의 일반, 외국납부세액공제 관련 외국제도, 최근 법인지방소득세와 관련하여 나타난 판결 등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입법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Local Tax Act was amended to subparagraph 12153 of the Act 2014 and defined the standard for taxation of legal and local income taxes on income in each business year as calculated under Article 13 of the Income Tax Act (Article 103-19 of the Local Tax Act), and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ct only newly established a tax deduction for individual local income taxes and does not provide a separate provision for tax deduction and reduction for legal and exemption for income taxes. In the recent controversial case regarding the income tax on legal and admini- strative capital (the Supreme Court’s 2020.4.9. Sentencing 2020Du30399, the Supreme Court’s 2020. 3 12. Sentencing 2019Du58698 and the Supreme Court’s 2018.10.25. Sentencing 2018 Du50000), a domestic corporation chose the tax deduction method for indirect foreign taxes, but it cannot be included in the pension unless there is a deduction provision for foreign corporate taxes.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irrationality that occurs in the income tax for legal and social security in relation to the deduction of foreign payment tax under the Local Tax Act and suggest a plan for improvement. Therefore, to analyze the need for improvement in the deduction of foreign payment tax for legal and regional income tax, and to analyze its methods,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overall foreign payment tax deduction system, foreign system related to foreign payment tax deduction, and recent rulings related to legal and indirect income tax and present legislation to resolve them.

      • KCI등재

        기부금 공제방식 변경이 개인소득자 기부에 미치는 영향

        김관형(Kim Kwan Hyu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21 국제회계연구 Vol.- No.100

        [연구목적] 정부는 세수확보와 납세자의 소득수준에 따른 적정한 세부담 실현을 목적으로 2013년말 세법개정으로 기부금에 대한 공제방식을 변경했다. 기부금 공제방식 변경의 주요 내용으로는 기부금에 대해 종합소득공제의 특별공제 항목으로 세제혜택을 부여했지만 2014년부터는 근로소득자와 사업소득자로 구분하여 근로소득자의 경우 한도 내 기부금의 일정액을 세액공제하고 사업소득자는 한도 내 기부금을 필요경비로 산입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본 세법개정이 기부 감소를 의도하지 않았으며 기부액 감소가 실제로 발생되었는지에 대한 실증확인이 필요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세법개정 이후 5년이 경과한 이 시점에서 기부금 공제라는 조세인센티브 방식 변경이 기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 가능한 시기적 적절성을 갖췄다고 판단하여 이뤄졌으며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재정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008년부터 2018년까지 51,234개의 표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법개정에 따른 공제방식의 변경은 개인의 기부에 음의 영향을 미쳤다. 기부를 하는 소득자 대부분의 기부 혜택이 축소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기부금 공제 방식의 변경은 사업소득자보다 근로소득자에게 기부금 감소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사업소득자는 필요경비 산입을 통해 종전방식인 소득공제와 동일한 기부인센티브 효과를 적용할 수 있지만 근로소득자는 기부를 통한 세 절감혜택 유인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부금 공제방식의 변경은 하위 또는 상위 소득자보다 중위소득자에게 기부금 감소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하위소득자는 기부에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고 상위소득자는 고액기부를 통해 더 큰 인센티브를 얻을 수 있지만 이 둘에 해당하지 않는 중위소득자는 공제방식변경이 기부를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 기부금 공제방식의 변경은 의도와 다르게 기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과 본 개정 효과가 근로소득자와 사업소득자를 나눠 유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됨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정부는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대안으로서 소득 단계별 세액공제율 제고 등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At the end of 2013, the government changed the method of deduction for donations due to the revision of the tax law for securing tax and tax equity. The main contents of the revision of the tax law are business income earners can cover business expenses from donations, and wage and salary income earners can receive tax credits for donations. [Methodology] This study examines how changes in tax benefits affect donations at the present time, five years after the revision. This study used panel data from the Korea Tax Finance Research Institute (51,234 data from 2008 to 2018). [Finding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in the deduction amoun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donation amount. Contributions from low-income earners with positive incentives are small compared to the overall percentage. For other earners, changing the deduction acts as a negative incentive. Second, the change in the donation deduction had a greater impact on the middle class than on the lower and upper income earners. Low-income earners don’t receive a large portion of donations, and high-income earners can receive more incentives through large donations. However, this is because the change in the income deduction method for the middle class acted as a factor in suppressing donations. Lastly, the change in donation deduction had a greater impact on wage earners than business income earners. Business income earners can apply the same donation incentive effect as income deduction through business expense inclusion, but wage and salary income earners can interpret the incentives through donation as reduced. [Implications] Changes in donation deductions increased tax revenues and equity between high and low income earners, but had a negative impact on donations. Governments will need additional efforts to promote donations.

      • KCI등재

        연금소득공제의 세액공제 전환이 연금세제에 미치는 영향

        문성훈,김수성 한국세무학회 2014 세무학 연구 Vol.31 No.4

        The government changed the income tax deduction method to tax deduction method about the amount of payment for private pension which had been maintained by 2013 income tax revision in order to improve the equity in taxation. This research analyzed the change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 when the income tax deduction method would be changed to the tax deduction metho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that the change from income tax deduction to tax deduction has the tax advantage effect in case of below tax base 12 million won which is applied low marginal tax rate than 12% tax deduction rate regarding amount of payment for private pension and has the tax disadvantage effect in case of over tax base 12 million won. This result could suggest that the change to tax deduction about amount of payment for private pension could hinder the equity in taxation because this change was wrong to net income taxation policy. This change has the problem that the pension market would be intimidated because of drop of overall pension purchase rate according to the decease of pension purchase rate of middle and lower-income group and the double taxation for between pension payment step and pension receipt step and the systematic suitability of pension taxation system would be damaged. In accordance with these, for the purpose of improvement regarding current taxation system about private pension, the tax deduction should be changed to the income tax deduction in the mid to long-run term and the taxpayer could select the method between income tax deduction and tax deduction in short-term about amount of payment for private pension etc. and the deductible limit should be reduced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 of taxpayer. In addition, the government support direct subsidy to below exemption limit group besides indirect taxation benefit in order to expansion of pension purchase of lower-income group and the government could consider the expansion of limit of tax deduction or tax deduction rate about amount of payment for private pension etc. for over certain age who come near retirement. 정부는 과세형평을 제고하기 위해 2013년 소득세법 개정을 통해 기존에 유지해오던 개인연금 등 불입액에 대한 소득공제방식을 세액공제방식으로 변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소득공제방식이 세액공제방식으로 전환될 경우 소득수준에 따라 어떠한 변화가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연금 등 소득공제의 세액공제 전환은 개인연금 등 불입액에 대한 12%의 세액공제율보다 낮은 한계세율이 적용되는 과세표준 1,200만원 이하인 경우 소득공제의 세액공제 전환이 절세효과 측면에서 더욱 유리하게 나타났고, 과세표준이 1,2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절세효과 측면에는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연금 등 불입액의 세액공제 전환은 순소득과세원칙에 어긋나 조세공평을 오히려 저해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저 소득층의 연금가입이 감소됨에 따라 전체적인 연금가입률이 하락하여 연금시장이 위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금 불입단계와 수령단계의 이중과세 및 연금소득 과세제도의 체계적 정합성이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현행 개인연금 등에 대한 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개인연금 등 불입액에 대해 중장기적으로 세액공제에서 소득공제로 전환하고, 단기적으로는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중에서 납세자의 선택을 허용할 필요가 있으며, 각 납세자의 소득수준에 따라 공제한도를 축소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저소득층의 연금가입 확대를 위해 면세점 이하의 계층에 대해 간접적인 세제혜택 이외에 직접적인 보조금을 지원하는 한편, 은퇴가 임박한 일정한 연령 이상의 경우 개인연금 등 불입액에 대한 공제한도나 세액공제율을 확대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근로소득세에 관한 연구

        최보람(Choi Bo-ram) 한국국제회계학회 2015 국제회계연구 Vol.0 No.63

        본 연구는 2014년 소득세법개정에 따른 2015년의 연말정산 파동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2014년의 세법개정은 근로소득자의 소득공제의 상당부분을 세액공제로 전환하는 대대적인 개정이었으나 이에 대한 국민적 이해는 낮고 조세효과는 컸기 때문에 강력한 조세저항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14년 귀속소득에 대한 연말정산 파동의 원인과 연말정산 보완책으로 인한 결과를 분석한 후 아직까지 존재하고 있는 근로소득세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5년 연말정산 보완책 이후 면세자의 비율이 46%에서 48%로 증가하였다. 이는 세액공제 전환으로 면세점이 확대된 결과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일정 급여 이상의 근로소득자에게 최저한세를 적용하는 방안을 개선안으로 제시하였다. 근로소득공제의 축소는 사업자와의 형평성을 악화하고 부양가족에 포함되는 기본공제대상자를 감소시키는 이차적인 문제도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2015년 세법 개정시에는 근로소득공제 축소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장기적인 해결책으로 인적공제액과 기본공제대상자의 소득금액을 일치시키는 방안을 함께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총급여 제한 공제 규정에 대해서는 실효성에 문제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분석 결과 총급여제한 소득공제는 다른 소득공제에 비해 소득공제 인원이나 소득공제액, 세액효과 모두 정책적 실효성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안으로 우리나라도 미국 등에서 이용되고 있는 phase-out(소득 증가에 따른 공제 점감) 방법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금년 소득세 개정시에 정책 입안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Income Tax Act of 2014 Tax reform and the related affairs regarding year-end tax adjustment in early 2015. This 2014 Income Tax reform is a major development involving transition from tax deduction to tax credit. However, taxpayers don’t understand the related tax amount difference and they complain the increased tax payment.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of the issues and the results from the supplementary policy of year-end tax settlement 2014. Since 2015 year-end tax-settlement, tax-exempt employee rate increases from 46% to 48%.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adopting an alternative minimum tax. Reduction of the earned income deduction was also analyzed, for it has the secondary problem that can increase the unfairness between earned income and business income, and reduce tax-deductible dependent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reconsidering the reduction of the earned income deduction policy.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revised tax act which dependent deductible tax income equals to the tax deduction from the dependent. Finally, this study argues that the effects of the deduction which have limit by income level are doubtful.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se deductions are not effective in comparison other non-limit deduction.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consideration of phase-out rul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to policy makers who are responsible for revising future Income Tax Act.

      • KCI등재

        소득세 특별공제 한도 규정에 따른 문제점과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세제 지원방안

        김수성,문성훈 한국세무학회 2014 세무학 연구 Vol.31 No.1

        The revised tax on 2012 established the regulation regarding income tax special deduction total limit. Therefore, the tax burden would be raised because the benefit of income deduction for large-income earner decreased with wide range than in the past. The income deduction limit items are the insurance, medical expenses, educational spending, home loan, designated contribution, subscription deposit, employee stockholders association, establishment investment association etc. investment, credit card etc. and these items were included in total limit and the donation deduction item in income deduction would be much decreased. Since 2013, the tax burden of high-income earner would be raised even though some high-income earner expenses the donation because of limit regulation of income deduction, so the donation expenses would be reduced than in the past. Afterward the donation income deduction would be reduced, therefore the donation culture would be hindered and the financial condition of donation organization would be much affected. So, this study research the problems of income tax special deduction total limit regulation establishment and find the improvement scheme for donation culture vitalization and examine the improvement plan for tax revision regarding donation. This study draw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for tax revision plan which limit the excessive income deduction to establish the income tax special deduction total limit by revising the special tax treatment control law since January 01, 2013.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at this study researched the problem for special deduction limit regulation and analyzed the effect of tax burden by applying the revised tax and find the improvement plan of income tax. The insistence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gulation for income deduction total limit should be deferred. Specially, the limit regulation of income deduction regarding donation should be surely abolished. Second, the donation could be deducted carried forward when exceeded deduction limit, then the donation which expensed in pertinent year should be deducted in relevant year. To achieve this, there is need to taxation support which could be deducted in one side of husband and wife by issuing the donation statement of husband and wife joint name. Finally, regarding donation deduction, it is need to reinforce the rules of punishment for issuing the donation statement of institution or individual lyingly.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prevents the sudden increase of tax burden for high-income earner through the revision of tax deduction limit and spreads the free will donation culture and researches improvement plan for decrease of tax burden. 2012년 개정세법은 소득세 특별공제 종합한도 규정을 신설하였다. 이에 따라 고액소득자의 소득공제 금액이 과거에 비하여 대폭 감소하여 세부담의 증가가 예상된다. 특별공제항목 중에서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주택자금, 지정기부금, 청약저축, 우리사주조합 창업투자조합 등 출자, 신용카드 등을 종합한도에 포함시켰는데, 이중에서 소득공제가 가장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는 항목은 기부금 공제가 될 것으로 본다. 2013년도부터 일부 고소득자들은 과거와 동일한 규모의 기부금 지출을 함에도 불구하고 소득공제 한도 규정으로 인하여 세부담이 과거에 비하여 다소 늘어날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따라 과거에 비하여 기부금 지출이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소득공제 한도 규정은 기부문화를 저해하고 기부금 단체의 재정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소득세 특별공제 종합한도 규정 신설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부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기부금 관련 세제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1월 1일부터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을 통해 소득세 특별공제 종합한도를 신설하여 과도한 소득공제 적용을 제한한 세법 개정안에 대한 문제점과 개정세법 적용으로 인한 세부담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우선, 소득공제 종합한도의 규정적용을 유보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기부금과 관련한 소득공제의 제한 규정 적용은 유보되어 할 것이다. 둘째, 기부금은 공제한도를 초과시 이월공제를 허용되고 있지만, 가급적 당해 연도에 지출한 기부금은 당해 연도에 소득공제받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부부공동명의의 기부금 명세서를 발급하여 부부 중에서 일방이 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보다 강력한 세제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기부금 공제와 관련하여 허위로 발급한 기관이나 개인에 대한 처벌규정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소득공제 한도 규정의 개정을 통하여 고액소득자의 세부담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하고 하며, 자발적인 기부문화를 확산하고자 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근로소득세제 개정이 조세 누진성과 소득 재분배에 미치는 영향

        박한순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와 회계저널 Vol.17 No.4

        This paper analyses the effect of 2014 revised earned income tax on tax progressivity and income redistribution using simulation methodology. The focused revised tax systems are the revision of earned income deduction rate and the change of income deduction method into tax credit method on itemized special deductions. The earned income deduction is corresponding to necessary expenses. Tax progressivity indices are the Kakwani index and the Suits index, and income redistribution indices are the Reynolds-Smolensky index and the Pf¨ahler index. Fundamental analyses are done using random income distribution having the Gini coefficient 0.331 similar to that of Korean whole household recently-announced by Statistics Korea. Additional analyses are done using random income distributions having the Gini coefficient below 0.3 or above 0.4. These results are mutually compared. Simulation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vision of earned income deduction rate weakens tax progressivity and strengthens income redistribution by overall tax burden increase. The change of income deduction method into tax credit method on itemized special deductions strengthens both tax progressivity and income redistribution. As the tax credit rate increases, both tax progressivity and income redistribution are strengthened. Too much itemized special deductions of high-income earners can weaken income redistribution. Tax credit method on itemized special deductions can be evaluated as desirable tax system achieving both effectiveness and equity through tax revenue increase, progressive taxation and income redistribution improvement. 정부는 2013년에 소득세법 개정을 통하여 2014년부터 근로소득공제율을 총급여 구간별로 최대10% 포인트까지 인하하고 사적연금보험료공제와 항목별 특별공제 등을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율12%-15%의 세액공제로 변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로소득공제율 변경과 특별공제의 공제방식 변경이 조세 누진성과 소득재분배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실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서, 조세 누진성은 Kakwani지수와 Suits지수로 측정하고, 소득 재분배는 Reynolds-Smolensky지수와 Pf¨ahler지수로 측정하였다. 우선 통계청이 발표한 우리나라 가구의 Gini계수와 유사한 값인 0.331을 갖는 임의의 소득분포를 이용하여 근로소득세제 개정 전후 지수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근로소득세제 개정의 효과를 분석하였고, Gini계수가 0.3 이하 또는 0.4 이상인 소득분포를 이용한 분석을 추가적으로 시행하여 그결과를 비교하였다. 모의실험 분석 결과에 의하면, 근로소득공제율 변경은 조세 누진성을 약화시키지만 전반적인 소득세 부담을 증가시켜 소득 재분배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별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율 12%-15%의 세액공제로의 변경은 증세 목적을 달성하면서 동시에 누진성과 재분배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세액공제율이 높을수록 조세 누진성이 강화되어 총평균세율이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소득 재분배가 더욱 개선됨을 보였다. 다만, 고소득자의 공제금액이 상대적으로 크면 조세 누진성 강화보다 전반적인 소득세 부담 감소가 소득 재분배에 더 큰 영향을 미쳐 소득 재분배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득 자료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연구설계로서 2013년에 이루어진 근로소득세제 개정의 효과를 분석하여 조세정책을 재평가하고 그 방향과 시사점을 모색한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소득공제제도의 세액공제 전환에 따른 소득계층별세 부담 차이 분석

        김진석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와 회계저널 Vol.17 No.5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ax burden by income bracket after revision of income tax law from tax deduction to tax credit system, taking effect in 2014. To that end, income bracket of all income earners, among the 5th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NaSTab) data, was classified into 10 categories and insufficient data was supplemented by statistics yearbook issued by National Tax Service. Viewing the analysis, first, items subject to special deduction was increased from 2007 and particularly, per capita deduction of top 10% almost doubled the average per capital deduction of all income earners, which showed that former tax deduction system was relatively favorable to high-income earners than low-income earners in terms of tax burden because of regressive tax deduction characteristics.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f difference in tax burden by income bracket, tax burden by revised 2014 law was increased from the 5th grade among 10 categories, which was different from government’s announcement and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tax burden of the category with annual salary totaled ₩46 mil was increased due to reduced income tax deduction, integrated child tax deduction and application of 12% deduction rate of some items that were changed to tax credit system. Third, the higher the income the greater the tax burden, indicating effective tax rate of higher-income bracket was increased more and accordingly tax burden fairness is expected to improve. Saying in conclusion, change to tax credit system to ease regressive tax burden problem which the tax deduction system had was desirable but overall review of deduction & exemption system seemed not to be sufficient. That is, deduction & exemption system shall be able to incorporate the earnings and spending pattern of the taxpayers and thus it’s recommended to review deduction & exemption system from overall standpoint to incorporate a variety of spend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by deduction, thereby accomplishing the “ability-to-pay principle”. 본 연구는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전환된 2014년 적용 소득세법의 개정이 소득계층별로 미치는 세 부담 차이를 분석한 것으로, 제5차 재정패널 자료 중 근로소득자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소득분위를 10분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재정패널의 부족한 자료는 전수 자료인 국세통계연보를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특별공제 항목의 경우 2007년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특히 1인당 특별공제액은 근로소득자 전체의 평균 1인당 공제액보다 상위 10%의 평균 1인당 공제액이 2배 가까이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 부담에 역진적인 소득공제의 특성상 개정 전 소득공제제도는 고소득층이 저소득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세 부담 측면에서 유리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소득계층별 세 부담 차이를 분석한 결과 소득계층 10분위 중 5분위부터 2014년 적용 소득세법을 적용한 세부담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의 발표 및 기존 연구와 다른 결론으로 근로소득공제의 축소, 자녀세액공제로의 통합 및 세액공제 전환된 항목 중 일부 항목의 12% 세액공제율 적용등으로 총급여액 4,600만 원의 소득수준부터 세 부담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소득층으로 갈수록 세 부담이 더욱 증가하여 고소득층의 실효세율이 증가하므로 세 부담 형평성은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소득공제제도가 갖는 단점인 세 부담의 역진성의 완화를 위해 세액공제도로 전환한점은 바람직한 세제개편방향이지만, 소득공제제도 전체에 대한 점검이 부족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즉, 소득공제제도는 조세형평성 차원에서 다양한 납세자의 소득, 소비 등의 패턴이 잘 반영될 수있어야 하므로, 공제항목별 특성을 고려한 후 다양한 소비 형태 등이 반영되어 응능부담의 원칙이실현되도록 소득공제제도 전체를 점검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주택 양도소득세 세부담 분석 및 정책시사점 - 1세대1주택 비과세제도를 중심으로 -

        하능식,이주현 한국지방세연구원 2021 한국지방세연구원 기획보고서 Vol.2021 No.12

        □ 연구목적 ○최근 주택가격 상승과 세부담 급증에 따른 국민 불만에 대응하고자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 부세 및 양도소득세 관련 정책방안이 논의 중임 - 그동안 주택 양도소득세 정책은 주로 1세대1주택 비과세 정책의 강화 혹은 완화의 방식과 함께 다주택자 및 주택 투기지역에 대한 과세강화 등의 형식으로 추진되어 왔음 - 기존 연구들은 1세대1주택 비과세제도의 문제점 지적과 개선대안 제시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이러한 주택과세 제도들로 인한 세부담 분석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구체적인 정책대안으로 연결되지 못한 측면이 있음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최근의 부동산 관련 정책동향에 주목하면서 주택분 양도소득세 부담을 분석하고 1세대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제도로 인한 과세 형평성 문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함 □ 주택 양도소득세 및 1세대1주택 비과세제도 ○양도소득세는 자본의 성격을 지닌 자산을 양도할 때, 취득 당시와 비교하여 가치가 상승 함으로써 발생한 이익인 자본이득에 대해 과세하는 세금임 - 즉 자산을 양도할 때 발생한 소득의 경우 보유 기간에 따른 소득이 일시적으로 실현된 것이기 때문에 종합소득과 별도로 분류하여 부과됨 ○주택과세는 소유의 목적이 주거용이냐 임대용이냐에 따라 다르게 접근함 - 자가거주 주택(owner-occupation)은 역사적으로 거의 모든 국가에서 자산 수익 측면의 특혜를 부여받아 왔으며, 따라서 완전 비과세되거나 부분적으로 과세되어 온 경우가 많음 - 이에 비해 임대용 자산투자는 다른 투자재와 마찬가지로 정상 과세되는 것이 일반적이만, 공익 목적 임대자산의 경우 감면 혹은 비과세 혜택을 부여함 ○1세대1주택 비과세는 거주자인 1세대가 양도일 현재 국내에 1주택을 보유하고 다음의 요건을 모두 갖추고 양도하는 경우에 적용함(「소득세법 시행령」 제154조제1항) - 1세대1주택 비과세 요건 · 1세대가 1주택을 보유해야 함(다만 대체취득으로 인한 일시적 2주택 및 동거봉양이나 혼인으로 인한 2주택에 대해서는 예외를 인정하고 있음) · 2년 이상 보유(비거주자가 거주자로 전환시 3년, 2017년 8·2대책 이후 조정대상지역에서 구입한 주택은 보유기간 중 2년 이상 거주해야 함) · 9억 원 이하의 주택가격에 대해서만 적용함 ○자가거주 주택 양도소득에 대해서는 국제적으로 비과세제도를 채택하는 국가와 소득공제 제도를 채택하는 국가 등 다양한 형태들이 나타남 - 영국과 프랑스는 비과세제도를 채택하고 있어 자가거주 주택의 양도에 대해서는 세부담이 발생하지 않아 거주이전의 자유 보장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미국과 일본은 소득공제를 채택하여 주거주주택을 양도하더라도 일정수준 이상의 양도 소득에 대해서는 과세하므로 비과세제도에 비해 조세평등주의를 더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우리나라는 1세대1주택에 대해 비과세제도를 채택함에도 고가주택에 대해서는 과세하므로 거주이전의 자유 보장은 완전 비과세를 채택하는 국가에 비하여 약한 수준임 · 다만 1세대1주택에 대해서는 보유 및 거주기간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최대 80%의 소득공제를 허용하고 있어서 고가주택이라고 하더라도 1주택 양도소득에 대해서는 세부담을 경감하고 있음 □ 주택 양도소득세 부담 비교분석 ○주택분 양도소득세 부담 비교분석을 위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성 - 주택 가격대별 세부담, 주택수별 세부담, 보유기간과 양도차익 규모별 세부담, 서울 등 조정대상지역과 기타지역 간 세부담 등을 다양한 시나리오별로 비교 분석함 - 가상 자료를 사용하여 주요 주택 가격대별 및 양도차익 규모별 세부담액의 산정과 비교 분석을 실시함 ○분석방법 - 지역은 지방과 서울로 구분하고 주택수는 1세대1주택과 2주택으로 구분 - 2주택자의 경우 서울은 조정대상지역이므로 기본세율에 20%를 가산한 세율을 적용 - 1세대1주택자의 고가(9억 원 초과)주택에 대한 양도차익 계산 · 양도차익 = (양도가액 - 취득가액 등 필요경비) × (양도가액 - 9억원)/양도가액 ○동일 매각차익(4억 원)의 1세대1주택 양도가액별 세부담 - 1세대1주택 중 과세대상이 되는 고가주택의 경우 양도가액의 9억 원 초과부분 비중에 따라 과세 양도차익 및 장기보유 특별공제액이 달라지므로 주택가격에 따라 세부담 차이가 발생함 - 양도가액이 9억원 미만인 경우 전액 비과세이며, 10억 원인 경우 매각차익 4억 원 중 9억 원 초과분이 1억 원에 불과하고 이 중 4천만 원이 과세 양도차익에 해당하여 산출세액은 214.5만 원임 <표 1> 양도가액별 세부담 비교(1세대1주택, 매각차익 4억 기준) - 반면 양도가액 20억 원인 경우 매각차익 4억원 중 2억2천만 원이 과세 양도차익에 해당하며 세부담액은 3,042.5만 원임 · 즉, 매각차익은 4억 원으로 동일하지만 양도가액에 따라 20억 원 주택은 10억 원 주택의 14배에 달하는 세부담을 하는데, 20억 원 주택의 경우도 매각차익 대비 세부담인 실효세율은 7.61%로 낮은 편임 ○양도차익 규모별 세부담 분석(2주택) - 2주택의 경우 양도가액의 수준과 관계없이 양도차익의 크기에 따라 세부담이 결정됨 - 2주택의 경우 서울은 조정대상지역으로 20%p 중과세율이 적용됨에 따라 실효세율은 전국(지방)에 비해 약 15%p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매각차익 4억원 2주택의 경우 실효세율은 지방 25%, 서울 41%에 달하여 1주택에 비하여 매우 높은 수준이고, 서울 등 조정대상지역은 특히 높게 나타남 <표 2> 양도차익 규모별 실효세율 비교(2주택) ○주택 보유기간별 세부담(1세대1주택) - 10억원 주택 4억 원 매각차익 1주택자의 경우 보유 및 거주기간을 3년에서 10년으로 연장하면 양도소득세 부담은 310.5만 원에서 33만 원으로 감소하여 전체 매각차익 4억원의 0.7% 해당 금액의 세부담이 감소함 - 2년 보유의 경우 10억 원 주택은 실효세율이 1%대에 불과하지만 15억 원대 주택의 경우 10%대로 거의 10배 수준으로 상승함 <표 3> 보유 및 보유거주기간별 실효세율(매각차익 4억, 1세대1주택) ○주택 보유기간별 세부담(2주택) - 2주택자의 경우 매각차익 전액이 과세대상이며 서울등 조정대상지역은 20%p의 중과세율이 적용됨 - 또한 2주택자의 경우 장기보유특별공제율이 낮아져 10년 보유일 때 20%이며, 조정대상 지역은 장기보유특별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음 - 지방 10억주택 매각차익 4억 원의 경우를 보면, 보유기간에 따라 장기보유공제율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세부담액도 낮아짐 · 실효세율은 2년 보유의 경우 33.4%에서 10년 보유 25.4%로 감소하며, 이에 따라 세후투자 수익률도 차이가 나타남 - 서울 10억주택 매각차익 4억 원의 경우를 보면, 보유기간에 따른 장기보유공제율이 없기 때문에 세부담액 차이도 없음 - 2주택자의 경우 주택가격에는 영향을 받지 않고 부동산 소재지와 매각차익의 크기에 따라 세부담이 결정되며, 조정대상지역이 아닌 지역에서만 보유기간에 따른 세부담 격차가 발생함 <표 4> 보유 및 보유거주기간별 실효세율(매각차익 4억, 2주택) □ 정책적 시사점 ○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 과세의 수준과 특례의 범위에 대한 구체적 정책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가 가능함 - 많은 국가에서 자가거주 주택에 대해 완전 비과세제도를 두고 있고, 미국, 일본 등은 일정 한도 내에서 소득공제를 허용하며, 스페인은 주택 재투자 부분에 대한 면세제도를 두고 있음 - 이러한 주택 부문에 대한 세제혜택을 거주이전의 자유 보장 목적으로 간주한다고 하더라도 주택 양도소득세 조세특례의 수준과 범위는 국가별로 다르듯이 우리나라도 비과세, 소득공제, 재투자공제 등 정책 재량의 범위가 매우 넓다고 할 수 있음 ○따라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1세대1주택 양도소득세 조세정책을 새로이 정립할 필요가 있음 - 우리나라는 1세대1주택 양도소득세에 있어서 비과세와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모두 허용하는 거의 유일한 국가인데, 이는 고가주택에 대한 과세의 경우 보유기간에 따른 공제혜택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음 - 그러나 1세대1주택에 대해 비과세를 허용하겠다고 하면 특정 가격 이하의 주택에만 적용할 것이 아니라 모든 주택가격에 동일하게 적용하여야 하고, 아니면 일정 수준의 양도 소득을 공제해 주는 소득공제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함 ○최근 양도소득세 고가주택 기준 9억 원을 12억 원으로 상향 조정하는 법안이 통과됨 (2021.12.8일부터 시행) - 그동안 양도소득세 고가주택 기준 9억 원이 주택가격 상승 요인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에 따라 이를 12억 원으로 상향 조정하게 된 것임 - 고가주택기준을 9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조정시 매각차익 4억 원일 경우 12억 원 이하 주택은 양도차익의 크기와 무관하게 비과세되므로 12억원 초과주택에만 실질적 과세가 이루어짐 - 고가주택기준을 9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조정시 세부담 변화를 보면 10억 원 주택의 경우 214.5만 원의 세제혜택이 발생하고 12억주택은 858만 원, 14억주택 1,106만 원으로 혜택이 증가하며, 16억 초과 주택은 1,200만 원대로 혜택이 증가함 - 결국 고가주택기준을 9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조정할 경우 9억원 이하 주택의 경우 세부담 변화가 없으며, 주로 12억원 이상 고가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가 약 1,000만 원 정도 경감됨 ○비과세제도의 소득공제제도로 전환 검토 - 현행 1세대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제도를 폐지하고 3억 원 수준의 양도소득공제를 도입할 경우 세부담 변화를 살펴봄 - 양도차익 규모가 4억 원으로 동일할 경우 비과세제도 적용 시 9억 원 이하 주택은 양도 차익의 크기에 관계없이 전액 비과세되며, 9억 원 초과주택의 경우 주택가격이 증가함에 따라 세부담액도 증가함 - 이에 비해 소득공제 적용 시 산출세액은 주택가격의 수준과 관계없이 양도차익의 크기에 따라 세액이 결정되므로, 9억원 이상 고가주택의 경우 비과세 제도 적용시 양도차익이 3억원 이하일 경우에도 세부담이 발생하였으나, 소득공제 적용 시에는 양도차익 3억원 이하의 경우 과세되지 않음 - 따라서 비과세제도를 소득공제제도로 전환할 경우 양도차익의 크기가 동일하다면 그동안 상대적으로 세부담이 컸던 고가주택일수록 세부담이 크게 줄어들며, 반면 동일 주택 가격일 경우 양도차익 3억 원 초과에 대해 차익이 커질수록 세부담도 커짐 ○장기보유특별공제에 따른 세부담 격차 미미 - 앞의 주택보유기간별 세부담 분석에 의하면 10억 원 주택 4억원 매각차익 1주택자의 경우 보유 및 거주기간을 3년에서 10년으로 연장하면 양도소득세 부담은 310.5만 원에서 33만 원으로 감소하여 전체 매각차익 4억 원의 0.7% 해당 금액의 세제혜택을 받은 결과임 - 10억원 주택 거주기간 2년 이상 3년 미만으로 1주택자인 경우 거주에 대한 장기보유 특별공제를 받지 못하므로 실효세율(1.14%)은 가장 높아 10년 보유(0.08%)에 비해 13.7배 높음 · 그렇지만 절대적 세부담 수준이 매우 낮아 세후 투자수익률은 2년 보유거주 65.9%에서 10년 보유거주 66.6%로 거의 차이가 없으므로 장기보유특별공제로 인한 세제혜택이 미미하여 정책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볼 수 있음 ○거주요건 강화 필요 - 현행 비조정 대상지역의 경우 여전히 보유만으로 1세대1주택자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으므로 거주하지 않으면서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음 - 특히 9억 원 이하 비과세 효과로 인해 장기보유특별공제 제도의 효과가 매우 작아지게 되므로 장기보유특별공제 거주요건 부분을 추가한 정책변화에도 불구하고 비조정대상지역의 투기적 주택보유 억제효과는 별로 없을 것으로 판단됨 - 따라서 비조정 대상지역의 경우에도 조정대상지역과 동일하게 최소 거주요건을 추가하여 지역 간 형평성을 도모하고 단순 보유만을 통한 1주택 비과세 혜택 요인을 제거해야 할 것임 □ 정책제언 ○주택 양도소득세 부담 분석 결과 우리나라는 1세대1주택 비과세제도 등으로 인해 주택수별·지역별 세부담 격차는 지나치게 큰 것으로 나타나, 시장효과 등을 고려하여 세부담 조정조치가 필요함 - 10년 보유 양도가액 10억 원 주택의 매매차익이 4억 원일 경우 세부담은 1세대1주택의 경우 지역 구분없이 33만 원, 2주택 지방은 1억 200만 원, 2주택 서울은 1억 6,500만원 등으로 주택수 및 지역에 따라 세부담 격차가 매우 큼 · 이러한 세부담 격차는 부동산시장의 주택투기수요를 억제하고 불로소득을 환수하고자 하는 목적이 큰 편임 · 그러나 공동주택 통합 매매 실거래가격지수를 보면 2021년 8월 현재 수도권은 최근 4년간 51.6% 증가하였는데 비해, 지방은 18.2% 증가하는 데 그쳐, 중과세를 통한 투기수요억제 및 부동산시장 가격안정 효과는 별로 없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이에 비해 다주택자 및 조정대상지역 중과세로 인하여 일시적 주택공급 동결효과가 커지고 세대분리 혹은 증여 등의 형식으로 주택소유 행태 변화는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국제적으로 주택 양도소득세의 비과세제도를 운영하면서 주택가격을 기준으로 비과세 한도를 설정한 국가는 우리나라 외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소득공제제도로의 전환 검토가 필요함 - 1세대1주택의 경우 주택가격 9억 원 이하 비과세로 인하여 9억 원 초과 고가주택의 경우 동일한 양도차익에도 양도가액 수준에 따라 세부담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 · 양도소득세는 소득과세임에도 소득인 양도차익의 크기에 따른 과세가 아니라 주택가격에 의해 결정되는 부분이 더 크다는 문제점이 있음 - 우리나라 주택세제를 보면 취득세에서부터 시작하여 보유세인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그리고 양도소득세에 이르기까지 모두 주택가격이 증가함에 따라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누진세율체계를 유지하고 있음 · 즉, 취득세, 보유세, 양도세는 조세의 성격이 각각 다르지만, 과세체계는 고가주택에 대한 중 과세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그러나 주택가격의 상승은 개인이 통제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고,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세부담을 과중시키는 문제가 나타나므로, 개별 세목의 특성과 역할에 따른 조세체계의 재설계가 필요함 - 주택가격기준에 의한 1세대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제도는 폐지하고 일정 수준의 양도 소득공제 도입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함 · 부동산 가격 급등 상황에서 양도차익 비과세는 조세형평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투기적 주택 소유를 자극하고 자산격차를 확대하는 등의 부작용을 낳고 있음 ○우리나라는 1세대1주택에 대해서만 양도소득세 비과세를 허용하며 이러한 1주택 세제혜택은 여러 세목에서 중복적이고 과도하게 제공되는 데 비해, 특정지역의 다주택자에게는 과도하게 중과세하여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음 - 해외사례를 보면 보유주택 수와 관계없이 자가거주 주택의 양도소득에 대하여 비과세 혹은 소득공제를 허용하고 있음 -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양도소득세뿐만 아니라 취득세,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상속세 등에서 1주택자에 대해서는 낮은 세율 혹은 비과세하고, 자가거주 주택이라 할지라도 다주택자에게는 중과세하는 정책을 펴고 있음 - 따라서 향후에는 보유 주택수에 따른 차등과세의 실질적 정책효과와 함께 그에 수반되는 부작용 등을 면밀하게 살펴본 후, 개별 세목의 특성을 반영하여 주택수에 따른 차등 과세 정책을 전반적으로 개편할 필요성이 있음

      • KCI등재

        각 사업연도소득에 대한 과세표준 산출체계에 관한 연구-과세표준 계산시 순차공제를 중심으로-

        안연환 한국세무학회 2012 세무와 회계저널 Vol.13 No.4

        For taxable income, there are income taxes that taxes personal income and corporate taxes that taxes corporate income. When a domestic profit corporation calculates incomes by business year,the assessment standard is calculated by deducting the deficit carried forward, tax-free income,and income tax deductions sequentially from each business year's income. When calculating the assessment standard as stated by sequentially deducting in the order of deficit carried forward, taxfree income, and income tax deductions, it is called sequential deduction. Such sequential deduction has been accepted without criticism when calculating the assessment standard of corporate taxes, and there are very few related rulings on this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verifying whether the sequential deduction method is a rational and feasible calculation system in calculating the corporate tax assessment standard, and whether it is a reasonable legislation according to tax equality and the legal principles on taxes. This study summed up the concepts of deficit carried forward, tax-free income, and income tax deductions that are deducted in that order, and organized deduction methods suitable to the logic of tax laws based on literary resources. Finally, comparativ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tax laws and regulations of Japan, US and Germany. Through this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current sequential deduction method contradicts the reasoning of tax laws and is a national-treasury oriented regulation that impedes upon tax equality, and hence, must be reformed. First, tax-free income shoul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term, not be deducted from each business year's income, and should not be included in income subject to taxation from the beginning like the income tax law. Second, in the case of taxation by calculating the corporate income after converting to each business year for the corporate tax and taxing a single time for income of the complete period that the corporation is in existence, and the deficit deduction method that can be identical to the tax effect are the deficit methods like that of Germany, and there is a need to make reforms on laws so that this deficit carried forward method is recognized as an exception. In this case, the deficit retroactive deduction period should be the same as the period for exercising claim of reassessment, which is three years. Third, the Enforcement Regulation of Corporate Tax Laws Article 5, which prohibits tax-free income and income tax from being received as deficit carried forward, violates the delegated legislation, and thus, regulations for grounds of delegation are necessary. Special purpose companies are only paper companies and simply act as a conduit of income that flows into shareholders, and thus, since there is no reason to defer the company's profits,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make deductions after deducting the deficits. However, it would be reasonable for deductions for income on national home leasing of self-managed real estate investment companies and deductions for small & medium businesses that maintain employment to be taken from income before deficit deductions. In conclusion, when calculating corporate tax assessment standards, tax-free income should be excluded from income subject to taxation such as exclusion from gross revenue, and deficit deductions should be revised being of retroactive deduction in principle, and placing its priority after deficit carried forward deductions. Or, deductions should be separated as deducting from income before or after deficit deductions depending on the objective of the legislation and the subject of deductions. 소득과세에는 개인소득에 과세하는 소득세와 법인소득에 과세하는 법인세가 있다. 영리내국법인이 매 사업연도 단위로 소득을 계산할 때 각 사업연도소득금액에서 이월결손금․비과세소득․소득공제액을 순차적으로 공제하여 과세표준을 산출하게 된다. 이렇게 과세표준을 산출할 때 이월결손금부터 비과세소득, 소득공제 순서로 순차적으로 공제하는 방식을 순차공제라고 한다. 이러한 순차공제는 법인세 과세표준을 산출할 때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져 왔으며 이에 대한 관련판례도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법인세 과세표준을 산출함에 있어서 순차공제방식이 논리적으로타당한 산출체계인지 또한 조세공평과 조세법리에 따른 적정한 입법인지를 연구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과세표준에서 순차로 공제되는 이월결손금, 비과세, 소득공제에 대한 개념정리와조세법의 논리에 적합한 공제방법을 문헌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으며 일본, 미국, 독일의 세법규정을비교법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순차공제방식은 조세법의 논리에 모순되며 과세의 공평을 저해하는 국고주의적인규정임으로 개정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첫째, 비과세소득은 그 용어의 정의에 맞게 각 사업연도소득에서 공제할 것이 아니라 소득세법과 같이 처음부터 과세대상소득에 포함시키지 말아야한다. 둘째, 법인세가 매 사업연도 단위로 법인소득을 계산하여 과세한 것과 법인이 존속하는 전(全)존속기간의 소득에 1회 과세하는 경우와 조세효과가 동일하게 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손금 공제방식은 결손금 소급공제방식이다. 따라서 독일과 같이 소급공제방식을 원칙으로 하여야 하며 이월공제방식을 예외로 인정하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 이 경우 결손금 소급공제기간은 경정청구권 행사가능기간인 3년으로 하여야 한다. 셋째, 비과세소득과 소득공제를 이월공제를 받을 수 없도록 규정한 법인세법 시행규칙 제5조 규정은 위임입법에 위반됨으로 위임근거규정이 필요하다. 유동화전문회사 등이 서류상의 회사이고 단순히 주주 등에게 흘러들어가는 소득의 도관역할만 행하며, 그 회사자체의 이익을 유보할 이유가 없으므로 결손금 공제한 후 소득공제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다. 그러나 자기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국민주택임대소득에 대한 소득공제와 고용유지중소기업에 대한소득공제는 결손금 공제전 소득에서 공제함이 타당하다. 결론적으로 법인세 과세표준을 산출할 때 비과세소득은 익금불산입과 같이 과세대상소득에서 제외하여야 하며 결손금공제는 소급공제를 원칙으로 이월공제를 후순위로 개정되어야 한다. 또는 소득공제는 입법취지와 공제대상에 따라 결손금 공제전 또는 결손금 공제후 소득에서 공제하는 것으로 나뉘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